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434B1 -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434B1
KR100264434B1 KR1019960071844A KR19960071844A KR100264434B1 KR 100264434 B1 KR100264434 B1 KR 100264434B1 KR 1019960071844 A KR1019960071844 A KR 1019960071844A KR 19960071844 A KR19960071844 A KR 19960071844A KR 100264434 B1 KR100264434 B1 KR 10026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gnition system
disorder
shocks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819A (ko
Inventor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4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434B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고장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중인 엔진에서 발생되는 캠축 1회전당 충격 횟수와 충격 주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횟수와 엔진이 보유하는 실린더 수를 비교하여 점화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주기가 일정한 지를 판단하여 노킹을 포함한 엔진 이상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을 제공하여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되어 그 구성이 복잡한 엔진에서도 점화계통에 이상이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이를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고장 유무의 판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본 발명은 엔진의 고장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점화계통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점검자에게 이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실로 흡입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전자기술의 발달로 연료의 공급으로부터 연소에 이르는 각종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많은 전자장치를 도입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전자장치의 도입은 엔진이 보다 최적화된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배기유해가스를 저감하며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전자장치가 많이 도입된 엔진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엔진의 이상시에 그 고장부위를 신속히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센서를 포함한 전자장치가 도입된 엔진에 있어서, 점화계통의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자동적으로 감지 및 판단하여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필요한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충격 감지 센서
3 : CAS(Crank Angle Sensor) 4 : ECU
5,6 : 경고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은 작동중인 엔진에서 발생되는 캠축 1회전당 충격 횟수와 충격 주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횟수와 엔진이 보유하는 실린더 수를 비교하여 점화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주기가 일정한 지를 판단하여 노킹을 포함한 엔진 이상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작동중인 엔진에서 발생되는 캠축 1회전당 충격 횟수와 충격 주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횟수와 엔진이 보유하는 실린더 수를 비교하여 점화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주기가 일정한 지를 판단하여 노킹을 포함한 엔진 이상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에는 연소실에서 폭발이 일어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2)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캠축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CAS(Crank Angle Sensor)(3)를 설치하거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수를 캠축 회전수로 변환하는 계산을 ECU에서 실행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판단 알고리즘의 수행은 ECU(4)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ECU(4)에는 상기와 같이 판단된 결과를 운전자나 점검자가 알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알림수단으로 경고등(5,6)을 점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1)에 설치된 충격 감지 센서(2)와 CAS(3)로 작동중인 엔진(1)에서 발생되는 캠축 1회전당 충격 횟수와 충격 주기를 감지한 후 상기 충격 횟수와 엔진이 보유하는 실린더 수를 비교하여 그 충격 횟수가 실린더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어느 실린더에서 점화가 일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므로 점화계통(점화플러그, 점화코일, 점화케이블 등)의 이상으로 판단하고 이를 경고등(5)을 점등하여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 충격 감지 센서(2)와 CAS(3)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점화계통의 이상은 없는데 상기 충격의 주기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엔진은 노킹을 포함한 엔진 이상상태이므로 이를 경고등(6)을 점등하여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되어 그 구성이 복잡한 엔진에서도 점화계통에 이상이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이를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고장 유무의 판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작동중인 엔진에서 발생되는 캠축 1회전당 충격 횟수와 충격 주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횟수와 엔진이 보유하는 실린더 수를 비교하여 점화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주기가 일정한 지를 판단하여 노킹을 포함한 엔진 이상상태임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엔진 이상상태로 판단되면 운전자나 점검자에게 경고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KR1019960071844A 1996-12-24 1996-12-24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KR10026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44A KR100264434B1 (ko) 1996-12-24 1996-12-24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44A KR100264434B1 (ko) 1996-12-24 1996-12-24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19A KR19980052819A (ko) 1998-09-25
KR100264434B1 true KR100264434B1 (ko) 2000-08-16

Family

ID=1949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844A KR100264434B1 (ko) 1996-12-24 1996-12-24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434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tomotive Handbook, Robert Bosch GmBH, 1993 발간,pp 465 *
자동차 공학과 정비, 안정기저, 동신출판사 발행, 1995년 4월 10일 간행, 169쪽 및 170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19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3130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2009024548A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WO2003036067A1 (ja) エンジンのクランク角検出装置
KR100264434B1 (ko)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JP6156423B2 (ja) エンジンの点火装置
JP2013522540A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3961745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KR20180102837A (ko) 자동차의 크랭크 샤프트 위치 센서 고장 진단 방법
JP5277275B2 (ja) エンジンの故障診断方法及び故障診断装置
KR100222533B1 (ko) 진동 센서를 이용한 실화 감지장치
KR102119876B1 (ko) 단기통 4행정 엔진의 실화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0218774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0168368B1 (ko) 실화 판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4060450A (ja)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KR100221082B1 (ko) 점화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074984B1 (ko) 단 기통 엔진 실화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930003082B1 (ko) 역화(Back fire) 감지장치
JP2005127258A (ja) ガス燃料エンジン失火検出装置
KR100337334B1 (ko) 내연기관의 블로오버 발생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91673B1 (ko) 자동차용 타이밍벨트의 넘어감 모니터링 방법
KR20000035967A (ko) 미점화 연소 측정 방법
KR20060023260A (ko) 배기온을 이용한 미스파이어 감지방법
Kim et al. A study on reducing the computing burden of misfire detection using a conditional monitoring method
KR100210681B1 (ko) 엔진 결함 경고 장치
KR19980048568U (ko) 자동차 기통 폭팔 판별에 의한 엔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