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171B1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171B1
KR100265171B1 KR1019980039616A KR19980039616A KR100265171B1 KR 100265171 B1 KR100265171 B1 KR 100265171B1 KR 1019980039616 A KR1019980039616 A KR 1019980039616A KR 19980039616 A KR19980039616 A KR 19980039616A KR 100265171 B1 KR100265171 B1 KR 10026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rankshaft
groove
shaft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826A (ko
Inventor
윤갑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17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41J11/52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in which one paper or set is moved transversely relative to another
    • B41J11/53Devices for holding in place one paper or set during replacement of one or more of the auxiliary papers or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를 위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크기가 작으면서도 단단하거나, 빳빳한 용지가 인쇄장치부로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 관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는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에는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크랭크샤프트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압박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용지삽입보조장치의 작동이 끝난후에 크랭크샤프트의 홈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크랭크샤프트에 삽입된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중앙부가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지삽입보조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작은 크기의 용지가 인쇄장치로 삽입이 이루어질때에 용지의 처짐이나 휨 등을 방지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를 위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크기가 작으면서도 단단하거나, 빳빳한 용지가 인쇄장치부로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장치부에서 크기가 작은 봉투나 엽서 등을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급지장치부에 별도로 구비된 낱장봉투슬롯이나, 혹은 작은 크기의 봉투나 엽서를 위한 별도의 용지가이드를 급지장치부에 구비하여 낱장으로 인쇄를 하였다.
또한, 대량으로 작은 크기의 봉투나 엽서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우조절레버와 상,하조절레버를 사용하여 봉투나 엽서의 크기에 맞게 조절을 하여 인쇄를 행하거나, 또는 고정가이드부와 동작성을 갖는 동작가이드부를 구성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동작성을 갖는 동작가이드부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동작성을 갖는 동작가이드부에는 급지장치부에 래칫조절판과 간격유지돌기를 구비하여, 래칫조절판이 가이드래칫에 형성된 일방향성을 갖는 걸림돌기부에 걸려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된 급지장치부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으로 용지의 크기에 적당하게 조절하여 용지를 고정한 후에 급지를 행하였다.
그러나 삽입되는 용지의 크기가 작은 카드나 엽서 및 봉투와 같은 크기가 작고, 또한 단단하고 빳빳한 용지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 용지의 양측은 급지가 이루어져 인쇄장치부로 이송이 이루어지나 중앙부분이 처짐이나 휨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인쇄장치로 정확한 용지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인쇄를 필요로 하는 엽서나 봉투의 인쇄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쇄할 용지의 크기가 작은 용지일 경우에 발생하는 용지의 중앙부분의 처짐이나 휨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지의 중앙부분을 가이드하는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는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에는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크랭크샤프트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압박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용지삽입보조장치의 작동이 끝난후에 크랭크샤프트의 홈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크랭크샤프트에 삽입된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중앙부의 처짐이나 휨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에는 크랭크샤프트의 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샤프트삽입홈과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홈과 토션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작동부재는 삽입되는 용지를 압박하는 회전로울러와 용지안내프래임에 고정된 고정축에 삽입되는 고정축홈과 회전부재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의 힌지축에 삽입되어 작동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부재와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의 개략적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크기가 작은 용지에 의한 급지장치부가 구성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삽입보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용지삽입보조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삽입보조장치가 해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0 : 크랭크샤프트 122 : 홈부
300 : 용지삽입보조장치 310 : 회전부재
320 : 작동부재 330 : 탄력부재
340 : 토션스프링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인쇄기능을 갖는 인쇄장치(100)와 인쇄명령에 의하여 작동되는 인쇄장치(100)가 왕복작동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레버(110)와 작동레버(110)에 의하여 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120)를 구성한다.
급지장치부(200)는 고정패드하우징부(210)와 용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을 갖는 동작패드하우징부(220)를 구성한다.
상기의 동작패드하우징부(220)는 D형태의 크랭크샤프트(120)를 형성하여 삽입하고, 동작패드하우징부(220)에는 래칫조절판(222)을 눌러 가이드래칫(230)을 따라 삽입되는 용지(P)의 크기의 폭을 조절하도록 한다.
도 3은 크기가 작은 용지를 인쇄하고자 할 경우에 동작패드하우징(220)을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용지삽입보조장치(3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크랭크샤프트(120)에는 홈부(122)를 형성하여 크랭크샤프트(120)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10)와 연결되어 삽입되는 용지(P)를 압박하는 작동부재(320)로 이루어지는 용지삽입보조장치(3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용지삽입보조장치(300)의 작동이 끝난후에 크랭크샤프트(120)에 형성된 홈부(122)로 위치하도록 하는 크랭크샤프트(120)에 삽입된 탄력부재(33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재(310)에는 D형 크랭크샤프트(120)과 동일한 형상의 샤프트삽입홈(312)과 상기 작동부재(320)를 연결하는 연결홈(314)과 토션스프링(340)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316)를 구비한다.
작동부재(320)는 삽입되는 용지(P)를 압박하는 회전로울러(322)와 회전로울러가 장착되는 회전로울러장치부(324)와 용지안내프래임(140)에 고정된 고정축(142)에 삽입되는 고정축홈(326)과 회전부재(310)에 형성된 연결홈(314)에 삽입되는 힌지축(328)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재(320)의 힌지축(328)에 삽입되어 인쇄가 끝난후에 피드로울러(130)와 간격유지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부재(320)와 회전부재(310)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34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지삽입보조장치(300)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쇄명령에 의하여 인쇄장치(100)가 작동레버(110)를 밀면, 작동레버(110)는 크랭크샤프트(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패드하우징부(210)와 유동패드하우징부(220)에 구비된 승강레버(미도시)가 승강판(224)을 승강시키게 되면서 회전하는 피드로울러(130)에 인쇄할 용지(P)를 밀착시키게 된다.
인쇄되는 용지(P)의 크기가 작으면 유동패드하우징부(220)가 용지삽입보조장치(300)를 고정패드하우징부(210)측으로 밀게 된다.
밀린 용지삽입보조장치(300)는 크랭크샤프트(120)를 따라 회전부재(310)가 회전하게 되고, 용지안내프래임(140)에 고정된 고정축(142)에 의하여 고정된 작동부재(320)에 구비된 회전로울러(322)를 피드로울러(130)와 밀착시키게 된다.
즉, 회전부재(310)의 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작동부재(320)가 회전하여 피드로울러(130)와 밀착이 이루어져 삽입되는 용지(P)의 중앙부분을 가압하여 용이하게 인쇄장치(100)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삽입보조장치(300)가 피드로울러와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용지(P)의 인쇄가 끝나면 유동패드하우징부(220)를 원래의 위치로 환원시키고, 크랭크샤프트(120)는 역회전하게 되면서 크랭크샤프트(120)에 고정된 회전부재(310)도 회전하게 되며, 회전부재(310)에 연결된 작동부재(320)는 고정축(142)을 중심으로 역회전하게 되어 피드로울러(130)와 간격유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크랭크샤프트(120)에 삽입된 탄력부재(330)의 탄력으로 용지삽입보조장치(300)를 밀게 되어, 용지삽입보조장치(300)는 크랭크샤프트(120)에 형성된 홈부(122)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용지(P)의 크기가 큰 용지를 인쇄할때에는 용지삽입보조장치(300)가 작동이 이루어지지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되는 용지삽입보조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작은 크기의 용지가 인쇄장치로 삽입이 이루어질때에 용지의 처짐이나 휨 등을 방지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에는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에는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크랭크샤프트를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압박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용지삽입보조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용지삽입보조장치의 작동이 끝난후에 크랭크샤프트의 홈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샤프트에 삽입된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용지의 중앙부가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샤프트의 동일한 형상의 샤프트삽입홈과,
    상기 작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홈과 토션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삽입되는 용지를 압박하는 회전로울러와,
    용지안내프래임에 고정된 고정축에 삽입되는 고정축홈과 회전부재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힌지축에 삽입되어 작동부재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부재와 회전부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KR1019980039616A 1998-09-24 1998-09-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KR10026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16A KR100265171B1 (ko) 1998-09-24 1998-09-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16A KR100265171B1 (ko) 1998-09-24 1998-09-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26A KR20000020826A (ko) 2000-04-15
KR100265171B1 true KR100265171B1 (ko) 2000-09-15

Family

ID=1955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616A KR100265171B1 (ko) 1998-09-24 1998-09-2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1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26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16487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JPH0473175A (ja) プリンタ
JPH0437751Y2 (ko)
KR10026517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부
KR100631236B1 (ko) 감열식프린터
JP4784958B2 (ja) 走査用記録担体を導くガイド手段を有する装置
KR100233118B1 (ko) 프린터의 봉투 가압장치
JP3223502B2 (ja) 自動給紙装置
JPS5933651Y2 (ja)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JPH05229682A (ja) 用紙給送装置
JP2562303B2 (ja) プリンタの紙送り機構
JPS6342883A (ja) プリンタのヘツドギヤツプ調整装置
JPS5912882A (ja) 印字マスク機構
JPH0546448U (ja) Csfにおけるスライド式厚紙押えスプリング機構
JPS6031984A (ja) 印字装置の用紙セツト機構
JPH0756203Y2 (ja) 用紙案内装置
JPH04115838U (ja) 自動給紙機構
JPH05369Y2 (ko)
KR200162394Y1 (ko) 용지급지용 마찰판을 제어하는 구성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
JPH0226716Y2 (ko)
JP3574148B2 (ja) プリンター
JPH028779Y2 (ko)
KR19990000177U (ko) 급지카세트의 용지 흐트러짐 방지장치
JPS5924537Y2 (ja) レジスタ−用スタンプ印刷装置
JPH033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