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083B1 -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083B1
KR100265083B1 KR1019980029259A KR19980029259A KR100265083B1 KR 100265083 B1 KR100265083 B1 KR 100265083B1 KR 1019980029259 A KR1019980029259 A KR 1019980029259A KR 19980029259 A KR19980029259 A KR 19980029259A KR 100265083 B1 KR100265083 B1 KR 10026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ainer
wall frame
hinged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076A (ko
Inventor
양완
Original Assignee
양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완 filed Critical 양완
Priority to KR101998002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0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 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지된 상태의 유개차와 일정한 장소에 놓여진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신속히 넓힐 수 있게 하고, 위치를 옮기면서 넓은 실내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유개차 본체의 측벽이 힌지 결합된 프레임에 의해 절첩되는 유개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유개차 본체상단에는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을 설치하고,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의 소정위치에는 유개차 본체에 설치된 제1유압기의 피스톤 로드일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 타일단은 제2벽프레임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벽프레임 타일단은 유개차 본체 하단에 설치된 측벽패널겸 제2플로 일단과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 타일단은 유개차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개차 본체의 소정위치에는 제2유압기를 설치하며, 상기 제2유압기의 피스톤 로드일단과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는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한다.

Description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panding the insdie of van or container}
본 발명은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 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지된 상태의 유개차 또는 일정한 장소에 놓여진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신속히 넓힐 수 있게 하고, 위치를 옮기면서 넓은 실내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개차에 쓰이는 일반적인 실내공간 확장 기술은, 반조립식 벽구조물을 만들어, 이들의 분해와 조립을 통해 유개차에 정해진 실제 공간 보다 더 넓혀주는 것이다. 그러나 실내공간을 변화 시키는 과정에서 벽구조물을 조립하고 분해하는 일은 인력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확장된 공간을 얻는 이득에 비해 사전 준비에 들어가는 부담이 많은 단점이 있다.
위 기술은 컨테이너에도 그대로 전용 되었는데, 컨테이너는 유개차와는 달리 기동성이 떨어져 유개차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실내공간의 활용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측면이 있어, 이 기술의 사용이 유개차에 비해 적었다. 이는 컨테이너의 기동성에 영향을 주는 운반상의 문제점에서 발견된다. 즉, 컨테이너는 자력으로 트럭이나 트레일러에 적재하는 작업자체가 어렵고, 다양한 용도로서 실내공간을 확장 시켜 이용하는 기반이 취약 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 착안된 본인의 선출원 고안, 공고번호 78-1379호의 "차량 적재함의 확장을 위한 차벽 개폐장치"와 공고번호 78-1380호의 "벽면이 전개되는 차량 적재함의 벽면 지지장치"는 위 기술에서 발견된 문제점들 중 실내공간 확장 과정에서의 인력과 시간적 손실을 줄여 주도록 제공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공간확장장치의 구성예 로써, 이 기술은 차량측벽이 절첩되는 적재 차량에서 차량(1) 좌우측에는 내부(2')에 핀(7)(20)을 설치하고, 상단부 전면에는 공간(3)이 있는 지지대(4)(4')를 설치하고, 각 지지대(4)(4')의 측벽에는 스프링(10)(10')이 있는 지지관(9)(13)으로 연결하되, 지지관(13)의 선단에는 횡축을 축설하고, 측벽일단에 고정된 지지관의 선단과 핀(7)에는 체인(8)을 연결하되 각 지지대 상단에 횡축으로 축설된 체인기어(6)와 핀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횡축(5)에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여 웜기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하고, 이를 베벨기어(17)로 연결한 다음 핸들(19)을 통해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동작은 측벽이 닫혀진 상태에서 핸들(19)을 돌리면 베벨기어(17)와 웜기어(18)가 연동되어 횡축(5)을 회전시키고 횡축(5)에 축설된 체인기어(6)(6')가 회전되어 측벽(2)(2')을 밑으로 내려서 평면 상태가 된다.
그러나, 핸들을 직접 회전시켜 측벽을 움직이는 구조여서 조작성이 떨어지고, 작동성이 불완전 하였으며, 또한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부품들의 구동 접촉 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함께 컨테이너와 같이 기동성이 없는 구조물의 실내공간 확장장치로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개차 및 컨테이너에 주어지는 제한된 넓이의 실내공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장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간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위치를 옮기면서 넓은 실내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확장장치에 의해 컨테이너의 기동성 문제에서 생기는 운반상의 문제를 자력으로 없애는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차체 본체 상단에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을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은 소정 위치에 차체에 설치된 제1유압기의 피스톤 로드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의 다른쪽은 제2벽프레임과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2벽프레임의 일단은 차체 하단에 설치된 측벽패널겸 제2플로 일단과 차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차체의 소정 위치에는 제2유압기를 설치하여 이 제2유압기의 피스톤 로드와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를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유개차나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확장 시킬 수 있는 실내공간 확장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개차의 실내공간 확장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유개차의 실내공간 자동확장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유개차의 실내공간 자동확장장치 작동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유개차의 실내공간 자동확장장치 작동후 단면도.
도 5는 도 4 의 A - A' 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후 휠 하우징으로 생긴 구멍을 막는 휠 하우징겸 펜더보오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는 칸막이벽 구성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도 (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내공간 자동확장장치 작동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것으로서,
(가)는 작동전 측면도.
(나)는 작동후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유개차본체 101a:유개차본체의 제1천장
102,102a,102b,102c,102d,102e:힌지 103: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
103a:제2벽프레임 104:제1유압기
104a:제2유압기 105:제1플로(Floor)
105a:측벽패널겸 제2플로 106:칸막이벽
107:경첩 108:지지대
109:컨테이너본체 110:지지대
111:통풍구멍 112:휠 하우징겸 펜더보오드
113a,113b:로드 114:유압기 하우징
115,115a:중공형 파이프
본 발명의 구조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유개차(101) 및 컨테이너(109)에 적용 가능하다.
주요 부분은 차체 본체의 제1천장(101a) 상단에 힌지(102)와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을 설치하고,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은 본체(101)에 설치된 제1유압기(104)의 피스톤 로드 일단과 힌지(102a)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 다른쪽은 제2벽프레임(103a)과 힌지(102b)와 결합되고, 상기 제2벽프레임(103a)의 일단은 본체(101)하단에 설치된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일단과 힌지(102c)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은 본체(101)에 힌지(102d)와 결합되고, 상기 본체(101)의 소정위치에는 제2유압기(104a)를 설치하며, 상기 제2유압기(104a)의 피스톤 로드 일단과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은 힌지(102e)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의 절곡부에 형성되는 통풍구멍(111)에는 경첩으로 접고 펼칠 수 있게 구성된 휠 하우징겸 펜더보오드(112)를 장착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작동후 확장되었을 때 형성되는 통풍구멍(111)을 경첩으로 접고 펼칠 수 있게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 되었으며, 만약 차륜보다 플로가 높은차는 제1플로(105)와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가 힌지(102d)로 연결된 동일 평면이 됨으로 휠 하우징겸 펜더보오드(112) 장치와 상기 통풍구멍(111)이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개차 본체(101)의 벽이 개폐됨과 동시에 벽의 양측면에 설치된 칸막이벽(106)이 도 7과 같이 경첩(107)에 의해 절첩가능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과 제2벽프레임(103a)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는 경첩을 중공형 파이프(115)(115a)에 장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동작을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하면, 유개차 본체(101)내 공간을 확장 시킬 경우, 유개차 본체(101)에 장착된 제1유압기(104)가 작동하고, 이 제1유압기(104)의 피스톤 로드 일단은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과 힌지(102)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과 제2벽프레임(103a)은 제1유압기(104)의 작동으로 90°이상으로 회전 하면서 상승하여 유개차 본체 위로 펼쳐진다.
이 때, 도 4와 같이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의 일단은 제2벽프레임(103a)과 힌지(102b) 결합되어 있으므로 같이 움직인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벽프레임(103a)의 일단은 유개차 본체(101)의 제1플로(105) 하단에 설치된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일단과 힌지(102c)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므로,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일단은 유개차 본체(101)에 힌지(102d)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2벽프레임(103a)과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이 함께 회동한다.
또한 상기 유개차 본체(101)에는 제2유압기(104a)가 장착되어 상기 제2유압기(104a)의 피스톤 로드 일단과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가 힌지(102e)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상태이므로, 앞서와 같이 상승한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과 제2벽프레임(103a)을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의 제2유압기(104a)에 의해 아래도 동시에 하강하면서 확장된다.
이 때, 도 7 및 도 8과 같이 유개차 본체(101)의 측벽이 확장되는 것과 함께 측벽의 양측면에 설치된 칸막이벽(106)이 경첩(107)에 의해 확장된다.
또한 확장 후 도 7 의 (가)(나)는 경첩(107)으로 연결된 칸막이벽(106) 상 ,하부에 형성된 수돌쩌귀(116)(116a)가 유개차 본체(101) 상,하부에 형성된 암돌쩌귀(117)(117a)에 결합되어 세워져 상기 칸막이벽(106)을 수직으로 지탱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 외측에 지지대(108)를 부착하여 벽면이 개방되어 평면마루로 되었을 때 별도의 지지대(108)가 필요없이 벽면 자체에 부착된 지지대(108)가 자중으로 간편히 절첩되며 벽면을 지지현가 할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 외측에 부착된 지지대(108)는 자중으로 지표면에 수직상태로 서면서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105a)을 수평상태로 떠 받을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측벽은 유개차(101)의 폭을 빠른시간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약 3 배로 확장하여 다용도 공간으로 이용할수 있다.
확장후,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103)과 제2벽프레임(103a)이 결합되는 모서리 부분에 타이어 휠 하우징(112) 때문에 형성된 통풍구멍(111)이 있으므로, 이 구멍(111)은 도 6과 같이 힌지로 연결시켜 창문처럼 개폐할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타이어 훨 하우징에 의해 생긴 구멍을 휠 하우징겸 펜더보오드(112)를 부착하여 막는다.
그리고, 조작을 반대로 작동시키면, 상기와 같은 작동이 역으로 작동하여 원위치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9의 (가)(나)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109)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본체(109)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지지대(110)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대(110)는 (가)와 같이 컨테이너 본체(109)의 좌우/전후에 각각 2개소씩 설치되어 유압실린더로 가동되고, 이 지지대(110)를 작동시켜 상기 컨테이너 본체(109)를 지면에 고정 시킨다. 이 상태에서의 컨테이너 공간확장 과정은 유개차 적용과 마찬가지의 단계로 (나)와 같이 작동되어 컨테이너 실내공간을 확장 시킨다.
한편, 컨테이너 본체(109)에 설치되는 지지대(110)는 유압기의 도움으로 컨테이너 본체(109)를 트럭이나 트레일러에 적재할 수 있는 높이까지 올려놓고 적재대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이동에 따르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여 본 발명을 컨테이너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히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위아래에는 컨테이너 본체(109)측에 고정되는 로드(113a)(113b)를 연장하여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막는다.
그리고 유압기는 컨테이너에 마련된 유압기 하우징(114)에 보관이 가능하여 돌출부에 의한 이동장애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유개차 본체의 실내공간과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빠르고 간편하게 약3배로 확장하여 화물의 운송은 물론 이동 진료소, 도서실, 사무실, 주택등 다용도로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적용될 경우 컨테이너를 기중기 필요없이 간단히 트레일러나 트럭 등의 운반수단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어 컨테이너가 갖는 단점중 하나인 기동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체 본체 상단에 제1측벽프레임겸 제2천장을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제1측벽프레임겸 제2천장은 소정 위치에 차체에 설치된 제1유압기의 피스톤 로드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제1벽프레임겸 제2천장의 다른쪽은 제2벽프레임과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2벽프레임의 일단은 차체 하단에 설치된 측벽패널겸 제2플로 일단과 차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차체의 소정 위치에는 제2유압기를 설치하여 이 제2유압기의 피스톤 로드와 상기 측벽패널겸 제2플로를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유압기에 의해 제2벽프레임을 끌고 올라가면서 90°이상 각 프레임을 일원화 되게 위로 들어올려 유개차나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확장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확장 시키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개차의 벽이 개폐함과 동시에 벽의 양측면에 설치된 칸막이벽이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 시키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차체 하부에 유압기로 가동되는 지지대를 좌우/전후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유압기의 위아래에는 컨테이너 본체측에 고정되는 로드를 위아래로 연장하여 컨테이너 본체에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KR1019980029259A 1998-07-21 1998-07-21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KR10026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259A KR100265083B1 (ko) 1998-07-21 1998-07-21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259A KR100265083B1 (ko) 1998-07-21 1998-07-21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076A KR20000009076A (ko) 2000-02-15
KR100265083B1 true KR100265083B1 (ko) 2000-10-02

Family

ID=1954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259A KR100265083B1 (ko) 1998-07-21 1998-07-21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52B1 (ko) * 2008-11-27 2009-11-24 홍경삼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
KR101169345B1 (ko) 2009-05-29 2012-07-30 김승열 캠핑용 이동대차
KR102117188B1 (ko) * 2019-01-04 2020-05-29 김현호 복층형 이동식 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81B1 (ko) * 2008-12-11 2009-09-18 홍경삼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1503905B1 (ko) * 2013-09-17 2015-03-19 강신구 캠핑컨테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52B1 (ko) * 2008-11-27 2009-11-24 홍경삼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
KR101169345B1 (ko) 2009-05-29 2012-07-30 김승열 캠핑용 이동대차
KR102117188B1 (ko) * 2019-01-04 2020-05-29 김현호 복층형 이동식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076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7912A (en) Collapsible roof-top camper
MXPA04006167A (es) Sistema de soporte y montaje de estructura expansible, movil.
US6243992B1 (en) Arrangement of a mobile accommodation
WO2014037690A1 (en) Foldable building
US3889432A (en) Foldable modular shelter unit removably secured to a vehicle
KR100265083B1 (ko)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KR102046342B1 (ko)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1040088B1 (ko) 캠핑카의 측면패널 이송장치
KR100917981B1 (ko)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20110096209A (ko) 공간 확장을 위한 폴딩형 공간구조물
JPH0118225B2 (ko)
KR200356213Y1 (ko)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메인 컨테이너
KR20010095719A (ko) 절접 및 회전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고가 전광판
WO2014037691A1 (en) Expandable building assembly
AU2019100764A4 (en) Roof tent and bedding for same
CN106436911B (zh) 一种展开活动房
JP2000108775A (ja) 自動車の拡張可能なボディ構造
CN106080367A (zh) 折叠式空间可扩展装置
KR200402023Y1 (ko) 캠핑카
KR100894556B1 (ko) 확장형 컨테이너
JPH03262740A (ja) 自動車の荷箱
CN210365218U (zh) 具有折叠功能的集装箱
CN218268375U (zh) 一种折吊臂支撑冷弯型钢
JPH0393978A (ja) 工事現場用休憩室
KR20010028906A (ko) 절첩식 하우스 콘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