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521B1 - 확장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521B1
KR100265521B1 KR1019930703611A KR930703611A KR100265521B1 KR 100265521 B1 KR100265521 B1 KR 100265521B1 KR 1019930703611 A KR1019930703611 A KR 1019930703611A KR 930703611 A KR930703611 A KR 930703611A KR 100265521 B1 KR100265521 B1 KR 100265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nnel
communication
extend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버라르드 반즈 니겔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이보트슨
모토로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이보트슨, 모토로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치. 이보트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Hydropon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기본 통신 채널쌍을 통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제1(1) 및 제2(40)통신 유닛(즉 텔레포인트 시스템의 기지국과 핸드셋)과,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본쌍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유닛에 존재하며 통신 설정시 상기 제1유닛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유닛에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상기 통신시스템의 제1유닛은 기본쌍외에 확장된 통신 채널쌍(제1도 참조)을 통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내에 있으며, 상기 정보를 통신하는 상기 수단은 제1유닛의 확장 채널 용량과 확장된 채널쌍의 스펙트럼 위치를 제2유닛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확장 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기본 통신 채널쌍 및 확장 통신 채널의 다른 가능한 쌍을 도시하는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2도는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핸드셋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메세지의 일부분에 대한 도시도.
제3도는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핸드셋으로 전송되는 메세지의 일부분에 대한 도시도.
제4도는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셋의 블럭도.
제5도는 제1도의 선택적인 주파수 스팩트럼 배열도.
제6도는 제2도의 메세지의 선택적인 메세지 도시도.
제7도는 제3도의 메세지의 선택적인 메세지 도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텔레포인트(telepoint) 시스템과 같이 기지국과 핸드셋(handset) 및 무선 채널쌍에 의한 통신수단을 구비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2세대 무선전화(Second Generation Cordress Telephony : CT2) 공중중계(Common Air Interface : CAI)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DECT와 같은 다른 유사 시스템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개요]
CT2시스템에 관한 한, CT2는 864.1∼868.1㎒간의 5㎒ 대역폭에 배정되어 왔으며; 100㎒ 간격으로 40개의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통 스팩트럼 대역은 대부분의 유럽지역과 몇몇 극동지역에 특별히 CT2 CAI 서비스용으로 배정되어 있다. 이것이 제조업자로 하여금 진정으로 세계시장이라 부를 수 있게 하고, 대부분의 이 지역들에서 주파수가 공통이기 때문에, 여행중인 이용자가 세계 여러지역에서 개인 무선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서비스 양상이 국제적 로밍(roaming)이라 불리운다. 다수의 이들 지역에서는, 멀지 않은 장래에 이용자의 편중으로 인한 통신 두절과 혼신의 문제가 예상되고, 따라서 채널수를 확장하기 위해 여분의 인접한 스팩트럼을 이용하는 것도 있을법한 일이다. 그러나, 동일량의 추가 스팩트럼이 모든 지역에서 유용할지와 추가 스팩트럼이 현배정(existing allocation)보다 항상 상위(above) 또는 항상 하위(below)에 있을 것인지가 확실하지 않다. 공중 중계 표준의 주요 잇점중 하나는 보편성과 설비의 상호 사용 및 이로인한 주파수 대역의 가변성이다.
CT2 CAI설계 명세서는 특별히 40 채널로 설계되었고, 시스템 타이밍 양상의 대부분은 이 사실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은 더 많은 채널에 접근 가능하도록 규격을 개조하는 진부한 실습이 아니다. CT2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에 각각의 40 채널이 균등하게 유용한데, 이것은 기지국(또는 핸드셋)에 통신 링크를 개설하기 위해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기에 앞서, 어느 채널이 비어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채널 선택시 핸드셋(또는 기지국)은 40개의 채널을 모두 조사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채널 스캐닝(scanning)의 타이밍이 CAI표준설계의 중추이고, 링크가 설정될 수 있는 속도에도 중요하다. 가용 채널수를 단순히 확장하는 것은 통신 링크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증가시킬 것이다.
한가지 해결책으로 8㎒의 스팩트럼(또는 가능하다면 그 이상)이 사용되어질 공통선 신호 채널(Common Signalling Channels; CSCs)이 제시되었다. 이 설계에서는 특정 채널이 통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CSCs로서 제외시켜 둔다. 호출을 원하는 핸드셋(또는 기지국)은 처음에 기지국(또흔 핸드셋)과 접촉하기 위해 CSCs를 사용하고, 다소간의 절충 후에 두개의 단(ends)이 통신 채널을 상호 동의하여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 이론상으로 이 해결책은 전세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전세계적으로 특정 채널을 CSCs로서 제외시켜두는 것을 모든 지역이 동의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덧붙여서, CSCs로 인해 시스템 설계와 실행이 아주 복잡해진다.
주파수 공용 통신(trunking radio)분야에서, 국부 발진기 신디사이저의 출현전에는, 주파수 공용 2방식 무선전화기(trunked two-way radio)는 전형적으로 5 채널을 제공하는 고정된 수정 발진기쌍을 이용하였다. 신디사이저 무선전화기가 도입되었을때, 더 많은 채널에서 동작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하나의 시스템상에서 어떤 전화기는 5 채널 용량을 가지는 반면, 다른 전화기는 더 많은 채널 용량을 가지는 경우도 발생했다. 신디사이저 무선전화기가 채널을 요청할 때, 상기 무선전화기의 모든 플리이트(fleet)가 멤버인지를 알아야 하는 기지국은 5 채널 이상의 통신용량을 가졌다. 이 문제는 신디사이저 무선전화기가 채널을 요청할시에, 기지국이 요청 무선전화기의 ID를 인식하고, 동일 플리이트내의 모든 다른 무선전화기가 신디사이저 무선전화기인지가 정보에 의해 사전 프로그램된(preprogrammed) 기지국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해결된다. 만일 그렇다면, 기지국은 5 채널 기본쌍의 외부에 설정할 수 있는 반면 플리이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멤버가 5 채널 용량만을 가진다면, 기지국은 상기 5 채널중 한 채널을 플리이트에 배정한다. 주파수 공용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텔레포인트 분야에서는, 핸드셋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소정국가에서 전형적인 텔레포인트 시스템은 수천개의 기지국과 수십만개의 핸드셋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다른나라로부터 방문중인 핸드셋에 대해서도 융통성을 가지며, 시스템과 완전한 호환성을 지니고, 시스템에 사전 프로그래밍할 필요 없이도, 시스템에 작동시 충분한 융통성이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행을 위하여 최소한의 시스템 전반 정보를 가지고도 타지역에서 다른 채널 배정을 사용할 수 있는 내장용량(built-in capability)을 가진 더 융통성있는 텔레포인트 시스템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라, 기본 통신 채널쌍을 통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제1 및 제2통신 유닛(예를들면 핸드셋과 기지국 또는 기지국과 핸드셋)과, 통신 개설을 위해 상기 기본쌍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유닛에 존재하며 통신 설정시 상기 제1유닛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유닛에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텔레포인트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1유닛에 존재하는 상기 수단이 제1유닛의 확장 채널 용량과 채널의 확장쌍의 스펙트럼 위치를 제2유닛에 통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두개의 유닛은 기본 통신 채널쌍에 의해 통신할 수 있고, 간결한 단일 메시지에 의해, 제2유닛은 제1유닛의 확장 채널 용량을 알 수 있으며 만일 제2유닛이 이들 채널중 최소한의 일부에서의 통신 용량을 가진다면 확장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닛이 확장 통신 채널쌍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면, 제2유닛이, 제1유닛의 확장 통신 채널쌍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제1유닛에 통지하여, 채널허가 명령이 제2유닛으로부터 수신될 때 제1유닛에서의 불명료함을 피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만일 제2유닛이 확장 채널쌍에 의한 통신용량을 갖지 못하면, 어떠한 확인도 발생시킬 필요가 없으며, 두 유닛은 상기 채널쌍중 어느것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 제1유닛에서 아무런 혼동없이도 기본 채널쌍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만일 제1유닛이 제2유닛에게 어떠한 확장 채널 용량도 통지하지 않는다면, "불이행"동작 모드로서, 상기 유닛은 기본 채널쌍중 하나에 의해 통신을 계속한다.
따라서, 확장 채널 용량을 가지는 기지국 및 핸드셋과 함께 아무런 확장된 채널 용량을 갖지못한 기지국 및 핸드셋과, 임의의 핸드셋이 임의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내장된 융통성 및, 상호간의 유용한 확장 채널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한 최대한 융통적인 텔레포인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서, 제1유닛은 확장된 채널상에 의해 제2유닛의 통신용량의 존재 및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채널쌍 외부의 상기 확장된 채널쌍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채널로 통신을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확장 채널이 이미 통화에 의해 상대적으로 과부하되지 않았다면, 상기 기본쌍 외부의 채널이 기본쌍의 채널에 우선하여 선택되어져, 확장 채널 용량을 갖지 못한 유닛에 의해 사용되도록 상기 기본쌍을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주파수 스팩트럼 블럭도이다. 여기에서 빗금친 영역은 다수의 다른나라에서 CT2 통신을 위해 배정해 놓은 864.1∼868.1㎒의 4㎒ 대역폭을 설명하고, 이 영역은 100㎑ 간격의 40개 통신 채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금친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는 216개 채널을 첨가하여 총 256개 채널의 확장 영역을 만들 수 있다. 256개 채널은 8-bit 채널 허가 명령어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 최대 채널수를 표현한다. 특정나라 약인에 의해, 0∼216의 확장 채널중 임의개가 CT2 통신을 위해 배정될 수 있고, 이 채널은 864.1∼868.1㎒의 현대역(existing band)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양측에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842.5∼868.1㎒ 사이의 총 256개 채널이 유용한 경우가 고려될 것이다. 기지국은 상기 용량을 가지는 반면, 핸드셋은 이와달리 일부는 확장 채널 용량을 가지고 다른 일부는 864.1∼868.1㎒ 대역에 정의되는 경우가 고려될 것이다.
각 핸드셋(또는 무선휴대부 : CPP)은 확장 스팩트럼의 사용가능 여부(즉 사용 가능한 추가 채널수)와, 더 중요하게는 이 확장 스팩트럼 이용이 현 스팩트럼(existing spectrum)의 상위 또는 하위에서 이루어지는지를 포함하도록 제조시 프로그램(EEPROM코드 플러그에)된다. 이 프로그램은 핸드셋이 판매되는 지역 및 상기 지역에서 확장 스팩트럼의 유용 여부에 의존한다. 핸드셋(또는 기지국, 또는 무선고정국-CFP)가 링크 설정을 원할때, 링크 설정은 임시 유럽 전기 통신 표준 I-ETS 131.300에서 현재 기술하고 있듯이 현 스팩트럼에서 현재 유용한 40개 채널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단 링크가 설정되면, 핸드셋은 확장 스팩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 또한 접근 가능한 스팩트럼은 얼마나 많은지 기지국에 지시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핸드셋에서 기지국으로 TERM_CAP 메세지를 전송하여 이루어지며 I-ETS 131.300 : 1990년판 7, 2, 10절에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수정된 메세지를 사용하는데, 제6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하겠다. 현재까지 TERM_CAP메세지는 9개의 옥태트(octet)로 구성되며, 관련된 핸드셋의 용량(capabilities of the hendset signifying): 코덱(codec)종류 : 디스플레이 용량 : 고속 신호 용량 : 제조자 : 모델번호 : 적절한 인정(authentication) 알고리즘 및 인정 알고리즘 용량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중에 제2도에 도시된 예는 2개의 옥태트가 더 첨가되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제1추가 옥태트 30은 핸드셋이 사용 가능한 총 채널수를 지시하고, 이 경우는 256이 된다. 제2 추가 옥태트 31은 핸드셋이 무엇을 기본쌍의 1 채널로 배정할 것인지 그 채널번호를 지시한다. 이 경우 제1도의 빗금친 영역의 제1 채널(즉 864.1㎒)는 842.5∼868.1㎒간의 확장된 채널쌍의 217 채널이다. 이 방식에서 핸드셋은 사용 가능한 채널이 얼마나 되고 이 여분의 채널이 현대역과 비교하여 어디에 있는지를 설명하고 간결하게 CFP에 지시한다. 지금의 경우 여분 채널은 현대역의 하위에 위치하지만, 동등하게 이 채널이 현대역의 상위 또는 하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모든 경우에서 확장 대역은 현대역 부근에 존재한다고 가정되었다.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만일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정보를 지금처럼 간결하게 표현하기란 불가능하다.
지지국은 I-ETS 131.300 : 1990년판 7, 2, 11절에 정의된 것처럼, 핸드셋에 BAS-CAP메세지를 보낸다. 현재까지 이 BAS_CAP메세지는 5옥태트로 구성되어, 타합 용량(intercon capability); 디스플레이 용량: 고속멀티플레싱 용량: 제조자: 종류 및 종합정보통신망/비종합정보통신망(ISDN/non-ISDN)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2도의 메세지에서처럼 동일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2개의 옥태트가 더 추가되어 기지국의 확장 채널 용량을 지시한다.
이러한 수정된 BAS_CAP메세지는 2가지 목적을 가진다. 하나는 기지국에서 확장 동작이 가능한지를 핸드셋이 인지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미래(future) 채널 배정 명령이 이전에 핸드셋에 의해 전송된 TERM_CAP메세지에 의해 정의된 것처럼 신규 채널번호 배정에 사용될 것인지 핸드셋이 확인하는 것이다. 이것은 핸드셋에게 확장 대역에서 1∼256의 채널번호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현대역에서 1-40의 채널번호를 사용할 것인지를 통지한다. 수정된 BAS-CAP메세지의 또다른 목적은 핸드셋의 전단부 필터의 전자적 동조(electric tuning)를 허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스팩트럼 지시에 일치하여, 결국 대역이탈(out of band) 혼신으로부터 전위적 차단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핸드셋의 확장 영역 전구간이나 일부에 걸쳐 TV방송 전송과 같은 다른 전송이 존재하는 곳을 핸드셋이 로밍할 때는 "대역이탈"혼신은 특별한 문제이다.
만약 기지국이 확장 스팩트럼 용량을 지시하는 핸드셋과 일치할 수 있다면(이것은 핸드셋이 로밍하거나 혹은 핸드셋 용량에 부분적으로만 일치되거나 또는 동등하게 핸드셋이 기지국 용량에 부분적으로 일치되면 불가능하다.), 기지국은 수정된 재설정 감시 메세지를 핸드셋에 전송한다. 이 메세지는 제3도의 예에서처럼 IETSI 131-130에 정의된 메세지로부터 수정된다.
수정된 재설정 감시 메세지는 I-ETSI 131-130에 정의된 "식별자(identifier)"메세지를 사용하지만 그 길이는 2옥태트이다. 제1옥태트 35의 처음 2비트는 재설정 메세지임을 정의하는 '01'로 설정된다.(엄밀하게 처음 3비트는 메세지 종류를 정의하는데, 010과 011은 모두 재설정용으로 지정되어 있다. 010=나머지 5비트에서 정의된 것처럼 1∼32 채널중 하나에 재설정함. 011=나머지 5비트에서 정의된 것처럼 33-40 채널중 하나에 재설정함) 제4옥태트의 나머지 6비트는 제2도에서 "헤더(header)"로 표시되었고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만약 헤더=0이면, 핸드셋에게 현재 채널상에 재설정함을 지시하고, 이 경우 제2옥태트 36의 채널 번호는 무의미하다.
만일 헤더 영역이 1-40사이의 값을 가지면, 채널번호영역 36은 핸드셋에서 빈 채널을 찾기 위한 스캐닝이 개시되는 절대 채널번호를 가지고, 헤더는 스캐닝될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이 정보는 지시된 스팩트럼의 상기 부분만을 복구하도록 전단부 수신기를 재조정하기 위해 핸드셋에 의해 사용된다.
만일 헤드 영역이 63값을 가지면, 스캐닝없이, 채널번호 영역은 핸드셋에서 즉시 재설정되는 절대 채널번호를 가진다. 이러한 상화은 기지국이 채널이 비었음을 알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일단 통신이 발생한 채널은 상기 메세지 교환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두 유닛은 트래픽 통신(traffic communication)을 위해 일반적으로 디지탈 부호화 음성의 형태인 논리 데이타 채널을 스위치한다. 이 채널은 MUX1.2 또는 MUX1.4로(대역 이탈신호 비트가 2 또는 4개이냐에 따라) 설계된다. 이는 I-ETSI 131.300 및 유럽특허출원 EPO380372A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만일 하나 또는 다른 유닛이 확장 채널 통신을 지원하지 않으면(TERM_CAP 또는 BAS_CAP에서 추가 필드의 부족에 의해 표시되는), CAI동작은 현재 정의된 그대로이고 현 채널 재설정 감시 메세지는 현재 정의된 것과 같이 해석된다. 단지 40개의 현 채널이 유용하고 채널번호 배정은 혀너재 정의된 그대로이다. 엔드(end)는 수정된 재설정 메세지를 사용하지도 않고 수정된 재설정 메세지를 수신하려고도 않을 것이다.
만약 양 엔드가 확장 CAI 스팩트럼 동작(이하 ECAI로 칭함.)이 가능하다면, 수정된 감시 메세지만이 사용되고, 유닛간에 도입된 채널 번호 배정은 핸드셋에서 보여진 것처럼 절대 채널 번호 배정이다. 결국, 양 엔드가 ECAI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확장 사용의 불일치로 인하여, 기지국은 수정된 감시 메세지를 사용하여 핸드셋에게 현 채널이나 또는 40개 가용 채널중 하나를 재설정할 것을 지시한다.
제4도는 핸드셋1의 상세도로서, 상술한 메세지 교환의 잇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제4도에 도시한 핸드셋은 무선 수신부 10과 송수신 스위치 13을 경유하여 안테나 12에 접속된 송신부 11을 구비한다. 국부 발진기 14는 수신부 10과 송신부 11에 RF반송 주파 신호를 제공한다. 수신부 10은 프로그램 가능 디멀티플렉서 15와, 음성 디코더 16과, 수화기 17에 접속되고, 수신부 11은 프로그램 가능 멀티플렉서 18, 음성 엔코더 19 및 마이크로폰 20에 접속된다. 핸드셋은 시스템 제어기 21 및 채널 제어기 22에 의해 제어되고 키패드와 선택적 디스플레이 23을 구비한다. 동작시, 마이크로폰 20에 입력된 음성은 엔코더 19에 의해 부호화되고, 멀티플렉서 18에 의해 논리 데이타 채널(B 채널)로 멀티플렉스되며, 전송부 11에서 반송신호로 변조되어 전송을 위해 증폭된 다음, 안테나 12를 통해 전송된다.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 12에 수신되어 스위치 13을 통해 수신부 10에 전달되고, 프로그램 가능 디멀티플렉서 15에서 복조되며, 부호화된 음성부는 음성 디코더 16으로 보내져 해독되어 아나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수화기 17을 통해 출력된다. 채널 제어기 22는 논리 S 채널을 이용하여 동기시키고 시스템 제어기 21은 신호처리 데이타를 수신하여 논리 D 채널로 전송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 21은 TERM_CAP메세지를 발생시키고 BAS_CAP메세지를 발생시키고 BAS_CAP메세지를 해독한다. 제4도에서, 기지국 40은 핸드셋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설계와 구성으로 전화망 및 본 기술분야에서 다른 형태의 표준에 연결된다.
제4도에서, 시스템 제어기 21과 무선 수신부 10 사이에 연결된 버스 25가 도시되었다. 이 버스는 무선 수신부 10의 조정 가능 필터(도시되지 않았음)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 제어기 21이 BAS_CAP메세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기지국의 가용대역의 상한 및 하한을 확인하면, 제어기 21은 수신부 10에서 필터의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하여, 기지국 용량 제한과 일치시킨다. 결국, 핸드셋의 균일한 설계는 핸드셋이 사용되는 나라에서 배정한 채널에 따라 인접 신호를 제거시키는 융통성을 가지고, CAI용 40 채널 기본쌍이 도입된 곳이면 세계 어느곳에서든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 가능하게 한다.
제5도는 기본 및 확장 채널의 양호한 배열이 도시되며, 빗금친 40개 현 채널쌍("기본쌍")의 중심 채널( 채널 20)은 기준점으로 사용된다. 핸드셋은 기지국에 상기 기준 채널의 상위 또는 하위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수를 통신한다. 이것은 총 510 채널 용량이 되도록 ±255 채널이 될 수 있다.
핸드셋은 제6도에 도시한 ECAI_CAP메시지를 사용하여 핸드셋 용량을 통신하는데, 제1옥태트 61은 핸드셋이 기준 채널 20의 하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수를 지시하고 제2옥태트 62는 기준 채널의 상위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제7도에 도시된 메세지를 응답하고, 여기에서 제1옥태트 71은 기준 채널로부터 몇 채널이나 떨어져 있는냐는 견지에서 시작 채널로 고려되는 채널 위치를 지시하고, 제2옥태트 72의 8번째 비트 73은 시작 채널이 기준 채널의 상위 또는 하위인지를 나타내는 부호(양 또는 음)을 지시한다. 제2옥태트의 7번째 비트는 미래의 사용(future use : RFU)을 위해 제외되고, 제2옥태트의 1∼6번째 비트는 사용될 채널수를 지시한다(40에 이르기까지).

Claims (12)

  1. 기본쌍의 통신 채널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제1 및 제2통신 유닛(1, 40)과; 통신을 개설하기 위해 상기 기본쌍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유닛(22)내에 있으며, 통신 개설시 상기 제1유닛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유닛에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1)이 상기 기본쌍 외에도 확장된 통신 채널쌍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제1유닛의 상기 수단(22)이 제1유닛의 확장 채널 용량과 확장된 채널쌍의 스펙트럼 위치를 제2유닛에 통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확장된 통신 채널쌍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닛의 채널 확장쌍중 소정의 쌍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대한 확인을 제1유닛에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제1유닛에 의해 사용되어질 채널에 관해 제1유닛에 명령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유닛에 명령하는 상기 수단은 제1유닛에 의해 사용되어질 총 채널수에 대한 지시(35, 72)와 기준 채널 위치에 상대적인 상기 채널 위치에 대한 지시(36, 71)를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기본쌍의 통신 채널에 의해 제2유닛(40)과 통신하는 수단(10, 11)과, 제2유닛과 통신 개설을 위해 상기 기본쌍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22) 및, 통신 개설시 제1유닛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2유닛에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1)에 있어서, 상기 기본쌍외에도 확장된 통신 채널쌍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닛내에 있으며 상기 정보를 통신하는 상기 수단(22)이 제1유닛의 확장 채널 용량과 확장괸 채널쌍의 스펙트럼 위치를 제2유닛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채널쌍은 스펙트럼으로 연속한 일련의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확장 채널 용량에 대해 제2유닛에 통지하는 상기 수단은 제1유닛이 통신용 수단으로 가지는 총 채널의 수에 대한 지시(30) 및, 선정된 주파수를 가진 상기 일련의 채널중 한 채널의 채널 번호(31)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채널쌍은 스펙트럼으로 불연속인 일련의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9. 제5항에 있어서, 제2유닛의 채널 용량에 대한 정보(35, 36, 71, 72)를 제2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수단에 응답하여, 제2유닛의 채널 용량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거하는 조정 가능한 튜닝 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11. 기본 통신 채널쌍에 의해 제2유닛(40)과 통신하는 수단과, 상기 기본쌍중 하나의 통신을 수신하여 제2유닛과 통신을 개설하는 수단 및, 통신 개설시 제2유닛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2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1)에 있어서, 상기 기본상 외에도 확장된 통신 채널쌍에 의해 통신하는 수단과, 상기 확장된 통신 채널쌍에 의해 제2유닛의 통신 용량의 존재와 범위에 대한 정보(35, 36, 71, 72)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채널쌍 외부의 상기 확장된 채널쌍의 통신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에 통신을 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에 응답하여, 제2유닛의 채널 용량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거하는 조정 가능한 튜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제1유닛.
KR1019930703611A 1992-03-28 1993-03-18 확장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KR100265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06828A GB2265521A (en) 1992-03-28 1992-03-28 Communications system with extended channels
GB9206828.7 1992-03-28
PCT/EP1993/000653 WO1993020624A1 (en) 1992-03-28 1993-03-18 Communications system with extended channe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5521B1 true KR100265521B1 (ko) 2000-09-15

Family

ID=1071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611A KR100265521B1 (ko) 1992-03-28 1993-03-18 확장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586656B1 (ko)
JP (1) JP3220149B2 (ko)
KR (1) KR100265521B1 (ko)
CN (1) CN1079089A (ko)
AT (1) ATE167343T1 (ko)
AU (1) AU661898B2 (ko)
BR (1) BR9305454A (ko)
CA (1) CA2102408A1 (ko)
DE (1) DE69319043T2 (ko)
FI (1) FI110647B (ko)
GB (1) GB2265521A (ko)
MX (1) MX9301718A (ko)
MY (1) MY109590A (ko)
NO (1) NO304670B1 (ko)
WO (1) WO1993020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9145D0 (en) * 1995-04-28 1995-06-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Two band 25 channel cordless telephone system
SE9503386L (sv) * 1995-10-02 1996-11-04 Telia Ab Metod för kapacitetsökning i DECT
US5867292A (en) * 1996-03-22 1999-02-02 Wireless Communications Product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dless infrared communication
US6198933B1 (en) * 1997-05-06 2001-03-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system that communicates position information of roaming mobile s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9226A (en) * 1982-03-29 1984-10-23 At&T Bell Laboratories Frequency-hopped single sideband mobile radio system
US4549303A (en) * 1983-12-27 1985-10-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ultichannel time division multiplexed trunk transmission link
US4707803A (en) * 1985-06-17 1987-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mulator for computer system input-output adapters
JPH0815351B2 (ja) * 1986-05-31 1996-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ドレス電話方式
JPH0695656B2 (ja) * 1987-03-12 1994-11-24 株式会社東芝 無線チヤネルサ−チ方式
JPS6473926A (en) * 1987-09-16 1989-03-20 Nec Corp Channel assign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077828A (en) * 1988-09-01 1991-12-31 General Electric Company RF channel expansion in a trunked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5521A (en) 1993-09-29
DE69319043D1 (de) 1998-07-16
ATE167343T1 (de) 1998-06-15
GB9206828D0 (en) 1992-05-13
AU661898B2 (en) 1995-08-10
EP0586656A1 (en) 1994-03-16
MX9301718A (es) 1994-01-31
NO934288L (no) 1993-11-26
CA2102408A1 (en) 1993-10-14
FI110647B (fi) 2003-02-28
FI935263A0 (fi) 1993-11-26
NO304670B1 (no) 1999-01-25
MY109590A (en) 1997-03-31
BR9305454A (pt) 1994-08-02
JPH06511608A (ja) 1994-12-22
WO1993020624A1 (en) 1993-10-14
NO934288D0 (no) 1993-11-26
EP0586656B1 (en) 1998-06-10
AU3750493A (en) 1993-11-08
CN1079089A (zh) 1993-12-01
DE69319043T2 (de) 1998-12-10
FI935263A (fi) 1993-11-26
JP3220149B2 (ja) 200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406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non-cellular private radio systems to be compatible with cellular mobile phones
JP4354646B2 (ja) 高速の制御トラフィック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5574775A (en) Universal wireless radiotelephone system
JP3937100B2 (ja) 共存する通信システム
JP2002521912A5 (ko)
US7822420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allocating a channel required for a radio transmission
KR20010020396A (ko) 이동국으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홈 기지국
JPH10506774A (ja)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用移動無線受信機
US592676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JPH1050081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の確立方法
US5678189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unit for communicating over a base set of channels and an extended set of channels
KR100265521B1 (ko) 확장채널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US7046996B1 (en) Mobile statio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69042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1222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voice service option
FI105310B (fi) Menetelmä puhelun muodostamiseksi langattomassa tilaajaverkossa
KR0145882B1 (ko) 구내 무선 전화시스템
JPH0690204A (ja) 移動通信端末
JP2975850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55818B1 (ko) 시티폰간 직접 통신하는 방법
RU217303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овместимости несотовых персональных систем связи с сотовыми мобильными телефонами
JP2003018649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話チャネル制御方法
KR100241784B1 (ko) 차세대 디지털 무선전화 망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CA2129611C (en) Universal wireless radiotelephone system
KR19990025766A (ko)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들간의 링크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