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774B1 -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774B1
KR100218774B1 KR1019940014203A KR19940014203A KR100218774B1 KR 100218774 B1 KR100218774 B1 KR 100218774B1 KR 1019940014203 A KR1019940014203 A KR 1019940014203A KR 19940014203 A KR19940014203 A KR 19940014203A KR 100218774 B1 KR100218774 B1 KR 100218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engine
cycle
cylinder block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409A (ko
Inventor
한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774B1/ko
Publication of KR96000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16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transmission between sensing elements or personal controls and final actu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린더 내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면, 캠축 1회전에 실린더 수만큼 폭발이 이루어지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회전수에 따른 폭발주기를 측정하여 그 주기가 일정한 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되어 캠축 1회전시 실린더 수 만큼의 폭발이 없으면 점화 플러그 손상으로 판단하고,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노킹 또는 엔진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실행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방법.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감지부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폭발주기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센서로 엔진의 이상유무 및 점화플러그의 손상을 체크할 수 있는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을 높이는 데는 압축비를 높이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이것에는 가솔린의 항 노크성의 제약을 받는다.
혼합기를 배기 터보 과급기로 예압하는 터보 과급 엔진의 경우에는 특히 이 노킹 문제가 대두된다.
그러므로 터보 과급 엔진의 압축비를 되도록 낮추어야 하기 때문에 노크 센서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고, 또 고급차량에서 엔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노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센서는 지금까지 노크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노크 센서는 이상 연소 유무를 체크할 수 있지만, 점화 플러그의 손상을 체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실린더의 폭발시 주기를 충격센서로 감지하고, 폭발주기간의 시간간격을 비교하여 엔진의 노킹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린더 내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면, 캠축 1회전에 실린더 수만큼 폭발이 이루어지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회전수에 따른 폭발주기를 측정하여 그 주기가 일정한 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되어 캠축 1회전시 실린더 수 만큼의 폭발이 없으면 점화 플러그 손상으로 판단하고,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노킹 또는 엔진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실행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실린더 블러과, 이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홈내로 위치하는 케이싱 및 이 케이싱내에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질량체와, 상기 스프링으로 실린더 블럭의 충격을 전달하는 충격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질량체의, 외주에는 이 질량체 이동에 따라 유도 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코일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유닛으로 전기적 신호를 추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충격 감지부의 측단면도로서, 부호 2는 실린더 블럭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린더 블럭(2)은 피스톤이 직선이동할 수 있는 보어가 뚫려지며 그 측방으로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워터 자켓이 형성되는 그러한 일반적인 실린더 블럭일 수 있다.
이 실린더 블럭(2)의 소정위치에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충격감지수단(4)이 설치된다.
이 충격감지수단(4)은 실린더 블럭(2)에 홈을 형성하여 그 홈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케이싱(6)과, 이 케이싱(6)의 벽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측면이 실린더 블럭(2)과 면접촉을 하여 이 블럭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8)를 포함한다.
이 충격 센서(8)는 케이싱(6)에 서로 대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가 2개의 스프링(10,12)과, 2개의 댐퍼(14,16)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스프링과 댐퍼 사이에 질량체(18)가 연결되어 충격센서(8)로 전달되는 충격이 스프링(10,12)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질량체(18)의 외주에는 유도 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코일(20)이 위치되어 질량체(18)가 좌우로 이동시 유도전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코일(20)은 기전력 변화검출기(22)의 입력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전력 변화검출기(22)는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키는 전환기(24)의 입력단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 전환기(24)는 전자제어 유닛(ECU)의 입력단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폭발주기 감지장치는, 실린더내에서 점화되어 폭발이 이루어지면, 그 폭발력이 실린더 블럭(2)을 통하여 충격센서(8)로 전달된다.
이 충격센서(8)로 전달된 충격은 스프링(10, 12)으로 전달되면서 질량체(18)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질량체(18)의 이동으로 코일(20)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도 기전력은 질량체(18)기 이동을 하여야 발생되는 것이므로 실린더내에서 폭발이 없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댐퍼(14, 16)는 스프링(10, 12)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2차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경우, 그 발생유무는 기전력 변화검출기(22)에서 검출되어 전환기(24)로 전달되면서 전기신호로 바뀌게 된다.
전기신호로 바뀐 신호는 전자제어 유닛(ECU)로 입력된 신호는 캠축 1회전에 4기통 엔진의 경우 4번의 폭발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자제어 유닛의 작동 흐름도로서,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100)와, 캠축 1회전에 기통수 만큼의 폭발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110)와, 회전수에 따른 폭발주기를 측정하는 단계(120)와, 폭발주기가 일정한 가를 판단하는 단계(130)와, 노킹 또는 엔진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140) 및 경고등 표시작동 단계(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루틴은 상기한 전자제어 유닛(ECU)에서 충격의 발생을 감지하고 (단계(100), 단계(110)에서 그 충격이 캠축 1회전에 4번이 있는 가를 판단한다.
이것은 4행정 기관에서 크랭크 축 2회전에 캠축 1회전하고 이때 각 실린더는 1번씩 폭발이 일어나므로 이러한 사이클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판단을 한 후 정상적인 사이클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120)에서 회전수에 따른 폭발주기를 측정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폭발이 아니면 예컨데 캠축 1회전에 4번의 폭발이 없으면 실화된 것이므로 점화 플러그의 손상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120)에서의 폭발주기 측정은 정상적인 사이클이 이루어지지만, 점화순서에 따른 실린더 간의 폭발주기가 일정한 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130)
단계(130)에서의 판단이 일정한 주기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100)이전으로 피이드 백되고, 일정한 주기를 갖고 폭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노킹 또는 엔진의 이상으로 판단한다.(단계 140)
엔진 이상으로 판단되면 단계(150)에서는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등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은 캠축 1회전에 실린더 수 만큼 폭발이 이루어지는 판단하고, 또 폭발주기가 일정한 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점화 플러그의 손상 및 엔진 이상을 일거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노킹 센서로는 측정할 수 없는 엔진의 이상까지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조기 정비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실린더 블럭과, 이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홈내로 위치하는 케이싱 및 이 케이싱내에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질량체와, 상기 스프링으로 실린더 블럭의 충격을 전달하는 충격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질량체의 외주에는 이 질량체 이동에 따라 유도 기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코일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유닛으로 전기적 신호를 추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체가 스프링의 자유진동에 의해 2차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센서와 질량체는 댐퍼를 사이에 두고 연결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3. 실린더 내의 폭발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면, 캠축 1회전에 실린더 수 만큼 폭발이 이루어지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회전수에 따른 폭발주기를 측정하여 그 주기가 일정한 가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되어 캠축 1회전시 실린더 수 만큼의 폭발이 없으면 점화 플러그 손상으로 판단하고,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노킹 또는 엔진이상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실행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방법.
KR1019940014203A 1994-06-22 1994-06-22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218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03A KR100218774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03A KR100218774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409A KR960001409A (ko) 1996-01-25
KR100218774B1 true KR100218774B1 (ko) 1999-09-01

Family

ID=1938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203A KR100218774B1 (ko) 1994-06-22 1994-06-22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082A (ko) * 2016-05-10 2017-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리크 진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082A (ko) * 2016-05-10 2017-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리크 진단 방법
KR102478115B1 (ko) 2016-05-10 2022-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실린더의 리크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409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14B1 (ko) 내연 기관의 실화 검출 장치
KR20010059318A (ko) 자동차의 엔진 기통 판별 장치
JPH04365958A (ja) 内燃機関用失火検出装置
US10309872B2 (en) Misfire determina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257533A (en) Misfire det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aniels et al. Inaudible knock and partial-burn detection using in-cylinder ionization signal
US5493901A (en) Combustion state-detec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0218774B1 (ko) 자동차용 엔진의 폭발주기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5385482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US5421196A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reporting of misfiring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rough various submethods
Watanabe et al. A sophisticated engine control system using combustion pressure detection
US6305352B1 (en)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disturban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rque
US6945230B2 (en) Method for eliminating detonation in an engine
US4805442A (en) Knocking sens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22533B1 (ko) 진동 센서를 이용한 실화 감지장치
WO2001051808A1 (en) Method for eliminating detonation in an engine
JP2800409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KR102119873B1 (ko) 단기통 4행정 엔진의 실화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213233B1 (ko) 단 기통 엔진의 실화 진단 시스템 및 실화 진단 방법
KR100264434B1 (ko) 엔진의 점화계통 고장 판단 방법
Chung et al. A new concept of misfire detection using a wide-range oxygen sensor in a spark-ignition engine
KR19980048568U (ko) 자동차 기통 폭팔 판별에 의한 엔진 제어장치
KR100302803B1 (ko) 엔진실화검출방법
WO2018135280A1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20000035967A (ko) 미점화 연소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