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976B1 -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976B1
KR100269976B1 KR1019980037631A KR19980037631A KR100269976B1 KR 100269976 B1 KR100269976 B1 KR 100269976B1 KR 1019980037631 A KR1019980037631 A KR 1019980037631A KR 19980037631 A KR19980037631 A KR 19980037631A KR 100269976 B1 KR100269976 B1 KR 10026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
plate
plastic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507A (ko
Inventor
윤태봉
이제연
오하균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3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9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4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mouldable materials, e.g. metals, cellulose derivatives,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플라스틱 식모구멍단을 탄성고무재내에 하나씩 삽입 성형시켰기 때문에, 식모구멍단이 소정의 배열에서 어긋나게 배열되어 불량제품율이 높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재의 칫솔모판에 탄력고무재내에 삽입 성형될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을 미리 일체로 성형하고, 이 식모구멍단을 포함하는 칫솔모판의 테두리와 상단 둘레면, 저면에 탄성고무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식모구멍단의 배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본 발명은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의 칫솔모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력고무재내에 칫솔모가 심어지는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을 용이하게 일체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한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칫솔대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대개 그 재질은 플라스틱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칫솔대 형상과 재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칫솔모와, 칫솔모가 심어지는 칫솔모판으로서, 양치시에 입안의 치아와 잇몸 사이공간에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낄수 있는 형상, 모양,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칫솔의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는, 치아의 굴곡면에 고른 밀착력을 갖도록 칫솔모판에 심어지는 칫솔모를 양질의 것을 사용하여 높이 차이를 두어 심어주기도 한다.
특히, 칫솔모판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사용자의 양치시 순간 동작으로 잇몸과 치아에 칫솔모판이 세게 닿게 되더라도, 이 충격을 흡수하며 잇몸과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모가 심어진 칫솔모판에 탄성고무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왔다.
여기서, 종래에 상기 칫솔모판에 탄성고무재를 일체로 성형 제작하는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칫솔모가 심어지는 식모구멍이 상면에 형성된 칫솔모판이 플라스틱재질로 성형된다.
두 번째로, 상기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칫솔모판의 좌우측 둘레면과 저면등에 고무탄력재를 일체 성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탄력재에도 칫솔모가 심어지는 식모구멍이 형성되어져야 하는데, 재질이 고무이기 때문에 칫솔모가 직접 심어지기는 매우 힘들고, 가령 고무 탄력재에 칫솔모를 직접 심더라도,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고무의 특성으로 인하여 칫솔모가 쉽게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력 고무재내에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각각의 식모구멍단을 일체로 성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식모구멍단은 변형이 없는 딱딱한 플라스틱재이기 때문에 칫솔모가 심어지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탄성고무재에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을 소정의 배열에 맞게 하나씩 삽입 성형시키는 작업은 공수가 많이 들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작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더욱이, 플라스틱 식모구멍단을 탄성고무재내에 하나씩 삽입 성형시키기 때문에, 식모구멍단이 소정의 배열에서 어긋나게 배열되어 불량제품율이 높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재의 칫솔모판에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을 미리 일체로 성형하고, 이 식모구멍단을 포함하는 칫솔모판의 테두리와 상단 둘레면, 저면에 탄성고무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식모구멍단의 배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칫솔모판이 제작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칫솔모판의 저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칫솔모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칫솔모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40:플라스틱 칫솔모판 12:탄력고무재
14;목부분 18:손잡이몸체
20:연결단 22:식모구멍단
24:식모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방법은 플라스틱재의 칫솔모판(10)에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22)을 일정 배열로 일체 성형하고, 이 식모구멍단(22)을 포함하는 칫솔모판(10)의 테두리와 상단 둘레면, 저면에 탄성고무재(12)를 일체로 성형한 후,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칫솔모판(10)의 일체로 성형된 연결부위를 절단수단으로 절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단수단으로는 연결단(20)을 일정충격에 의해서 절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은 제한되지 않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바, 일체로 성형되는 식모구멍단(22)과 탄력고무재(12)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칫솔모판(10)의 일체로 성형된 연결부위는 연결단(20)으로서, 절단이 용이하게 되도록 얇게 성형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칫솔은 하단의 손잡이 몸체(18)와, 상단의 칫솔모판(10)과, 이 손잡이몸체(18)와 칫솔모판(10)을 연결하는 목부분(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18)와 목부분(14)과 칫솔모판(10)은 대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지만, 상기 칫솔모판의 일정부위에는 탄력고무재(12)를 일체로 성형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양치시 칫솔모판(10)이 잇몸과 치아에 대한 부딪히더라도, 상기 탄력고무재(12)의 의하여 완충됨으로써, 치아와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탄력고무재가 포함되는 칫솔모판의 제작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칫솔모판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식모구멍(24)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플라스틱 식모구멍단(22)을 일체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식모구멍단(22)은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식모구멍(24)과 일치되며 소정의 배열에 맞게 일체 성형된다.
또한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일체부위는 연결단(20)으로서, 일정충격에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얇게 성형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모구멍단(22)을 포함하여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양측면 둘레를 따라, 탄력고무재(12)를 일정두께로 일체 성형한다.
따라서, 상기 식모구멍단(22)의 구멍과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식모구멍(24)은 소정의 배열로 정확하게 배열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의 일체 부위인 연결단(20)을 절단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절단하게 되는 바, 연결단(20)이 절단되더라도, 상기 식모구멍단(22)은 플라스틱 칫솔모판의 식모구멍(24)과 소정의 배열로 정확하게 일치되며 배열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진다.
첨부한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칫솔모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저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칫솔모판(30)이‘∪’형상으로 성형된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30)의 좌우 안쪽 둘레면에 식모구멍단(22)이 연결단(20)으로 엇갈리며 일체 성형된다.
이어서, 상기 탄력고무재(12)가 상기 식모구멍단(22)을 포함하여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30)의 안쪽둘레면과 상단면에 일체 성형된 후, 연결단(20)이 절단수단으로 절단되어짐으로써, 상기 칫솔모판(30)이 달성된다.
첨부한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칫솔모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저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칫솔모판(40)이 중앙부가 타원형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40)의 좌우 안쪽 둘레면을 따라 식모구멍단(22)이 연결단(20)으로 엇갈리며 일체 성형된다.
이어서, 상기 탄력고무재(12)가 상기 식모구멍단(22)을 포함하여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40)의 개방부에 채워지며 일체 성형된 후, 상기 연결단(20)이 절단수단으로 절단되어짐으로써, 상기 칫솔모판(40)이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에 의하면, 플라스틱재의 칫솔모판에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을 미리 일체로 성형하고, 이 식모구멍단을 포함하는 칫솔모판의 테두리와 상단 둘레면, 저면등에 탄성고무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식모구멍단의 배열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고, 불량제품을 현격히 줄일수 있으며, 작업성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재의 칫솔모판(10)에 플라스틱재의 식모구멍단(22)을 일정 배열로 일체로 성형하고, 이 식모구멍단(22)을 포함하는 칫솔모판(10)의 테두리와 상단 둘레면, 저면에 탄성고무재(12)를 일체로 성형한 후,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칫솔모판(10)의 일체로 성형된 연결부위를 절단수단으로 절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칫솔모판(10)은 제한되지 않는 형상으로 성형됨으로서, 일체로 성형되는 식모구멍단(22)과 탄력고무재(12)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구멍단(22)과 칫솔모판(10)의 일체로 성형된 연결부위는 연결단(20)으로서,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얇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KR1019980037631A 1998-09-11 1998-09-11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KR10026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631A KR100269976B1 (ko) 1998-09-11 1998-09-11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631A KR100269976B1 (ko) 1998-09-11 1998-09-11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507A KR20000019507A (ko) 2000-04-15
KR100269976B1 true KR100269976B1 (ko) 2000-10-16

Family

ID=1955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631A KR100269976B1 (ko) 1998-09-11 1998-09-11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9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507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8174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управляемой пользователем головкой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головкой зубной щетки
JP4838299B2 (ja) 圧力緩和部材が内蔵された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CA2361549C (en) Toothbrush head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EP0749281B1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making such toothbrush
WO2009072747A1 (en)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033680A1 (en) Electric toothbrush
JP2013135750A (ja) 電動歯ブラシおよび替えブラシ
KR101307533B1 (ko) 칫솔의 제조방법
CN102123680A (zh) 齿间清洁器及其制造方法
US5158342A (en) Toothbru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0838254A (ja) 歯間歯ブラシ
US20150189978A1 (en) Toothbrush
JPH0631936Y2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
US6361120B1 (en) Brush tufting
KR100269976B1 (ko) 칫솔의 칫솔모판 제작 방법
US10433635B2 (en) Toothbrush
CN205696411U (zh) 一种牙缝刷
CN210471365U (zh) 一种组装式儿童牙刷
CN201409611Y (zh) 一种具有弹性刷头的牙刷
KR200253132Y1 (ko) 칫솔모 일체형 칫솔
JPS6137153A (ja) 口腔清掃補助用具及びその製法
CN109862806A (zh) 牙刷的制造方法
JPH09327334A (ja) 歯間ブラシ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19323A (ja) 歯ブラシ
JP2017144104A (ja) 歯間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