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948B1 -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948B1
KR100266948B1 KR1019970034026A KR19970034026A KR100266948B1 KR 100266948 B1 KR100266948 B1 KR 100266948B1 KR 1019970034026 A KR1019970034026 A KR 1019970034026A KR 19970034026 A KR19970034026 A KR 19970034026A KR 100266948 B1 KR100266948 B1 KR 1002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curing
coin
counting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886A (ko
Inventor
에이지 이타코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98001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 등에 사용되는 경화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에 의한 저장경화의 회수 및 보급시에 경화저장장치내에 정량의 경화를 초기 저장해 두기 위한 관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및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경화저장장치가 일단 분리된 것을 검지수단이 검지한 것에 따라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소정값으로 리세트하는 제어 및 그 후의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및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관리자에 의한 저장경화의 회수 및 보급시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내에 항상 정량의 경화를 추정적으로 초기저장시키는 관리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 등에 사용되는 경화기구(coin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와 같은 경화기구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에 저장된 경화의 저장량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 또는 환전기 등에 사용되는 경화기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코인튜브라고 하는 경화저장장치를 갖고 있고, 투입된 경화가 상기 코인튜브의 저장경화중에 보충되고 상기 코인튜브의 저장경화중의 경화가 거스름돈 등으로서 지불된다. 또, 상기 코인튜브의 저장량이 가득참(full)으로 되면 코인튜브에서 오버플로한(흘러넘친) 경화가 금고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코인튜브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의 관리에 있어서, 종래는 관리자(루트맨 : route man 등)가 재고스위치(inventory switch)를 조작해서 코인튜브내의 경화를 모두 배출해서 매상금으로서 일단 수금하고, 그 후 거스름돈용으로서 적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 경우, 이 때의 수동보급량이 다음회의 매상 집계 처리시의 기산금액으로 되므로, 몇개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했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 때문에, 종래는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면서 보급갯수를 관리자들이 세도록 하거나, 또는 코인튜브가 가득참으로 될 때까지 수동으로 보급하는 것에 의해 그 가득참량을 수동으로 보급량으로서 가정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 보급갯수를 일일이 세면서 경화보급을 실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또 에러도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코인튜브 치수의 개체차(個體差) 또는 경화의 두께의 개체차등의 이유에 의해 어떠한 코인튜브라도 가득참량이 반드시 동일한 갯수라고 할 수 없어 관리하기에 불편하였다.
그래서, 일본국 특허공고공보6-82426호에 있어서는 임의의 초기저장량을 각 경화의 종류마다 수치를 설정하고 재고처리시에 있어서 이 수치설정된 초기저장량분의 경화가 경화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각 경화의 종류마다의 저장경화의 지불 또는 보급처리를 실행하고, 통상 동작시에 있어서 투입경화와 지불경화에 상당하는 증감계수연산을 초기저장량 설정수치에 대해서 실행하고, 항상 경화저장장치에 있어서의 정확한 저장량을 계수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임의의 초기저장량을 각 경화의 종류마다 수치설정하기 위한 수치설정수단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되어 설정조작이 번거로웠다. 또, 이와 같은 수치설정수단은 자동판매기의 중앙제어부측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경화기구와는 약간 떨어진 곳에 마련되므로, 익숙치 않은 관리자(초보관리자)가 경화기구의 조작과 중앙제어부측의 조작 모두(양쪽)를 실행하는 것은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관리자에 의한 저장경화의 회수 및 보급시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내에 정량의 경화를 초기 저장해 두기 위한 관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경화기구의 기구부의 1예를 도시한 정면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경화기구에 탑재되는 제어회로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하드구성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메인처리의 흐름을 약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카세트 분리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의 「카세트 장착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제3도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제1도의 경화기구에 탑재되는 제어회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하드구성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메인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카세트 분리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10도는 제8도의 「카세트 장착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11도는 제8도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12도는 제6도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변경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13도는 제12도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변경예를 도시한 흐름도.
제14도는 제11도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변경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화기구 11 : 경화선별기
12 : 경화저장장치 A, B, C, D : 경화튜브
13 : 경화지불기구 14 : 입구
15 : 카세트 착탈 센서 16a, 16b, 16c, 16d : 가득참 센서
17a, 17b, 17c, 17d : 거스름돈 부족 센서
18 :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 21 : 입금 센서
20 : 마이크로컴퓨터 22 : 경화지불 드라이버
23 : 외부통신 인터페이스 CNTn : 튜브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
F : 재고설정 플래그 Fn : 튜브마다의 재고기억 플래그
SF : 설정 플래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에서 제안하는 제1 발명에 관한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은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일단 분리된 것이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것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소정값으로 리세트하는 제어, 그 후의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관리자가 경화저장장치를 경화기구의 본체에서 일단 분리해서 재장착하는 조작을 실행하면, 이 분리조작이 있었던 것이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고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소정값으로 리세트된다. 이 경우, 리세트하는 소정값은 어떠한 값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하면 좋고 다른 적절한 값으로 프리세트해도 좋다(따라서, 이 「리세트」라는 용어는 「프리세트」와 동일한 의미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이 때, 경화저장장치내에 실제로 어느 정도의 양의 경화가 초기값(가령 x라고 한다)으로서 저장되어 있는가는 상관없다. 물론, 거스름돈 부족을 초래하는 경화저장량의 부족이 있으면 곤란하지만, 이 점은 경화저장장치를 일단 분리했을 때에 필요한 적정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면 필요한 경화저장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관리자에 의한 재고회수 조작시에 경화저장장치를 일단 분리해서 필요하면 적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한 후에 이것을 재장착하면, 경화기구는 사용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한 계수수단이 적절한 소정값으로 리세트(초기설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계수수단에 있어서 초기설정되는 상기 소정값(예를 들면 0)이 이 실제의 초기저장량을 나타내고 있을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 소정값과 실제의 초기저장량(x)를 맞추는 각별한 처리는 일절 불필요하다.
그 후, 경화기구를 통상적으로 가동시키고 그 가동에 따라 경화의 투입에 따라서 경화저장장치에 경화가 보충되면, 그 분만큼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가산 계수되고(설계상 역으로 감산계수로 해도 좋다), 또 반대로 거스름돈 등으로서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가 지불되면 그 분만큼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감산계수된다(설계상 역으로 가산계수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해서,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출입량이 초기리세트된 소정값(예를 들면 0)을 기준으로 해서 증감계수된다.
재고회수 처리시에 있어서, 관리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면 지불제어수단에 의해서 이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현재 계수값>소정값」인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이렇게 해서, 경화저장장치에 남겨진 경화의 저장량은 상기 초기저장량(x)에 상당하는 이용으로 되고, 항상 정량(x)의 경화가 경화저장장치에 남겨지도록 재고회수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현재 계수값≤소정값」인 경우)는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지불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재고회수처리의 마지막에 관리자가 경화저장장치를 본체에서 일단 분리해서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을 눈으로 확인하고, 부족하면 적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계수수단이 재차 소정값(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초기설정)되어 그 후의 경화출입량 계수연산을 위한 초기값 조건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저장장치를 경화기구의 본체에서 일단 분리한 것이 검지되었을 때 그 후의 경화출입량 계수연산을 위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자동적으로 소정값으로 리세트(초기설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초기저장량을 각별히 수치설정할 필요성은 없어 관리자에 의한 저장경화의 회수 및 보급시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내에 항상 정량의 경화를 추정적으로 초기저장시키는 관리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관리자는 경화기구 측에서만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재고회수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또 조작상의 번거로움도 없다.
또한, 저장경화 부족시의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대책을 실시하면 좋다. 즉, 상기 경화저장장치를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벽체부분을 포함하는 경화튜브에 의해 구성하고, 이 튜브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가시적인 마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저장경화가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마크를 안표로 해서 상기 소정량 경화저장위치까지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재고회수처리의 마지막에 경화부족의 유무를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되고, 또 정량에 상당하는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는 것에 의해 초기저장시키는 것이 마크를 안표로 하는 것에 의해 매우 용이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분리에 따라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장착에 따라서 세트되는 플래그와 전원투입시에 상기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초기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불제어수단은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분의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면, 정전대책에 유용하다(도움이 된다). 즉, 전회의 재고회수시부터 금회의 재고회수시까지의 사이에 정전이 있었던 경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은 신뢰성이 없는 것으로 되어 버리므로, 이 내용에 따라서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정전에 의해 플래그가 리세트되는 것에 의해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불합리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계수수단이 배터리 백업되어 있는 경우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그와 같은 플래그관리는 불필요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에서 제안하는 제2 발명에 관한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은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도달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비어있는 위치(empty position)까지 줄어들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3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재장착된 것이 상기 제1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1 프리세트 제어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에 의한 가득참 검지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상기 제3 검지수단에 의한 비어있음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2 프리세트 제어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제1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2 발명에 의하면, 경화저장장치를 경화기구의 본체에서 일단 분리한 것이 검지되었을 때, 그 후의 경화출입량 계수연산을 위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자동적으로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초기설정)하는 점에서 상기 제1 발명과 공통하고 있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계수수단에 프리세트(초기설정)하는 제1 소정값은 정확한 경화저장량을 반드시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제2 발명이 제1 발명과 다른 점은 제2 검지수단에 의한 가득참검지에 따라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또 제3 검지수단에 의한 비어있음 검지(거스름돈 부족 검지)에 따라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거스름돈 부족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2 프리세트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가동중에 실제의 경화저장량이 가득차게 되었을 때 또는 비게 되었을 때 각각에 대응하는 제2 또는 제3 소정값이 계수수단에 의해 프리세트되고,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정확한 경화저장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자동수정된다. 따라서, 경화저장량의 관리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2 발명에 있어서도 저장경화의 부족시의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경화저장장치를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벽체부분을 포함하는 경화튜브에 의해 구성하고 이 튜브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가시적인 마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저장경화가 부족한 경우는 상기 마크를 안표로 해서 상기 소정량 경화저장위치까지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분리에 따라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장착에 따라서 세트되는 플래그와 전원투입시에 상기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초기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불제어수단은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분의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도록 좋다. 또, 상기 스위치(즉, 재고스위치)의 조작시에 상기 플래그가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할 때까지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제어를 하는 제2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정전이 있었던 경우는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부정확하게 되지만,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저장장치내에 충분한 갯수의 경화가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들 경화는 당연히 재고회수처리에 있어서는 배출해서 회수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할 때까지 자동적으로 경화지불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후 재고회수처리를 종료할 때 저장장치를 본체에서 분리해서 저장경화의 부족이 있으면 수동으로 보급을 실행하고, 또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되는 것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계수수단이 배터리 백업되어 있는 경우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그와 같은 플래그관리와 제2 지불제어수단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통상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경화저장장치가 여러개의 경화저장튜브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그 경우는 상술한 각 제어를 각 튜브마다 실행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발명의 각각에 있어서, 변형예로서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생략하고, 그 대신에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의 판정을 실행한 후에 계수수단의 내용을 소정값으로 자동적으로 리세트하도록 해도 좋다.
즉, 그와 같은 제1 발명의 변형예는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소정의 리세트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판정을 실행한 후에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상기 소정의 리세트값으로 리세트하는 리세트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그와 같은 제2 발명의 변형예는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도달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해 제1 검지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비어있는 위치까지 줄어들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제1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제불제어수단,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판정을 실행한 후에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상기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1 프리세트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검지수단에 의한 가득참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상기 제2 검지수단에 의한 비어있음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2 프리세트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경화기구(10)의 기구부의 1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이 경화기구(10)에 탑재되는 제어회로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하드구성 블럭도이다. 경화기구(10)은 크게 나누어 경화선별기(11), 경화저장장치(12), 경화지불기구(13) 및 도 2에 도시한 제어회로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경화선별기(11)은 입구(14)에서 도입되는 투입경화의 진위를 판별하고, 정화(正貨)와 위화(僞花)를 기계적으로 나누고, 위화는 반환통로(도시하지 않음)로 안내되고 정화를 경화의 종별로 기계적으로 나눈다. 경화저장장치(12)는 경화 종별의 경화튜브A, B, C, D를 포함하고 있고, 경화기구(10)에 본체프레임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로운 카세트형태인 것이다. 경화선별기(11)에 의해 나눠진 경화 종별의 투입경화가 상기 경화 종별에 대응하는 경화튜브A, B, C, D에 저장된다. 경화지불기구(13)은 거스름돈 등으로서 경화튜브A, B, C, D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경화를 지불한다. 주지인 바와 같이, 경화선별기(11)은 전자적 또는 기계식의 투입경화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고, 정화로 판별되어 경화저장장치(12)로 도입된 투입경화에 응답해서 경화 종별 투입경화 검지신호를 발생한다.
경화기구(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카세트식의 경화저장장치(12)가 경화기구(10)의 본체에서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카세트 착탈 센서(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에 관련해서 가득참 센서(16a),(16b),(16c),(16d)와 거스름돈 부족 센서(17a),(17b),(17c),(17d)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득참 센서(16a)~(16d)는 대응하는 튜브A~D내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도달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거스름돈 부족 센서(17a)~(17d)는 대응하는 튜브A~D내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비어있는 위치(거스름돈 부족위치)까지 줄어들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소정의 비어 있는 위치(거스름돈 부족 위치)라는 것은 저장량0에 한정되지 않고 거스름돈용의 저장경화의 부족을 경고하는 기준으로 되는 적절히 적은 갯수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또한,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의 경화저장량이 가득참 위치를 초과해서 오버플로한 경우 도시하지 않은 금고로 오버플로한 경화가 안내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경화기구(10)의 구성은 공지의 것이다. 따라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동등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을 적절하게 채용해도 좋다.
경화기구(10)의 본체프레임의 적절한 개소에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위치(18)은 저장경화의 회수(재고)처리시에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이 스위치(18)의 온조작에 응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경화저장장치(12)내의 저장경화 중 잉여의 경화를 자동 지불하는 것에 의해 정량의 경화가 남겨져 거스름돈용 경화로서 초기저장되도록 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마다의 재고경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튜브A~D의 벽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에 의해 구성하면 좋다. 또, 각 튜브A~D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가시적인 마크를 실시하고, 상기 마크를 목표로 해서 경화저장량이 적당한지 아닌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도 2에 대해서 설명하면, 경화기구(10)의 각종 동작의 제어를 위해 마이크로컴퓨터(20)이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각종 센서(15),(16a)~(16d),(17a)~(17d)의 출력, 스위치(18)의 출력, 경화선별기(11)의 입금 센서(21)의 출력이 마이크로컴퓨터(20)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은 이들 입력에 따라서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흐름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의 과정에서 경화지불기구(13)을 작동시켜서 소요의 경화를 소요의 경화튜브A~D에서 지불할 필요가 생긴 경우, 경화지불명령을 경화지불 드라이버(22)로 부여한다. 경화지불 드라이버(22)는 경화지불기구(13)내의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이다. 또, 마이크로컴퓨터(20)은 외부통신 인터페이스(23)을 거쳐서 다른 제어장치(예를 들면, 자동판매기 본체의 중앙제어장치)와 정보의 수수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투입금액정보를 자동판매기 본체의 중앙제어장치에 부여하거나 자동판매기 본체의 중앙제어장치에서 거스름돈 지불명령을 받기 위해 외부통신 인터페이스(23)이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장경화의 회수(재고)처리시에 있어서는 자동판매기 본체의 중앙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수수는 불필요하여 경화기구(10)측에서만 처리가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0)의 내부에는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마다 경화의 출입량(증감)을 가감산 계수하기 위한 경화출입 카운터CNTn과 재고설정 플래그F가 마련된다.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튜브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은 카세트식의 경화저장장치(12)가 일단 분리된 것이 센서(15)에 의해 검지된 것에 따라서 그 계수내용이 소정의 초기값(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되고, 그 후의 각 튜브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튜브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서 그 계수내용이 증감(가감산)제어되는 것이다. 또, 재고설정 플래그F는 상기 센서(15)의 출력에 따라 카세트식의 경화저장장치(12)의 분리에 따라서 "0"으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12)의 장착에 따라서 "1"로 세트되는 플래그이고, 경화저장장치(12)의 분리와 재장착이 이루어진 것에 의해 경화저장장치(12)내의 경화저장량의 초기설정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의제(擬制)한다. 또, 상기 플래그F는 전원투입시에 "0"으로 리세트되도록 되어 있고, 저장경화의 회수(재고)처리를 실행할 때 이 플래그F가 "0"으로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정전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 3~도 6을 참조해서 구체적인 제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전원투입에 따라서 실행되는 메인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투입되면 스텝S1에 있어서 즉시 소정의 각종 초기설정처리가 실행된다. 이 초기설정처리에는 상기의 재고설정 플래그F를 "0"으로 리세트하는 것과 각 튜브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소정값(예를 들면, 0)으로 각각 리세트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S2는 통상의 경화투입 및 지불제어처리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점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화의 투입이 있었던 경우 또는 경화의 지불을 실행하는 경우는 이 스텝S2에서 소요의 처리를 실행한 후 다음의 스텝S3으로 진행한다. 경화의 투입도 없고 또 경화의 지불도 실행하지 않는 경우는 즉시 다음의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는 상기 카세트 착탈 센서(15)의 출력에 따라서 경화저장장치(12)에 분리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센서(15)의 출력이 카세트온에서 오프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S4로 진행하고, 「카세트 분리처리」(상세한 것은 도 4)를 실행한다. 즉, 경화저장장치(12)에 분리된 적이 있었던 경우는 각 튜브A~D의 경화출력 카운터CNTn을 소정값(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하고 또한 재고설정 플래그F를 "0"으로 리세트한다(도 4의 스텝S41).
다음의 스텝S5에서는 상기 카세트 착탈 센서(15)의 출력에 따라서 경화저장장치(12)에 장착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센서(15)의 출력이 카세트오프에서 온으로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S6으로 진행하고 「카세트 장착처리」(상세한 것은 도 5)를 실행한다. 즉, 경화저장장치(12)에 장착된 적이 있었던 경우는 재고설정 플래그F를 "1"로 세트한다(도 5의 스텝S61).
다음의 스텝S7에서는 상기 스텝S2에서의 경화투입처리 또는 지불처리에 대응해서 투입경화가 보충된 튜브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1만큼 증가하는 처리 또는 경화가 지불된 튜브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1만큼 감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각 경화튜브A~D에서 출입한 경화갯수가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에 따라서 가감산된다. 또한, 경화의 투입도 없고 또 경화의 지불도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즉시 다음의 스텝S8로 진행한다. 또한, 경화가 투입된 경우라도 대응하는 튜브가 가득참 상태인 것에 의해 상기 투입경화가 튜브에 보충되지 않고 금고로 오버플로한 경우에는 카운터CNTn의 +1계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스텝S8에서는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이 온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NO이면 스텝S2로 되돌아가 메인루틴을 반복한다. YES이면 스텝S9로 진행하고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상세한 것은 도 6)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는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에는 정량의 경화를 저장해 두는 것으로 한다. 즉, 거스름돈용으로서 사용되는 경화 종류의 경화를 저장하는 튜브에 있어서는 거스름돈 부족을 초래하는 경화저장량의 부족이 처음부터 있어서는 곤란하므로, 적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해 둔다. 이 수동 보급시에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의 분리와 재장착이 실행되므로, 스텝S4와 S6의 처리에 의해(도 4, 도 5) 각 경화의 종류마다 경화출입 카운터CNTn이 소정값 「0」으로 리세트되고, 또한 재고설정 플래그F가 일단"0"으로 리세트되고 나서 "1"로 세트된다. 이 때, 각 경화 종류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은 소정값「0」이고,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에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경화량(초기저장량)과 일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것과는 상관없다. 즉, 경화출입 카운터CNTn은 미지의 초기저장량(x)를 기준으로 한 경화의 출입량을 계수할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초기저장량(x)의 구체적 수치는 미지여도 좋다.
통상의 가동동작중에 있어서 경화가 투입되어 그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저장장치(12)의 임의의 튜브A~D로 보급되면, 상기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1 증가된다(스텝S7). 또, 거스름돈 등으로서 경화저장장치(12)의 임의의 튜브A~D에서 경화가 지불되면, 상기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1 감소된다(스텝S7). 이렇게 해서, 각 튜브A~D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있어서는 각 튜브A~D에 있어서의 경화의 출입량의 차가 누적되어 계수된다. 또한, 튜브A~D에서 경화가 지불된 것은 예를 들면 경화 종별의 지불제어 솔레노이드 제어신호 또는 지불모터의 캐리어 스위치 작동신호 또는 경화지불 검출스위치의 출력신호등 종래 공지의 수단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관리자가 매상관리를 위해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을 온조작하면, 도 3의 스텝S8이 YES로 분기하고 스텝S9의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를 실행한다. 이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에서는 경화저장장치(12)의 저장경화 중 거스름돈용 경화로서 정량 또는 적량의 경화를 남기고 그 밖의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6에 의해서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스텝S91에서는 재고설정 플래그F가 "1"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가동동작중에 정전이 없으면, 전회의 회수처리시에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장착했을 때 상기 플래그F가 "1"로 세트되어 있으므로 YES이고 다음의 스텝S92로 진행한다.
스텝S92에서는 각 튜브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값이 초기리세트한 소정값 즉 「0」보다 큰 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그렇다면 그 차분 즉 초기 리세트한 소정값이 「0」이면 카운터CNTn의 계수값에 상당하는 갯수의 경화를 상기 튜브에서 지불하도록 세트한다. 다음의 스텝S93에서는 이전 스텝에서 세트된 갯수만큼의 경화를 대응하는 튜브에서 각각 자동으로 지불시킨다.
도 6의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임의의 튜브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값을 M으로 하면, 이 계수값M은 상기 튜브로 들어간 경화갯수와 그곳에서 지불된 경화갯수의 차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에 있어서의 미지의 초기저장량을 x로 하면, 상기 스텝S92, S93에 의해 지불처리를 실행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상기 튜브의 실제의 경화저장량은 「x+M」이다. 그리고, 상기 스텝S92, S93에 의해 계수값M에 상당하는 갯수의 경화가 상기 튜브에서 자동적으로 지불되므로, 상기 튜브에는 상기 초기저장량x에 상당하는 정량(미지수이긴 하지만 정량이다)의 경화가 남겨진다. 이와 같이 해서, 거스름돈용의 경화로서 정량(x)의 경화를 튜브내에 자동적으로 남기고 다른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해서 회수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튜브에 대한 경화보급량보다 상기 튜브로부터의 경화지불량쪽이 많은 경우는 스텝S92에서의 「CNTn>0」의 판단은 상기 튜브에 대해서는 NO로 된다. 그와 같은 튜브에 대해서는 스텝S93에서의 경화지불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
그런데, 스텝S92에서의 판단에서 「CNTn>0」이 성립하지 않는 튜브에 대해서는 상기 튜브내의 실제의 경화저장량이 초기저장량x보다 줄어들어 거스름돈용 경화의 부족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그 때문에, 관리자는 반드시 이 회수처리의 마지막에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서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의 경화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마다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실시된 가시적인 마크를 목표로 해서 투명체를 통해서 경화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경화저장량이 마크 위치에 차지 않은 튜브에 대해서는 마크위치를 채우도록 소요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해서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나서,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 재장착한다. 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분리와 재장착에 따라서 스텝S41, S61(도 4, 도 5)의 처리에 의해 각 튜브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소정값(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되고, 또한 재고설정 플래그F가 "1"로 세트된다.
그런데,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마다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실시하는 가시적인 마크는 예를 들면 접착식의 색테이프 또는 실(seal) 등의 수단에 의해 그 마크위치를 변경가능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다음회의 재고처리시에 있어서 상당히 경화저장량이 줄어 들고 있는 경우는 마크의 위치를 변경해서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의 레벨을 올리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가동동작중에 정전이 있었던 경우는 전원회복시에 도 3의 스텝S1에 의해 초기설정처리가 실행되고, 재고설정 플래그F가 "0"으로 리세트된다. 이것에 의해, 그 후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이 온조작되었을 때 도 6의 스텝S91이 NO로 판정되고, 스텝S92, S93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이것은 정전에 의해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부정확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경우는 상기와 같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서 분리했을 때 그 경화저장량을 상기 마크를 목표로 해서 눈으로 확인하고, 잉여가 있으면 수동으로 회수하고 부족이 있으면 수동으로 보급해 주면 좋다. 또한, 경화출입 카운터CNTn을 배터리 백업하거나 또는 그 밖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하면 이와 같은 정전시의 대책은 불필요하다.
도 12는 도 6에 도시한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스텝S91~S93까지의 처리는 도 6에 도시된 동일 번호의 스텝에 의한 처리와 동일하다. 도 12에 있어서는 스텝S91이 NO일 때 또는 스텝S93 후에 실행할 처리로서 스텝S81과 S82가 삽입되어 있다. 스텝S81의 처리내용은 도 4에 있어서의 스텝S41과 동일하고 각 튜브A~D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을 소정값(예를 들면 0)으로 리세트하고 또한 재고설정 플래그F를 "0"으로 리세트하는 처리로 이루어진다. 또, 스텝S82의 처리내용은 도 5에 있어서의 스텝S61과 동일하고, 재고설정 플래그F를 "1"로 세트하는 처리로 이루어진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변경예에 있어서는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의 분리와 재장착 조작을 실제로 실행할 필요성 없이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루틴의 마지막에 「카세트 분리처리」(도 4)와 「카세트 장착처리」(도 5)와 동일한 처리인 스텝S81과 S82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변경예에 의하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재장착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경화저장장치(12)에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라도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재장착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도 12의 예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또한, 도 12의 예를 채용하는 경우는 카세트 착탈 센서(15)를 생략하고 또한 도 3에 있어서의 스텝S3~S6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도 12의 예의 경우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에 대한 필요한 경화의 보충은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에 필요한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고 그 후 카세트를 재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로 각 튜브의 경화장치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입구(14)(또는 그 전단의 경화투입슬롯)에서 필요한 경화의 종류와 갯수의 경화를 수동으로 투입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2의 변경예로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S81 이전에 소정의 선택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S83을 마련하고, YES인 경우는 스텝S81과 S82의 처리를 실행하지만, NO인 경우는 스텝S81과 S82의 처리를 건너띄고 리턴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에 필요한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선택스위치를 오프한 상태로 해두고 스텝 S81과 S82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는 도 6과 마찬가지의 실시형태로 된다. 한편,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분리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선택스위치를 온하고 스텝S81과 S82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에, 제2 발명에 대한 실시의 1예를 설명한다.
제2 발명에 대해서는 경화기구(1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각 튜브마다의 가득참 센서(16a)~(16d)와 거스름돈 부족 센서(17a)~(17d)를 사용해서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의 관리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제2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 2와 마찬가지의 제어회로 블럭도이다. 도 2와 다른 점은 마이크로컴퓨터(20)에 부속해서 불휘발성 리라이트가능ROM(24)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고, 그 이외에는 도 2와 동일하다.
불휘발성 리라이트가능ROM(24)는 거스름돈용 경화의 적정한 재고로서 초기 저장해 둘 규정값Kn을 나타내는 수치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이 규정값Kn은 각 튜브마다 설정되도록 되어 있어 좋고, 각 튜브마다 설정된 규정값Kn을 나타내는 수치가 ROM(24)에 기억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제의 초기저장량x와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리세트(프리세트)되는 소정값(예를 들면 0)이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해서, 제2 발명에 있어서는 규정값Kn과 실제의 초기저장량x는 일치 또는 대략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이 규정값Kn을 나타내는 수치를 ROM(24)에서 리드해서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프리세트하는 것에 의해서 실제의 초기저장량x와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프리세트되는 소정값(제1 소정값)이 일치 또는 대략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도 8~도 11은 제2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전원투입에 따라서 개시하는 메인흐름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과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8의 스텝S4에 있어서의 「카세트분리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텝S6에 있어서의 「카세트장착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8의 스텝S9에 있어서의 「정량거스름돈맞춤처리」의 상세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있어서 스텝S11과 S12는 초기설정처리로서, 스텝S11에서는 각 튜브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내용을 0으로 리세트함과 동시에 각 튜브마다의 재고기억 플래그Fn을 "0"으로 리세트한다. 스텝S12에서는 불휘발성 리라이트가능 ROM(24)에서 각 튜브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을 리드하고, 적절한 레지스터에 버퍼기억해 둠과 동시에 설정 플래그SF를 "0"으로 리세트한다. 이 설정 플래그SF는 적정 재고 규정값Kn을 설정하는 처리의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스텝S3~S6에서는 도 3의 스텝S3~S6과 마찬가지로 경화저장장치(12)의 착탈 여부의 검출에 따라서 「카세트 분리처리」또는 「카세트 장착처리」를 실행한다. 단지, 「카세트 분리처리」와 「카세트 장착처리」의 상세는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 도 5의 예와는 다르다.
도 9의 「카세트 분리처리」에서는 우선 스텝S42에서 각 튜브A~D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0으로 리세트하고 또한 재고기억 플래그Fn을 "0"으로 리세트한다. 다음에, 스텝S43에서는 설정 플래그SF가 "0"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NO이면 이 처리를 리턴하지만, YES이면 스텝S44로 진행하여 설정 플래그SF를 "1"로 변경한다.
도 10의 「카세트 장착처리」에서는 우선 스텝S62에서 각 튜브A~D마다의 거스름돈 부족 센서(17a)~(17d)의 출력을 체크하고, 거스름돈용 경화 있음=YES의 튜브(소정의 거스름돈 부족량보다 많은 경화를 저장하고 있는 튜브)에 대해서 스텝S63의 처리를 실행한다. 거스름돈용 경화 있음=NO의 튜브(소정의 거스름돈 부족량 이하의 경화밖에 저장하고 있지 않은 튜브)에 대해서는 스텝S63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스텝S63에서는 스텝S62에서 거스름돈용 경화 있음=YES로 판정된 튜브에 대해서 그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으로서 상기 적정 재고 규정값Kn(제1 소정값)을 프리세트하고 또한 대응하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한다.
한편, 스텝S64에서는 전체 튜브A~D가 거스름돈용 경화 부족상태인지를 확인한다. YES이면 스텝S65로 진행하고 설정플래그SF가 "1"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S65로 진행하고 설정플래그SF를 "2"로 변경한다.
도 8로 되돌아가 스텝S7에서는 도 3의 스텝S7과 대략 마찬가지로 각 튜브의 경화출입에 따라서 경화출입 카운터CNTn을 +1 또는 -1씩 증가 또는 감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이것에 부가해서 설정플래그SF가 "2"가 아니면 이것을 "99"로 변경하는 플래그관리도 실행한다.
또,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이 온조작된 것이 검출되면 스텝S8의 YES에서 스텝S9로 진행하고, 도 11에 도시된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를 실행한다.
도 8의 스텝S13에서는 어느 하나의 가득참 센서(16a)~(16d)에 가득참 온의 여부가 있었는지(가득참으로 변화했는지)를 검출한다. YES인 경우는 스텝S15로 진행하고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가득참 규정값(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한다.
스텝S14에서는 어느 하나의 거스름돈 부족 센서(17a)~(17d)에 부족 온의 여부가 있었는지(거스름돈 부족 없음에서 거스름돈 부족 있음으로 변화했는지)를 검출한다. YES인 경우는 스텝S16으로 진행하여,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소정의 부족위치에 대응하는 부족규정값(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한다.
다음에, 도 8~도 11을 참조해서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각 경화 종류마다의 적정 재고 규정값Kn을 설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그 1예를 설명한다. 이 설정처리는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해서 튜브내의 저장경화를 모두 0으로 하고, 그 후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재장착함과 동시에 정량 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을 온 조작하고, 그 후 경화종류마다(종류별)의 경화를 각각 규정값Kn으로 해서 설정하고자 하는 갯수만큼 투입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그 경우,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 분리에 따라서 도 9의 「카세트 분리처리」가 실행되고, 스텝S43에서 설정플래그SF가 "0"인 것을 확인해서 상기 설정플래그SF를 "1"로 세트한다. 그 후,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 재장착에 따라서 도 10의 「카세트 장착처리」가 실행되고, 스텝S62, S64에서 각 튜브A~D가 모두 거스름돈 부족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스텝S65로 진행한다. 이 스텝S65에서 설정플래그SF가 "1"인 것을 확인하고, 스텝S66에서 상기 설정플래그SF를 "2"로 세트한다. 이렇게 해서, 각 경화 종류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때 설정플래그SF가 "2"로 세트된다. 그리고, 정량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의 온조작에 따라서 도 11의 정량거스름돈 맞춤처리를 실행하는 상태로 된다. 도 11의 처리에 있어서, 스텝S94에서 설정플래그SF가 "2"인지의 여부가 조사된다.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SF="2"로 세트되어 있으므로, 스텝S99로 진행한다. 스텝S99에서는 투입된 종류별의 경화갯수를 불휘발성 리라이트가능ROM(24)에 각 경화 종류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으로서 각각 저장함과 동시에, 이 적정재고 규정값Kn을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각각 프리세트하고 또한 모든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하고 설정플래그SF를 "99"로 변경한다. 이렇게 해서, 설정플래그SF가 "99"로 세트되면 각 경화의 종류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을 설정하는 처리가 종료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임의의 튜브에 관해서 재고기억 플래그Fn이 "1"로 세트되어 있을 때에는 그 튜브에 관한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값이 어느 정도 정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가동동작중에 있어서 경화가 투입되어 그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저장장치(12)의 임의의 튜브A~D에 보급되면, 상기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1 증가되고, 또 거스름돈 등으로서 경화저장장치(12)의 임의의 튜브A~D에서 경화가 지불되면 상기 경화의 종류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1 감소되는 점(스텝S7의 처리)은 상기 제1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해서, 각 튜브A~D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있어서는 각 경화의 종류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을 초기값으로 해서 각 튜브A~D에 있어서의 경화의 출입량의 차가 누적되어 계수된다.
그 과정에서, 임의의 튜브의 경화저장량이 가득차게 된 것이 가득참 센서(16a)~(16d)에 의해 검지되면 스텝S13이 YES되고, 스텝S15에서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가득참 규정값(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한다.
또, 임의의 튜브의 경화저장량이 비어있게 된 것(거스름돈 부족)이 거스름돈 부족센서(17a)~(17d)에 의해 검지되면 스텝S14가 YES로 되고, 스텝S16에서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을 소정의 부족위치에 대응하는 부족 규정값(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함과 동시에 대응하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을 "1"로 세트한다.
이렇게 해서, 가득참 센서(16a)~(16d)와 거스름돈부족 센서(17a)~(17d)의 검지출력을 이용해서 각 튜브에 관한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값이 어느 정도 정확한 경화저장량을 나타내도록 프리세트처리를 실행한다.
관리자가 매상관리를 위해 정량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을 온조작하면, 도 8의 스텝S8이 YES로 분기되어 스텝S9의 「정량거스름돈 맞춤처리」를 실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정량거스름돈 맞춤처리」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도 6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경화저장장치(12)의 저장경화 중 거스름돈용 경화로서 정량 또는 적량의 경화를 남기고 그 밖의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단, 제2 발명에 있어서는 거스름돈용 경화로서 적정한 재고규정값Kn이 각 튜브마다 설정되어 있고, 이것을 기준으로 해서 판정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점이 상기 제1 발명과는 상이하다.
즉, 도 11의 스텝S95에서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이 "1"인 것을 조건으로 각 튜브마다의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값이 초기설정한 제1 소정값 즉 적정재고 규정값Kn보다 큰 지의 여부를 각각 판정하고, 그렇다면 그 차분 즉 「CNTn-Kn」에 상당하는 갯수의 경화를 상기 튜브에서 지불하도록 세트한다. 다음의 스텝S96에서는 이전 스텝에서 세트된 갯수만큼의 경화를 대응하는 튜브에서 각각 자동적으로 지불한다.
도 11의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임의의 튜브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값을 「Kn+M」으로 하면, 값M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튜브에 들어간 경화갯수와 그곳에서 지불된 경화갯수의 차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텝S95, S96에 의해 차「CNTn-Kn=M」에 상당하는 갯수의 경화가 상기 튜브에서 자동적으로 지불되므로, 상기 튜브에는 상기 초기저장량에 상당하는 규정값Kn의 갯수의 경화가 남겨진다. 이와 같이 해서, 거스름돈용 경화로서 적정 재고 규정값Kn의 갯수의 경화를 튜브내에 자동적으로 남기고 다른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해서 회수하는 처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튜브에 대한 경화보급량보다 상기 튜브로부터의 경화지불량쪽이 많았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텝 S95에서의 「CNTn>Kn」의 판단은 상기 튜브에 대해서는 NO로 된다. 그와 같은 튜브에 대해서는 스텝S96에서의 경화지불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텝S95에서의 판단에 의해 「CNTn>Kn」이 성립하지 않았던 튜브에 대해서는 상기 튜브내의 실제의 경화저장량이 적정 재고 규정값Kn 보다 줄어들어 거스름돈용 경화의 부족을 초래할 우려가 크다. 그 때문에, 관리자는 반드시 이 회수처리의 마지막에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서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의 경화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마다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실시된 가시적인 마크를 목표로 해서 투명체를 통해서 경화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경화저장량이 마크위치에 차지 않은 튜브에 대해서는 마크위치를 채우도록 소요량의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해주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나서,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 재장착한다. 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분리와 재장착에 따라 스텝S42(도 9), S62, S63(도 10)의 처리에 의해 각 튜브에 대응하는 경화출입 카운터CNTn의 계수내용이 일단 클리어되고, 그 후 거스름돈부족 센서(17a)~(17d)의 검지위치보다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적정재고 규정값Kn이 경화출입 카운터CNTn에 프리세트되고 또한 재고기억 플래그Fn이 "1"로 세트된다.
또한, 통상의 가동동작중에 정전이 있었던 경우에는 전원회복시에 도 8의 스텝S11,S12에 의해 초기설정처리가 실행되고, 재고기억 플래그Fn이 "0"으로 리세트된다. 이것에 의해, 그 후 정량거스름돈 맞춤스위치(18)이 온조작되었을 때 Fn=0으로 되는 것에 의해 도 11의 스텝S95, S96을 실행하지 않고 스텝S97로 진행한다. 스텝S97에서는 재고기억 플래그Fn이 "0"이고 또한 대응하는 거스름돈부족 센서(17a)~(17d)의 출력이 거스름돈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튜브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YES이면 스텝S98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튜브에서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지불처리는 상기 튜브에 대응하는 거스름돈부족 센서(17a)~(17d)의 출력이 거스름돈 부족을 나타내게 될 때까지 실행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정전이 있었던 경우라도 거스름돈부족 센서(17a)~(17d)의 출력이 거스름돈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거스름돈 부족위치로 될 때까지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도록하여 회수를 편리하게 하고 있다. 그와 같은 경우는 상기와 같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서 분리했을 때 그 경화저장량을 상기 마크를 목표로 해서 눈으로 확인하고, 소정의 적정 재고 규정량Kn에 도달할 때까지 부족분을 수동으로 보급해 주면 좋다. 또한, 경화출입 카운터CNTn을 배터리 백업하던가 또는 그 밖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하면 이와 같은 정전시의 대책은 불필요하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정량 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스텝S94~S99의 처리는 도 11에 도시된 동일 번호의 스텝에 의한 처리와 동일하다. 도 14에 있어서는 스텝S97이 NO일 때 또는 스텝S99 후에 실행할 처리로서 스텝S85과 S86이 삽입되어 있다. 스텝S85에서는 상술한 도 9에 도시된 「카세트 분리처리」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또, 스텝S86에서는 상술한 도 10에 도시된 「카세트 장착처리」서브루틴을 실행한다. 즉, 이 도 14에 도시한 변경예에 있어서는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 분리와 재장착 조작을 실제로 실행할 필요성 없이 「정량거스름돈 맞춤처리」루틴의 마지막에 「카세트 분리처리」서브루틴(도 9)과 「카세트 장착처리」서브루틴(도 10)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도 14의 변경예에 의하면 상기 도 12의 변경예와 마찬가지로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실제로 일단 분리하고 나서 재장착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즉, 도 11의 예에서는 경화저장장치(12)에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하고 나서 재장착하는 수고가 필요하지만, 도 14의 예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또한, 도 14의 예를 채용하는 경우는 카세트 착탈 센서(15)를 생략하고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스텝S3~S6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도 14의 예의 경우 경화저장장치(12)의 각 튜브A~D에 대한 필요한 경화의 보충은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에 필요한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고, 그리고 나서 카세트를 재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본체에 장착한 그대로의 상태로 각 튜브의 경화저장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입구(14)(또는 그 전단의 경화투입슬롯)에서 필요한 종류와 갯수의 경화를 수동으로 투입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4의 변경예로서 상기의 도 13과 마찬가지로, 스텝S85의 이전에 소정의 선택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도 13의 스텝S83에 상당하는 스텝)을 마련하고, YES인 경우는 스텝S85과 S86의 처리를 실행하지만 NO인 경우는 스텝S85과 S86의 처리를 건너띄고 리턴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일단 분리해서 각 튜브에 필요한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하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선택스위치를 오프한 상태로 해 두어 스텝S85와 S86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도 11과 마찬가지의 실시형태로 된다. 한편, 경화저장장치(12)의 카세트를 분리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선택스위치를 온하여 스텝S85와 S86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적정재고 규정값Kn을 기억하는 ROM(24)를 교체식 메모리로 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경화투입에 의한 적정재고 규정값Kn의 설정조작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경화 종류마다의 적정재고 규정값Kn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다른 장소에서 적절하게 설정하고, 이 데이타를 외부통신 인터페이스(23)을 거쳐서 경화기구(10)의 마이크로컴퓨터(20)으로 전송하고, 이것을 ROM(24)에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ROM(24)는 배터리 백업된 RAM을 사용해도 좋다.
상술한 제1 및 제2 발명의 각 실시예의 일부분을 서로 조합해서 변경된 실시형태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의 스텝S97, S98의 처리를 도 6에 있어서 적용해도 좋다. 그 밖에 도 3~도 6, 도 12, 도 13과 도 8~도 11, 도 13의 각 스텝의 처리를 부분적으로 적절하게 조합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저장장치를 경화기구의 본체에서 일단 분리한 것이 검지되었을 때 또는 정량거스름돈 맞춤처리의 마지막에 자동적으로 그 후의 경화출입량 계수연산을 위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자동적으로 소정값으로 리세트(초기설정)하도록 했으므로, 초기저장량을 특별히 수치설정할 필요성 없이 관리자에 의한 저장경화의 회수 및 보급시에 있어서 경화저장장치내에 항상 정량의 경화를 추정적으로 초기저장시키는 관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게 된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관리자는 경화기구 측에서만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재고회수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또 조작상의 번거로움도 없다.
또, 제2 발명에 의하면 경화저장량의 가득참 검지에 따라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또 경화저장량의 비어있음(거스름돈 부족)검지에 따라서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거스름돈 부족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도록 한 것에 의해, 통상의 가동중에 실제의 경화저장량이 가득차게 되었을 때 또는 비어있게(거스름돈 부족상태) 되었을 때, 각각에 대응하는 제2 또는 제3 소정값이 계수수단에 프리세트되고,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이 정확한 경화저장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자동수정되므로 경화저장량의 관리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일단 분리된 것이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것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소정값으로 리세트하는 제어 및 그 후의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벽체부분을 포함하는 경화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가시적인 마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저장경화가 부족한 경우는 상기 마크를 안표로 해서 상기 소정량 경화저장위치까지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분리에 따라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장착에 따라서 세트되는 플래그와 전원투입시에 상기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초기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불제어수단은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분의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여러개의 경화저장튜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제어를 각 튜브마다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5.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분리된 것을 검지하는 제1 검지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도달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수단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비어있는 위치까지 줄어들고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3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일단 분리되고 나서 재장착된 것이 상기 제1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1 프리세트 제어수단, 상기 제2 검지수단에 의한 가득참 검지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상기 제3 검지수단에 의한 비어있음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2 프리세트 제어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상기 제1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벽체부분을 포함하는 경화튜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의 소정량 경화저장위치에 가시적인 마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저장경화가 부족한 경우는 상기 마크를 안표로 해서 상기 소정량 경화저장위치까지 경화를 수동으로 보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분리에 따라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장착에 따라서 세트되는 플래그와 전원투입시에 상기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초기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불제어수단은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분의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분리에 따라서 리세트되고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장착에 따라서 세트되는 플래그와 전원투입시에 상기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초기화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불제어수단은 상기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분의 경화의 지불제어를 실행하는 것이고, 또, 상기 스위치 조작시에 상기 플래그가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로서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3 검지수단이 비어있음 검지를 할 때까지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를 자동적으로 지불하는 제어를 하는 제2 지불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가 여러개의 경화저장튜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제어를 각 튜브마다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10.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를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소정의 리세트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 및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판정을 실행한 후에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상기 소정의 리세트값으로 리세트하는 리세트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11. 착탈가능한 경화저장장치, 투입된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 안내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경화를 지불하는 기구,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가득참 위치에 도달해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1 검지수단 및 상기 경화저장장치의 경화저장량이 소정의 비어있는 위치까지 줄어들고 있는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수단을 구비한 경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경화저장장치내의 경화저장량의 증감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수단, 상기 경화저장장치로의 경화의 투입과 상기 경화저장장치로부터의 경화의 지불에 따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증감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계수제어수단, 관리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현재 계수값과 제1 소정값의 차를 판정하고 경화투입량이 지불량을 상회하고 있는 경우에 그 차분의 경화를 상기 경화저장장치에서 지불하는 지불제어수단,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판정을 실행한 후에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상기 제1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1 프리세트 제어수단 및 상기 제1 검지수단에 의한 가득참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가득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고 상기 제2 검지수단에 의한 비어있음 검지에 따라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내용을 비어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제3 소정값으로 프리세트하는 제2 프리세트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KR1019970034026A 1996-07-22 1997-07-21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KR10026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0573 1996-07-22
JP21057396 199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886A KR980010886A (ko) 1998-04-30
KR100266948B1 true KR100266948B1 (ko) 2000-09-15

Family

ID=1659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026A KR100266948B1 (ko) 1996-07-22 1997-07-21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97396A (ko)
KR (1) KR100266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200B2 (ja) * 1998-02-18 2006-04-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貨幣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6193599B1 (en) * 1998-10-20 2001-02-27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device
EP1180747B1 (en) * 2000-08-10 2004-11-17 Mars Incorporated Currency handling apparatus
DE10197301B4 (de) * 2000-08-23 2009-01-08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Sakado Münzverarbeitungsvorrichtung
GB2372134B (en) * 2000-08-23 2004-01-28 Nippon Conlux Co Ltd Coin treating device
US6719121B2 (en) * 2001-03-20 2004-04-13 City Of Vancouver And Cypress Solutions Inc. Coin collection cart for parking meters
FR2834105B1 (fr) * 2001-12-24 2004-03-26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Procede de gestion du stockage dans un magasin de pieces de monnaie de differentes valeurs
DE20321687U1 (de) * 2003-05-17 2008-12-04 National Rejectors, Inc. Gmbh Geldwechsler für Münzautomaten
ITVI20060085A1 (it) * 2006-03-27 2007-09-28 Coges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cassetto in una gettoniera rendiresto
JP6227453B2 (ja) * 2014-03-24 2017-11-0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CN110648091B (zh) * 2018-06-27 2024-01-16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物品分拣方法和装置
JP2021149760A (ja) * 2020-03-23 2021-09-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163A (ko) * 1991-05-27 1992-12-19 우시쿠보 마사미 자동 판매기의 코인 저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426B2 (ja) * 1987-03-24 1994-10-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貯蔵量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GB2269256B (en) * 1992-07-30 1996-04-24 Mars Inc Currency handling apparatus
JPH0682426A (ja) * 1992-08-31 1994-03-22 Aichi Steel Works Ltd 表面切削加工ライン内における線材の探傷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163A (ko) * 1991-05-27 1992-12-19 우시쿠보 마사미 자동 판매기의 코인 저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97396A (en) 1999-12-07
KR980010886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948B1 (ko) 경화기구에 있어서의 경화저장량 관리시스템
EP0458610B1 (en) Vending system capable of renewing record of a prepaid card
KR910009310B1 (ko) 주화저장량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및 매상관리장치
KR101216564B1 (ko) 현금처리기
US4991848A (en) Gaming machine with a plateaued pay schedule
CA1320273C (en) Arrangement having a number of automatic cashier vending-type machines for goods and/or services
GB2128006A (en)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4121603A (en) Control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20010006347A (ko) 화폐처리방법 및 장치
GB2071383A (en) Total sales summing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JPH05154247A (ja) 遊技機用コンピュータ
KR102152094B1 (ko) 경화 처리 장치
JP3595653B2 (ja) 硬貨機構における硬貨貯蔵量管理システム
EP0734003B1 (en) Global coin payout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US5577957A (en) Coin payout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JP4375229B2 (ja) 硬貨処理装置
JP2001029630A (ja) 遊技施設
JP4036035B2 (ja) 硬貨処理装置
JP2878891B2 (ja) 電源自動供給式センサ出力応答方法
JP6522292B2 (ja) 遊技媒体補給システム
JP2834703B2 (ja) パチンコホール用遊技システム
JP4317969B2 (ja) 硬貨識別装置
JPH11203543A (ja) 釣り銭保留筒の硬貨残量管理装置
JP4770075B2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H10302146A (ja) データ書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