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129B1 -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129B1
KR100271129B1 KR1019970046429A KR19970046429A KR100271129B1 KR 100271129 B1 KR100271129 B1 KR 100271129B1 KR 1019970046429 A KR1019970046429 A KR 1019970046429A KR 19970046429 A KR19970046429 A KR 19970046429A KR 100271129 B1 KR100271129 B1 KR 10027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video signal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012A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충환
주식회사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주식회사케이이씨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7004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1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TR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윈 제어 장치는 VTR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유신호일 경우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과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수단으로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 이하, TV라 한다)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이라 한다)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TV에서 비디오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VTR의 전원을 온시키고, 또한 TV의 전원을 온시켜야 하는 이중의 불편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두 개의 리모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청후에도 TV 및 VTR의 전원을 모두 오프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 /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TR의 전원 제어만으로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TV 전원 제어 장치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V 잭 20 : 동기신호 분리부
30 : 전압 출력부 40 : DC 전압 인식부
50 : 전원 절환 장치 Q1∼Q3 : 제1 내지 제3트랜지스터
R1~R8 : 제1 내지 제8저항 C1∼C6 : 제1 내지 제6캐패시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텔리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절환수단;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 비디오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 동기신호 분리수단으로부터 동기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로우 논리전압을 그리고 동기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하이논리전압을 가지는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 및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하이논리전압을 가질 때 전원절환수단으로 하여금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는 로우전압을 그리고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로우논리전압을 가질 때에는 전원절환수단으로 하여금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올 온시키도록 하는 하이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 및 이점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의 TV 전원 제어 장치는 VTR(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 A/V(Audio/video) 잭(10)을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0)와, 동기신호 분리부(20)로부터의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직류(Direct Current; 이하 “DC”라 함) 전압을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30)와, DC 전압 출력부(30)의 DC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 장치(50)와 전원 절환 작동을 제어하는 DC 레벨 인식 장치(40)를 구비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한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다. 제2도의 TV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입력단자(1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중에서 동기신호를 구분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0)는 입력단자(10)와 제1노드(1) 사이에 직렬 접속된 결합 캐패시터(C1) 및 제1저항(R1)과, 공급전압원(5V)과 제1노드(1)사이에 접속된 제2캐패시터(C2)와, 제1노드(1)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2저항(R2)과, 공급전압원(5V)과 제1, 2 노드(1,2) 사이에 접속된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노드(2)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3저항(R3)을 구비한다. 입력단자(10)를 통해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었다면, 비디오 신호는(a)에 도시된 바와 같은 1V-2V 피크대 피크(Vp-p) 가량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동기신호 분리부(20)는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게 된다. 분리·증폭되어진 동기신호를 유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비디오신호가 있는 경우에 제1트랜지스터(Q1)는 제2캐패시터(C2) 및 제2저항(R2)에 의해 제1노드(1)상에 나타되는 저 전압성분(즉, 동기신호의 블랭킹 레벨)에 의해서 턴-온되어 공급 전압(5V)을 제2노드(2) 쪽으로 출력함으로써, 입력단자(10)로부터 제1캐패시터(C1) 및 제1저항(R1)을 거쳐 제1노드(1)로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중 동기신호(자세하게는 동기신호의 블랭킹 레벨)만을 반전·증폭하게 된다. 이 결과, 제2노드(2)에는 콜렉터 파형(b)과 같은 반전된 동기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동기신호 분리부(20)로부터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DC 전압을 출력하는 DC전압 출력부(30)는 제2노드(2)와 제3노드(3)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4저항(R4)및 제3캐패시터(C3)와 제3노드(3)와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5저항(R5)및 제4캐패시터(C4)와, 제4노드(4) 및 제6저항(R6)을 통하여 공급전압원(5V)에 접속되고 제3노드(3)과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20)의 제2노드(2)에 나타난 신호중 교류성분만이 제3캐패시터(C3)를 경유하여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접속되어진 제3노드(3)에 공급되게 된다. 제4캐패시터(C4)는 제4 및 제5저항(R4,R5)과 함께 RC 적분회로로서 작동하여 제2노드(2)상의 전압을 적분한 적분전압이 제3노드(3)에 나타나게 한다. 제3노드(3) 상의 전압은 동기신호(즉,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 제2트랜지스터(Q2)의 문턱전압(0.7V) 보다 높게 되고 동기신호가 없을 경우에는 제2트랜지스터(Q2)의 문턱전압보다 낮게 된다. 그러면, 제2트랜지스터(Q2)는 제3노드(3) 상의 전압이 자신의 문턱전압(즉, 0.7V) 이상일 때 턴-온되어 제4노드(4) 상의 전압을 그라운드 쪽으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제4 노드(4)에 로우논리전압이 나타난게 한다. 반면에 제3 노드(3) 상의 전압이 자신의 문턱전압(0.7V) 이하일 경우, 제2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 되어 제4노드(4) 상에 하이논리전압이 나타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제2트랜지스터(Q2)는 (c)와 같이 동기신호(비디오신호)가 없는 기간에는 하이논리전압을 그리고 동기신호(비디오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로우 논리전압을 가지는 파형이 제5노드(5)에 공급되게 한다.
DC 전압 출력부(30)의 DC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 장치(50)의 전원을 절환시키는 DC 레벨 인식 장치(40)는 제4, 5 노드(4, 5)사이에 접속된 제7저항(R7)과, 공급전압원(5V)과 제5노드(5) 사이에 접속된 제5캐패시터(C5)와, 제6노드(6)와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8저항(R8) 및 제9캐패시터(C9)와, 공급전압원(5V)과 제5, 6 노드(5, 6) 사이에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Q3)를 구비한다.
상기 DC 전압 출력부(30)에서 제4노드(4) 상에 출력된 파형은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게 된다. 제3트랜지스터(Q3)는 로우전압이 인가될 때(즉, 비디오신호(즉, 동기신호)가 있는 경우)에 턴-온 되어 제9캐패시터(C9)에 공급전압(5V)가 충전되게 함으로써 하이전압이 출력단자(50)을 통해 출력되게 한다. 출력단자(50) 상의 하이전압은 TV 전원 절환 장치인 마이크로컴퓨터의 파워 출력 포트나 파워 컨트롤(Control) 트랜지스터에 공급되어 TV의 전원을 온시키게 된다.
한편, 비디오신호가 없을 경우, 즉 VTR의 오프상태 또는 동기신호 없는 무신호를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신호 입력이 없으므로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전압이 입력된다. 제1트랜지스터(Q1)가 온 상태가 되어 컬렉터에는 하이성분, 즉 5V가 출력된다. 이는 하이성분만 존재하는 순수 직류성분이므로 제3캐패시터(C3)를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로우전압이 입력된 것과 같다.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서는 하이논리전압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는 하이전압이 출력되어 제3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 되어 제9캐패시터(C9)에 공급전압(5V)가 공급되지 않게 함으로써 로우전압이 출력단자(50)에 나타나게 된다. 이 출력단자(50)상의 로우전압은 마이크로컴퓨터의 파워 출력 포트나 파워 컨트롤 트랜지스터에 공급되어 TV의 전원이 오프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DC 전압을 출력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자동 온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에 의해 비디오 수상모드로 TV가 자동 절환될 수 있다. 특히, TV를 여러대 디스플레이할 경우 VTR의 전원만으로 모두 온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TR의 전원 만으로도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나아가,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자동 온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에 의해 바로 비디오 수상모드로 TV가 자동 절환될 수 있다. 특히, TV를 여러대 디스플레이할 경우 VTR의 전원만으로 모두 온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만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1)

  1.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절환수단과;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 비디오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으로부터 동기신호의 입력이 있는 경우 로우논리전압을 그리고 동기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하이논리전압을 가지는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과; 상기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하이논리전압을 가질 때 상기 전원절환수단으로 하여금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오프 시키도록 하는 로우전압을 그리고 상기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로우논리전압을 가질 때에는 상기 전원절환수단으로 하여금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을 온 시키도록 하는 하이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 전원 제어 장치.
KR1019970046429A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KR10027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12A KR19990025012A (ko) 1999-04-06
KR100271129B1 true KR100271129B1 (ko) 2000-12-01

Family

ID=1952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1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38A (ko) * 1993-06-22 1995-01-04 배순훈 음성 인식 방법에 의한 채널 선택 장치
KR960006563A (ko) * 1994-07-11 1996-02-23 배순훈 티브이의 전원 자동 오프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38A (ko) * 1993-06-22 1995-01-04 배순훈 음성 인식 방법에 의한 채널 선택 장치
KR960006563A (ko) * 1994-07-11 1996-02-23 배순훈 티브이의 전원 자동 오프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12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2220C (zh) 放大器
JP2005151468A (ja) アンプ
KR100271129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KR0166697B1 (ko) 다단 연결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US7184097B2 (en) On-screen display apparatus
KR950001262Y1 (ko) 모니터의 비엔씨 및 디서브 코넥터 자동 절환회로
KR200143627Y1 (ko) 모니터의 전원 절전 제어장치
US5229854A (en) Vertical sync separator
EP0148606A1 (en) Tri-level sandcastle pulse decoder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KR960012593B1 (ko) 방송방식별 신호의 색채복조 자동절환회로.
US6212326B1 (en) Video tape or cassette recorder
KR900000375Y1 (ko) 텔레비디오의 스위칭 회로
JPH0713031Y2 (ja) 水平同期信号処理回路
KR890003754B1 (ko) 신호 무입력시 자동 정지회로
KR0154938B1 (ko) 피디피 티브이에서의 무신호 레벨 클램프장치
KR970002367B1 (ko) 비엔씨/디-서브 자동 선택 오동작 방지 회로
KR930006988Y1 (ko) 동기신호 분리회로
KR850003313Y1 (ko) 영상및 음성신호 절환 입출력회로
KR0131580Y1 (ko) 동기신호 자동절환회로
KR910000108Y1 (ko) 테레비젼의 음성다중입력 자동절환회로
JP3407892B2 (ja) 入力信号識別装置
KR910006566Y1 (ko) 음성 뮤트(audio mute)회로
KR960007683B1 (ko) 텔레비젼의 방송방식 식별 및 표시장치
KR870000730Y1 (ko) 직류분 재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