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186B1 -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186B1
KR100265186B1 KR1019970016603A KR19970016603A KR100265186B1 KR 100265186 B1 KR100265186 B1 KR 100265186B1 KR 1019970016603 A KR1019970016603 A KR 1019970016603A KR 19970016603 A KR19970016603 A KR 19970016603A KR 100265186 B1 KR100265186 B1 KR 10026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hinge
protrusion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756A (ko
Inventor
최경원
Original Assignee
김경한
주식회사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한, 주식회사태경 filed Critical 김경한
Priority to KR101997001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186B1/ko
Publication of KR970040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2Tracks for railways with the vehicle suspended from rigid supporting rails
    • E01B25/24Supporting 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제조업체에서 생산할 부품을 상하의 곡면상으로 이송 가능케하여 공정간의 별도의 이송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막을수 있도록 단위 유니트를 각기 힌지 결합한 것이며, 단위 유니트는 레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 단위레일과, 단위레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지고 단위레일에 고정된 단위 찬넬, 및 단위찬넬 양단에 고정되어 다른 단위찬넬을 유착시켜 연장 가능케 하는 사이드판으로 이루어지며, 높이의 차이를 필요로하는 제조공정에서 높이의 차이를 이루기 위하여 종래와같이 별도의 언로더와 로더가 필요치 않으며 일괄적으로 높이의 차를 제공 가능하여 제조원가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
본 발명은 곡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제조업체에서 생산할 부품을 상하의 곡면상으로 이송 가능케하여 공정간의 별도의 이송에 다른 생산성 저하를 막을수 있도록, 단위 유니트를 각기 힌지 결합한 구조 방식을 사용한 행거의 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조업체에서 생산할 부품을 가공 및 조립할때는 부품을 로더에서 로딩하여 이송수단을 거치면서 가공하고, 가공한 부품은 언로더에서 매가진 등에 적재한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 시킨다. 예를들어 자동차 샤시를 도금하는 공정에서는 1 차로 세척하고, 2 차로 건조시키고, 3 차로 도금하고, 4 차로 이를 조립라인으로 이송한다할 때, 도1을 기초로 설명하면 제1로더(1)에서 도금할 부품을 로딩수단(3)을 사용하여 행거(2)로 이송시킨다. 행거는 제1이송레일(4)을 거치면서 세척 및 건조과정(5,6)을 수행한다. 이어 언로딩수다(7)을 거치면서 제2로더(8)에 제공되고, 제2로더(8)에서는 제2이송레일(9)을 지나면서 도금조(10)에 침지되고 표면이 도금된다. 이어 언로딩수단(11) 및 제3이송레일(12)을 통하여 조립라인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각 공정별로 로딩 및 언로딩이 필요하고 이를위한 시간만큼 공수가 많아지고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해소키 위한 것으로, 높이가 상이한 곳을 지나야하는 공정에서도 이송레일의 연속적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장치를 제공 하려는 것이다. 이를위해 레일올 단위 유니트가 힌지 결합된 방식으로 구성하고 이를 반복 연결 조립시켜 조립된 레일의 높낮이를 조정 가능케 한것이다.
도1은 종래의 레일 이송장치의 일 예를 보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단위 유니트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단위 유니트의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단위 유니트가 2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도6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레일이 높이차를 이루는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위 유니트 101 : 힌지공
110 : 단위 레일 111,112 : 제1돌출부
113 : 테이퍼면 120 : 단위 찬넬
121,122 : 제2돌출부 123 : 안내홈
124 : 테이퍼면 130 : 사이드판
131,132 : 제3돌출부 133 : 힌지
134 : 테이퍼면
즉 본 발명은 단위레일을 포함하는 단위 유니트를 각각 힌지로 높이가 조정가능토록 상호 연장 결합시키고; 단위 유니트는, 행거가 이송되는 레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높이 중앙부에 제1돌출부를 가지는 단위레일과; 단위레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지고 단위레일에 고정되며 양단의 각단 양측에 제2돌출부를 가지는 단위 찬넬; 및 단위찬넬 양단에 레일과 나란하게 고정되고 각단 양측 중앙에 제3돌출부를 가지며 다른 단위유니트를 유착 결합시킬수 있도록 힌지를 가지는 사이드 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를 제공 하려는 것이다.
상기 단위레일의 제1돌출부는 사이드판에 있는 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돌출부는 상기 단위 유니트가 상호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 각도내에서 회전토록 하는 테이퍼면을 제공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찬넬에는 다른 단위 유니트의 단위레일이 접할수 있도록 안내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도1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예시한 개략 구조도로, 예를 들면 제1이송레일(4)과 제3이송레일(12)사이에 본 발명의 레일이 사용됨을 보여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3 개의 단위 유니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위유니트의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위유니트의 평면도로, 각 단위 유니트(100)는 행거(2)가 이송되는 레일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높이 중앙부에 제1돌출부(111,112)를 가지는 단위레일(110)과; 단위레일(110)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지고 단위레일(110)에 고정되며 양단의 각단 양측에 제2돌출부(121,122)를 가지는 단위 찬넬(120); 및 단위찬넬(120) 양단에 단위레일(110)과 나란하게 고정되고 각단 양측 중앙에 제3돌출부(131,l32)를 가지며 다른 단위유니트를 유착 결합시킬수 있도록 힌지(133)를 가지는 사이드판(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레일(110)의 제1돌출부(111,1l2)는 사이드판(130)에 있는 힌지(133)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돌출부(111,112)(121,l22)(131,l32)는 상기 단위 유니트(100)가 상호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토록하는 테이퍼면(113,124,134)을 제공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찬넬(120)에는 다른 단위 유니트의 단위레일(110)이 접할수 있도록 안내흠(123)이 형성된다. (102)는 사이드판(130)을 단위 찬넬(120)에 결합 시키는 볼트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단위 유니트가 2 개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7은 그의 일부 절결 정면도로, 임의의 단위유니트(100)의 힌지(133)로 다른 단위유니트(100)의 제2돌출부(122)를 결합 유착시킨 구조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 도면으로, 임의의 단위유니트(100)에 다른 단위유니트(100')가 힌지 결합하면서 힌지(133)를 중심으로 단위유니트(10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경우를 보인 설명도로, 사이드판(130)은 제3돌출부(131,132)에 의한 테이퍼면(l34)이 상호 접할때까지 회전 가능하고, 단위찬넬(120)은 제2돌출부(121,122)에 의한 테이퍼면(124)이 상호 접할때까지 회전 가능하고, 사이드판(130)은 제3돌출부(131,132)에 의한 톄이퍼면(134)이 상호 접할때까지 회전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에서는 단위 유니트(100)가 2 개 결합되는 것을 설명 하였으나 도4 내지 8도에 도시한 임의 단위 유니트(100')의 힌지공(101)에 다른 단위 유니트(100)의 힌지(133)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연장조립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2와같이 고정된 이송레일(4,12)사이에 본 발명을 설치하면 행거(2)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높이의 차이를 필요로하는 제조공정에서 높이의 차이를 이루기 위하여 종래와같이 별도의 언로더와 로더가 필요치 않으며 인라인(inline)방식으로 높이의 차를 제공 가능하여 높낮이가 필요한 공정을 수행하는 부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4)

  1. 단위레일을 포함하는 단위 유니트를 각각 힌지로 높이가 조정가능토록 상호 연장 결합시키고; 단위 유니트는, 행거가 이송되는 레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높이 중앙부에 제1돌출부를 가지는 단위레일과; 단위레일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를 가지고 단위레일에 고정되며 양단의 각단 양측에 제2돌출부를 가지는 단위 찬넬; 및 단위찬넬 양단에 레일과 나란하게 고정되고 각단 양측 중앙에 제3돌출부를 가지며 다른 단위유니트를 유착 결합시킬수 있도록 힌지를 가지는 사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레일의 제1돌출부는 사이드판에 있는 힌지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례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내지 제3돌출부는 상기 단위 유니트가 상호 힌지를 증심으로 상하 일정 각도내에서 회전토록하는 테이퍼면을 제공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단위찬넬에는 다른 단위 유니트의 단위레일이 접할수 있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하는 레일장치.
KR1019970016603A 1997-04-30 1997-04-30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KR10026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603A KR100265186B1 (ko) 1997-04-30 1997-04-30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603A KR100265186B1 (ko) 1997-04-30 1997-04-30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756A KR970040756A (ko) 1997-07-24
KR100265186B1 true KR100265186B1 (ko) 2000-09-15

Family

ID=1950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603A KR100265186B1 (ko) 1997-04-30 1997-04-30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773A (zh) * 2015-08-19 2015-12-16 广州御新软件有限公司 一种拖板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34B1 (ko) * 2011-12-06 2013-11-01 주식회사 태경 행거의 높이조절 가능한 이물질낙하방지 레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773A (zh) * 2015-08-19 2015-12-16 广州御新软件有限公司 一种拖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756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1666A (ko) 모듈식 전송 작업 장치 (Modular assembly line system)
KR100265186B1 (ko) 행거의 높이조절을 가능케 하는 레일장치
DE69411828T2 (de) Plattiermethode, Plattierflüssigkeit und plattiertes Maschinenbauteil
FR2704357B1 (fr) Eléments électroniques intégrés à caractéristiques électriques variables, en particulier pour hyperfréquences.
KR200200518Y1 (ko) 회로기판용 지그
PT1038088E (pt) Dispositivo de manipulacao de elementos tubulares e processo associado
TW358793B (en) Chain for a chain conveyor, and conveying system comprising such chain
US7715212B2 (en) Printed board including a joining portion and a bore
KR101933691B1 (ko) 유리패널 받침장치
JPH03158310A (ja) プリント基板電子部品組付搬送コンベア
CN208979684U (zh) 一种链条输送自动涨紧装置
JPH11177290A (ja) 電子部品実装ライン
DE19983940T1 (de) Ökonomisches System zum Aufbau einer Kommunikation zwischen zwei Kommunikationsendgeräten über das Internet
KR100270562B1 (ko) 공작기계의 컬럼 이송장치
JPH08222677A (ja) リードフレームのめっき装置
KR870000578B1 (ko)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KR20040061520A (ko) 표면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높이 조정장치
JPH04169461A (ja) 搬送ローラの補助具
JP2501048Y2 (ja) 簀枠の移送機構
KR0126828Y1 (ko) 포지션 플레이트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캐리어 행거
KR0131935B1 (ko) 용접구조물의 치구팰릿
KR100279275B1 (ko) 튜너의 관통콘덴서 솔더링 장치
JPH04369256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のメッキ方法
JPH0148669B2 (ko)
JPH0537116A (ja) 積層回路基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