KR100271255B1 -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 Google Patents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255B1
KR100271255B1 KR1019980053281A KR19980053281A KR100271255B1 KR 100271255 B1 KR100271255 B1 KR 100271255B1 KR 1019980053281 A KR1019980053281 A KR 1019980053281A KR 19980053281 A KR19980053281 A KR 19980053281A KR 100271255 B1 KR100271255 B1 KR 10027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cushion
housing
diffus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326A (ko
Inventor
이호진
박승목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8005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2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의 인플레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발생기(18)에서 발생된 가스가 쿠션(20) 내부로 분산되도록 하는 디퓨져(10)를 갖는 홀더(8)와, 이 홀더(8)가 안착되는 하우징(2)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가스발생기(18)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삽입구(32)와, 삽입구(32)의 내측에 가스발생기(18)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유동방지구(31)와, 유동방지구(31)와 대향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배출구(36,38)가 격자형으로 형성된 디퓨져(34)와, 디퓨져(34)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40)를 일체로 형성한 하우징(30)과; 고정부(40)에 쿠션(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가이더(42)가 삽입된 것으로 이루어져 가스발생시 홀더의 디퓨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쿠션이 편심전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에어백 장치의 무게를 가볍게 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플레터의 점화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으로 디프로스터의 일부가 변형되어 쿠션이 편심전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이를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 추돌 사고시에 운전자와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쿠션이 팽창되면서 탑승자가 차체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막아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과, 보조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는 승객용 에어백이 있다. 승객용 에어백은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그 높이에 따라 로우, 미들, 탑형으로 구분된다. 로우형은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로부터 상부로 전개되고, 미들형은 중간에 설치되어 있어 승객의 정면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탑형은 승객의 전면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개되어 승객을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의 개략적인 구성은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 발생기와, 하부는 가스 발생기가 고정되고 상부는 아웃 커버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가스 발생기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쿠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설치된 가스발생기의 종단면도로서, 승객용 에어백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에어백 장치는 엔진 룸의 후드와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 대시패널과 인스트르먼트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 장치는 전자제어유닛(ECU)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스발생기(18)를 내장한 하우징(2)과, 이 가스발생기(18)와 하우징(2) 사이에 삽입된 쿠션(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2)은 만곡형으로 형성된 하단을 갖고 있으며, 그 상단은 개방되어 가스발생기(18)를 내장한 쿠션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것으로서, 일측에 가스발생기의 커넥터와 전자제어유닛(ECU)에 연결하도록 삽입구(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주로 스틸을 프레싱 하여 사용한다.
가스발생기(18)는 양측이 개방된 통형으로 그 상단에 디퓨져(10)를 구비한 홀더(8)에 내장된 것으로서, 디퓨져(10)는 양단으로 많은 량의 가스를 배출하도록 확단부(14)가 대칭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 확단부(14)의 중앙은 소정의 폭을 갖는 직선 형태의 장공(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객용 에어백은 주행중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면, 전자제어유닛(ECU)으로부터 시그널이 가스발생기(18)로 인가되고, 동시에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가스는 방사상의 가스 배출홀을 통해 토출된 후 그 외측에 구비된 홀더(8)의 확단부(14)와 이를 연결한 장공(12)을 통해 쿠션(20) 내부로 배출되고, 이어 쿠션(20)을 부풀려 승객을 안전하게 구속시키게 된다.
그러나, 가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과 분출 속도가 큼으로써, 인플레터를 감싸고 있는 홀더에 형성된 확단부와, 이 확단부와 연결된 장공부위에 압력이 증가하여 변형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쿠션이 편심전개 되어 승객을 안전하게 구속하지 못해 그 피해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더와 하우징이 스틸을 프레싱한 분리형으로 되어 있음으로, 제작 공정수가 늘어남으로써, 비용과 제품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홀더는 주행중 발생하게 되는 진동 등의 영향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유동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플레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량을 쿠션 내부로 일정하게 토출시키도록 하우징과 디퓨져를 일체로 형성하여 디퓨져의 변형과 소음을 방지하고, 아울러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설치된 가스발생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가스발생기 20;쿠션
30;하우징 31;유동방지구
32;삽입구 34;디퓨져
36,38;배출구 40;고정부
42;고정 가이더 44;후크
46;걸림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플레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쿠션 내부로 분산되도록 하는 디퓨져를 갖는 홀더와, 이 홀더가 안착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인플레터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삽입구와, 삽입구의 내측에 인플레터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유동방지구와, 유동방지구와 대향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배출구가 격자형으로 형성된 디퓨져와, 디퓨져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를 일체로 형성한 하우징과; 고정부에 쿠션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가이더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에 설치된 가스 발생기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연계하여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20) 내부에 설치된 가스발생기(18)의 외측에는 방출되는 가스를 쿠션 내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키도록 하기 위해 확단부(14)와 이를 연결하는 장공(12)의 디퓨져(10)가 형성된 홀더(8)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승객용 에어백에 있어서, 충격력이 발생하여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인플레터로 시그널이 인가되어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가스는 홀더(8)의 상부에 형성된 확단부(14)와 이를 연결하는 장공(12)을 통해 분출됨으로써, 쿠션을 부풀려 승객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폭부의 점화로 인해 인플레터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순간적으로 확단부(14)와 장공(12)을 통해 쿠션 내로 분출되는 과정중 그 압력에 의해 단면적이 급변하는 곳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아울러 주행중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 발명에서 하우징(30) 중앙에 쿠션(20)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40)를 형성함과 아울러 가스가 분출되는 디퓨져(34)를 일체로 구비하였다.
여기에서, 하우징(30)은 하소, 상대의 역삼각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가스발생기(18)를 삽입하는 삽입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32)의 내측 하부는 진동으로 인해 가스발생기(18)가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하단을 받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그 상단이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유동방지구(3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유동방지구(31)와 마주보는 상부에 다수의 배출구(36,38)가 격자형으로 형성된 디퓨져(34)가 구비되어 있고, 이 디퓨져(34)의 양단과 하우징(30)이 만나는 곳에 상대 하소의 비율로 이루어진 고정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30)은 그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마그네슘(Mg)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40)에는 쿠션(20)의 단부가 얹혀지도록 하고, 그 사이에 고정부(40)와 동일한 형태의 고정 가이더(42)를 삽입되어 있다.
고정 가이더(42)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고정된 쿠션(20)은 폴딩시 중앙을 디퓨져(34)에 맞닿도록 한 다음 그 양측을 순차적으로 접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조립은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여 주물로 제작된 하우징(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구(32)로 가스발생기(18)를 삽입하고, 이어 디퓨져(34)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40)에 쿠션(20)의 하단이 얹혀 지도록 한 후 고정 가이더(42)를 삽입함으로써, 쿠션(20)을 고정한다.
이때, 고정 가이더(42)에 의해 고정되는 쿠션(20)의 가장자리에는 두겹 내지 그 이상으로 절첩한 후 박음질을 하여 전개시 가스의 압력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된 쿠션(20)은 그 중앙을 뒤집어 디퓨져(34)의 윗면에 닿도록 한 후 그 양측에 있는 쿠션(20)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폴딩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그 작업은 마무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스발생기(18)의 하단은 유동방지구(31)가 받혀서 지지하고 있음으로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등에 의해 가스발생기(18)가 흔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와 종단면도로서, 하우징(30)의 양단 외측으로 쿠션(20)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40)를 하단이 개방된 상태의 후크(44)로 형성하고, 이 축형태의 걸림구(46)를 쿠션(20) 하단에 삽입하여 후크(44)에 고정할 수 도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가스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과 분출 속도가 일정하게 됨으로써, 쿠션의 안정된 전개가 이루어져 승객을 안전하게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퓨져와 쿠션 고정구를 일체로 형성하고, 쿠션을 중앙으로부터 폴딩시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전개시 가스의 분출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쿠션의 안정된 전개를 가져오게 하고, 아울러 그 제작공정수와 무게를 줄여 제품의 가격을 낮춘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가스발생기(18)에서 발생된 가스가 쿠션(20) 내부로 분산되도록 하는 디퓨져(10)를 갖는 홀더(8)와, 이 홀더(8)가 안착되는 하우징(2)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가스발생기(18)를 삽입하도록 형성된 삽입구(32)와, 삽입구(32)의 내측에 가스발생기(18)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유동방지구(31)와, 유동방지구(31)와 대향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배출구(36,38)가 격자형으로 형성된 디퓨져(34)와, 디퓨져(34)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40)를 일체로 형성한 하우징(30)과;
    고정부(40)에 쿠션(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가이더(42)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마그네슘(Mg)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가스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대 하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20)은 중앙으로부터 접혀지고, 그 고정단이 씌워지도록 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20)을 고정하는 고정부(40)는 하우징(30)의 외측에 하단이 개방된 상태의 후크(44)를 일체로 구비하고, 걸림구(46)가 쿠션(20)의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4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
KR1019980053281A 1998-12-05 1998-12-05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KR10027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81A KR100271255B1 (ko) 1998-12-05 1998-12-05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81A KR100271255B1 (ko) 1998-12-05 1998-12-05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26A KR20000038326A (ko) 2000-07-05
KR100271255B1 true KR100271255B1 (ko) 2001-04-02

Family

ID=1956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281A KR100271255B1 (ko) 1998-12-05 1998-12-05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5900B1 (en) * 2020-10-22 2022-03-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2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7441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6808198B2 (en) Pillar-mounted frontal airbag
US6712385B2 (en) Dent and vibration resistant rigid knee airbag
US20050230939A1 (en) Knee-bag module
JPH1148906A (ja) エアバック装置
JP3991739B2 (ja)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
EP1044122B1 (en) Deploying direction controllable airbag structure
JPH0790744B2 (ja)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271255B1 (ko) 승객용 에어백의 가스발생기_
JP2005186886A (ja)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US6227568B1 (en) Air bag module
JPH0220054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KR100286983B1 (ko) 승객용에어백의인플레터홀더
KR100286984B1 (ko) 승객용에어백의쿠션
JP3558865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336165B2 (ja)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107185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0271254B1 (ko) 승객용 에어백의 에어백 마듈
KR100271251B1 (ko) 순차 전개가 가능한 에어쿠션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5732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1041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JPH0542855A (ja) 自動車のエアバツ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