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719B1 -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719B1
KR100265719B1 KR1019960025165A KR19960025165A KR100265719B1 KR 100265719 B1 KR100265719 B1 KR 100265719B1 KR 1019960025165 A KR1019960025165 A KR 1019960025165A KR 19960025165 A KR19960025165 A KR 19960025165A KR 100265719 B1 KR100265719 B1 KR 10026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ideo camera
digital
uni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676A (ko
Inventor
이상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719B1/ko
Publication of KR98000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데이타 송수신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 데이타 송수신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위하여 상기 광대역 통신망과의 데이타 전송을 변복조하는 모뎀부, 모뎀부와 비디오 카메라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하여 데이타를 포맷팅하는 디지탈 포맷부, 외부 비디오 카메라 신호와 상기 디지탈 포맷부 디지탈 데이타를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 입력 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 및 데이타를 기록 및 재생 동작 모드에 따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발생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 및 입력 신호 선택 명령을 기록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발신하는 자동 응답 처리부, 자동 응답 처리부의 발신에 따라 입력 선택부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응답 기능을 채택하여 영상 및 음성의 자동 응답 기능과 컴퓨터를 이용한 리얼 타임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를 퍼스널 컴퓨터가 수신하는 장치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광대역 통신망(B-ISDN : Broadn 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을 이용한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응답 장치는 송신측으로 부터의 전화의 호출 신호에 대하여 조작하는 사람의 개입 없이 수신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자동적으로 응답 신호를 반송하는 전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에 내장된 음성 자동 응답 기능은 비디오 신호는 처리하지 못하고 음성 신호만 처리하는 아날로그 방식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Multimedia)화에 대응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응답 기능을 채택하여 영상 및 음성 자동 응답 기능과 컴퓨터를 이용한 리얼 타임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서 멀티미디어화에 대응하는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를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망 (B-ISDN) 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복조하고, 광대역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변조하는 모뎀부 :
상기 모뎀부와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하여 데이타를 포맷팅하는 디지탈 포맷부 :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카메라 신호와 상기 디지탈 포맷부에서 발생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 :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 혹은 데이타를 기록 및 재생 동작 모드에 따라 기록하고 상기 디지탈 포맷부로 재생 출력 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 :
상기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발생하는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 및 입력 신호 선택 명령을 기록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응답 처리부 :
상기 자동 응답 처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부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장치는 광대역 통신망(B-ISDN)과의 데이타를 고속으로 변복조하는 고속 모뎀부(150), 촬상 소자를 통해 광전 변환된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재생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D-CAM)(130), 광대역 통신망에서 인가되는 호출 신호에 자동적으로 응답하는 자동 응답 처리부(170),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D-CAM)(130)와 고속 모뎀부(150)의 데이타 송수신을 포맷팅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DIF)(140)부, 외부 비디오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와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140)의 디지탈 데이타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D-CAM)(130)에 임가하는 입력 선택부(120), 상기 자동 응답 처리부(170)의 응답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부에 입력을 선택하고,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마이콤부(160)로 구성된다.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는 촬상관을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를 디지탈로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광대역 통신망 (B-ISDN)은 한개의 단말에 한줄의 통신 회신으로 음성(전화), 화상(팩시밀리), 데이타(컴퓨터) 등의 모든 정보를 기가(Giga)급 단위로 전송하고, 교환 할 수 있도록한 통신망이다. 또한 넓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므로 동축 케이블이나 광 섬유 케이블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와 광대역 통신망을 전화기 및 모뎀에 적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사용자가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130)에 녹화할 음성 및 영상 데이타가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고속 모뎀부(150)로 인가된다. 여기서 고속 모뎀(150)은 송수신 데이타를 고속으로 변복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고속 모뎀부(150)으로 부터 수신된 데이타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 (130)와의 데이타 호환을 위하여 디지탈 인터페이스 처리부(140)에서 포맷팅된다.
또한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130)의 재생 및 기록 모드인 동작 모드 및 기록할 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모드 명령은 자동 응답 처리부(170)에 인가되어 기록된다.
마이콤(160)은 자동 응답 처리부(170)로 부터 소정의 시간이 되어 기록된 동작 모드 명령 및 입력 모드 명령을 받으면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130)의 기록 및 재생과 관련되는 입력 선택 제어 신호(102) 및 동작 제어 신호(164)를 발생하며, 시스템이 요구하는 타이밍 및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입력 선택부(120)는 디지탈 인터페이스 처리부(140)로 부터 발생되는 녹화할 데이타 신호와 외부에서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 신호로 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를 마이콤(160)의 입력 선택 제어 신호(102)에 따라서 선택된다.
입력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신호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130)로 입력되어 마이콤(160)의 동작 제어 신호(164)에 따라서 녹화 및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130)에 의해 녹화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광대역 통신망으로 송신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자동 응답 처리부(170)로 데이타를 송출하라는 명령을 기록 시킨다.
자동 응답 처리부(170)는 소정의 시간이 되면 마이콤부(160)으로 재생하라는 제어 데이타를 인가한다.
마이콤부(160)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130)에 재생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재생 시키면 재생된 비디오 신호는 인터페이스 퍼리부(140)를 거쳐 고속 모뎀부(150)로 출력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멀티 데이타 송수신 자동 응답 장치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를 퍼스널 컴퓨터가 수신하는 장치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 2 도에 도시된 장치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고속 모뎀부(210), 상기 고속 모뎀부(210)에서 수신된 데이타를 압축하고 신장하여 비디오 데이타와 오디오 데이타로 분리하는 데이타 처리부(220), 상기 데이타 처리부(220)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타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230), 상기 데이타 처리부(220)서 분리된 오디오 데이타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 발생부(240)으로 구성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모뎀부(210)부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변복조하며, 데이타 처리부(220)는 고속 모뎀부(21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압축하고 신장하여 비디오 데이타와 오디오 데이타로 분리한다.
데이타 처리부(220)에서 분리된 비디오 데이타는 화면 표시부(230)에 화면으로 표시되며, 오디오 데이타는 음발생부(240)에서 음성으로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응답 기능을 채택하여 영상 및 음성의 자동 응답 기능과 컴퓨터를 이용한 리얼 타임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광대역 통신망(B-ISDN)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복조하고, 광대역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변조하는 모뎀부 :
    상기 모뎀부와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데이타 송수신을 위하여 데이타를 포맷팅하는 디지탈 포맷부 :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카메라 신호와 상기 디지탈 포맷부에서 발생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 :
    상기 입력 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 혹은 데이타를 기록 및 재생 동작 모드에 따라 기록하고 상기 디지탈 포맷부로 재생 출력 하는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부 :
    상기 광대역 통신망으로 부터 발생하는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 및 입력 신호 선택 명령을 기록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응답 처리부 :
    상기 자동 응답 처리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선택부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처리부는 상기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기록된 데이타를 모뎀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모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KR1019960025165A 1996-06-28 1996-06-28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KR10026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165A KR100265719B1 (ko) 1996-06-28 1996-06-28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165A KR100265719B1 (ko) 1996-06-28 1996-06-28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76A KR980007676A (ko) 1998-03-30
KR100265719B1 true KR100265719B1 (ko) 2000-09-15

Family

ID=1946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5165A KR100265719B1 (ko) 1996-06-28 1996-06-28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33B1 (ko) *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33B1 (ko) *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전동 슬리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7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671B2 (en) Video camer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ommunicate vi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JP3360548B2 (ja) 情報再生装置
JP4660877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
GB2329737A (en) Earphone and terminal equipment
JPH0239693A (ja) 多機能型テレビ電話装置
JP4753414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
KR100265719B1 (ko) 멀티 데이타 자동 응답 장치
KR100441602B1 (ko) 복수의 재생장치를 갖는 복합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JP3276982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情報伝送方法
KR100218516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오디오 녹음 인터페이스회로
JPH0746514A (ja) テレビ電話付きvtr内蔵テレビ受像機
KR100429186B1 (ko) 화상 단말기에서의 화상 저장 시스템 및 화상 저장 방법
US6281926B1 (en) Image answering machine
KR200181444Y1 (ko) 모니터 감시회로
JPS60203063A (ja) 通信装置
JPH02250482A (ja) テレビ電話装置
KR100241427B1 (ko)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브이씨알의 예약녹화 방법 및 장치
JP2579066B2 (ja) 画像通信装置
KR0164573B1 (ko) 정보 텔레비젼의 정보 화면 기록 장치
JP2565223B2 (ja) 情報伝送装置
KR100536696B1 (ko) 라디오 녹화가 가능한 dvd 및 vcr 복합 시스템
JP2502475B2 (ja) 画像信号出力装置
JPH0825134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165253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6350744A (ja) 電話回線の空き時間を利用した情報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