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520B1 -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520B1
KR100270520B1 KR1019950048367A KR19950048367A KR100270520B1 KR 100270520 B1 KR100270520 B1 KR 100270520B1 KR 1019950048367 A KR1019950048367 A KR 1019950048367A KR 19950048367 A KR19950048367 A KR 19950048367A KR 100270520 B1 KR100270520 B1 KR 10027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ressure fluid
turning
vehic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966A (ko
Inventor
이춘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520B1/ko
Publication of KR97004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9/00Radius rods, i.e. distanc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62D6/003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in order to control vehicle yaw movement, i.e.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공기 스프링을 채용한 차량에서 전후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래디어스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 선회시 휠 베이스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향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압력 유체의 유출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는 동력 조향 유닛의 밸브수단과, 상기한 밸브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압력 유체를 공급받아 조타력을 보조하는 동력 실린더와, 상기한 동력 실린더의 좌우측 챔버와 각각 유압 관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일측이 차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차체에 연결되는 래디어스 로드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 스티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차축식 현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 스프링을 적용한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래디어스 로드의 길이를 조향에 따라 가변시켜 선회 안정성을 도모한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 현가장치를 채용한 차량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자세를 안전화시키는 것으로서, 공기 스프링, 레벨링 밸브, 공기 탱크 및 압축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현가장치는 전후 좌우방향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이 다른 현가장치에 비하여 약하기 때문에 차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래디어스 로드를 설치하고 있으며, 차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래트럴 로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래트럴 로드는 차량의 좌우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래디어스 로드는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래디어스 로드는 단순한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이 선회시 선회 외측의 휠 베이스가 가변되지 않아 선회시 저항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축(2)의 전후에 래디어스 로드(4)가 다수개 연결되어 차체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 래디어스 로드의 부동한 길이가 선회시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시 래디어스 로드의 길이를 가변시켜 선회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조향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압력 유체의 유출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는 동력 조향 유닛의 밸브수단과, 상기한 밸브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압력 유체를 공급받아 조타력을 보조하는 동력 실린더와, 상기한 동력 실린더의 좌우측 챔버와 각각 유압 관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되며 일측이 차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차체에 연결되는 래디어스 로드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래디어스 로드는, 차체측에 연결되며 압력 유체를 공급받는 실린더와, 일측이 차축에 연결되며 상기한 실린더 내측에 위치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피스톤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한 래디어스 로드들은 선회 외측의 래디어스 로드가 선회 내측의 래디어스 로드에 비하여 길게 가변되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 스티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는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 오일압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력 조향장치와 래디어스 로드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조향장치의 동력 조향 유닛 밸브수단(10)과 래디어스 로드(12)(14)를 유압 관로(16)(18)로 각각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한 동력 조향 유닛의 밸브수단(10)은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타입의 것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 밸브수단은 조향축과 연결되는 토션바가 삽입되는 구멍이 뚫려진 스터브 축(20)과, 이 스터브 축의 외측에 위치하는 밸브 스풀(22)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 스풀(22)은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밸브 하우징에 둘러싸여 오일 펌프로부터 가압되는 압력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입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조향에 보조적 역할을 마친 압력 유체가 리저버 탱크로 귀환할 수 있는 출구를 갖춘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밸브수단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밸브 스풀(22)과 스터브 축(20)에는 압력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여러개 뚫려져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동력 실린더(24)의 피스톤 좌우로 압력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의 밸브수단(10)으로부터 압력 유체를 래디어스 로드(12)(14)에 공급하여 이 로드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한 동력 실린더(24)의 좌측 챔버와 유압 관로(16)를 연결하고, 우측 챔버와 또 다른 유압 관로(18)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압 관로로부터 압력 유체를 공급받는 래디어스 로드(12)(14)는 차차에 일측단이 고정되며 압력 유체가 유입되는 실린더(26)와, 이 실린더(26) 내부에 탄성부재(28)로 탄발 설치되며 일측단이 차축(30)에 고정되는 피스톤(3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래디어스 로드는 2개의 구조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동력 실린더(24)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롤 스티어 시스템은, 조향 휠을 돌리게 되면 조향축과 연결되는 조향륜이 노면의 조항을 받게 되는데, 이때 토션바가 비틀림 되면서 상기한 스터브 축(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동력 조향장치의 기본적인 작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밸브수단(10)으로부터 압력 유체가 동력 실린더(24)의 좌우측 챔버중 어느 하나의 챔버로 공급되는데, 이때 도면에서 우측 챔버로 압력 유체가 공급되면 동력 실린더의 피스톤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좌측 챔버의 유체를 압축하게 되므로 이때 귀환하는 입부의 압력 유체가 래디어스 로드(12)의 실린더(26)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피스톤(32)에는 압력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한 실린더(26)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향이 이루어지면서 차량이 선회시 피스톤(32)은 차축(30)을 밀게 되므로 휠 베이스가 가변된다.
이것은 결국 선회 외측의 휠을 선회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결과가 되므로 셀프 조향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회 외주측의 래디어스 로드를 더욱 길게 가변시켜 선회시 선회를 용이하게 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된 길이를 갖는 래디어스 로드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

  1. 조향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압력 유체의 유출 방향을 바꾸어 공급하는 동력 조향 유닛의 밸브수단과, 상기한 밸브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압력 유체를 공급받아 조타력을 보조하는 동력 실린더와, 상기한 동력 실린더의 좌우측 챔버와 각각 유압 관로를 통하여 연결되어 압력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차체측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차축에 로드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이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 래디어스 로드들을 포함하는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래디어스 로드들은 선회 외측의 래디어스 로드가 선회 내측의 래디어스 로드에 비하여 길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롤스티어 시스템.
KR1019950048367A 1995-12-11 1995-12-11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KR10027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67A KR100270520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67A KR100270520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66A KR970040966A (ko) 1997-07-24
KR100270520B1 true KR100270520B1 (ko) 2000-11-01

Family

ID=1943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367A KR100270520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66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9363B2 (ja) 車体屈折式車両の操舵装置及び制御装置
RU2000109588A (ru) Средство передвижения с изменяемым углом наклона
DE69921249D1 (de) Fahrzeugaufhängungssystem
US20060225945A1 (en) Steering apparatus with plural motors
KR100270520B1 (ko) 차량의 롤 스티어 시스템
JP2008074383A (ja) 流体圧制御回路
KR0135019B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파워스티어링장치
GB2056385A (en) Power steering systems
KR100450433B1 (ko) 파워스티어링장치
JPH0529584B2 (ko)
KR100261340B1 (ko) 회전식 감속 유압 밸브
US2965388A (en) Fluid pressure operated tilting device for automobiles
US4846296A (en) Hydraulic fluid pressure control system for use with power assist steering
JP2894574B2 (ja) 車両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US6736047B2 (en) Power steering device
KR100192357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PL173680B1 (pl) Hydrauliczny mechanizm kierowniczy
JP2002347636A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
JPH0755129Y2 (ja) 車輌用スタビライザ装置
KR100273162B1 (ko) 동력조향장치의 흡입호스용 역류방지장치
KR19990040230A (ko) 동력조향장치의 맥동소음 저감장치
JPH04103469A (ja) 四輪操舵装置
KR960007350A (ko) 일체형 현가장치를 갖는 차량의 후륜 조향장치
KR101171420B1 (ko) 피니언 밸브 바디와 이를 구비한 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KR200162678Y1 (ko) 자동차 전륜제동액압 차동제어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