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686B1 - 가공 대차 - Google Patents

가공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686B1
KR100264686B1 KR1019970021285A KR19970021285A KR100264686B1 KR 100264686 B1 KR100264686 B1 KR 100264686B1 KR 1019970021285 A KR1019970021285 A KR 1019970021285A KR 19970021285 A KR19970021285 A KR 19970021285A KR 100264686 B1 KR100264686 B1 KR 10026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trolley
welding
bogi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251A (ko
Inventor
노부오 사이또오
가쓰조오 이시모도
Original Assignee
야마구찌 가즈오
스미쥬우테크노센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구찌 가즈오, 스미쥬우테크노센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구찌 가즈오
Priority to KR10199700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6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Abstract

대차 본체와, 구동수단과, 상기 대차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되는 차륜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을, 상기 차륜에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대차 본체에 배설되며, 주행면과의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위치와, 이 작동위치로부터 퇴피되는 퇴피위치와를 채용하는 영구 자석과, 이 영구 자석과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는 가공 토치와, 상기 대차 본체에 고정되는 핸들과를 갖는다. 이 경우, 가공대차를 주행면상에 놓고, 상기 레버를 약간 회동시키면, 영구 자석과 주행면과의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되어, 상기 영구 자석은 단숨에 넘어지고, 작동위치를 채용한다. 그리하여, 영구 자석이 작동위치를 채용하는 사이는, 상기 흡인력에 의해 가공 대차가 주행면에 눌러지므로, 각 차륜과 주행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가공 대차를 주행시킬 때에 견인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리하여, 가공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영구자석을 회동하여 퇴피위치에 놓으면, 영구자석이 주행면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흡인력이 없어지므로, 가공대차를 작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가 있다.

Description

가공 대차
본 발명은 가공 대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접 접합에 있어, 필릿 용접(fillet weld), 맞대기 용접(butt weld) 등을 할 때, 예를 들면, 주행면으로서의 수평 판재 위에 가공 대차로서의 용접 대차를 설치하고, 이 용접 대차를 수직 판재를 따라 주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접 대차는 모터를 구비하고, 이 모터를 구동하여 구동륜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주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모방 롤러가 설치되고, 이 모방 롤러를 수직 판재에 대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용접선 모방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용접 대차를 사용하여 용접을 하는 경우, 용접 대차를 용접 개시점에 설정하거나, 용접 종료점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용접 대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용접 용재로서의 와이어를 용접 토치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용접 대차와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를 용접 토치 케이블(torch cable)을 통하여 용접 토치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용접 대차의 주행 중에, 상기 용접 토치 케이블이 용접 대차를 추종하여 이동하므로, 용접 토치 케이블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력이 충분하지 아니하면, 용접선 모방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없다.
그리하여, 상기 견인력을 크게하기 위하여, 구동륜을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한 용접 대차가 제공되고 있다. 또, 용접 대차의 저부에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을 설치하고,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주행시키도록 된 용접 대차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용접 대차에 있어서, 구동륜을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한 용접 대차의 경우, 구동륜 표면의 마찰 계수가 작으므로, 구동륜과 수평 판재와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가 없다. 또, 구동륜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이물이 끼이면, 용접 대차가 선회하여 용접선 모방을 행할 수가 없게 되어, 용접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한편, 저부에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을 설치한 용접 대차의 경우, 구동륜을 고무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동륜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륜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도 용접 대차를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으며, 용접을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과 수평 판재와의 사이에 간격이 있으므로,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에 의한 흡인력을 그만큼 크게 하지 아니하면 안된다.
따라서, 전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흡인력을 크게 하려고 하면 전자석의 치수가 크게 되어 용접 대차가 대형화된다.
또, 흡인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과 수평 판재의 사이 간격을 좁게 하면, 예를 들어, 수평 판재에 용접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용접 대차를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영구 자석은 자중에 대한 흡인력이 크므로,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지만, 용접이 완료되어 용접 대차를 용접 종료점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취급이 나빠진다.
그리하여, 상기 영구 자석이 수평 판재에 가까운 작동 위치와, 수평 판재로부터 먼 후퇴 위치를 채택하여, 용접이 종료될 때에, 지레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영구 자석을 후퇴 위치에 놓고, 용접 대차를 작은 힘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영구 자석을 후퇴 위치에 놓기 위해서, 흡인력에 저항하여 레버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레버의 조작력이 크게될 뿐만 아니라, 레버의 기구도 대형화하게 된다. 또, 용접 대차를 제거할 때에 필요한 힘을 작게하기 위하여는, 수평 판재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후퇴 위치를 설정하지 아니하면 안되므로, 용접 대차의 치수가 크게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가공 대차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동륜과 주행면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륜과 주행면의 사이에 이물이 끼이더라도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 제거할 수가 있고, 또한 치수가 작은 가공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용접 대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용접 대차의 사시 저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영구 자석의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손잡이부가 갖는 레버의 기능은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접 대차 11 : 대차 본체
12 : 영구 자석 13a,13b : 회전축
14 : 레버 15 : 스프링
17 : 모터 28 : 전후방향 위치 조정장치
29 : 상하방향 위치 조정장치 30 : 각도 조정 브라켓
32 : 용접 토치 51 : 자석 수용실
52 : 우측 구동륜 수용실 53 : 좌측 구동륜 수용실
57 : 감속기 59 : 취부 상태 조정장치
77 : 손잡이부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대차에 있어서는, 대차 본체와, 구동 수단과, 상기 대차 본체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차륜과,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을 상기 차륜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수단과,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어 주행면과의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작동 위치 및 이 작동 위치로부터 물러나는 후퇴 위치를 채택하는 영구 자석과, 이 영구 자석과 연결되는 레버와, 상기 대차 본체에 장착되는 가공 토치와, 상기 대차 본체에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갖는다.
이 경우, 가공 대차를 주행면 위에 놓고, 상기 레버를 약간 회동시키면, 영구 자석과 주행면의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되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일순간에 넘어져 작동 위치를 채택한다. 그리하여, 영구 자석이 작동 위치를 채택하는 동안, 상기 흡인력에 의해 가공 대차가 주행면에 눌러지므로, 각각의 차륜과 주행면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가공 대차를 주행시킬 때에 견인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가공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영구 자석을 후퇴 위치에 놓으면, 영구 자석이 주행면과의 사이에 발생시키는 흡인력이 없어지므로, 가공 대차를 작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가공 대차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을 후퇴 위치로 향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이 경우, 가공 대차를 주행면 위에 놓고, 상기 레버를 약간 회동시키면, 영구 자석과 주행면의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되며, 영구 자석은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단숨에 넘어져 작동 위치를 채택한다. 그리하여, 영구 자석이 작동 위치를 채택하는 동안, 상기 흡인력에 의하여 가공 대차를 주행면에 눌러지므로, 각각의 차륜과 주행면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공 대차를 주행시킬 때에 견인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공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고 기울이면, 가공 대차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작동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도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영구 자석이 주행면과의 사이에 발생시키는 흡인력이 작게되므로, 영구 자석은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단숨에 후퇴 위치를 채택한다.
그리고, 이때, 영구 자석이 주행면과의 사이에 발생시키는 흡인력이 없어지므로, 가공 대차를 작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가공 대차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은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작동 위치에 있어 주행면과 평행하게 되고, 후퇴 위치에 있어 주행면과 비평행하게 된다.
이 경우, 영구 자석을 회동시킴으로서 흡인력을 작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가공 대차에 있어서, 상기 가공 토치는 용접 토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접 대차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접 대차의 사시 저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영구 자석의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용접 시에, 도면 번호 10은 도시하지 아니한 주행면, 예를 들어 수평 판재의 위를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가공 대차로서의 용접 대차이고, 도면 번호 11은 대차 본체이며, 이 대차 본체(11)는 알루미늄제의 상자로 구성되고, 상부 벽(11a)과, 전방 벽(11b)과, 후방 벽(11c)과, 주행 방향에 대해 우측에 배치된 우측 벽(11d)과,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된 좌측 벽(11e)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벽(11a)의 하측에는 전방 벽(11b), 후방 벽(11c), 우측 벽(11d) 및 좌측 벽(11e)에 의해 자석 수용실(51)이 형성되고, 우측 벽(11d)에 우측 구동륜 수용실(52)이 형성되고, 전방 벽(11b), 후방 벽(11c) 및 좌측 벽(11e)에 의한 좌측 구동륜 수용실(53)이 형성된다.
또, 상기 자석 수용실(51) 안에는 영구 자석(12)이 설치된다. 이 영구 자석(12)은 상기 상부 벽(11a)의 이면에 매달린 브라켓(16a, 16b)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제2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후퇴 위치와 파선으로 표시된 작동 위치를 채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영구 자석(12)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는, 회전축(13a, 13b)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a)은 브라켓(16a) 및 전방 벽(11b)을 관통해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자석 수용실(51) 밖에서 레버(14)에 고정된다. 또, 상기 회전축(13b)은 브라켓(16b)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상기 영구 자석(12)이 후퇴 위치보다 우측 벽(11d) 측으로 더욱 넘어지지 않도록, 예를 들어, 우측 벽(11d)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1 스토퍼가 설치된다. 또, 영구 자석(12)이 작동 위치보다 수평 판재 측으로 더욱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좌측 벽(11e)에는 제2 스토퍼(55)가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놓이게 된다.
그리고, 영구 자석(12)과 브라켓(16b)의 사이에 상기 회전축(13b) 주위에는 스프링,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15)이 설치되고, 이 코일 스프링(15)에 의하여 상기 영구 자석(12)이 후퇴 위치로 향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레버(14)를 화살표 B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켜 영구 자석(12)을 같은 각도만큼 기울게 하면, 영구 자석(12)은 수평 판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체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90°까지 단숨에 넘어지고, 제2 스토퍼(55)에 도달해서 정지하여, 작동 위치를 채택한다. 이 동안, 레버(14)는 영구 자석(12)에 추종하여 90°까지 회동되므로, 레버(14)를 조작하는 힘은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은 힘으로 레버(14)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영구 자석(12)을 작동 위치에 놓을 수 있으므로, 용접 대차(10)의 조작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용접 대차(10)가 수평 판재 위에 놓여져 있지 아니한 경우에, 영구 자석(12)은 수평 판재와의 사이에서 흡인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14)를 90° 회동시켜 영구 자석(12)을 작동 위치에 놓아도, 레버(14)를 조작하는 힘을 제거하면, 영구 자석(12)은 상기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단숨에 일어나서 후퇴 위치를 채택한다. 이 동안, 레버(14)는 영구 자석(12)에 추종하여 회동되므로, 레버(14)를 조작하는 힘이 불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영구 자석(12)은 2개의 자극(12a, 12b) 및 요크(12c)로 구성되며, 상기 자극(12a, 12b)은 영구 자석(12)의 일면을 통해 노출되고, 다른 면에 있어서 상기 요크(12c)에 의해 포위된다. 따라서, 자속(magnetic flux)은 상기 자극(12a, 12b) 사이를 연결하여 자극(1212a, 12b)이 노출되는 일면에만 형성된다.
이 경우, 영구 자석(12)을 작동 위치에 놓으면, 자극(12a, 12b)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자로(magnetic path)가 형성되고, 누설 자속을 거의 없앨 수가 있으므로, 영구 자석(12)에 의한 흡인력을 크게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영구 자석(12)을 기울이면, 자극(12a, 12b)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로가 그만큼 작아지므로, 영구 자석(12)에 의한 흡인력은 작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 자석(12)을 후퇴 위치에 놓으면, 자극(12a, 12b)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자로가 거의 형성되지 아니하여, 영구 자석(12)에 의한 흡인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구 자석(12)에 있어, 상기 자극(12a, 12b) 사이의 거리를 크게하여 심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영구 자석(12)에 의한 흡인력을 그만큼 크게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대차 본체(11)의 후단부에는, 상부 벽(11a)의 위에 감속기(57)가 배치되고, 이 감속기(57)의 위에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17)가 설치되며, 이 모터(17)를 구동시킴으로서 발생되는 회전이 감속기(57)에 의해 감속된 후, 이 감속기(57)의 출력축(57a)으로 출력된다. 이 출력축(57a)에는 구동축 베벨기어(18a)가 고정되며, 이 구동축 베벨기어(18b)와 종동측 베벨기어(18b)가 치합되고, 다시 이 종동측 베벨기어(18b)에 후륜 구동축(19a)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 베벨기어(18a)의 치수는 종동측 베벨기어(18b)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축(57a)에 출력되는 회전을 구동측 베밸기어(18a)와 종동측 베벨기어(18b) 에 의해 더욱 감속시켜 후륜 구동축(19a)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후륜 구동축(19a)은 대차 본체(11)의 후단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대차 본체(11)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후륜 구동축(19a)의 우측 일단은 우측 벽(11d)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자석 수용실(51)의 외측에서 우측 후방의 차륜(21a)에 고정된다. 또, 후륜 구동축(19a)의 좌측 일단은 좌측 벽(11e)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자석 수용실(51)의 외측에서 좌측 후방의 차륜(21b)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 본체(11)는 4륜 구동 방식으로 주행되어, 상기 후륜 구동축(19a)에 전달되는 회전을 우측 전방의 차륜(21c) 및 좌측 전방의 차륜(21d)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륜 구동축(19b)이 대차 본체(11)의 전단부에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대차 본체(11)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전륜 구동축(19b)의 우측 일단은 우측 벽(11d)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자석 수용실(51)의 외측에서 차륜(21c)에 고정된다. 또, 전륜 구동축(19b)의 좌측 일단은 좌측 벽(11e)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자석 수용실(51)의 외측에서 차륜(21d)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 구동축(19a)에 스프로켓(22a)이 고정되고, 전륜 구동축(19b)에는 스프로켓(22b)이 고정되며, 양 스프로켓(22a, 22b) 사이에 체인(24)을 걸어 감는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모터(17)를 구동함으로서 발생되는 회전을 구동축 베벨기어(18a), 종동측 베벨기어(18b), 후륜 구동축(19a), 스프로켓(22a, 22b), 체인(24) 및 전륜 구동축(19b)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전달 수단을 통하여, 각 차륜(21a 내지 21d)에 전달하여, 용접 대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차륜(21a 내지 21d)은 구동륜으로 된다. 그리고, 차륜(21a, 21b) 만을 또는 차륜(21c, 21d)만을 구동륜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차륜(21a 내지 21d)은 어느 것이라도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륜(21a 내지 21d)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륜(21a 내지 21d)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도 용접 대차(10)를 안정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영구 자석(12)과 수평 판재의 사이 간격을 약 7 mm로 설정하면, 영구 자석(12)이 발생시키는 흡인력은 10 kg 정도이고, 용접 대차(10)의 자중은 약 8 kg이므로, 약 18 kg의 힘을 상기 각 차륜(21a 내지 21d)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 대차(10)를 주행시키면서 용접을 행할 수가 있도록, 상기 대차 본체(11)의 중앙부에 가공 토치로서의 용접 토치(32)가 설치되고, 우측 벽(11d) 쪽을 위로 하고 좌측 벽(11e) 쪽을 아래로 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용접 토치(32)는 토치 클램프(토치 홀더; 31)를 조임으로서 취부 상태 조정 장치(59)에 고정되고, 선단에는 용접 용재로서의 와이어(32a)가 돌출된다. 또, 상기 용접 토치(32)의 후단에는 용접 토치 케이블(32b)이 접속되고, 이 용접 토치 케이블(32b)을 통해 도시하지 아니한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와이어(32a)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치 클램프(31)에 있어서, 상기 용접 토치(32)의 파이프 부분(32c)을 만곡시켜 조이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접 토치 케이블(32b)을 견인할 때에 용접 토치(32)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부상태 조정장치(59)는 용접 토치(32)의 선단을 용접 위치에 정확하게 놓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용접 토치(32)의 선단을 전후[용접 대차(10)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방향 위치 조정장치(28)와, 상기 용접 토치(32)의 선단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방향 위치 조정장치(29)와, 상기 용접 토치(32)의 기울기를 바꿔주기 위한 각도 조정 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향 위치 조정장치(28)는 조정 노브(28a) 및 이동 블록(28b)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블록(28b) 안에는, 상기 조정 노브(28a)에 의해 회전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사다리꼴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벽(11a)의 표면에는, 상기 사다리꼴 나사에 대응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랙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 노브(28a)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이동 블록(28b)을 화살표 C방향[용접 대차(1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상하방향 위치 조정장치(29)는 조정 노브(29a), 이동 블록(29b) 및 상기 전후방향 위치 조정장치(28)의 이동 블록(28b)에 고정되는 고정 블록(29c)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블록(29b) 안에는 상기 조정 노브(29a)에 의해 회전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사다리꼴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록(29c)의 표면에는 상기 사다리꼴 나사에 대응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랙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 노브(29a)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이동 블록(29b)을 화살표 D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정 브라켓(30)은 상기 이동 블록(29b)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형의 조정판(30a)과, 이 조정판(30a)의 4개 모서리에서 조정판(30a)을 이동 블록(29b)에 고정하는 나사(30b)와, 상기 이동 블록(2b)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조정 나사 및 부채 형상의 조정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정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서, 용접 토치(3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대차 본체(11)의 후단부에 있어, 상기 감속기(57) 및 모터(17)와 인접되는 제어 상자(33)가 상부 벽(11a) 위에 고정된다. 이 제어 상자(33)에는 각종의 제어 노브(33a)가 설치되며, 이 제어 노브(33a)를 조작함으로서 용접 대차(10)의 주행과 정지를 전환시키거나, 주행 속도를 변화시키거나, 용접의 개시와 종료를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 대차(10)를 도시하지 아니한 수직 판재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하여, 용접 대차(10)의 좌측 방향으로 한 쌍의 암(23a, 23b)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 암(23a, 23b)에는 모방 롤러(24a, 24b)가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용접 대차(10)를 주행시키는 동안, 상기 모방 롤러(24a, 24b)를 수직 판재에 대고 회전시킴으로서, 용접선 모방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암(23a, 23b)은 볼트(62)에 의해 각각 전방 벽(11b) 및 후방 벽(11c)에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모방 롤러(24a, 24b)의 대차 본체(1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암(23a, 23b)의 후단부에 긴 홈(61)이 형성되고, 이 긴 홈(61)에 볼트(62)를 삽입하여, 이 볼트(62)를 느슨하게 하여 각각의 암(23a, 23b)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암(23a, 23b)을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긴 홈(61)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H”형의 홈을 사용함으로서 각각의 암(23a, 23b)을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용접 대차(10)를 수직 판재를 따라 주행시키고, 용접 토치(32)에 의해 용접을 행하면, 용접에 수반하여 용융되는 금속이 비산된다. 그리고, 비산된 금속이 고화되고, 상기 좌측 구동륜 수용실(53) 내로 진입하여 차륜(21a 내지 21d)과 수평 판재의 사이에 끼이면, 용접 대차(10)가 선회하여 용접선 모방을 행할 수가 없게 되어, 용접을 부정확하게 한다.
그래서, 상기 좌측 구동륜 수용실(53)의 좌측에 스커트(72; 설명의 편의상 제1도에만 도시함)가 설치되고, 이 스커트(72)에 의해 좌측 구동륜 수용실(53)이 덮어진다. 또, 이 스커트(72)는 대차 본체(1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접 대차(10)의 주행 중에 있어 하단을 항상 수평 판재에 미끄럼 운동을 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수평 판재에 용접 비드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용접 비드 등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스커트(72)의 적어도 전방 하단부(72a)가 만곡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 대차(10)가 용접 종료점에 도달할 때에, 용접 대차(10)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전방 벽(11b)에 스톱 스위치(75)가 설치된다. 이 스톱 스위치(75)는 도시하지 아니한 스프링 등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힘을 가하는 압압부(75a)를 갖는다. 또, 상기 용접 종료점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75a)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아니한 스토퍼를 미리 배치시켜 놓는다.
따라서, 상기 용접 대차(10)가 용접 종료점에 도달하면, 상기 압압부(75a)가 스토퍼에 의한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눌러져 후퇴하여 스톱 스위치(75)를 오프(off)한다. 그 결과, 상기 모터(17)가 정지되고, 용접 대차(10)가 정지된다.
또, 대차 본체(11)의 후방 벽(11c)에는 손잡이부(77)가 장착된다. 이 손잡이부(77)는 후방 벽(11c)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입상부(77a) 및 이 입상부(77a)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손잡이(77b)로 구성되며, 이 손잡이(77b)는 대차 본체(11)의 중앙부로부터 전방까지 뻗어있다.
상기 손잡이부(77)는 용접이 종료된 후에, 손잡이(77b)를 잡아 용접 대차(10)를 운반하기 위한 핸들의 기능과, 상기 영구 자석(12)을 후퇴 위치에 놓기 위한 레버의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상기 손잡이부(77)가 갖는 레버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 손잡이부가 갖는 레버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면 번호 10은 용접 대차이고, 도면 번호 11은 대차 본체이고, 도면 번호 11a는 이 대차 본체(11)의 상부 벽이고, 도면 번호 11d는 상기 대차 본체(11)의 우측 벽이고, 도면 번호 11e는 상기 대차 본체(11)의 좌측 벽이고, 도면 번호 12는 영구 자석이고, 도면 번호 13b는 회전축이고, 도면 번호 15는 코일 스프링이고, 도면 번호 21a는 우측 후방 차륜이고, 도면 번호 21b는 좌측 후방 차륜이고, 도면 번호 55는 제2는 스토퍼이고, 도면 번호 77은 손잡이부이고, 도면 번호 77a는 이 손잡이부(77)의 입상부이고, 도면 번호 77b는 상기 손잡이부(77)의 손잡이이고, 도면 번호 81은 수평 판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 대차(10)가 수평 판재(81)의 위를 주행하고 있을 때, 영구 자석(12)은 수평 판재(8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체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작동 위치를 채택한다.
그리고, 영구 자석(12)이 작동 위치를 채택하는 동안, 상기 흡인력에 의해 용접 대차(10)가 수평 판재(81)에 눌러지므로, 상기 차륜(21a 내지 21 용접; 제2도 참조)과 수평 판재(81)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라서, 용접 대차(10)를 주행시키면, 상기 용접 토치 케이블(32b; 제1도 참조)이 용접 대차(10)에 추종하여 이동하지만, 용접 토치 케이블(32b)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용접선 모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이 종료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7b)를 잡아 손잡이부(77)를 화살표 E방향, 예를 들어 5° 정도 기울이면, 용접 대차(10)는 차륜(21a)의 가장 우측으로, 또한 가장 하단점(P1)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작동 위치에 있는 상기 영구 자석(12)도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이 영구 자석(12)과 수평 판재(81)는 비평행하게 된다.
그 결과, 영구 자석(12)이 수평 판재(81)와의 사이에 발생시키는 흡인력이 작게 되므로, 영구 자석(12)은 상기 코일 스프링(15)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단숨에 일어나서, 후퇴 위치를 채택한다. 이 때, 레버(14)는 영구 자석(12)에 추종하여 회동되므로, 레버(14)를 조작하는 힘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77)를 기울이지 않고 레버(14)를 조작함으로서 영구 자석(12)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점(P1)과 상기 손잡이(77b)의 중심(P2)의 거리를 AL로 하고, 상기 하단점(P1)과 상기 수평 판재(81) 위의 영구 자석(12)의 중심에 대응하는 점(P3)의 거리를 BL로 하였을 때, 거리 AL은 거리 BL의 약 3배가 된다. 따라서, 영구 자석(12)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의 1/3의 힘을 손잡이(77b)에 가하는 것만으로, 용접 대차(10)를 기울일 수가 있으며, 상기 영구 자석(12)을 후퇴 위치로 놓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부(77)를 화살표 E방향으로 기울임으로서, 영구 자석(12)을 퇴피 위치에 놓도록 되어 있지만,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7b)를 잡고, 화살표 E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손잡이부(77)를 기울임으로서 상기 영구 자석(12)을 후퇴 위치에 놓을 수 있다.
또, 가공 대차로서 용접 대차(10)를 사용하고, 이 용접 대차(10)에 용접 토치(32)를 탑재하여 용접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가공 대차로서 개스 절단 대차를 사용하고, 이 가스 절단 대차에 가스절단 토치를 탑재하여 가스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 대차는 수평 판재 위를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수직 판재 위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 번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a) 대차 본체(11)와, (b) 구동 수단(17)과, (c) 상기 대차 본체(1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차륜(21a 내지 21d)과, (d) 상기 구동 수단(17)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을, 상기 차륜(21a 내지 21d)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수단(18a, 18b, 19a, 22a, 22b, 24, 19b)과, (e) 회전축에 의해 대차 본체에 대하여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주행면과 평행하게 되어 주행면과의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작동 위치와, 주행면과 비평행하게 되는 후퇴 위치를 채택하는 영구 자석(12)과 (f) 상기 영구 자석(12)과 연결되는 레버(14)와, (g) 상기 대차 본체(11)에 설치되는 가공 토치(32)와, (h) 상기 대차 본체(11)에 고정되는 손잡이부(77)를 갖는 가공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12)을 후퇴 위치로 향하게 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15)을 갖는 가공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12)은 회전축(13a, 13b)에 의해 상기 대차 본체(11)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작동 위치에 있어 주행면과 평행하게 되고, 후퇴 위치에 있어 주행면과 비평행하게 되는 가공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토치(32)는 용접 토치인 가공 대차.
KR1019970021285A 1997-05-28 1997-05-28 가공 대차 KR10026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85A KR100264686B1 (ko) 1997-05-28 1997-05-28 가공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85A KR100264686B1 (ko) 1997-05-28 1997-05-28 가공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51A KR19980085251A (ko) 1998-12-05
KR100264686B1 true KR100264686B1 (ko) 2000-09-01

Family

ID=1950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285A KR100264686B1 (ko) 1997-05-28 1997-05-28 가공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6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258A2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하이워드 절단토치용 케리지
KR101159197B1 (ko) * 2009-09-15 2012-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절단 토치 가이드 장치
KR20200035421A (ko) * 2017-07-27 2020-04-03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주행 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97B1 (ko) * 2000-04-26 2002-10-2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로봇을 이용한 강관파일 절단장치
KR100778275B1 (ko) * 2006-11-08 2007-11-22 웰텍 주식회사 강관 외면 용접 로봇의 자동주행장치
KR101157014B1 (ko) * 2011-03-11 2012-06-21 주식회사 에치에스테크 강관 이음부 자동용접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091A (ja) * 1994-04-11 1995-10-24 Koike Sanso Kogyo Co Ltd 走行台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091A (ja) * 1994-04-11 1995-10-24 Koike Sanso Kogyo Co Ltd 走行台車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97B1 (ko) * 2009-09-15 2012-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절단 토치 가이드 장치
WO2011071258A2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하이워드 절단토치용 케리지
WO2011071258A3 (ko) * 2009-12-10 2011-09-01 주식회사 하이워드 절단토치용 케리지
KR20200035421A (ko) * 2017-07-27 2020-04-03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주행 대차
KR102525167B1 (ko) * 2017-07-27 2023-04-25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주행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5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2004B2 (ja) 加工台車
KR100274454B1 (ko) 대구경 각형 철골주의 수평횡향 자동용접용 주행장치
KR100264686B1 (ko) 가공 대차
JPH0952196A (ja) 走行台車
US20040026390A1 (en) Copying welding equipment
EP1327494B1 (en) Copying welding equipment
WO2003008142A1 (fr) Soudeuse de copiage
JPH087986Y2 (ja) アングル部材溶接装置
JPH09271946A (ja) 加工台車
JP6885759B2 (ja) 走行台車
JPH0347960B2 (ko)
JPH09300071A (ja) 突き合せ溶接部を立向溶接する自動溶接装置
JP3952552B2 (ja) 横向き自動溶接機の走行装置
JPH10277779A (ja) 加工台車
JPS6145984Y2 (ko)
KR200198968Y1 (ko) 자동 용접기용 이송장치
JP7250237B2 (ja) 溶接台車
JP2000176684A (ja) 溶接装置用走行台車
KR20030058691A (ko) 선박의 빌지킬 용접용 캐리지
JP2765074B2 (ja) 水平すみ肉溶接装置
JPS6384793A (ja) 溶接用無軌条自走台車
JP2016123991A (ja) プラズマガウジング装置
JPS5841017Y2 (ja) 水中半自動溶接装置
JP2000233279A (ja) 倣い溶接装置
JPH0811314B2 (ja) 倣い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