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997B1 -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997B1
KR100266997B1 KR1019930016747A KR930016747A KR100266997B1 KR 100266997 B1 KR100266997 B1 KR 100266997B1 KR 1019930016747 A KR1019930016747 A KR 1019930016747A KR 930016747 A KR930016747 A KR 930016747A KR 100266997 B1 KR100266997 B1 KR 10026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lyethylene
fibers
temperature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042A (ko
Inventor
쩐웨이량
리다밍
쩐리앙따이
예밍따오
Original Assignee
차이뚜안파옌 꿍예찌슈옌찌 우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뚜안파옌 꿍예찌슈옌찌 우위완 filed Critical 차이뚜안파옌 꿍예찌슈옌찌 우위완
Priority to KR101993001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997B1/ko
Publication of KR95000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10B2321/021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high-strength or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e.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 방사에 의한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는 시클로알칸 및 시클로알켄 중에서 선택되며, 추출용 용매는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휘발성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교시된 방법은 방사 단계 후 중간 권취 단계 없이 추출된 섬유를 직접 연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성된 섬유는 15 g/d를 초과하는 강도, 350 g/d를 초과하는 모듈러스, 10 % 미만의 파괴점 연신율 및 60 %를 초과하는 결정화도를 갖는다.

Description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강도 대 연신비의 상호 관계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모듈러스 대 연신비의 상호 관계 그래프.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연신 전 X선 회절 패턴 사진.
제4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연신 후 X선 회절 패턴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폴리에틸렌 중합체 11 : 제1 용매
12 : 교반기 13 : 용해 용기
14 : 파이프 16 : 계량 펌프
17 : 방사구 18 : 추출 용기
19 : 제2 용매 20 : 겔 섬유
21 : 공급롤 22 : 에어 갭
23, 24, 25 ; 이송롤 26 : 가열 대역
27, 30, 33, 36 : 연신롤 28, 31, 34, 37 : 아이들러롤
29 : 제1 연신 대역 32 : 제2 연신 대역
35 : 제3 연신 대역 38 : 권취 스풀
본 발명은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의 폴리에틸렌 섬유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초 고 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섬유 방시시키고 가열 연신시켜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는 저 밀도, 탁월한 내약품성, 자외선 내성 및 내마모성, 및 탁월한 내충격 강도와 같은 그의 우수한 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 때문에 폭넓은 종류의 공업 제품 제조에 광범하에 사용되어 왔으며 중요한 공업용 플라스틱으로 여겨지고 있다.
다수의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 제조 방법이 선행 기술로 공표되었다. 이들 중에는 초 고 연신법, 고체 상태 압출법, 대역 연신법 및 겔 방사법 등이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 겔 방사법만이 대규모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상품화되었다. 겔 방사법이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 제조에 특히 적당한 이유는, 용매로 폴리에틸렌을 용해시켜 매우 묽은 용액을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폴리에틸렌 분자 사슬들 사이의 엉킴 수 및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 분자의 연속 연신을 용이하게 하고, 이 분자가 충분히 신장된 사슬 형태를 더욱 용이하게 취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충분히 신장된 사슬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폴리에틸렌 분자는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섬유로 방사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겔 방사법이 상품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펙트라(Spectra; 미합중국 소재의 얼라이드 코포레이션(Allied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상품명, 다이니마(Dyneema; 네덜란드 소재의 디에스엠 코포레이션(DSM Corporation) 및 일본국 소재의 도요보 케이.케이.(Toyobo K.K)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상품명) 및 테크밀론(Tekmilon; 일본국 소재의 미쓰이 페트로케미칼 인더스트리스, 엘티디.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의 상품명)은 모두 겔 방사법으로 제조된 시판 중인 폴리에틸렌 섬유이며, 모두 30 g/데이너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
상기 시판중인 폴리에틸렌 섬유 제품들을 제조하는 겔 방사법들은, 모두 비 휘발성 용매 중의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폴리에틸렌 용액을 다수의 모세관 구멍을 통해 압출시켜 겔 섬유를 형성시키는 단계, 겔 섬유를 휘발성 용매로 추출시키는 단계, 추출된 섬유를 권취시키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권취된 섬유를 연신시켜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에틸렌의 겔 용액을 제조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데칼린, 파라핀유, 도데칸, 크실렌, 톨루엔, 트리클로로벤젠 및 테트랄린이다. 예를 들면 얼라이드 코포레이션 및 미쓰이 페트로케미칼 인더스트리스, 엘티디.는 폴리에틸렌을 용해시키는 용매로서 파라핀유를 사용하며, 반면에 디에스엠 코포레이션 및 도요보 케이.케이.는 폴리에틸렌을 용해시키는 용매로서 데칼린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의 용매들은 다수의 단점을 갖고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용매들은 용해성이 충분치 않거나 또는 겔 섬유로부터 이들 용매의 추출 속도가 일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할 정도로 느리거나 또는 둘다인 단점을 갖는다. 저속 추출의 결과로, 겔 섬유는 비교적 저속 방사를 요하는 저속 추출에 조화시키기 위해 추출 단계 후 연신 단계 전에 권취시켜야 한다. 다시말해서, 선행 기술의 저속 추출은 저속 방사를 얻기 위해 추출 단계와 연신 단계 사이에 중간 권취 단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 기술 방법의 단점들은 폴리에틸렌 제조 공정을 별도의 3 단계, 즉 방사, 추출 및 연신으로의 분리를 필요로 한다. 이는 폴리에틸렌 섬유 제조시 겔 방사 공정의 방사속도와 생산능률을 떨어뜨린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선행 기술 방법의 단점을 논의하였던 바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를 위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은 2가지 유형의 용매, 즉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용해를 위한 제1 용매 및 제1 용매의 추출을 위한 제2 용매로 이루어진 신규 용매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들 용매는 협력적으로 개선된 용해성을 제공하며, 또한 추출 단계 동안 보다 고속으로 추출될 수 있어 생산 능률을 개선시키고 그럼으로써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를 제조하는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은
(a) 2 × 105내지 4 × 106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시클로알칸, 시클로알켄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100 ℃를 과하는 비점을 갖는 제1 용매 중에 용해시켜 2-20 중량% 폴리에틸렌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b) 12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폴리에틸렌 용액을 방사구를 통해 압출시켜 겔 섬유를 형성시키는 단계,
(c) 메탄올, 에탄올, 에테르,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2-메틸펜타논, 디클로로메탄, n-헥산, 헵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및 디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용매를 사용하여 겔 섬유로부터 제1 용매를 추출시키는 단계, 및
(d) 추출 단계 후 중간 권취 단계 없이 바로 10:1 내지 40:1의 연신비로 겔 섬유를 연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 권취 단계의 필요없이 상기 겔 방사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폴리에틸렌 섬유는 15 g/데니어 이상의 강도, 350 g/데니어 이상의 모듈러스, 10% 미만의 절단 신도 및 600%를 초과하는 결정화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 및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당한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 × 105내지 4 × 106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사용될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비교적 협소한 분자량 분포, 바람직하기로는 10미만의 Mw/Mn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용해를 위한 제1 용매로는 시클로알칸 및 시클로알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들 용매는 100 ℃를 초과하는 비점을 가져야 한다. 이들 용매의 예로서는 카렌, 플루오렌, 캄펜, 멘탄, 디펜텐, 나프탈렌, 아세나프텐, 메틸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데칸, 1,2,4,5-테트라메틸-1,4-시클로헥사디엔, 플루오레논, 나프틴단, 테트라메틸-p-벤조디퀴논, 에틸플루오렌, 플루오란텐 및 나프테논이 있다.
폴리에틸렌 중합체는 약 2 내지 2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15 중량%의 농도로 제1 용매 중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적당한 산화방지제를 첨가한다. 제1 용매 중의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용액을 교반하면서 130 ℃ 내지 200 ℃로 가열시킬 수 있다.
방사구의 모세관 직경은 0.2 ㎜ 내지 5 ㎜가 바람직하다. 흐름 방향의 모세관 길이는 일반적으로 모세관 직경의 2배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모세관 직경의 5배 이상이어야 한다. 모세관의 형태는 중요할 수 있으며, 원형, 가늘고 긴 형태, 십자형 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중합체 용액은 조절된 방사 온도 및 압력에서 방사구를 통해 압출된다. 방사 온도는 바람직하기로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0 ℃ 내지 180 ℃의 범위여야 한다. 압력은 바람직하기로는 15 kPa 미만,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kPa 미만이어야 한다. 이어서, 압출된 겔 섬유는, 임의로는 밀폐된 환경이고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가 충진된 것 일 수 있는 에어 갭을 통과하다. 이 에어갭의 길이는 2 내지 45 ㎝가 바람직하다.
압출(즉, 방사) 단계 후 겔 섬유의 제2 용매로의 압출은 겔 중의 제1 용매가 폴리에틸렌 겔 구조의 현저한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용매 시스템의 제2 용매로 용이하게 대체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적당한 제2 용매로는 에탄올, 에테르,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2-메틸펜타논, n-헥산,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디에틸 에테르 및 디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바람직한 제2 용매는 에탄올, 시클로헥사논, n-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이다. 이들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혼합 용매는 시클로헥사논 및 임의의 다른 상기 제2 용매의 혼합물이다.
겔 섬유를 연신시키는 것은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이다. 연신은 단일 단계로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연신은 3 단계, 즉 80-120 ℃의 온도 및 적어도 3 대 1의 연신비에서 수행되는 제1 단계, 100-130 ℃의 온도 및 적어도 2 대 1의 연신비에서 수행되는 제2 단계, 및 120-150 ℃ 및 적어도 2 대 1의 연신비에서 수행 되는 제3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방법에 따라 형성된 겔 섬유는 선행기술의 방법에서 필요한 수 냉각 없이 바로 용매 추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추출된 섬유는 선행 기술에서 필요로 하는 중간 권취 단계 없이 추출 단계 후 바로 연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합된 방사/추출/연신 공정은 선행 기술에서 개시된 것들 보다 현저히 간단하며 더욱 효율적이다. 이런 잇점은 용매 시스템의 제1 용매와 제2 용매 간의 고 추출속도와 함께 방사 공정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우수한 용해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신규 용매 시스템의 결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는 15g/데니어 이상의 강도, 350 g/데니어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 10% 미만의 절단 신도 및 60%를 초과하는 결정화도를 포함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는 상기와 같은 유용한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폭넓은 종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섬유는 고 강도 로프, 케이블, 어망, 낚시줄, 캔버스, 복합 재료, 가압 용기, 호스, 스포츠 및 자동차 장비, 및 건축 자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는 용해 용기(13)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중합체(10)이 공급되며 또한, 제1 용매(11)이 공급된다. 용해 용기(13)에는 교반기(12)가 장착되어 있다. 용해 용기(13)의 온도는 폴리에틸렌 중합체(10)이 제1 용매(11)중에 완전히 용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해 130 ℃를 초과하도록 유지시킨다.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용액은 계량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용해 용기(13)을 나와서 파이프를 통해 방사구(17)로 충입된다. 계량 펌프(16)은 폴리에틸렌 용액이 방사구(17)을 통해 예정된 유량으로 압출되게 하는 속도로 작동된다. 폴리에틸렌 용액은 다수의 모세관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강제로 통과하여 겔 섬유(20)을 형성한다. 폴리에틸린 및 제1 용매를 함유한 겔 섬유(20)은 에어 갭(22)를 통과하여 추출 용기(18)로 들어가며, 여기서 겔 섬유(20)중에 함유된 제1 용매(11)은 제2 용매(19)에 의해 추출된다. 추출 용기(18) 내 공급 롤(21)은 겔 섬유(20)을 이송롤(22, 24 및 25)로 인도하도록 작동된다.
겔 섬유는 롤(23, 24 및 25)로부터 가열 대역(26)으로 공급된다. 겔 섬유는 가열 대역(26)에서 건조되고 연신롤(27) 및 아이들러롤(28)을 거쳐 온도가 80-120 ℃인 제1 가열 및 연신 대역(29)로 들어간다. 섬유는 연신롤(30) 및 아이들러롤(31)에 의해 권취되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4/1의 연신비로 제1 연신 대역(29)에서 연신된다.
부분적으로 연신된 섬유는 롤(30 및 31)로부터 온도가 100-130 ℃인 제2 가열 및 연신 대역(32)를 통과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연신된 섬유는 가열 및 연신되고 연신롤(33) 및 아이들러롤(34)에 의해 권취된다. 부분적으로 연신된 섬유는 적어도 3/1의 연신비로 제2 연신 대역(32)에서 연신된다.
2회 연신된 섬유는 롤(33 및 34)로부터 온도가 120 - 150 ℃인 제3 가열 및 연신 대역(35)를 통과하게 된다. 2회 연신된 섬유는 가열 및 연신되고 이어서 연신롤(36) 및 아이들러롤(37)에 의해 권취된다. 폴리에틸렌 섬유는 적어도 2/1의 연신비로 제3 연신 대역(35)에서 연신된다. 3회 연신된 섬유는 권취스풀(35)에 의해 권취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포함한 하기 실시예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다.
[실시예 1]
디펜텐 중의 5.0 중량%의 폴리에틸렌 중합체 즉, 분자량이 약 2 × 106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약 5인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용액을 용해 용기에 충입시켰다. 폴리에틸렌 용액을 교반과 함께 140 ℃로 가열시키고, 140 ℃에서 교반을 계속하여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완전 용해를 성취하였다.
중합체 용액을 1.5 ㎜ 직경의 단일 모세관 구멍을 갖는 방사구에 공급하고 1 kPa의 압력하에 압출시켰다. 방사구를 150 ℃의 온도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용액 필라멘트를 5 ㎝ 길이의 에어 갭을 통과하도록 인도하고 이어서, 급냉시키고 겔 필라멘트 상태로 추출 용매로서 시클로헥사논이 충진된 추출 용기에 통과시켜 추출하였다. 이 겔 필라멘트를 3 단계 연신 대역으로 인도하고, 여기서, 겔 필라멘트를 제1 단계에서는 80 ℃의 온도 및 4/1의 연신비, 제2 단계에서는 115 ℃의 온도 및 3/1의 연신비, 그리고 제3 단계에서는 135 ℃의 온도 및 2/1의 연신비 등에서 각각 연신시켰다. 최종적으로, 3회 연신된 폴리에틸렌 섬유를 720 m/분의 속도로 권취시켰다. 연신된 섬유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데니어 : 5
강 도 : 28 g/d
모듈러스 : 1,040 g/d
신도 : 4.2%
연신 전과 후의 폴리에틸렌 섬유의 X선 회절 패턴을 제4a도 및 4b도에 각각 도시하였다.
[실시예 2-8]
표 1에 기재된 연신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련의 폴리에틸렌 섬유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 시료의 모듈러스와 강도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이 시험 결과를 제2도 및 제3도에 각각 도시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기술된 것이다. 상기 개시된 내용은 명백한 변형 또는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실시태양은 본 발명의 원리의 가장 적합한 설명 및 그의 실제적인 적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당 업계의 숙련된 전문가들이 의도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실시 태양 및 다양한 변형 형태로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정되고 설명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변형 및 변화는, 첨부된 청구범위가 공정하게, 적법하게 및 정당하게 주어지는 범위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Claims (12)

  1. (a) 2 × 105내지 4 × 106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중합체를 100 ℃를 초과하는 비점을 갖는 시클로알칸, 시클로알켄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용매 중에 용해시켜 2-20 중량% 폴리에틸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에틸렌 용액을 120 내지 180 ℃의 온도에서 방사구를 통해 압출시켜 겔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c) 메탄올, 에탄올, 에테르,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2-메틸펜타논, 디클로로메탄, n-헥산, 헵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및 디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겔 섬유로부터 제1 용매를 추출시키는 단계, 및
    (d) 추출 단계 후 중간 권취 단계 없이 바로 10:1 내지 40:1의 연신비로 상기 겔 섬유를 연신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Mw/Mn 비가 5 내지 10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2 × 106이고 Mw/Mn 비가 약 5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가 카렌, 플루오렌, 캄펜, 멘탄, 디펜텐, 나프탈렌, 아세나프텐, 메틸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데칸, 1,2,4,5-테트라메틸-1,4-시클로헥사디엔, 플루오레논, 나프틴단, 테트라메틸-p-벤조디퀴논, 에틸플루오렌, 플루오란텐 및 나프테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매가 디펜텐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가 시클로헥사논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 혼합물이 시클로헥사논을 함유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매가 디에틸 에테르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단계(b)가 상기 폴리에틸렌 용액을 12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0.2 ㎜ 내지 5 ㎜의 모세관 직경을 갖는 방사구를 통해 압출시킴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단계(b)가 적어도 2단계로 수행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연신이, 약 80 ℃의 온도 및 약 4 : 1의 연신비에서 수행되는 제1 단계, 약 115 ℃의 온도 및 약 3 : 1의 연신비에서 수행되는 제2 단계 및 약 135 ℃의 온도 및 약 2 : 1의 연신비에서 수행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3 단계로 수행되는 방법.
  12. 15 내지 36 g/데니어의 강도, 350 내지 1520 g/데니어의 모듈러스, 4 내지 10 %의 절단 신도 및 60 %의 결정화도를 갖는 제1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
KR1019930016747A 1993-08-27 1993-08-27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KR10026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747A KR100266997B1 (ko) 1993-08-27 1993-08-27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747A KR100266997B1 (ko) 1993-08-27 1993-08-27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2A KR950006042A (ko) 1995-03-20
KR100266997B1 true KR100266997B1 (ko) 2000-09-15

Family

ID=1936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747A KR100266997B1 (ko) 1993-08-27 1993-08-27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64B1 (ko) 2013-10-30 2018-1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058A (ko) * 2005-04-06 2006-10-12 동양제강 주식회사 초고강도 폴리에틸렌섬유의 제조방법
KR100959867B1 (ko) * 2008-03-24 2010-05-27 김용건 초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초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164B1 (ko) 2013-10-30 2018-1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열전도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42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2567A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tenacity and high modulus polyethylene fibers
EP0064167B1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tenacity, high modulus crystalline thermoplastic article and novel product fibers
US443668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mer filaments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US4536536A (e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US4551296A (en) Producing high tenacity, high modulus crystalline article such as fiber or film
US4413110A (en) High tenacity, high modulu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ers and intermediates therefore
EP0205960B1 (en) Very low creep, ultra high moduls, low shrink, high tenacity polyolefin fiber having good strength retention at high temperatures and method to produce such fiber
US5032338A (en) Method to prepare high strength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olefin articles by dissolving particles and shaping the solution
PT2142689E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fios de polímeros a partir de homopolímeros ou copolímeros de peso molecular ultra elevado, fios de polímeros, peças em polímeros moldados e utilização de fios de polímeros
JPS61252312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延伸物の製造方法
JPH0819563B2 (ja) 中間分子量および高モジュラスのポリエチレン付形物の製造法
JP2612667B2 (ja) 高強度および高弾性率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266997B1 (ko) 고 강도 및 고 모듈러스 폴리에틸렌 섬유의 제조 방법
KR100250899B1 (ko) 겔방사및다단계연신에의한고강도및고모듈러스폴리에틸렌섬유제조용신규용매시스템
JPWO2019177089A1 (ja) ポリエチレン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US2842532A (en) Process of reducing the viscosity of polymers
JPS59100710A (ja) 高タフネス繊維の製造法
JPS61108711A (ja) 高強度、高弾性率ポリビニルアルコ−ル系繊維の製造法
JP2007277763A (ja) 高強度ポリエチレン繊維
EP0144793A2 (en) High tenacity and modulus polyacrylonitrile fiber and method
DE1292301B (de) Fadenartiges Gebilde aus kristallinem Kunststoff
JPS6241341A (ja) ゲル繊維の高速延伸方法
CA2098692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arylene sulfide fiber and thereby obtainable polyarylene sulfide multifilament yarn
JP3997613B2 (ja) 高強度ポリプロピレ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NL9301979A (nl) Nieuw oplosmiddelensysteem ter bereiding van polyethyleenvezels met een hoge treksterkte en een hoge modulus middels gelspinnen en uitrekken in meerdere fa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