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012A -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012A
KR19990025012A KR1019970046429A KR19970046429A KR19990025012A KR 19990025012 A KR19990025012 A KR 19990025012A KR 1019970046429 A KR1019970046429 A KR 1019970046429A KR 19970046429 A KR19970046429 A KR 19970046429A KR 19990025012 A KR19990025012 A KR 1999002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video signal
vol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129B1 (ko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충환
한국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한국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7004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1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TR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VTR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유신호일 경우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과;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수단으로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젼(Television ; 이하, TV라 한다)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테이프레코더(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이라 한다)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 의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TV에서 비디오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VTR의 전원을 온시키고, 또한 TV의 전원을 온시켜야 하는 이중의 불편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두 개의 리모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청후에도 TV 및 VTR의 전원을 모두 오프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TR의 전원 제어만으로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 전원 제어 장치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A/V 잭20 : 동기신호 분리부
30 : DC 전압 출력부40 : DC 전압 인식부
50 : 전원 절환 장치Q1~Q3 :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
R1~R8 : 제1 내지 제8 저항C1~C6 : 제1 내지 제6 캐패시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VTR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유신호일 경우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과;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수단으로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밖의 목적 및 이점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를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1의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VTR(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 A/V(Audio/Video) 잭(10)을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0)와, 동기신호 분리부(20)의 동기신호 유무에 따른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30)와, DC 전압 출력부(30)의 DC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 장치(50)의 전원을 절환시키는 DC 레벨 인식 장치(4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 전원 제어 장치에 대한 상세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2의 TV 전원 제어 장치에서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를 구분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0)는 입력단자와 제1 노드(1) 사이에 직렬 접속된 결합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과, 공급전압원(5V)과 제1 노드(1)에 접속된 제2 캐패시터(C2)와, 제1 노드(1)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2 저항(R2)과, 공급전압원(5V)과 제 1, 2 노드(1, 2)에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노드(2)와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된 제3 저항(R3)을 구비한다.
우선, 입력단자를 통해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비디오 신호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1V-2V 피크대 피크(Vp-p) 가량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동기신호 분리부(20)는 비디오 신호와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유신호, 무신호를 구분한 다음 유신호일 경우 이 신호의 동기신호만 증폭시킨다. 상세히 하면, 유신호일 경우 제1 트랜지스터(Q1)는 제2 캐패시터(C2) 및 제2 저항(R2)에 의해 제1 노드(1) 상에 발생되는 전압에 의해서, 입력단자로부터 제1 캐패시터(C1) 및 제1 저항(R1)을 거쳐 제1 노드(1)로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로부터 동기신호만을 증폭하여 제2 노드(2)에 콜렉터 파형(b)과 같은 파형을 출력시킨다.
동기신호 분리부(20)의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30)는 제2 노드(2)와 제3 노드(3)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4 저항(R4) 및 제3 캐패시터(C3)와, 제3 노드(3)와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5 저항(R5) 및 제4 캐패시터(C4)와, 제4 노드(4) 및 제6 저항(R6)을 통하여 공급전압원(5V)에 접속되고 제3 노드(3)과 그라운드에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20)에서 제2 노드(2)를 통해 출력된 파형의 교류성분만이 제3 캐패시터(C3)를 통하여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제2 트랜지스터(Q2)는 콜렉터, 즉 제4 노드(4) 상에 이 파형의 역위상인 동기신호 부분만 로우(Low)된 파형을 출력시킨다.
DC 전압 출력부(30)의 DC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 장치(50)의 전원을 절환시키는 DC 레벨 인식 장치(40)는 제4, 5 노드(4, 5)사이에 접속된 제7 저항(R7)과, 공급전압원(5V)과 제5 노드(5) 사이에 접속된 제5 캐패시터(C5)와, 제6 노드(6)와 그라운드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8 저항(R8) 및 제9 캐패시터(C9)와, 공급전압원(5V)과 제5, 6 노드(5, 6) 사이에 접속된 제3 트랜지스터(Q3)를 구비한다.
상기 DC 전압 출력부(30)에서 제4 노드(4) 상에 출력된 파형은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고, 이 입력 파형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로우전압을 이용하여 제3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제9 캐패시터(C9)에 하이전압이 충전된다. 이 하이전압이 TV 전원 절환 장치인 마이크로컴퓨터의 파워 출력 포트나 파워 컨트롤(Control) 트랜지스터에 공급되어 TV의 전원을 온시킨다.
한편, 비디오신호가 없을 경우, 즉 VTR의 오프상태 또는 동기신호 없는 무신호를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신호 입력이 없으므로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전압이 입력된다. 제1 트랜지스터(Q1)가 온 상태가 되어 컬렉터에는 하이성분, 즉 5V가 출력된다. 이는 하이성분만 존재하는 순수 직류성분이므로 제3 캐패시터(C3)를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로우전압이 입력된 것과 같다. 제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또는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는 하이전압이 출력되어 제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는 로우상태의 파형이 출력된다. 이 신호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컴퓨터의 파워 출력 포트나 파워 컨트롤 트랜지스터에 공급되어 TV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V의 전원 제어 장치는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DC 전압을 출력하여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자동 온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에 의해 비디오 수상모드로 TV가 자동 절환될 수 있다. 특히, TV를 여러대 디스플레이할 경우 VTR의 전원만으로 모두 온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TV의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하면 비디오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TR의 전원 만으로도 TV의 전원을 자동 온/오프 할 수 있다. 나아가,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TV의 자동 온시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에 의해 바로 비디오 수상모드로 TV가 자동 절환될 수 있다. 특히, TV를 여러대 디스플레이할 경우 VTR의 전원만으로도 모두 온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4)

  1.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접속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유신호일 경우 동기신호만을 분리하여 증폭하는 동기신호 분리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른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압 출력수단과;
    상기 직류 전압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 레벨을 인지하여 전원 절환수단으로 출력하는 직류 레벨 인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 전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은
    상기 입력신호가 동기신호가 없는 무신호인 경우 하이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원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 출력수단은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의 증폭된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온/오프되어 이 파형의 역위상인 동기신호 부분만 로우상태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의 하이전압이 입력되면 턴-오프되어 하이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원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레벨 인식 장치는
    상기 직류레벨 출력수단의 로우전압이 입력되면 턴-온 되어 상기 전원 절환 수단으로 하이전압을 출력하여 전원을 턴-온 시키고,
    상기 직류레벨 출력수단의 하이전압이 입력되면 턴-오프 되어 상기 전원 절환 수단으로 로우전압을 출력하여 전원을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전원 제어 장치.
KR1019970046429A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KR10027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12A true KR19990025012A (ko) 1999-04-06
KR100271129B1 KR100271129B1 (ko) 2000-12-01

Family

ID=1952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429A KR100271129B1 (ko) 1997-09-09 1997-09-09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1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38A (ko) * 1993-06-22 1995-01-04 배순훈 음성 인식 방법에 의한 채널 선택 장치
KR960006563A (ko) * 1994-07-11 1996-02-23 배순훈 티브이의 전원 자동 오프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129B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2220C (zh) 放大器
JP2005151468A (ja) アンプ
KR100271129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젼의 전원 제어 장치
KR200143627Y1 (ko) 모니터의 전원 절전 제어장치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KR950001262Y1 (ko) 모니터의 비엔씨 및 디서브 코넥터 자동 절환회로
KR890003754B1 (ko) 신호 무입력시 자동 정지회로
KR970064229A (ko) 멀티미디어 텔레비전 수상장치
JP2004094159A (ja) ループスルー機能付き表示装置
KR970002367B1 (ko) 비엔씨/디-서브 자동 선택 오동작 방지 회로
KR890004764Y1 (ko) 비데오 스위칭 회로
KR930004542Y1 (ko) 동기신호를 이용한 자동 오프회로
KR0122115B1 (ko) 모니터의 동기신호 분리회로
KR100204232B1 (ko) 멀티미디어 영상 표시기기의 자동 절전회로
KR930005442B1 (ko) 영상기기의 음성 및 영상입력 자동선택회로
KR100486022B1 (ko) 멀티제어전원 사용회로의 전원 온 리셋 동기화 회로
KR0130900Y1 (ko) 음성회로에서의 전원안정화 장치
KR0128090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910006566Y1 (ko) 음성 뮤트(audio mute)회로
JPS62193374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内蔵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54829A (ko) 동기신호 분리 회로
JPS63237673A (ja) 同期状態検出回路
GB2332326A (en) Stand-by power saving arrangement for video cassette recorder when receiving unscrambled video and audio data
JPH03262383A (ja) 同期分離回路
JPH1042165A (ja) クラン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