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100B1 -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 Google Patents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100B1
KR100270100B1 KR1019960070102A KR19960070102A KR100270100B1 KR 100270100 B1 KR100270100 B1 KR 100270100B1 KR 1019960070102 A KR1019960070102 A KR 1019960070102A KR 19960070102 A KR19960070102 A KR 19960070102A KR 100270100 B1 KR100270100 B1 KR 10027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dsorption
pressure
activated carbon
flu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228A (ko
Inventor
이종규
김제영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6007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10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변동흡착법에서 활성탄소섬유를 흡착제로 사용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일컬럼에 흡착제로 활성탄소섬유를 0.5-0.7충진밀도로 충진하는 단계; 흡착탑 입구에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도입하고 5-6atm의 흡착 압력으로 80-120초에 걸쳐 숭압하는 단계; 5-6atm의 흡착압력을 유지하고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2000-4000cc/분으로 계속하여 공급하면서 300-360초 동안 활성탄소섬유 표면에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착되도록 흡착처리하는 단계;및 상압으로 감압하고 60-100초에 걸쳐 활성탄소섬유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탈착되도록 탈착처리하여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압력변동흡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함으로써,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흡착·분리할수 있다.

Description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본 발명은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변동흡착법(Pressure Swing Adsorption:PSA)에서 활성탄소섬유를 흡착제로 사용하여 이산화활탄소를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착기체분리공정은 특정한 기체를 흡착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 화학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위 설비이다. 그 중 특히 입력변동흡착법에 의한 공정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기체혼합물중 특정한 성분만을 흡착과 탈착과정을 거쳐 분리하는 화학공정이다.
따라서 분리하려는 성분이 용이하게 흡착 및 탈착되는 흡착제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와 활성탄, 분자체탄소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흡착제는 물질전달저항과 열전달저항으로 인하여 특정성분의 기체만이 흡착제에 흡착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고순도의 기체만을 회수하기에는 적절하지않는 것이다.
또한 제올라이트 흡착제가 수분을 함유하는 기체와 접촉하게 되면 흡착제의 흡착성능은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제올라이트 흡착탑의 전단에 수분을 제거하기위한 전처리장치가 필요하며 따라서 장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활성탄은 물질전달 저항과 열전달저항을 극소화하기 위하여 입자크기를 작게 제조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수반한다.
한편, 현재 PSA공정에 역시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분자체탄소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산소와 질소분리, 배가스중 수소분리, 배가 수중 이산화탄소분리등 특정성분의 기체분리에 응용하고 있다.
US특허 제 4,790,859은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를 분리함에 있어서 탄소질 물질인 분자체탄소(Carbon Molecular Sieve: CMS)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한 CMS을 이용한 질소와 산소의 분리성능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 개시하고 있는 CMS는 CMS입자에서 질소와 산소의 분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물질전달저항을 극소화하여야 하며 중합체(폴리비닐 알코올, 멜라민수지, 페놀수지)를 원료로하여 제조한다.
이와같이 PAS 공정은 물리적인 흡착현상을 이용한 흡착분리공정이므로 물질전달은 자연적인 흐름에 의하여 일어나야만 하므로 특정한 성분의 출발원료를 사용하여 흡착제를 개발하고 있다.
JP 특허 제 2283608은 PSA 공정을 이용하여 CO 및 CO2을 함유한 혼합기체로부터 CO를 회수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흡착제로는 전처리 흡착제로서 활성알루미나,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CO2를 제거하고 염화 제 1구리나 사염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활성탄을 사용하여 CO흡착하고 탈착시키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는 전처리공정을 필요로함으로 장치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설비비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JP 특허 제 1234313에서는 PSA공정의 흡착제로 활성탄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와 질소의 혼합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분리하고 있다. 이 공정사이클은 승압·흡착공정을 일단계로하고 세정공정과 탈착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SA 공정중 1 사이클의 단위공정으로 배가스중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흡착·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SA공정에서 최적의 공정조건을 설정하고 활성탄소 섬유를 흡착제로 사용하여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흡착·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298K에서 P/Po에 따른 CO2와 N2의 흡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있어서, 단일컬럼에 흡착제로 활성탄소섬유를 0.5-0.7충진밀도로 충진하는 단계; 흡착탑 입구에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도입하고 5-6atm의 흡착 압력으로 80-120초에 걸쳐 승압하는 단계; 5-6atm의 흡착압력을 유지하고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2000-4000cc/분으로 계속하여 공급하면서 300-360초 동안 활성탄소섬유 표면에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착되도록 흡착처리하는 단계;및 상압으로 감압하고 60-100초에 걸쳐 활성탄소섬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탈착되도록 탈착처리하려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압력변동흡착법을 이용한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흡착·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SA 공정에서 흡착제로 활성탄섬유를 사용하여 혼합가스중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PSA공정은 분리하고자 하는 기체의 유입압력을 변화시켜 특정기체만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공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에서의 흡착과 저압력에서의 탈착단계를 포함하는 주기적인 공정으로 핵심적인 흡착단계 및 탈착단계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단위조작이다. PSA공정에 종래 흡착제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질전달저항과 유효확산저항이 커서 기체의 흡착시간이 길고, 충진탑내에서 유입압력 (Pi)과 유출압력(Po)의 차, 즉 압력강하(△P=Po-Pi)가 문제시 되어 왔다. 그러나 활성탄소섬유는 활성탄에 비하여 마아이크로기공이 발달된 흡착제로서 기체 흡착에 유리하고 활성탄소 단섬유의 직경이 수 ㎛로서 활성탄소섬유 표면에서의 기체에 대한 물질전달저항과 유효확산저항이 작아 흡착제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PSA공정에서는, 단일컬럼에 흡착제로서 활성탄소섬유를 0.5-0.7충진밀도로 충진한다. 종래 흡착제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탄은 이산화탄소의 확산에 대한 물질전달저항이 커서 칼럼에 최대한 많은 양을 충진시켜 기체를 흡착하여야 하지만 활성탄소섬유은 섬유한개의 지름이 수㎛로서 이산화탄소가 이상적으로 확산되어 흡착제에 충분한 흡착된다. 또한 같은 충진밀도하에서 활성탄에 비하여 활성탄소섬유의 흡착량이 우수하므로 0.5-0.7충진밀도로 활성탄소섬유를 충진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총분히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탄소섬유를 충진한후, 처리하고자 하는 배가스를 흡착탑의 유입구에 도입하고 흡착탄의 압력을 80-120초에 걸쳐 5-6atm로 승압한후, 5-6atm의 흡착압력을 유지하고 처리하고자하는 배가스를 계속 공급하면서 300-360초간 흡착처리한다. 이때 기체 혼합물중 이산화탄소만이 활성탄소섬유에 흡착되고 흡착되지 않는 다른 성분의 기체는 배출된다. 통상 배가스 중에는 이산화탄소가 20%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배가스를 2000-4000cc/분의 유량으로 공급한다.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량이 2000cc/분 이하인 경우에는 칼럼내에 혼합기체를 승압하는데 장시간이 요구되며, 유량이 4000cc/분 이상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활성탄소섬유에 흡착되어 확산되기전에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므로 회수량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배가스의 유량이 2000-4000cc/분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칼럼내의 활성탄소섬유 표면에서 빨리 확산되어 모든 활성탄소섬유내로 확산되어 활성탄소섬유에 총분히 흡착된다.
또한 흡착시, 흡착압력이 5atm이하인 경우에는 이산화탄소 활성탄소섬유 표면에서 충분히 확산되지 않아 활성탄소섬유를 100% 활용할 수 없으며, 6atm의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른 장치를 필요로 함으로 장치비용이 증대된다. 따라서 5-6atm의 흡착압력으로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완료후에는 압력을 상압으로 감압하여 60-100초간 탈착처리한다. 탈착단계에서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활성탄소 섬유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탈착되고, 야를 회수함으로써 배가스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만을 고순도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탈착공정은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흡착제로부터 분리회수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정이며 탈착시간이 너무 길면 전력이 낭비되고 너무 짧으면 흡착성분이 분리회수되지 않는다.
상기한 승압시간(80-120초) 흡착시간 (300-360초) 및 탈착시간은 (60-100초)은 반복시험에 의해 설정한 범위로 상기 시간간격으로 처리하는 경우,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흡착 및 회수된다.
통상 이산화탄소 함량이 20%이상인 배가스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흡착·분리함으로써 순도가 40-60%인 이산화탄소가 약 6-8ℓ회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함으로써 PSA공정에서 승압·흡착·탈착으로 구성되는 단위공정을 1 사이클 수행함으로써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단일컬럼에 충진밀도 0.5로 활성탄소섬유를 충진하고 이에 이산화탄소 25%와 질소 75%로된 혼합기체를 유입하여 PSA 공정으로 혼합가스중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혼합기체의 유입량, 흡착압력, 승압시간, 흡착시간 및 탈착시간을 하기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하였으며 이산화탄소의 회수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298K에서 P/P 에 따른 CO2와 N2의 흡착량을 제 1도에 나타냈다.
상기 표 1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흡착제로 활성탄소섬유를 사용하여 최적의 공정조건에서 혼합가스중 이산화탄소를 흡착·분리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이산화탄소가 다량 회수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회수된 이산화탄소는 순도 40-50%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가 회수되었다.
PSA공정에서 최적의 공정조건을 설정하고 활성탄소섬유를 흡착제로 사용함으로써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그리고 고순도로 흡착·분리된다.

Claims (1)

  1. 단일컬럼에 흡착제로 활성탄소섬유를 0.5-0.7충진밀도로 충진하는 단계; 흡착탑 입구에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도입하고 5-6atm의 흡착압력으로 80-120초에 걸쳐 승압하는 단계; 5-6atm의 흡착압력을 유지하고 처리하려는 배가스를 2000-4000cc/분으로 계속하여 공급하면서 300-360초 동안 활성탄소섬유 표면에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착되도록 흡착처리하는 단계;및 상압으로 감압하고 60-100초에 걸쳐 활성탄소섬에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탈착되도록 탈착처리하여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압력변동흡착법을 이용한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순도로 흡착·분리하는 방법.
KR1019960070102A 1996-12-23 1996-12-23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KR10027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02A KR100270100B1 (ko) 1996-12-23 1996-12-23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02A KR100270100B1 (ko) 1996-12-23 1996-12-23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28A KR19980051228A (ko) 1998-09-15
KR100270100B1 true KR100270100B1 (ko) 2000-10-16

Family

ID=1949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102A KR100270100B1 (ko) 1996-12-23 1996-12-23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83B1 (ko) * 1999-06-14 2002-05-18 이재헌, 박원규 활성탄에 흡착된 휘발성 용제의 회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2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0703B2 (ja) 混合ガスから炭酸ガスを吸着分離回収する方法
KR880000513B1 (ko) 일산화탄소가스 및 질소가스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부터 질소가스를 제거하는 방법
US4376639A (en) Novel repressurization of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EP0163242A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oxygen by a pressure-swing-adsorption method
KR940001410B1 (ko) 기체상 염소의 농축방법
JPH0420643B2 (ko)
EP0276309A1 (en) Process for separation of high purity gas from mixed gas
KR890014381A (ko) 농축 산소 가스의 회수 방법
JPH01104325A (ja) 圧力スイング吸着方法および装置
CA2226696A1 (en) Vacuum/pressure swing adsorption (vpsa) method for production of an oxygen enriched gas
EP0060199A2 (en) Two-feed pressure swing adsorption process for enhancing the recovery of hydrogen in a feed gas
GB2218923A (en) Separation of gas mixtures
JP2002306918A (ja) ガス分離方法とその装置
KR100270100B1 (ko)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착.분리공정
CA1182765A (en) Repressurization for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EP0055669B1 (en) Repressurization for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CA1176994A (en) Repressurization for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JP2587334B2 (ja) Ch4を含まないcoガスの分離方法
JPH04227018A (ja) 高純度不活性ガスの製造方法
KR100228239B1 (ko) 제품질소 농도에 따른 압력변동흡착식 질소제조장치와 방법
SU1011502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орода
GB2195097A (en) Separation of gas mixtures by pressure swing adsorption
JP2909254B2 (ja) 塩素ガスの濃縮方法
JPS6129769B2 (ko)
JPH05301011A (ja) 塩化水素ガスの濃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