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172B1 -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172B1
KR100269172B1 KR1019970046539A KR19970046539A KR100269172B1 KR 100269172 B1 KR100269172 B1 KR 100269172B1 KR 1019970046539 A KR1019970046539 A KR 1019970046539A KR 19970046539 A KR19970046539 A KR 19970046539A KR 100269172 B1 KR100269172 B1 KR 10026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emporary
script file
displayed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079A (ko
Inventor
김석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1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3Intelligent ed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의 스크립트파일 작성기에 관한 것으로서, 편집창을 구비하며 스크립트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스크립트파일의 내용을 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내용이 확증되면 스크립트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파일편집부; 임시편집창을 구비하며 직접 입력되는 내용이나 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될 내용을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내용이 확증되면 임시편집창의 내용을 파일편집부로 보내는 임시편집부; 제1콤보박스창 및 메뉴버튼을 구비하며 메뉴버튼이 클릭되면 저장하고 있던 명령어들을 제1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명령어를 임시편집부로 출력하는 명령어출력부; 제2콤보박스창 및 윈도우찾기버튼을 구비하며 윈도우찾기버튼이 클릭되면 컴퓨터시스템에서 구동되고 있는 윈도우들의 이름들을 제2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그 이름을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임시편집부로 보내는 윈도우찾기부;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오브젝트창을 구비하고 윈도우찾기부에서 선택된 윈도우에 속하는 오브젝트들을 오브젝트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오브젝트들 중 선택된 것은 파일편집부로 출력하는 오브젝트찾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수작업에 의한 스크립트파일의 작성에 따른 에러발생 가능성 및 스크립트파일 작성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 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0), 롬(ROM, 110), 램(RAM, 120), 하드디스크 콘트롤러(130), 하드디스크(1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보조 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Hard Disk, 140)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하드디스크(140)는 하드디스크 콘트롤러(13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하드디스크(140)에는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시스템 유틸리티(system utility),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 제조업체에서는 소비자에게 컴퓨터 시스템을 판매할 때, 상기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하드디스크를 컴퓨터에 장착하여 판매한다. 따라서 컴퓨터 제조업체에서는 상기 하드디스크를 대량으로 복사를 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프로그램을 복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복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마스터(200),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2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될 새로운 하드디스크로 그대로 복사(hard copy)하는 하드디스크 복사장비(210) 및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복사한 이미지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며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다수의 하드디스크(220)로 이루어진다. 컴퓨터 제조회사의 제품모델별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설치될 디바이스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200)도 그 내용이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저장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로그램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상기 하드디스크를 복사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 마스터를 제작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하드 디스크 마스터 제작은 주문자생산제작(OEM) CD(430)을 이용하여 운영체제(여기서는 윈도우즈(windows)프로그램)를 서버컴퓨터(400)에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윈도우즈 프로그램을 서버컴퓨터(400)에서 네트웍(420) 등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 )받아 상기 윈도우즈 프로그램 만을 클라이언트컴퓨터(410)에 자동으로 설치한다. 그 다음에 수동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컴퓨터(410)에 응용프로그램(430) 및 드라이버(430)를 하나씩 설치하고 필요한 환경설정을 하여 하드디스크 마스터(415)를 생성한다. 상기 환경설정은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의 동작을 위해 컴퓨터 하드웨어 및 동작조건의 세팅을 말한다. 이렇게 할 때, 프로그램의 설치와 환경 설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에러(error)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설치하는 데도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과 드라이브에 대한 버전(version)별 관리가 디스켓이나 콤팩트 디스크(CD)별로 각각 이루어지기에 효과적이고 총괄적인 관리가 어렵다.
도 5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1997년 특허출원 제19317호) 상기 하드디스크 제작시스템을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드디스크제작시스템은 하드디스크에 저장될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컴퓨터(500)와, 상기 서버컴퓨터(500)와 접속한 후 제작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를 상기 서버컴퓨터(50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아 하드디스크를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컴퓨터(5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컴퓨터(500)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될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510), 사용자인터페이스부(520), 셋업파일생성부(530) 및 스크립트파일 생성부(540)을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550)는 다운로드부(560) 및 하드디스크마스터 생성부(570)를 구비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에서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510)로부터 제작하고자 하는 하드디스크 마스터에서 필요한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를 통해 선택하여 별도의 참조디렉토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의 목록과 설치할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셋업파일을 상기 셋업파일생성부(530)를 통해 생성한다. 그 다음에, 제작하고자 하는 하드디스크의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가 동작하기 위한 하드웨어 환경 및 동작조건의 설정을 위해, 상기 스크립트파일생성부(540)는 스크립트파일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550)는 상기 서버컴퓨터(500)에 접속(log in)하여 참조디렉토리를 찾아 특정 드라이브(여기서는 Z: 드라이브)로 연결하여, 상기 서버컴퓨터(500)의 참조디렉토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드라이버와 상기 셋업파일과 스크립트파일을 상기 다운로드부(560)를 통해 복사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그리고나서 로그아웃(log out)을 한다. 이렇게 다운로드가 되면, 셋업파일을 실행시켜, 상기 셋업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순서대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스크립트파일(xxx.scp)을 참조하여 환경설정을 하여 하드디스크 마스터를 생성한다.
그런데, 상기 스크립트파일은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나 드라이버 등을 설치할 때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텍스트파일로 만들어진다. 도 6은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는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될 예정인 소프트웨어를 실제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하고자 구동했을 때,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동작환경 설정을 위한 윈도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b)는 상기 (a)에 도시된 윈도우에 입력될 오브젝트(object) 및 그 설치절차를 나타내는 스크립트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참조번호 600은 상기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화면에 나타나는 윈도우의 이름이 나타나는 윈도우이름 창이며, 참조번호 610, 620 및 630은 상기 윈도우에 속한 오브젝트(object)들이다.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windows 이름과 그 윈도우에 속한 각종 오브젝트(object)들의 이름을 필요로 하는데, 이들 모두를 손으로 입력한다. 따라서 타이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립트 파일에 "Windows = "Test□□Script"" 라고 작성해야 하는데, □를 하나 빠뜨려서 "Windows = "Test□Script""로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 는 블랭크(blank)를 나타낸다. 이렇게 되면 윈도우 이름이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스크립트파일의 잘못으로 인해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사람이 직접 작성해야 하므로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수작업에 의한 스크립트파일의 작성에 따른 에러발생 가능성 및 스크립트파일 작성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 메뉴방식으로 마우스등 포인팅수단을 사용하여 스크립트파일을 작성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파일 작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보조기억장치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프로그램을 복사하는 시스템의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저장하고자 하는 이미지 프로그램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컴퓨터 제조업체에서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를 복사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 마스터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기출원된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a)는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될 예정인 소프트웨어를 실제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하고자 구동했을 때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동작환경 설정을 위한 윈도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b)는 (a)에 도시된 윈도우에 입력될 오브젝트 및 그 설치절차를 나타내는 스크립트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를 실행하였을 때,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윈도우찾기부의 윈도우찾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오브젝트찾기부의 오브젝트 찾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편집창에서 편집되어 저장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0 : 파일편집부, 710 : 임시편집부, 720 : 명령어출력부
730 : 윈도우찾기부, 740 : 오브젝트찾기부, 750 : 불러오기부
800 : 편집창, 810 : 임시편집창, 820 : 제1콤보박스창
830 : 메뉴버튼, 840 : 윈도우찾기버튼, 850 : 오브젝트찾기버튼
860 : 불러오기버튼, 870 : 저장버튼, 880 : 입력버튼
732 : 제2콤보박스창, 742 : 오브젝트창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는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를 복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마스터를 제작하기 위해,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될 소프트웨어들 각각의 일련의 설치절차 및 동작환경을 작성한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에 있어서, 소정의 편집창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립트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스크립트파일의 내용을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내용이 확증되면 스크립트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파일편집부; 소정의 임시편집창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내용이나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될 내용을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직접 편집된 내용 또는 디스플레이된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확증이 되면,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상기 파일편집부로 보내는 임시편집부; 제1콤보박스창 및 메뉴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립트 언어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뉴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명령어들을 상기 제1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령어를 상기 임시편집부로 출력하는 명령어출력부; 제2콤보박스창 및 윈도우찾기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윈도우찾기버튼이 클릭되면 컴퓨터시스템에서 구동되고 있는 윈도우들의 이름들을 상기 제2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윈도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그 이름을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임시편집부로 보내는 윈도우찾기부;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오브젝트창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찾기부에서 선택된 윈도우에 속하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오브젝트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오브젝트들을 상기 파일편집부로 출력하는 오브젝트찾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는 불러오기 버튼을 구비하며, 기존에 생성된 스크립트파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불러오기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기존의 스크립트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상기 임시편집창에 출력하는 불러오기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파일편집부(700), 임시편집부(710), 명령어출력부(720), 윈도우찾기부(730), 오브젝트찾기부(740) 및 불러오기부(7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를 실행하였을 때,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일편집부(700)는 스크립트 파일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창(Edit Window, 800)을 제공하며, 상기 스크립트파일의 내용을 상기 편집창(80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상기 편집창(800)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확증하면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은 스크립트파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작성할 때는 스크립트언어(script language)로 작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편집창에서 편집되어 저장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일편집부(700)의 편집창(800)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저장할 때는 저장버튼(870)을 사용하며, 상기 파일편집부의 사용자에 의한 확증은 상기 저장버튼(870) 클릭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임시편집부(710)는 임시편집창(810)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내용이나 상기 편집창(800)에 디스플레이될 내용을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직접 편집된 내용 또는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사용자가 확증하면,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상기 편집창(800)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상기 파일편집부(700)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임시편집부(710)의 임시편집창(810)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상기 파일편집부(700)로 출력할 때 즉 사용자에 의한 확증은 입력버튼(880) 클릭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명령어출력부(720)는 제1콤보박스창(first combo box window, 820) 및 메뉴버튼(830)을 제공하며, 상기 스크립트 언어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뉴버튼(830)이 클릭(click)되면 상기 명령어들을 상기 제1콤보박스창(820)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명령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이를 상기 임시편집부(710)로 출력한다. 상기 윈도우찾기부(730)는 윈도우찾기버튼(840) 및 도 9에 도시된 제2콤보박스창(732)을 구비하며, 상기 윈도우찾기버튼(840)이 클릭되면 컴퓨터시스템에서 현재 구동되고 있는 윈도우들의 이름들을 상기 제2콤보박스창(732)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윈도우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윈도우 이름을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임시편집부(710)로 보낸다.
상기 오브젝트찾기부(740)는 오브젝트 찾기 버튼(850) 및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10에 도시된 오브젝트창(742)을 제공하고, 상기 윈도우찾기부(730)에서 선택된 윈도우에 속하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오브젝트창(742)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오브젝트들을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들을 상기 파일편집부(700)로 출력한다. 상기 불러오기부(750)는 불러오기 버튼(860)을 구비하며, 기존에 생성된 스크립트파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불러오기버튼(860)이 클릭되면, 상기 기존의 스크립트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출력한다.
한편, 도 12는 상기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12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스크립트 언어로 된 명령어를 입력한다.(10단계) 상기 명령어 입력은 상기 임시편집부(710)의 임시편집창(810)을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명령어 출력부(720)의 메뉴버튼(830)을 클릭하여 제1콤보박스(820)에 디스플레이된 명령어를 선택하여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입력할 수 있다. 명령어가 입력되면 다음은 윈도우(windows) 이름을 입력한다.(12단계) 상기 windows 이름 입력도 상기 임시편집부(710)의 임시편집창(810)을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윈도우찾기부(730)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찾기 버튼(840)을 클릭하여 제2콤보박스창(732)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이름을 선택하므로써 입력할 수도 있다. 윈도우 이름이 입력되면, 상기 윈도우를 구성하고 있는 오브젝트 이름을 입력한다.(14단계) 상기 오브젝트 이름도 상기 임시편집부(710)의 임시편집창(810)을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찾기부(740)의 오브젝트 찾기 버튼(850)을 클릭하면 제공되는 오브젝트 창에서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상기 임시편집창(8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한 후 계속 입력할 사항이 있으면(16단계), 상기 10단계부터 다시 입력을 계속하고, 더 이상 입력할 사항이 없으면, 상기 내용을 저장하고자 하면(18단계), 상기 내용에 대한 파일 이름을 지정하여(20단계), 상기 저장버튼(870) 클릭을 통해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각 단계마다 사용자의 확증을 위해 상기 입력버튼(880)을 사용하여 확증을 하면서 스크립트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 작성하고자 하는 스크립트 파일의 내용이 기존의 것과 유사하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을 때는 불러오기부(750)에서 제공하는 불러오기버튼(860)을 클릭하여 기존의 스크립트 파일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수작업에 의한 스크립트파일의 작성에 따른 에러발생 가능성 및 스크립트파일 작성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를 복사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마스터를 제작하기 위해, 상기 하드디스크 마스터에 설치될 소프트웨어들 각각의 일련의 설치절차 및 동작환경을 작성한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에 있어서,
    소정의 편집창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립트파일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립트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 스크립트파일의 내용을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된 내용이 확증되면 스크립트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파일편집부;
    소정의 임시편집창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내용이나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될 내용을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직접 편집된 내용 또는 디스플레이된 내용이 사용자에 의해 확증이 되면,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상기 편집창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해 상기 파일편집부로 보내는 임시편집부;
    제1콤보박스창 및 메뉴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립트 언어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뉴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명령어들을 상기 제1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령어를 상기 임시편집부로 출력하는 명령어출력부;
    제2콤보박스창 및 윈도우찾기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윈도우찾기버튼이 클릭되면 컴퓨터시스템에서 구동되고 있는 윈도우들의 이름들을 상기 제2콤보박스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윈도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그 이름을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임시편집부로 보내는 윈도우찾기부;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오브젝트창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찾기부에서 선택된 윈도우에 속하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오브젝트창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상기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선택된 오브젝트들을 상기 임시편집부로 보내는 오브젝트찾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불러오기 버튼을 구비하며, 기존에 생성된 스크립트파일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불러오기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기존의 스크립트파일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은 상기 임시편집창에 출력하는 불러오기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편집부의 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저장할 때 사용되는 저장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일편집부의 사용자에 의한 확증은 상기 저장버튼 클릭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편집부의 임시편집창에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상기 파일편집부로 출력할 때 사용되는 입력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임시편집부의 사용자에 의한 확증은 상기 입력버튼 클릭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립트파일 작성기.
KR1019970046539A 1997-09-10 1997-09-10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KR10026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539A KR100269172B1 (ko) 1997-09-10 1997-09-10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539A KR100269172B1 (ko) 1997-09-10 1997-09-10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79A KR19990025079A (ko) 1999-04-06
KR100269172B1 true KR100269172B1 (ko) 2000-10-16

Family

ID=1952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539A KR100269172B1 (ko) 1997-09-10 1997-09-10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79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045B1 (ko) 하드디스크마스터제작시스템및그제작방법
US74480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in a portal environment
US5428791A (en) Configuration mechanism for a computer system having generic user interface and component-specific builder modules
JP2645430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自動的にカスタム化するための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6442754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hecking dependencies of installed software components during installation or uninstallation of software
US7496890B2 (en) Generation of configuration instructions using an abstraction technique
US7359990B2 (en) Editing files of remote systems using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US20040003091A1 (en) Accessing a remote iSeries or AS/400 computer system from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CN101535934A (zh) 提供用于查看和编辑元数据的定制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US7251724B2 (en) Device environment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and data storage therefor
US6769094B2 (en)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projects
US7174535B2 (en) Build and install for software applications
KR20100082826A (ko) 쌍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의
WO2006135607A2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 deployment and development of application and test software and documentation
JP3227066B2 (ja) プログラム部品を用いたプログラム生成方法
EP1577762A2 (en) Address support for resources in common-language runtime languages
KR100269172B1 (ko) 하드디스크 마스터 제작시스템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작성기
JP2000215038A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WO2008014387A2 (en) Custom database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nd operating the same
CN117687681B (zh) 一种低代码应用的版本管理方法及系统
JPH083044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300156B2 (ja) Cadシステムの障害時における復旧方法
JP2001154834A (ja) コンテンツ作成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記録媒体
JPH09185499A (ja) 対話的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1265572A (ja) ソースプログラム管理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