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165B1 -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165B1
KR100270165B1 KR1019980010183A KR19980010183A KR100270165B1 KR 100270165 B1 KR100270165 B1 KR 100270165B1 KR 1019980010183 A KR1019980010183 A KR 1019980010183A KR 19980010183 A KR19980010183 A KR 19980010183A KR 100270165 B1 KR100270165 B1 KR 10027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r
fir filter
paralle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781A (ko
Inventor
서영우
양경석
목하균
황해섭
구자득
Original Assignee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박권상
Priority to KR101998001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1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 H03H17/0621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 H03H17/0628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being derived from two separate clocks, i.e. 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23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03H17/0227Measures concerning the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23Computation saving measures; Accelerating measures
    • H03H17/0238Measures concerning the arithmetic used
    • H03H17/0241Distributed arithmeti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 H03H17/0621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 H03H17/063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 H03H17/065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 H03H17/0657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characterized by the ratio between the input-sampling and output-delivery frequencies the ratio being integer where the output-delivery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input sampling frequency, i.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2017/0072Theoretical filter design
    • H03H2017/0081Theoretical filter design of FIR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필터 시스템을, 입력 심벌에 제로 심벌을 삽입하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처리와 FIR 필터 처리를 하기 위하여 디지털 FIR 필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전체 필터 계수를 각 필터에 적절히 나누어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병렬 FIR 필터군(31)과; 상기 각 FIR 필터들에 대한 계수값을 입력시키기 위한 계수 메모리(32)와; 상기 계수 메모리와 FIR 필터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어부(33)와; 상기 FIR 필터군내의 각 FIR 필터들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출력으로 다중화하는 다중화(multiplexer) 출력부(34)로 구성함으로써, 입력 심벌 사이에 제로 심벌을 삽입하여 심벌율을 높이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과 필터 탭(tap) 수의 확장 및 FIR 필터의 문제점인 연산처리 처리의 효율을 높인 고성능의 FIR 필터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범용 병렬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FIR 필터를 병렬로 결합하여 입력 데이터의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효과와 함께 샘플링 주파수의 향상 및 필터 탭(tap) 수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필터라 함은 신호의 파형 모양이나 주파수의 크기 및 위상 특성을 원하는 형태로 바꾸어주는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주로 통신 채널 상에서 신호로부터 어떤 특정 정보를 뽑아 내거나 둘 이상의 신호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지털 필터는 이러한 필터 특성을 얻기 위해 디지털 입력신호로부터 디지털 출력신호를 만들어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수학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크게 FIR필터와 IIR필터로 구분할 수 있다.
FIR 필터 시스템은 선형 위상 특성과 그 구현의 용이함으로 디지털 통신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sharp cut-off 특성을 위해서는 IIR 필터보다 많은 필터 탭이 있어야 하므로 구현 시 더 많은 처리시간과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다음 식은 일반적인 FIR 필터의 입출력 방정식으로써, 여기서 x[n]은 입력, h[n]은 필터의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 y[n]은 출력을 나타낸다.
물론 이러한 FIR 필터의 순차적인 처리 시간 지연에 의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병렬 구조를 채용한 FIR 필터도 많이 제안이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하나의 FIR 필터의 탭을 여러 블록으로 분할한 후 한꺼번에 더하는 단일한 구조의 FIR 필터이며 여기서 제안하는 필터는 FIR 필터들을 병렬로 결합한 병렬 구조의 FIR 필터라는데 차이점이 있다.
인터폴레이션은 일반적으로 D/A(Digital to Analog)변환기에서 디지털 샘플링된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신호를 복원해 내는 과정을 의미하지만 디지털 인터폴레이션이란 입력 심벌 사이에 원하는 증가율 만큼의 zero심벌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심벌율(symbol rate)이 인터폴레이션 팩터(interpolation factor) 만큼 증가되며 이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처리 가능한 영역이 확대됨을 의미한다.
이렇게 확장된 주파수 스펙트럼은 원하는 대역의 필터 처리를 용이하게 하여 주며 또한 다음 단에서 D/A(Digital to Analog)변환기를 사용할 시 샘플-홀드(sample and hold)에 의해 발생하는 상위주파수 영역의 감쇠(aperture effect)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FIR 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및 필터링하여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바꾸는 경우 종래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시스템을 구성한다.
즉, 디지털 입력 심벌(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제로 심벌 삽입부 또는 인터폴레이션부(2)에서 제로 심벌을 삽입하고(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이를 213 텝(h[0]-h[213])과 수 개의 지연기(Z-1), 곱셈기 및 가산기로 이루어진 FIR 필터부(3)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물론, FIR 필터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병렬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자체적인 처리시간의 단축 등 효율성의 증대는 기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다양한 구성 방법이 가능하나, 어느 경우든지 결과적으로 FIR 필터는 인터폴레이션에 의해 증가된 클럭 주파수가 동작속도이어야 하며 좋은 필터 특성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탭(tap) 수와 연산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필터 시스템의 경우 내부적인 연산에 의한 처리 속도의 지연으로 필터 차수의 증대에 한계가 있다.
즉 현실적으로 고속의 처리 능력을 갖는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비용 문제와 처리속도 등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인터폴레이션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음 단에 D/A변환기가 연결되어있을 경우 애퍼튜어 효과(aperture effect)에 의한 상측 대역 신호 감쇠로 인하여 어느 정도 왜곡된 주파수 응답을 감수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이나 전자 기기 등 아날로그로의 신호 변환을 해야 하는 많은 시스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입력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임의 팩터(factor)의 디지털 인터폴레이션을 하며, 데이터 연산 처리의 병렬화로 신호 처리 효율을 높여서 고속의 샘플링 주파수를 구현할 수 있고, 또 다음 단에 D/A변환기 연결시 필연적인 상측 주파수 대역의 신호 감쇠를 극소화하는 등, 경제적이고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포함된 FIR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단일 FIR 필터 솔루션의 성능을 병렬 구조를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데이터에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처리를 하여 높은 샘플율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또 FIR 필터모듈의 병렬 결합을 통해 디지털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탭 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입력 심벌과 FIR 필터 모듈로 이루어진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FIR 필터 모듈은, k개의 FIR필터를 병렬처리하는 경우, 각 필터의 탭이 제 1필터는 h[0], h[k], h[2k], ... , 제 2필터는 h[1], h[k+1], h[2k+1], ... , 이와 같이해서 제 k 필터는 h[k-1], h[2k-1], ... 으로 할당되어 병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고 입력 디지털 신호의 심벌율(symbol rate)을 k배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하는 제 1 내지 제 k FIR 필터를 병렬 연결시킨 구성으로 된 FIR 필터군과; 상기 각 FIR 필터들에 대한 계수(coefficient)값을 입력시켜 주는 계수 메모리와; 상기 계수 메모리와 FIR 필터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어부와; 상기 FIR 필터군내의 각 FIR 필터들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토록 하는 다중화 출력부(MUX; multiplexer)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필터 회로 동작처리를 안정된 각 시스템의 분산화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종래의 FIR 필터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한 213탭(tap)의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의 FIR 필터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개념을 k개의 필터 모듈로 일반화시킨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의 FIR필터 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개념을 하드웨어로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털 입력 심벌 3 : FIR 필터 모듈
31 : FIR 필터군 32 : 계수 메모리
33 : 제어부 34 : 다중화 출력부(multiplexer)
311-31k : 제 1 내지 제 k FIR 필터
도 2 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한 213탭의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의 FIR 필터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개념을 k개의 필터 모듈로 일반화시킨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의 FIR필터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개념을 하드웨어로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디지털 입력 심벌(1)과 FIR 필터 모듈(3)로 이루어진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FIR 필터 모듈(3)은, k개의 FIR필터를 병렬처리하는 경우, 각 필터의 탭이 제 1필터는 h[0], h[k], h[2k], ... , 제 2필터는 h[1], h[k+1], h[2k+1], ... , 이와 같이해서 제 k 필터는 h[k-1], h[2k-1], ... 으로 할당되어 병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고 입력 디지털 신호의 심벌율을 k 팩터 만큼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하는 제 1 내지 제 k FIR 필터(311-31k)를 병렬 연결시킨 구성으로 된 FIR 필터군(31)과;
상기 각 FIR 필터(311-31k)들에 대한 계수(coefficient)값을 입력시켜 주는 계수 메모리(32)와;
상기 계수 메모리(32)와 FIR 필터군(31)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어부(33)와;
상기 FIR 필터군(31)내의 각 FIR 필터(311-31k)들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토록 하는 다중화 출력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구현시 주의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전체 필터의 탭 수는 FIR 필터 유형과 관계가 있으므로 적절히 선택이 되어야 한다.
병렬로 구성할 디지털 필터 모듈의 수는 사용하는 소자들의 입출력 범위(입출력 포트의 수, 전류 및 전압 허용 용량, 동작 주파수 등)에서,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팩터를 미리 고려하여 선택이 되어야 한다(출력부분은 인터폴레이션된 만큼 동작 주파수를 지원해야 한다.).
본 발명은 FIR 필터 구현 시 필연적인 많은 연산처리에 따르는 하드웨어의 제약으로 탭 수를 많이 설정할 수 없던 기존의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해답을 제공하여 준다.
이는 필터를 병렬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높은 차수의 필터 구현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 과정에서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효과가 나타난다. 즉 1 의 성능을 가지는 필터를 n 개 병렬 결합함으로써 n의 성능을 갖는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기존의 FIR필터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디지털 입력 심벌(1)에 대해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처리를 하는 인터폴레이션부(제로 심벌 삽입부)(2) 및 FIR 필터부(3)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그림에서 z로 표시된 부분은 지연소자(delay)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탭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h[.]으로 표시된 부분은 계수를 의미한다. 즉 입력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한 클락 씩 지연되면서 계수가 곱해지고 계속 그 결과가 더해진다.
이렇게 해서 마지막 단을 통과하게 되면 하나의 출력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기본적인 FIR 필터 시스템이다.
비록 여기선 선형적으로 도시하기는 했지만 계수 메모리와 탭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구현 방법이 있다.
도 2는 기존 시스템(도 1)과 비교되는 본 발명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세 개의 필터 모듈을 결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예시 시스템은 71탭의 FIR 필터 세 개가 결합되어 하나의 FIR 필터군(31)을 이루는 것으로 각 출력은 다음과 같다.
위의 시스템을 예로 기본 원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필터는 다음과 같이 계수를 갖고 있다.
즉 h[0], h[1], ... , h[212]의 213 탭의 필터를 구현하기 위해 각 필터는 h[0], h[3], h[6] ... h[210]의 계수를 갖는 제 1 필터(311)와, h[1], h[4], h[7], ... , h[211]의 계수를 갖는 제 2 필터(312), h[2], h[5], h[8], ... , h[212]의 계수를 갖는 제 3 필터(313)와 같이 하나의 FIR 필터군(31)내에 들어있는 세 필터의 계수가 할당되어있다.
입력 신호 x[n]에 대하여 각 필터는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는데, 여기서 입력 신호의 데이터 율이 10MHz 라고 하면 각 필터의 동작 주파수 역시 10MHz 이다.
따라서 필터의 출력은 위의 수식과 같이 표현되며, 입력 데이터 율의 세 배의 동작속도를 갖는 다중화 출력부(34)를 통하여 각 결과를 차례차례 출력시키면 y1[0] , y2[0] , y3[0] , y1[1] , y2[1] , y3[1] , y1[2] , ... 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이때 결과 데이터는 30MHz의 데이터율을 갖게 된다(팩터 3의 인터폴레이션 결과). 이를 풀어서 쓰면 다음과 같다. (윗줄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하나 출력을 의미하며 이해를 위해 h[0]*x[n] + h[3]*x[n-1] ... 과 같은 식을 h[0]*x[n] + h[1]*0 + h[2]*0 + h[3]*x[n-1] + h[4]*0 + h[5]*0 ... 와 같이 제로(zero)항을 포함하여 표현했다. '*' 는 곱하기를 의미한다).
(제 1 필터(311))
h[0]*x[n] + h[1]*0 + h[2]*0 + h[3]*x[n-1] + h[4]*0 + h[5]*0 + h[6]*x[n-2] ...
(제 2 필터(312))
h[0]*0 + h[1]*x[n] + h[2]*0 + h[3]*0 + h[4]*x[n-1] + h[5]*0 + h[6]*0 + ...
(제 3 필터(313))
h[0]*0 + h[1]*0 + h[2]*x[n] + h[3]*0 + h[4]*0 + h[5]*x[n-1] + h[6]*0 + ...
(제 1 필터)
h[0]*x[n+1]+ h[1]*0 + h[2]*0 + h[3]*x[n] + h[4]*0 + h[5]*0 + h[6]*x[n-1] ...
(제 2 필터)
h[0]*0 + h[1]*x[n+1]+ h[2]*0 + h[3]*0 + h[4]*x[n] + h[5]*0 + h[6]*0 ...
...
즉, 최종 결과는 단지 각 필터의 출력결과를 차례차례 내 보내는 것만으로 얻어지며, 위에서 보듯이 전체 213 탭의 FIR 필터가 제로(zero) 심벌이 두 개씩 삽입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 열을 필터처리 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각 필터의 계수를 위와 같이 할당한 후, 병렬로 동시에 필터처리를 하고 다중화를 거치게 되면 디지털 인터폴레이션이 된 하나의 FIR 필터를 통과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기존에 구현되어있는 필터를 병렬로 결합하고 계수를 위와 같이 적절히 나누어 지정함으로써 필터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새로운 필터 구현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원하는 사양의 필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이를 k개의 필터로 확장한 구성도 이다.
1개의 필터가 i 개의 탭(tap)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k*i 개의 필터 탭 수를 갖는 FIR 필터가 구현된 것이다.
도 4는 하드웨어로 구현하기 위한 블록도로써, 전체는 4개의 부분으로 되어있는데 k개의 FIR 필터(311-31k)가 병렬로 구성된 FIR 필터군(31)과, 계수의 입력을 위한 계수 메모리(32)와, 필터 계수 입력과 각 필터의 제어를 위한 필터 제어부(33) 및 필터의 출력을 하나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 출력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각 블록은 구현을 위한 개념도로서 실제 하드웨어 제작시에는 어느정도 변경될 수 있다.
각 필터의 샘플링 주파수는 최소한 입력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어부(33) 및 다중화 출력부(34)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후 다중화하기 위해 인터폴레이션 팩터 만큼 증가된 데이터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 필터 모듈 즉, FIR 필터군(31)은 인터폴레이션 팩터 만큼 병렬로 조합이 된다.
FIR 필터 특성상 전체 탭 수가 홀수 짝수 여부 등에 따라 필터의 특성이 달라지므로 원하는 탭 수에 맞는 필터 모듈을 구성하여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필터 모듈의 탭 수는 동일하다.
계수 메모리(32) 모듈은 각 필터의 계수를 담고 있는데, 이를 ROM과 같은 읽기 전용 메모리를 사용하면 각 FIR 필터의 계수는 고정이 되며, RAM과 기타 프로세서를 추가하여 입력에 따라 계수를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는 적응 FIR 필터(adaptive FIR filter)로 불리기도 한다.
제어부(33)는 각 필터의 계수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해서 순차적으로 필터를 구동시키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중화를 위한 제어 신호도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다중화 출력부(34)는 각 필터 모듈로부터의 입력을 받아서 차례차례 순차적으로 다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FIR 필터군(31)내의 제 1 필터(311) 부터 제 k 필터(31k)까지의 출력을 각 타이밍에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내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다중화 출력부(34)에 제공되는 클락 주파수는 필터의 동작 주파수 보다 인터폴레이션 팩터 만큼 배가된 주파수이다.
이러한 개념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려면, 우선 필터 모듈, 컨트롤러 모듈 및 출력 다중화 모듈등 각 모듈별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는 모두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거나(예 -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아니면 구현된 기존 필터 모듈을 병렬로 사용하고 이를 제어하고 다중화시키고 출력하는 제어기를 따로 구성 할 수 있고(기존 디지털 필터의 병렬 구성 및 제어기 구성)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DSP칩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마이크로 프로세서기반 시스템으로 필터 연산 자체도 구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FIR 필터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구현으로 처리 가능한 기본대역 주파수 스펙트럼의 범위가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음 단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꿀 경우 생기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상측 대역 감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 모듈을 병렬로 결합함으로써 낮은 샘플율의 디지털 필터 모듈을 이용하여 높은 샘플율의 신호처리를 가능하게 하였고, 탭 수가 많은 고차의 디지털 필터의 구현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디지털 입력 심벌(1)과; 입력 심벌에 대하여 디지털 인터폴레이션을 하며 FIR 필터 처리를 병렬로 하는 FIR 필터 모듈(3)로 구성된 병렬 FIR 필터 처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FIR 필터 모듈(3)을, k개의 FIR필터가 병렬로 결합되고, 개별 필터의 탭 수가 i일 경우, 전체 k*i 탭(h[0], h[1], ... , h[k*i-1])에 대한 각 필터의 계수의 배치가 제 1 필터는 h[0], h[k], h[2k], ... , h[(i-1)*k], 제 2 필터는 h[1], h[k+1], h[2k+1], ... , h[(i-1)*k+1],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k 필터는 h[k-1], h[k+(k-1)], ... , h[(i-1)*k+(k-1)]와 같으며, 심벌율(symbol rate)을 k배 증가시키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이 입력 심벌에 대해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k FIR 필터(311-31k)를 병렬 연결시킨 구성으로 된 FIR 필터군(31)과;
    상기 각 FIR 필터(311-31k)들에 대한 계수값을 입력시켜 주는 계수 메모리(32)와;
    상기 계수 메모리(32)와 FIR 필터군(31)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만들어 내는 제어부(33)와;
    상기 FIR 필터군(31)내의 각 FIR 필터(311-31k)들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토록 하는 다중화 출력부(3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심벌에 대한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KR1019980010183A 1998-03-24 1998-03-24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KR10027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183A KR100270165B1 (ko) 1998-03-24 1998-03-24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183A KR100270165B1 (ko) 1998-03-24 1998-03-24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781A KR19990075781A (ko) 1999-10-15
KR100270165B1 true KR100270165B1 (ko) 2000-10-16

Family

ID=1953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183A KR100270165B1 (ko) 1998-03-24 1998-03-24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86A (ko) * 2013-05-14 2014-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할당 알고리즘 기반의 인터폴레이션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78B1 (ko) * 2001-12-18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한 임펄스 응답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86A (ko) * 2013-05-14 2014-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할당 알고리즘 기반의 인터폴레이션 필터
US9509283B2 (en) 2013-05-14 2016-11-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polation filter based on time assignment algorith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781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0026A (en) Interpolator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word rate of a digital signal of the type employed in digital telephone systems
US4777612A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igital filter
US6889238B2 (en) Parallel decimator adaptive filter and method for all-rate gigabit-per-second modems
US20020049798A1 (en) Adder-saving implementation of digital interpolation/decimation fir filter
KR0129767B1 (ko) 샘플링레이트 변환장치
US4649507A (en) Segmented transversal filter
US5831879A (en) Digital transmit filter
JPH09135149A (ja) 広帯域デジタルろ波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使用したフィルタ
US5440503A (en) Digital filtering circuit operable as a three-stage moving average filter
JP2779617B2 (ja) 有限インパルス応答フィルタ
US20020062328A1 (en) Digital filter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U724637B2 (en) Decimation method and decimation filter
US4192008A (en) Wave digital filter with multiplexed arithmetic hardware
KR100270165B1 (ko) 디지털 인터폴레이션 기능이 있는 병렬 fir 필터 시스템
US6829629B1 (en) Comb filter system for decimating a sequence of digital input values to a sequence of digital output values by a non-integer factor
JPS6251821A (ja) デジタルフイルタ
CN112865747B (zh) 数字滤波器、数字信号处理链路和无线通信系统
JPH05327409A (ja) レート変換方法及びその変換回路
JPH0834407B2 (ja) 入力加重形トランスバーサルフィルタ
JP2558846B2 (ja) デジタルフィルタバンク
KR20030010143A (ko) 고속 클럭 활용을 위한 에프아이알 필터의 곱셈 장치 및그 방법
KR100267251B1 (ko) 유한임펄스응답필터소형화장치및방법
KR100696333B1 (ko) 디지털 라디오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인터폴레이션 레이트를 지원하는 안티이미징 필터
KR20070098599A (ko) 필터 장치
JP3258938B2 (ja) デシメーショ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