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90Y1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90Y1
KR0128090Y1 KR2019930030367U KR930030367U KR0128090Y1 KR 0128090 Y1 KR0128090 Y1 KR 0128090Y1 KR 2019930030367 U KR2019930030367 U KR 2019930030367U KR 930030367 U KR930030367 U KR 930030367U KR 0128090 Y1 KR0128090 Y1 KR 0128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vsyn
microcomput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055U (ko
Inventor
김덕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30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90Y1/ko
Publication of KR950022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코더에서 문자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를 구동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OSD회로를 구동하기 위해 비디오신호로 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회로를 채택하지 않고 비디오 신호가 있는 경우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마이콤에서 추출한 수직동기신호와 화면뮤트시 동기발생회로에서 추출한 수직동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출력된 연속적인 수직동기신호와 전자뷰우파인더에서 생성된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OSD회로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제1도는 동기분리회로를 채택한 종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제2도 각 부의 출력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비디오부 2, 12 : 마이콤
3, 13 : 동기발생회로 4, 14 : 동기분리회로
5, 15 : OSD 회로 6 : 스위칭회로
7 : 전자뷰우파인더
본 고안은 캠코더에 있어서 문자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를 구동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신호의 유무에 따라 마이콤으로부터 발생하는 수평동기신호와 동기발생회로에서 추출된 수평동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전자뷰우파인더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에서 문자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이하 OSD라 칭함)를 구동하기 위한 종래 OSD 구동회로의 블록구성도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종래 OSD 구동회로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비디오 부(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비디오 신호(영상신호)가 없으면, 마이콤(12)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CS1)를 출력함과 동시에 동기 발생회로(3)의 구동여부를 컨트롤 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Cs)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신호(Cs)가 동기발생회로(3)에 입력되면 동기발생회로(3)는 복합동기신호(Csyn)를 생성하게 되며 이 복합동기신호(Csyn)를 이용하여 비디오부(11)에서 뮤트(mute) 화면을 구성하게 되며, 이 뮤트화면을 구성하는 모니터 출력신호(Ms)가 동기분리회로(14)에서 수평동기신호(Hsyn)와 수직동기신호(Vsyn)로 분리되어 OSD회로(15)를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비디오부(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 마이콤(12)은 동기발생회로(13)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 신호(Cs)를 출력하지 않으며, 비디오부(11)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출력신호(Ms)는 동기분리신호(14)로 입력되어 수평동기신호(Hsyn) 및 수직동기신호(Vsyn)로 분리되어 OSD 회로(5)를 구동시킴으로써 문자데이타(CDT)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데이타(CDT)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2)로부터 출력되는 OSD데이타(ODT)에 의존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 작용하는 종래 OSD 구동회로는 비디오 시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동기분리회로를 채택함으로써 이에따른 주변회로들을 부가적으로 구성해야 하므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한 주변회로인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회로의 피드백단이 노이즈에 약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데이타가 왜곡되거나 떨리게 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OSD 구동회로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동기분리회로를 채택하지 않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 및 동기발생회로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하고 전자뷰우파인더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추출함으로써 회로구성이 간단하여 이에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전류를 감소시키는 OSD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종래 OSD 회로에서 채택하는 동기 분리회로 대신에 수평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뷰우파인더와, 마이콤에서 제공하는 수직동기신호와 동기발생회로에서 발생하는 수직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스위칭 회로를 부가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동기분리회로를 별도로 채택하지 않고도 OSD 회로를 구동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비디오 신호가 있을 경우 복합동기신호(Csyn1)를 출력하며 OSD 회로(5)로부터 출력된 문자데이타(CDT)를 영상신호에 혼합하고, 비디오 시호가 없을시에는 동기발생회로(3)에서 발생된 수평 및 수직의 복합동기신호(Csyn2)를 입력으로 하여 뮤트화면을 출력하는 비디오부(1)와, 이 비디오부(1)에서 출력되는 복합동기신호(Csyn1)로부터 수직동기신호(Vsyn2)를 추출하고 시스템의 각 회로를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Cs, Cs1)를 제공하는 마이콤(2), 상기 마이콤(2)의 컨트롤신호(Cs)에 따라 뮤트기간동안 수평 및 수직의 복합동기신호(Csyn2)를 발생하는 동기발생회로(3), 상기 마이콤(2)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와 동기발생회로(3)의 일측단에서 추출되는 수직동기신호(Vsyn1)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수지동기신호(Vsyn3)를 제공하는 스위칭회로(6), 그리고 CRT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Hsyn)를 발생하는 전자뷰우파인더(7) 및 상기 마이콤(2)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OSD데이타(스트로브신호, 클럭신호등)에 따라 수직동기신호(Vsyn3) 및 수평동기신호(Hsyn)에 의해 동기된 문자데이타(CDT)신호를 출력하는 OSD회로(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제3도에 도시한 각부출력 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재생(playback)모드나 카메라모드와 같이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에 출력되는 신호에 비디오신호(영상신호)가 있으면, 상기 비디오부(1)는 복합동기신호(Csyn1)를 출력하게 된다. 이 복합동기신호(Csyn1)는 마이콤(2)에 유입되는 바, 마이콤(2)은 복합동기신호(Csyn1)는 마이콤(2)에 유입되는 바, 마이콤(2)은 복합동기신호(Csyn1)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판별하여 제3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형의 수직동기신호(Vsyn2)를 추출하며, 복합동기신호(Csyn1)가 유입되는 동안 즉, 비디오신호가 있는 구간(B)에는 컨트롤신호(Cs)를 제3도(a)에 도시한 파형도에서와 같이 예컨대 로우(low)상태로 출력한다.
이때 동기발생회로(3)는 비디오신호가 있는 구간(B)동안 하이(high) 상태의 수직동기신호(Vsyn1)을 출력한다. (제3도 (b) 참조)
또, 마이콤(2)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와 동기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1)를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한 스위칭회로(6)는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비디오신호가 있는 구간(B) 동안은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1)가 하이상태이므로 마이콤(2)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가 그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마이콤(2)으로부터 수직동기신호(Vsyn2)가 생성되는 동안 전자뷰우파인더(7)는 CRT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Hsyn)를 생성 출력한다. OSD회로(5)는 전자뷰우파인더(7)로부터 출력되는 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와 스위칭회로(6)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에 의해 구동되며 마이콤(2)에서 제공되는 스트로브신호, 클럭신호등의 OSD데이타(ODT)에 따라 문자데이타(CDT)를 출력하여 비디오부(1)에서 영상신호와 혼합처리한다.
한편, 비디오부(1)로 부터 복합동기신호(Csyn1)가 출력되지 않거나 재생모드의 초기, 파워절환모드, 기타모드절환등의 소정모드에서와 같이 모니터(도시되지 않음)에 출력되는 신호에 비디오 신호가 없는 화면뮤트구간(A)동안에 마이콤(2)은 하이(high) 상태의 컨트롤신호(Cs)를 출력한다. (제3도 (a) 참조)
마이콤(2)으로부터 제공된 컨트롤신호(Cs)에 따라 동기발생회로(3)는 비디오 신호가 없는 상기 화면뮤트 구간(A)동안 수평 및 수직동기로 이루어진 복합동기신호(Csyn2)를 생성한다. 동기발생회로(3)에서 생성된 복합동기신호(Csyn2)는 일측단을 통해 비디오부(1)로 입력되어 뮤트화면을 제공한다.
뮤트화면이 제공되는 상기 화면뮤트 구간(A)동안 마이콤(2)은 하이상태의 수평동기신호(Vsyn2)를 출력하며 (제3도(c) 참조), 동기발생회로(3)에서 생성된 동기신호중 수직동기신호(Vsyn1)는 타측단을 통해 스위칭 회로(6)로 입력된다. 스위칭회로(G)는 다이오드 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바, 마이콤(2)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Vsyn2)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동기 발생회로(3)에서 제공되는 수평동기신호(Vsyn1)가 스위칭회로(6)를 통해 그대로 출력된다. 스위칭회로(6)는 비디오부(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마이콤(2)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를 선택절환하고, 비디오신호가 없는 경우, 즉 화면 뮤트시에는 동기 발생회로(3)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1)를 선택절환함으로써 스위칭회로(6)는 제3도(d)와 같이 수직동기신호(Vsyn1)와 수직동기신호(Vsyn2)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수직동기신호(Vsyn3)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OSD동기가 불안해지는 경우가 없고 뮤트시에도 뮤트화면이 구동되므로 전자뷰우파인더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도 뮤트신호와 동기가 일치한다. 스위칭회로(6)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Vsyn3)와 전자뷰우파인더(7)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Hsyn)는 OSD회로(5)로 구동시켜 마이콤(2)으로 부터의 스트로브신호, 클럭신호등의 OSD데이타(ODT)에 따른 문자데이타(CDT)를 출력한다. 이 문제 데이타(CDT)는 동기발생회로(3)로부터 출력된 복합동기신호(Csyn2)에 의해 제공되는 뮤트화면과 비디오부(1)에서 혼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 동작되는 본 고안은 동기분리 회로를 채택하지 않고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마이콤에서 OSD회로를 구동하는 동기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동기분리회로 및 주변회로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신호에 비디오신호가 있을 경우 복합동기신호(Csyn1)을 출력하며 문자데이타를 영상신호에 혼합하고, 비디오신호가 없을시에는 뮤트화면을 출력하는 비디오부(1), 상기 복합동기신호(Csyn1)로 부터 수직동기신호(Vsyn2)를 추출하고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신호(Cs, Cs1)를 발생하는 마이콤(2), 상기 마이콤(2)으로부터 출력되는 컨트롤신호(Cs)에 따라 뮤트기간동안 일측단을 통해 복합동기신호(Csyn2)를 출력하며 타측단에는 수직동기신호(Vsyn1)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동기발생회로(3)의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1, Vsyn2)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연속적인 수직동기신호(Vsyns3)를 제공하는 스위칭회로(6), OSD회로(5)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Hsyn)를 출력하는 전자뷰우파인더(7), 상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 Vsyn3)에 의해 동기된 문자데이타를 마이콤(2)에서 제공되는 OSD데이타에 따라 출력하는 온스트린 디스플레이(OSD)회로 (5)로 구성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2)은 복합동기신호(Csyn1)가 입력되지 않거나 소정모드의 구간에는 수직동기신호(Vsyn2)를 하이상태로 출력하며, 동기발생회로(3)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신호(Cs)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6)는 화면뮤트시에는 동기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1)을 선택절환하고, 비디오 신호가 있을 때에는 마이콤(2)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2)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2)은 재생모드의 초기, 파워절환모드, 모드절환등의 소정모드 구간동안 수직동기신호(Vsyn2)를 하이 상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2019930030367U 1993-12-29 1993-12-29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0128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67U KR0128090Y1 (ko) 1993-12-29 1993-12-29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367U KR0128090Y1 (ko) 1993-12-29 1993-12-29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55U KR950022055U (ko) 1995-07-28
KR0128090Y1 true KR0128090Y1 (ko) 1998-11-16

Family

ID=1937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367U KR0128090Y1 (ko) 1993-12-29 1993-12-29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55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3722A (ko) 멀티주사형 텔레비젼 수상기
JP3289892B2 (ja) 信号切換出力装置
KR0128090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0114257Y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처리회로
JPH066708A (ja) 画面表示装置
KR19980072398A (ko) 기록재생기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0128091Y1 (ko) 브이티알의 다기능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동기 안정화 회로
KR950005513Y1 (ko) 온스크린 표시(osd) 제어장치
KR0124385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위치보상장치
JP3137994B2 (ja) 映像切換装置
JPH0686315A (ja) 文字表示装置
KR100213872B1 (ko) 정보 pip 화면의 표시위치 가변 장치
KR100205372B1 (ko) 온 스크린 표시장치
KR950001572B1 (ko) 텔레텍스트 화면 떨림 조정 장치
KR0154013B1 (ko) 비디오신호의 뮤트회로
KR100197381B1 (ko) 피디피 티브이에서의 채널전환시 영상신호 뮤트장치
KR960008271Y1 (ko) 2화면 텔레비젼의 자화면 안정화 회로
KR0118445Y1 (ko) 백 칼라 뮤트장치
KR920008258Y1 (ko) 외부신호 무입력시 카메라신호 자동절환회로
KR100349877B1 (ko) 외부입력신호의 영상재생 가능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재생장치
KR0123651Y1 (ko) 문자 표시용 발진기의 동작 제어회로
KR910003459Y1 (ko) 문자 혼합회로
KR960012011B1 (ko) 텔레비젼의 부화면 온-스크린 스위칭 회로
KR100200595B1 (ko) 서보계와 온스크린 표시계의 회로를 내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KR960042655A (ko) 멀티형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기준주파수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