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632B1 -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632B1
KR100263632B1 KR1019950020989A KR19950020989A KR100263632B1 KR 100263632 B1 KR100263632 B1 KR 100263632B1 KR 1019950020989 A KR1019950020989 A KR 1019950020989A KR 19950020989 A KR19950020989 A KR 19950020989A KR 100263632 B1 KR100263632 B1 KR 10026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ase
coil
termin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300A (ko
Inventor
유지 가미마에
Original Assignee
기지마히로시
스카이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지마히로시, 스카이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지마히로시
Publication of KR96003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5/00On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5/02On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without voltage- or current-dependen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5/00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5/04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 H01G5/06Capacitors in which the capacitance is varied by mechanical means, e.g. by turning a shaft;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using variation of effective area of electrode due to rotation of flat or substantially flat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20Continuous tuning of single resonant circuit by varying inductance only or capacitance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22Continuous tuning of single resonant circuit by varying inductance and capacitance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가변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진 가변공진장치에 대하여 조립효율을 향상시켜 제조비용을 내린다.
기판(25)에 플러그구멍(27a∼27e)을 형성하고, 기판(25)의 이면측에 이들 플러그구멍(27a∼27e)에 면한 접속전극을 형성한다.
평면적 코일(31)의 단자(31a, 31b) 를 플러그구멍(27a, 27b)에 꽂는다.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와 리드단자(33a)를 플러그구멍(27c, 27d)에 꽂는다. 케이스(39)를 기판(25)에 재치하여 스테이터부(33)를 둘러싸는 동시에 케이스(39)의 단자를 플러그구멍(27c)에 꽂는다. 케이스(39)에 로터부(41)를 수납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시켜서 가변콘덴서(43)를 형성한다. 기판(25)의 이면측을 납땜딥하여, 코일(31) 및 케이스(39)의 단자(31a, 31b, 39a, 39b) 및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를 접속전극에 납땜한다.

Description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공진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가변공진장치의 저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스테이터부의 개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가변공진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가변공진장치의 단면도(제5도중 VI-VI간 단면).
제7도는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의 제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참고로 되는 가변공진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판 1a, 1b : 관통구멍
3 : 중계단자 5 : 로터전극판
7, 41a : 로터축 7a : 오목홈
11 : 와셔 13 : 스테이터전극판
15 : 트리머콘텐서 17, 31 : 코일
17a, 17b : 코일의 단부 19 : 보빈
21, 39 : 케이스 21a : 조정용 손잡이
25 : 기판 27a∼27e : 플러그구멍
29a∼29f : 접속전극 33 : 스테이터부
33a : 리드단자 33b : 적층단부
35 : 스테이터판 37 : 스페이서판
39a, 39b : 단자 39c : 지지홈
39d : 걸림흠 41 : 로터부
41a : 로터축 41b : 로터판
41c, 41d : 경대부(徑大部) 41e : 드라이버홈
43 : 가변콘텐서 45 : 스프링
47 : 대형 절연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가변콘덴서와 코일을 접속한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에 관하며, 예컨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일반 복합텔레비젼 신호를 출력하는 RF 모듈레이터 회로나, 텔레비젼 튜너회로 등에 있어서 공진주파수나 발진주파수를 가변하는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가변공진 장치로서는, 이미 본 출원인이 1991년 7월 16일부로 일본국 실원평 3-63499호(실개평 5-11546호)로서 신규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기판(1)의 중앙부에 설치한 관통구멍(1a)에 중계단자(3)를 관통 고정하고, 로터전극판(5)을 가진 로터축(7)을 그 절연기판(1)의 상면측으로부터 관통구멍(1b)을 통하여 끼워 통하고, 하면측에서 도출편(9)이나 와셔(11) 등을 통하여 그 로터축(7)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그 절연기판(1)의 상면측에서 복수의 스테이터전극판(13)을 로터전극판(5)의 사이에 삽입하도록 하여 그 중계단자(3)에 지지시켜 트리머콘덴서(15)를 형성하고, 코일(17)의 일단(17a)을 그 상면측에서 그 중계단자(3)를 통하여 스테이터전극판(13)에 접속하는 한편, 타단(17b)을 그 절연기판(10)을 관통시켜서 도출판(9)과 함께 하면측으로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8도중 부호 19는 코일(17)의 보빈, 부호 21은 접속단자(21a)를 가진 도전성 케이스, 부호 23은 로터축(7)의 오목홈(7a)에 끼워져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한 조정용 손잡이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가변공진장치에서는, 트리머콘덴서(15) 및 코일(17)에 절연기판(1) 상에서 중계단자(3)를 통하여 접속되어 일체화되므로, 소형인 위에 여러가지 접속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을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제8도에 도시한 구성의 가변공진장치는 로터축(7)을 절연기판(1)이 하면측에서 도출편(9)이나 와셔(11) 등에 통과시키고나서 그 선단을 코킹 가공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한편, 절연기판(1)에 지지된 중계단자(3)에 복수의 스테이터 전극판(13)을 삽입하도록 지지시켜서 트리머콘덴서(15)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중계단자(3)에 코일(17)의 일단을 접속하는 구성이므로, 제조효율을 높일 여지가 있다.
즉, 트리머콘덴서(15)의 조립으로 효율을 높이거나, 트리머콘덴서(15)와 코일(17)과의 접속조립으로 효율을 높일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그와같은 상황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효율도 극히 높고, 대폭적인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변공진장치는, 복수의 플러그구멍과 이들 개개의 플러그 구멍에 임하여 형성된 접속전극을 가지는 절연성기판과, 그 플러그구멍에 양측의 단자가 꽂힌 평면적 코일과, 소정의 간격을 둔 복수의 스테이터판이 단부에서 적층되는 동시에 이 적층단부가 플러그구멍에 꽂히게 되는 스테이터부와 이 스테이터부를 둘러싸도록 그 기판에 재치(載置)되는 동시에 플러그구멍에 꽂힌 단자를 가진 도전성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서 스테이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한 로터판을 가지고 그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로터부를 가지고, 그 코일과 같은 측에 배치된 가변콘덴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단자 및 스테이터부의 적층단부가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테이터부에 리드단자를 설치하고, 이 리드단자와 상기 코일의 한쪽의 단자를 동일한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납땜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상기 스테이터판의 단부끼리 임시 고정하여 그 적층단부를 형성하면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변공진장치의 제법은 복수의 플러그구멍과 이들 개개의 플러그구멍에 면하여 설치한 접속전극을 가진 절연성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평면적 코일의 양측단자를 그 플러그구멍에 꽂는 공정과, 복수의 스테이터 판을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당해 단부를 적층 임시고정한 적층단부를 그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스테이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스테이터부를 도전성 케이스로 둘러싸는 동시에 이 케이스의 단자를 그 플러그구멍에 꽂도록 하여 그 기판에 케이스를 재치하는 공정과 로터판을 그 스테이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그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로터부를 축지지시켜서 가변콘덴서를 그 코일과 같은 축에 형성하는 공정과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각 단자 및 로터부의 적층단부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법에서는 상기 스테이터부에 리드단자를 형성하고 이 리드단자를 그 코일의 한쪽의 단자와 동일한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이와같은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에서는 코일의 양측단자를 기판의 플러그구멍에 꽂고, 이 코일과 같은 측에 있어서, 복수의 스테이터판의 단부를 적층하여 기판의 플러그구멍에 꽂고, 케이스로 그 스테이터부를 둘러싸는 동시에 케이스의 단자를 기판의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이것을 재치하고, 이 케이스에 로터부를 축지지시켜,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단자 및 스테이터부의 적층단부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면, 그들 코일, 스테이터부 및 케이스가 기판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부로부터 뻗은 리드단자와 상기 코일의 한쪽의 단자를 동일한 플러그구멍에 꽂아 납땜하는 구성에서는 동일한 플러그구멍에서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단자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면 공진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판의 단부끼리 임시 고정하여 적층단부를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납땜 후에도 상기 스테이터판 자체의 형상이 유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변공진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절연성 기판(25)은 스테아타이트나 알루미나 자기 등으로부터 예컨대 장방형 판형상으로 성형 가공되어 이루어지고, 표리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플러그구멍(27a 및 27e)을 가지고 있고, 네구석(25a)이 다소 돌출되어 있다.
기판(25)의 이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을 둘러싸도록 접속전극(29a 내지 29e)이나, 기판(25)의 가장자리에 치우친 위치에 접속전극(29f)이 증착, 프린트 및 그외의 종래 공지의 수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로 되돌아가서, 기판(25)의 표면에는 대략 1회전분의 평면적인 코일(31)이 재치되어 있고, 이 코일(31)로부터 굴곡된 양측단자(31a, 31b)가 플러그구멍(27a, 27b)에 꽂혀서 접속전극(29a, 29b)에 납땜되고(제3도 참조), 기판(25)의 이면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있다.
그리고 코일(31)의 한쪽의 단자(31b)는 플러그구멍(27b) 근방의 가늘고 긴 플러그구멍(27c)까지 뻗어 이것에 꽂혀서 납땜되어 있다(제3도 참조).
기판(25)에는 코일(31)과 같은 면에, 리드단자(33a) 부착의 스테이터부(33)가 리드단자(33a)를 플러그구멍(27c)에 그 적층단부(33b)를 근방의 사각형 플러그구멍(27d)에 꽂도록 하여 접속전극(29c, 29d)에 납땜되어서 재치되고(제3도 참조), 코일(31)과 공진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테이터부(33)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스테이터판(35)과 이것보다 작은 스페이서판(37)을 스테이터판(35)의 끝에서 교대로 적층하여 임시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판(37)의 두께분의 간격으로 복수의 스테이터판(35)이 대향하고 있고, 스페이서판(37)을 포함하여 적층한 적층단부(33b)가 플러그구멍(27a)에 꽂혀서 납땜되어 있다(제3도 참조). 단, 복수의 스테이터판(35)이 소정의 간격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면 스페이서판(37)은 필수인 것은 아니다.
기판(25)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부(33)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틀통형의 도전성 케이스(39)가 재치되어 있고, 네구석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단자(39a, 39b)가 기판(25)의 플러그구멍(27e)에 꽂혀서 접속전극(29e)에 납땜되어 있다(제3도 참조). 또한 케이스(39)는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케이스(39)는 1장의 도전판을 펀칭한 후 굴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기판(25)에 재치된 상태에서 상면측이 넓게 개방해 있고, 후술하는 로터부(41)가 그 상면측으로부터 끼워넣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일부의 단자(39a)는 다른 단자(39b) 보다도 길게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39)는 대향하는 측벽에 상방향으로부터 깊숙히 절단된 동일한 한쌍의 지지홈(39c)을 가지고 있고, 이 지지홈(39c)에는 로터부(41)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이 로터부(4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축(41a)과 이것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로터판(41b)을 가지고, 로터축(41a)의 양단이 경대부(41c, 41d)로 되어 있고, 한쪽의 경대부(41c)의 끝면에 드라이버홈(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터부(41)는 로터판(41b)이 스테이터판(35) 사이에 약간의 빈틈을 통하여 삽입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양단의 경대부(41c, 41e)가 케이스(39)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로터축(41a)이 지지홈(39c)에 끼워넣어져, 전기적으로 케이스(39)와 접속되도록 이것에 축지지되어, 제1도와 같이 가변콘덴서(4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부(41)는 케이스(39)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홈(39d)에 끼워넣어진자 형상의 스프링(45)에 의해 로터축(41a)이 지지홈(39c) 선단방향으로 억제되어 있고, 그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로터부(41)가 케이스(39)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또한 회전토크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로터부(41)의 케이스(39)로의 지지방향은 임의적이며, 제5도와 같이 도면중 하방으로 드라이버홈(41e)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반대로 드라이버홈(41e)이 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양태에 의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가변공진장치는 코일(31), 케이스(39)를 덮도록 시일드용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씌우거나 또는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하지 않은 예컨대 전자기기의 튜너부의 회로기판에 탑재되어, 로터부(41)의 드라이버홈(41e)에 지그를 끼워서 회전시킴으로서 공진주파수를 가변하여 사용된다.
또한 시일드용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 커버를 기판(25)의 네구석(25a)에 맞닿아 지지시키는 동시에 기판(25)의 이면의 접속전극(29f)에 납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자체에 로터부(41)에 있어서 로터축(41a)의 한쪽의 경대부(41c)가 돌출하도록 관통구멍을 형성하면 좋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에서는 기판(25)에 복수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과 이것을 둘러싸는 접속전극(29a 내지 29e)을 형성하고, 대략 1회전분의 코일(31)의 양측단자(31a, 31b)를 플러그구멍(27a, 27b)에 꽂고,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를 플러그구멍(27c)에 그 적층단부(33b)를 플러그구멍(27a)에 꽂고, 이 스테이터부(33)를 케이스(39)로 둘러싸는 동시에 네구석에서 돌출하는 단자(39a, 39b)를 플러그구멍(27e)에 꽂고, 케이스(39)의 지지홈(39c)에 로터부(41)를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시켜 이루어지므로, 예컨대 기판(25)의 이면을 도시하지 않은 용융땜납으로 한번에 납땜딥하면, 코일(31) 및 케이스(39)의 단자(31a, 31b, 39a, 39b) 및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33b) 및 리드단자(33a)가 접속전극(29a 내지 29e)에 한번에 납땜되어 그것이 기판(25)에 고정된다. 커버를 씌운 구성에서는 동일하게 커버도 한번에 납땜된다.
그때문에, 단지 코일(31) 및 케이스(39)의 단자(31a, 31b, 39a, 39b)나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33b)나 리드단자(33a)를 기판(25)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에 꽂는 것만으로 좋으며, 코일(31), 스테이터부(33) 및 케이스(39)를 한번에 납땜 고정 가능하므로 구성 및 조립이 극히 간단하다.
그리고 기판(25)의 표면(편면) 측만으로 코일(31), 스테이터부(33) 및 케이스(39) 및 로터부(41)를 재치할 수 있으므로, 이점에서도 조립이 용이하다.
더욱이,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와 코일(31)의 단자(31b)를 동일한 플러그구멍(27c)에 꽂아서 납땜하므로, 한번의 납땜으로 공진회로가 형성되고, 동일하게 이점에서도 구성 및 조립이 간소화된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는 필수적이 아니다.
또다시,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33b)를 임시 고정하여 그 적층단부(33b)가 접속전극(29d)에 납땜된 후,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를 납땜하는 경우, 접속전극(29a)의 땜납이 용융되어도, 스테이터부(33) 자체의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에 있어서 접속전극(29a 내지 29f)은 기판(25)의 표면측이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 내벽이외에 이들의 조합이라도 좋다. 또한 접속전극(29a 내지 29e)은 반드시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이들에 면하여 형성하면 좋다.
또 코일(31)은 상기한 바와같이 1회전분에 한하지 않고, 복수회전이라도 실시 가능하나, 기판(25)에 면접촉시키도록 재치한 쪽이 특성이 안정하므로 평면적인 형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의 제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변공진장치는 주로 기판(25), 코일(31),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로터부(41) 및 스프링(4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리 이들을 개별적으로 제조한다.
즉, 기판(25)은 스테아타이트나 알루미나 자기 등의 절연재료로부터 예컨대 장방형 판형상으로 성형하고, 표리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을 형성하고,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을 둘러싸도록 접속전극(29a~29e) 및 단의 접속전극(29f)을 이면화보에 증착, 프린트 및 그밖의 종래 공지의 수법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 접속전극(29a 내지 29e)은 기판(25)의 표면측이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에 스루홀을 형성하거나, 그들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접속전극(29a 내지 29e)에 면하여 형성하면 좋다.
코일(31)은 황동판으로부터 예컨대 펀칭과 같은 종래 공지의 수법이나 놋쇠봉으로부터 단자(31a, 31b)를 포함하여 1회전분을 C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표면을 은도금하는 동시에 양측의 단자(31a, 31b)를 굴곡 가공하여 형성한다.
스테이터부(33)는 놋쇠판으로부터 예컨대 펀칭과 같은 종래 공지의 수법에 의하여 형성한 스테이터판(35)과 스페이서판(37)을 단에서 교대로 적층하고, 이 적층단부(33b)를 임시 고정하여 은도금이나 니켈도금하여 형성한다. 이 적층단부(33b)의 임시 고정은 전기적인 용접압착이나 도전접착제에 의한 압착이나 그밖의 공지의 수법이 있으나 비교적 약한 압착으로 좋다.
케이스(39)는 철판 등의 1장의 도전판으로부터 펀칭한 후, 굴곡 가공하여 틀통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아연도금하여 형성한다. 또한 단자(39a, 39b), 로터부(41)를 끼워넣는 상면측의 개구부, 지지홈(39c) 및 걸림홈(39d)은 도전판에서의 펀칭시에 한번에 형성한다.
더욱이, 로터부(41)는 놋쇠봉으로부터 절삭등의 공지의 수법에 의하여 로터축(41a), 로터판(41b), 경대부(41c), 드라이버홈(41d)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표면을 은도금한다.
또다시 스프링(45)은 탄성이 양호한 예컨대 피아노선을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동시에 표면을 은도금등하여 형성을 한다.
또한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로터부(41)의 도금재료는 은이나 니켈에 한정되지 않고, 비용 및 부식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31a, 31b)를 플러그구멍(27a, 27b, 27c)에 꽂도록 하여 코일(31)을 기판(25)에 맞닿아 재치하고, 리드단자(33a)를 플러그구멍(27c)에 그 적층단부(33b)를 플러그구멍(27d)에 꽂도록 하여 스테이터부(33)를 기판(25)에 재치하며 실질적으로 스테이터부(33)를 완성한다.
그리고, 이 스테이터부(33)를 둘러싸는 동시에 네구석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39a, 39b)를 기판(25)의 플러그구멍(27e)에 꽂도록 하여 케이스(39)를 기판(25)에 재치하고, 로터판(41b)을 스테이터판(35) 사이에 약간의 빈틈을 통하여 삽입 가능한 위치에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로터부(41)를 케이스(39)의 지지홈(39c)에 회전 자유롭게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축지지시킨다.
더욱이, 스프링(45)을 케이스(39)의 측벽의 걸림홈(39d)에 걸림시켜서, 로터축(41a)을 지지홈(39c) 선단방향으로 억제한다.
이들 코일(31),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및 로터부(41)가 재치된 기판(25)의 이면을 도시하지 않은 용융땜납으로 침지하고, 코일(31)의 단자(31a, 31b),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 및 적층단부(33b) 및 케이스(39)의 단자(39a, 39b)를 기판(25)의 접속전극(29a 내지 29e)에 한번에 납땜하면, 그것이 기판(25)에 납땜 고정되어 본 발명이 가변공진장치가 완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가변공진장치의 제법에서도, 단지 코일(31) 및 케이스(39)의 단자(31a, 31b, 39a, 39b)나 스테이터부(33)의 적층단부(33b)를 기판(25)의 플러그구멍(27a 내지 27e)에 편면측에서 꽂는 것만으로 좋고, 코일(31), 스테이터부(33) 및 케이스(39)를 기판(25)에 한번에 납땜하므로, 조립이 간단하며, 제조효율이 극히 높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제8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참고가 되는 가변공진장치에 비해서 제조공수가 1/3로 감소하여 제조비용도 약 30% 절감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기판(25)에 코일(31) 및 케이스(39)의 단자(31a, 31b, 39a, 39b)나 스테이터부(33)의 리드단자(33a)나 적층단부(33b)를 기판(25)에 꽂아서 제조하는 경우의 실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장의 대형 절연판(47)에 복수의 기판(25)을 가로, 세로로 복수개 연속하여 형성하고, 분리하기 전의 개개의 기판(25)에 코일(31),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및 로터부(41)를 각각 재치하고 대형 절연판(47)의 이면자체를 용융 땜납으로 땜납딥한후, 절연판(47)을 개개의 기판(25)마다 분리하면, 개개의 가변공진장치를 한번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7도에서는 개개의 기판(25)의 도시를 간략화하였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법에 의하면 1장의 대형 절연판(47)에서 납땜한 후에 개개의 기판(25)으로 분리하는 응용예도 가능하며, 복수의 가변공진장치를 한번에 제조 가능하며, 양산성이 극히 높고, 한층 제조효율의 향상에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코일(31),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및 로터부(41)를 재치한 기판(25)에 대하여, 납땜하기까지의 사이에, 어떤 판체를 케이스(39)에 씌워서 기판(25)의 사이로 케이스(39) 등을 끼워두면, 납땜까지의 사이에 케이스(39) 등이 변위하기 어렵게 되어서 품질이 안정된 가변공진장치가 얻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코일(31), 스테이터부(33), 케이스(39) 및 로터부(41)의 납땜은 용융땜납으로의 땜납딥에 한하지 않고, 접속전극(29a 내지 29f)에 크림땜납을 도포하는 동시에 고온중에 꽂고 납땜하는 등 여러가지의 납땜 수법이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플러그구멍과 이들 개개의 플러그구멍에 면한 접속전극을 가진 절연성 기판을 형성하고, 그 플러그구멍에 평면적 코일의 단자를 꽂고, 복수의 스테이터판을 가진 스테이터부의 그 적층단부를 그 플러그구멍에 꽂고, 그 스테이터부를 둘러싸도록 케이스를 그 기판에 재치하는 동시에 이 케이스의 단자를 플러그구멍에 꽂고, 이 케이스에 로터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여 가변콘덴서를 코일과 같은 측에 형성하고,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단자 및 스테이터부의 적층단부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여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효율도 극히 높고 대폭적인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부로부터 뻗은 리드단자와 상기 코일의 한쪽의 단자가 동일한 플러그구멍에 꽂혀서 납땜되는 구성에서는, 그들 코일 및 케이스의 단자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는 것만으로 공진회로가 형성되어, 한층 구조의 간소화 및 조립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복수의 플러그구멍과 이들 개개의 플러그구멍에 임하여 형성된 접속전극을 갖고 있는 절연성기판과, 상기 플러그구멍에 양측의 단자가 꽂힌 평면적 코일과, 소정의 간격을 둔 복수의 스테이터판이 단부에서 적층되는 동시에 당해 적층단부가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혀서 이루어진 스테이터부와, 이 스테이터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에 재치되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힌 단자를 갖고 있는 도전성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서 상기 스테이터판 사이에 삽입가능한 로터판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로터부를 가지고, 상기 코일과 같은 측에 배치된 가변콘덴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코일 및 케이스의 상기 단자 및 상기 스테이터부의 상기 적층단부가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공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는 리드단자를 가지고, 이 리드단자와 상기 코일의 한쪽의 단자가 동일한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혀서 납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공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스테이터판의 단부끼리 임시 고정되어 상기 적층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공진장치.
  4. 복수의 플러그구멍과 이들 개개의 플러그구멍에 임하여 설치된 접속전극을 갖고 있는 절연성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과, 평면적 코일의 양측단자를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는 공정과, 복수의 스테이터판을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당해 단부를 적층하여 임시 고정한 적층단부를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스테이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스테이터부를 도전성 케이스로 둘러싸는 동시에 이 케이스의 단자를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도록 하여 상기 기판에 상기 케이스를 재치하는 공정과, 로터판을 상기 스테이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로터부를 축지지시켜서 가변콘덴서를 상기 코일과 같은 측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코일 및 케이스의 각 단자 및 상기 로터부의 적층단부를 상기 접속전극에 납땜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공진장치의 제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부에 리드단자를 형성하고, 이 리드단자를 상기 코일의 한쪽의 단자와 동일한 상기 플러그구멍에 꽂아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공진장치의 제법.
KR1019950020989A 1995-03-07 1995-07-18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KR100263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72494A JPH08250959A (ja) 1995-03-07 1995-03-07 可変共振装置およびその製法
JP95-72494 1995-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300A KR960036300A (ko) 1996-10-28
KR100263632B1 true KR100263632B1 (ko) 2000-08-01

Family

ID=1349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989A KR100263632B1 (ko) 1995-03-07 1995-07-18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50959A (ko)
KR (1) KR100263632B1 (ko)
TW (1) TW337050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37050B (en) 1998-07-21
JPH08250959A (ja) 1996-09-27
KR960036300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9615A (en) Field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JP3092542B2 (ja) Lc複合部品
CN109245393B (zh) 电机、电机的端盖及其制造方法
JP2012244901A (ja) アクチュエータ
EP3599676B1 (en)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mponent to a busbar, flat busbar and a system realized by such a method
JPH075928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ステータ
JPH07326450A (ja) ソ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63632B1 (ko) 가변공진장치 및 그 제법
CN115864029B (zh) 固定连接器以及具备其的连接器组件
US4389696A (en) Trimmer capacitor
KR200158972Y1 (ko) 가변 공진 장치
JP3040266U (ja) 多極電気コネクタプラグ
JPH0441621Y2 (ko)
JP2552678Y2 (ja) 可変共振装置
JP2005191976A (ja) リード端子、レゾネータ及び電子部品連
US4642729A (en) Variable porcelain condenser structure
JP2004015380A (ja) 電子部品用筐体の製造方法
JPS6025865Y2 (ja) 誘導素子を含む電気回路部品
JPH07135409A (ja) 誘電体同軸共振器の接続端子
JPH11176662A (ja) コイル
JP3660315B2 (ja) 面実装型の非可逆回路素子
JPS5934173Y2 (ja) チユ−ナ
JPH06231835A (ja) フィルタ付コネクタ
KR20210076703A (ko) 코일단연결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GB1599431A (en) Tun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