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619B1 -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619B1
KR100263619B1 KR1019980016665A KR19980016665A KR100263619B1 KR 100263619 B1 KR100263619 B1 KR 100263619B1 KR 1019980016665 A KR1019980016665 A KR 1019980016665A KR 19980016665 A KR19980016665 A KR 19980016665A KR 100263619 B1 KR100263619 B1 KR 10026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ipe
connection
branch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712A (ko
Inventor
전채석
Original Assignee
노형래
주식회사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박은규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래, 주식회사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박은규, 박재현 filed Critical 노형래
Priority to KR101998001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6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이질의 지관접속구를 관체부에 일체화시켜서 지관을 수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관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은 콘크리트로서 성형하여 그 내부에 배수통로(A)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관체부(10)를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10) 일정위치에 그 관체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뚫어서 관통된 외측면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된 조립단부(21)을 가지는 지관연결통로(20)를 설치하며,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에 대응하도록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접지판부(31)와 일체로 형성된 꺽임절첩부(32)를 통하여 연결되는 가변신축부(33)를 가지며, 그 가변신축부(33) 끝부분에서 소정의 직경으로 연장되는 내측에 절취횡막(341)으로서 막혀진 접속관부(34)를 가지는 이질의 지관접속구(30)를 구비하여, 상기 지관연결통로(20)가 위치된 관체부(10) 상에 상기 지관접속구(30)를 착설시켜서 일체화한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의 기설정된 해당위치에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설치하여서 준비하고, 성형틀(3)에 설치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성형틀(3) 내부에 지관접속구(30)를 가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지관접속구(30)가 가고정된 성형틀(3)을 회전시키면서 그 성형틀(3)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공급하여서 관체부(10)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틀(3) 내에서 관체부(10)를 성형하는 도중에 형성된 지관연결통로(20)와 연통되도록 지관접속구(30)를 일체화시켜서 제조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본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 및 오수를 배수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질의 지관접속구를 관체부에 일체화시켜서 지관을 수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관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의 하수도공사는 미리 굴토된 매설위치에 콘크리트배수관들을 상호 연결시키면서 일렬로 배관하고, 연결 배관된 콘크리트배수관에 지관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멍을 천공하고, 수용가 혹은 오수받이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지관을 콘크리트배수관에 천공된 접속구멍에 맞추어서 접속시킨 후에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하여서 시공하여 왔다.
이와 같은 하수도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콘크리트배수관에 천공된 접속구멍은 실제적인 지관의 관경보다 크게 천공됨으로써, 콘크리트배수관의 접속구멍과 지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하수도공사에서는 콘크리트배수관의 지관 접속부위에 발생된 틈새를 밀실하게 처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실제로 공사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노무자들에게 이러한 틈새처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일로 여겨져서, 대개의 경우 지관 접속부위에 발생된 틈새를 자갈등으로 대충 틀어막고 시멘트몰탈로서 마감하여 왔으며, 심한 경우에는 틈새처리작업을 생략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하수도관공사를 수행한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지관 접속부위에 토압이나 하중이 작용되면, 콘크리트배수관과 지관 사이가 크게 벌어지거나 아에 단락되어서 발생된 틈새를 통하여 하수 및 오수가 누출되어서 주변의 토질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서 성형된 내부에 배수통로(1b)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관체부(1a)와, 상기 관체부(1a) 일정위치에 내부의 배수통로(1b)와 연통되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관접속부(1c)를 가지는 콘크리트배수관(1)이 개발되어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배수관(1)은 관체부(1a)에 일체화시킨 지관접속부(1c)룰 가지기 때문에, 그 지관접속부(1c)로서 수용가 또는 오수받이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지관(2)을 간편하면서도 밀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배수관(1)은 그 지관접속부(1c)가 관체부(1a)와 동일한 콘크리트로서 일연체를 이루도록 성형되어 고형화된 형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지관(2) 접속작업을 수행할 때에 지관(2) 자체를 움직이거나 콘크리트배수관(1)을 움직여서 방향을 맞추어서 접속시키게 되어, 지관(2) 접속작업이 번거로우면서도 까다로워서 불필요하게 많은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면서도 작업능률은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배수관(1)의 지관접속부(1c)와 지관(2) 사이의 접속부위 틈새에 마감된 시멘트몰탈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면서 접속부위로부터 쉽게 떨어져서 분리됨으로써, 콘크리트배수관(1)의 지관접속부(1c)와 지관(2) 사이에 틈새가 재발되어서 그 접속부위 틈새를 통하여 콘크리트배수관(1) 내부에서 흐르는 오수 및 하수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배수관(1)을 성형 제조할 때에 도2에서와 같은 성형틀(3)을 사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성형틀(3)은 그 성형틀 자체에 지관접속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지관접속부용 성형부(3a)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배수관(1)의 제조를 위한 성형틀(3)은 지관접속부용 성형부(3a)의 위치를 이미 결정하여서 부설된 상태로서 제작됨으로써, 사실상 한 번 제작된 성형틀(3)은 그 지관접속부용 성형부(3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어, 시공현장의 요구에 따라 콘크리트배수관(1)에 일체로 성형되는 지관접속부(1c) 위치를 바꾸어서 제조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었으며, 또 시공현장의 주문에 맞는 콘크리트배수관(1)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성형틀(3)을 새로히 제작할 수 밖에 없어, 콘크리트배수관(1) 제조에 따른 경제성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관체부에 뚫어진 지관연결통로와 연통되도록 이질의 지관접속구를 일체화시켜주도록 구성하여, 첫째 지관의 방향에 맞추어서 간편하면서도 융통성있게 접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켜주며, 둘째 지관 접속부위의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수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상의 신뢰성을 제고하여주며, 셋째 지관접속구를 관체부에 일체화시켜서 성형하는 데에 따른 제반여건을 개선하여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여주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a는 종래 콘크리트배수관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1b는 종래 콘크리트배수관을 성형틀로서 제조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2는 본발명 콘크리트배수관의 사시도
도3은 본발명 콘크리트배수관의 일측단면도
도4a,도4b는 본발명 콘크리트배수관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5는 본발명 콘크리트배수관 제조시 성형틀에 지관접속구를 가고정시키기 위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6a,도6b,도6c,도6d는 본발명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공정을 단계별로 예시한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관체부 A: 배수통로 20: 지관연결통로
21: 조립단부 30: 지관접속구 31: 접지판부
32: 꺽임절첩부 33: 가변신축부 34: 접속관부
40: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 41: 외측취부판 42: 내측취부판
본발명도, 콘크리트로서 성형하여 그 내부에 배수통로(A)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관체부(10)를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100)은 도2 내지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부(10) 일정위치에 그 관체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뚫어서 관통된 외측면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된 조립단부(21)을 가지는 지관연결통로(20)를 설치하며,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에 대응하도록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접지판부(31)와 일체로 형성된 꺽임절첩부(32)를 통하여 연결되는 가변신축부(33)를 가지며, 그 가변신축부(33) 끝부분에서 소정의 직경으로 연장되는 내측에 절취횡막(341)으로서 막혀진 접속관부(34)를 가지는 이질의 지관접속구(30)를 구비하여, 상기 지관연결통로(20)가 위치된 관체부(10) 상에 상기 지관접속구(30)를 착설시켜서 일체화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도4a 및 도4b에서와 같이, 그 자체의 신축변형이 자유로운 지관접속구(30)를 구비하여 상기 관체부(10)에 뚫어져서 관통되는 지관연결통로(20)와 연통되도록 일체화시켜서, 상기 지관접속구(30)로서 수용가 혹은 우수받이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지관(2)의 방향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신축변형시키면서 지관(2) 접속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관접속구(30)과 지관(2)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긴밀하게 끼워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수밀성을 보장하여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체부(10)는 콘크리트로서 성형하여서 되며 그 내부를 따라 하수 및 오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관체부(10)는 내부가 트여진 원통형으로서 길게 형성하여서 내부에 배수통로(A)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관체부(10) 일측의 끝부분에는 그 관체부와 동일한 관경으로서 끼움단부(11)를 형성하고, 그 관체부(10) 타측의 끝부분에는 관경이 넓혀져서 단차지는 접속단부(12)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체부(10)는, 연결 배관시에 일측의 콘크리트배수관(100)의 끼움단부(11)가 타측의 콘크리트배수관(100)의 접속단부(12)에 끼워서 연이어지도록 배관하여서, 연결 배관된 콘크리트배수관(100)의 관체부(10) 내에 형성된 배수통로(A)를 따라 하수 및 오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지관연결통로(20)는 지관접속구(30)를 상기 관체부(10)에 일체로서 착설할 수 있는 위치의 설정 및 공간을 확보하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지관연결통로(20)는 예정된 해당 위치의 관체부(10)를 뚫어서 그 관체부(10) 내측의 배수통로(A)와 관통되도록 형성하여서 되며, 그 지관연결통로(20) 주변의 외측면 둘레에 조립단부(21)을 단차지게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에 상기 지관접속구(30)의 접지판부(31)를 접지 고정시켜서, 상기 관체부(10) 상에 지관접속구(30)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지관접속구(30)는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유연성의 고무를 소재로 성형하여서 되며, 상기 지관연결통로(20)와 연통되도록 착설되어서 지관(2)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지관접속구(30)는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에 끼워져서 착설되도록 최하부 외측 둘레에 접지판부(31)을 형성하고, 그 접지판부(31) 내주면 끝단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절접가능하도록 꺽임절첩부(32)를 통하여 원통형으로서 반복되는 수개의 굴곡주름(321)들로 이루어지는 가변신축부(33)를 형성하며, 상기 가변신축부(33) 끝부분에서 소정의 직경으로 연장되는 내측에 절취횡막(341)을 가지는 접속관부(34)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지관접속구(30)는 지관연결통로(20)에 연통되도록 착설된 상태에서, 수용가 및 우수받이로부터 연결되어 나온 지관(2)에 맞추어 가변신축부(33)를 자유롭게 신축변형시켜서 접속관부(34) 내에 지관(2)을 끼워넣어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지관(2)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지관접속구(30)를 통하여 지관(2)이 틈새없이 수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지판부(31) 내부의 일정간격마다 수개의 앵커볼트(311)들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내설하고, 상기 접지판부(31)의 앵커볼트(311)들을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의 단면내에 매립시켜서, 상기 지관접속구(30)를 관체부(10) 상에 더욱 견고하게 착설시켜서 일체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꺽임절첩부(32)는 상기 접지판부(31) 내주면 끝단 외측의 절개부(321)를 두고 연장되는 연결부(322) 외측에 걸림턱(323)를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3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322) 상에 절개부(321)를 기준으로 꺽임절첩부(32)가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콘크리트배수관(100)를 제조하거나 운반할 때에, 상기 지관접속구(30)의 가변신축부(33)를 포함한 접속관부(34)가 상기 지관연결통로(20)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지관(2) 접속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지관접속구(30)의 꺽임절첩부(32)을 통하여 가변신축부(33)를 포함한 접속관부(34)를 상기 지관연결통로(20)외측으로 펼친 상태에서 지관(2)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접속관부(34) 내측 끝부분에는 그 접속관부(34)를 통하여 끼워지는 지관(2)의 끝단이 맞닿아지는 대접판(343)을 형성하고, 그 대접판(343) 내측에 절취선(342)으로서 연결된 절취횡막(34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다.
이는,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제조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절취선(342)을 접속관부(34)의 대접판(343)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지관(2) 접속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접속관부(34)의 대접판(343)으로부터 절취선(342)을 끊어서 절취횡막(341)을 제거한 후에, 상기 접속관부(34) 내에 지관(2)을 끼워넣어서 상기 관체부(10)의 배수통로(A)와 연통되도록 접속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관부(34)의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개의 결착홈(344)들을 요입 형성하여서, 상기 접속관부(34) 내에 지관(2)을 끼워서 접속시킨 후에, 그 접속관부(34)의 결착홈(344)에 각기 착설되는 별도의 체결밴드(미도시)로서 상기 접속관부(34) 내에 접속된 지관(2)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발명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공정(100)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a는,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의 기설정된 해당위치에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설치하는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틀(3) 내에 설치되는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은, 이후에 성형틀(3)로서 콘크리트배수관(100)의 관체부(10)를 성형할 때에, 그 성형틀(3) 내에 지관접속구(30)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고정시켜주게 된다.
즉,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은 도5에서와 같이, 일정한 두께와 직경을 가지는 유연성의 판상체(411) 내에 수개의 영구자석(412)들이 내표면을 향하여 노출되게 매설하여서 된 외측취부판(41)과, 상기 외측취부판(41)의 영구자석(412)들과 반대의 극성으로서 수개의 영구자석(422)들을 외표면에 노출되게 매설된 접지판체(421) 중앙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확개형성되는 고정판체(423)의 저면을 만곡지게 감싸는 받침철판(424)을 가지는 내측취부판(42)으로 이루어져서, 관체부(10)을 성형하기 이전에 상기 성형틀(3) 내의 해당위치에 지관접속구(30)을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상기 성형틀(3)에 설치할 때에는, 그 외,내측취부판(41)(42)들 각각의 영구자석(412)(422)들이 상기 성형틀(3)을 사이에 두고 맞닿아지도록 배설하여서, 상기 외,내측취부판(41)(42)의 영구자석(412) 422)들이 서로 잡아당기는 자력선에 의하여 성형틀(3)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 그 자체를 성형틀(3)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통하여 지관접속구(30)를 성형틀(3) 내의 필요한 위치에 가고정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이루는 내측취부판(42)의 판상체(421)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받침턱(425)을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지관접속구(30)를 성형틀(3) 내에 가고정시킬 때에 그 지관접속구(30)의 꺽임절첩부(32)가 내향 절첩된 상태에서 그 꺽임절첩부(32)의 걸림턱(323)이 받쳐지도록 한다.
도6b는, 성형틀(3)에 설치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성형틀(3) 내부에 지관접속구(30)를 가고정시켜서 설치하는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틀(3) 내에 지관접속구(30)을 가고정시킬 때에는, 지관접속구(30)의 꺽임절첩부(32)를 내향 절접시켜서 가변신축부(33)를 포함한 접속관부(34)를 내측으로 꺽어넣은 상태로서, 상기 성형틀(3)에 설치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통하여 성형틀(3) 내에 가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지관접속구(30)의 걸림턱(323)이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의 내측취부판(42)에 형성된 받침턱(425)에 받쳐지도록 하고,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이루는 내측취부판(42)의 고정판체(423)를 향하여 지관접속구(30)의 접속관부(34)를 끼워넣어서, 성형틀(3) 내에 지관접속구(30)를 가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6c는, 지관접속구(30)가 가고정된 성형틀(3)을 원심회전시키면서 그 성형틀(3)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공급하여 관체부(10)를 성형하는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관체부(10)를 성형할 때에는, 지관접속구(30)를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의 성형틀(3)을 구동장치(4)에 안치시킨 후에, 그 구동장치(4)로서 성형틀(3)을 회전시키면서 성형틀(3) 내에 미경화콘크리트를 공급하면, 미경화콘크리트가 원심력에 의하여 성형틀(3) 내면에 펼쳐져서 내부에 배수통로(A)가 형성된 원통형의 관체부(10)로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성형틀(3)를 회전시키면서 관체부(10)를 성형하는 도중에, 성형틀(3) 내에 가고정된 상태의 지관접속구(30)에 의하여 성형되는 관체부(10)에 지관연결통로(20)가 형성되면서, 가고정된 지관접속구(30)가 성형되는 관체부(10)에 일체로 착설되어서,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성형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도6d에서와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성형된 콘크리트배수관(100)으로부터 성형틀(3)과 함께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분리 탈형시켜서,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행되는 본발명의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방법은, 성형틀(3) 내에 지관접속구(30)를 간편하게 설치하여서 관체부(10)에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지관(2)이 연결되어야 할 필요한 위치의 관체부(10) 상에 지관접속구(30)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구매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 며, 또 성형틀(3)을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히 제작함이 없이 기존의 성형틀(3)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성형틀(3) 제작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관체부에 뚫어진 지관연결통로와 연통되도록 이질의 지관접속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지관 접속작업을 간편,용이하게 면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접속부위에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지관을 수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성형틀에 구애됨이 없이 주문자의 요구에 맞추어서 지관접속구의 위치를 설정하여서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콘크리트로서 성형하여 그 내부에 배수통로(A)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관체부(10)를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10) 일정위치에 그 관체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뚫어서 관통된 외측면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된 조립단부(21)을 가지는 지관연결통로(20)를 설치하며,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에 대응하도록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접지판부(31)와 일체로 형성된 꺽임절첩부(32)를 통하여 연결되는 가변신축부(33)를 가지며, 그 가변신축부(33) 끝부분에서 소정의 직경으로 연장되는 내측에 절취횡막(341)으로서 막혀진 접속관부(34)를 가지는 이질의 지관접속구(30)를 구비하여, 상기 지관연결통로(20)가 위치된 관체부(10) 상에 상기 지관접속구(30)를 착설시켜서 일체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접속구(30)의 접지판부(31) 내부 일정간격마다 수개의 앵커볼트(311)들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내설하고, 상기 접지판부(31)의 앵커볼트(311)들을 상기 지관연결통로(20)의 조립단부(21)의 단면내에 매립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접속구(30)의 꺽임절첩부(32)는 상기 접지판부(31) 내주면 끝단 외측의 절개부(321)를 두고 연장되는 연결부(322) 외측에 걸림턱(323)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접속구(30)의 접속관부(34) 외주면 둘레에는 복수개의 결착홈(344)들을 요입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5. 콘크리트배수관(100)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3)의 기설정된 해당위치에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설치하여서 준비하고, 성형틀(3)에 설치된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을 통하여 상기 성형틀(3) 내부에 지관접속구(30)를 가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지관접속구(30)가 가고정된 성형틀(3)을 회전시키면서 그 성형틀(3) 내부에 미경화콘크리트를 공급하여서 관체부(10)를 성형하여, 상기 성형틀(3) 내에서 관체부(10)를 성형하는 도중에 형성된 지관연결통로(20)와 연통되도록 지관접속구(30)를 일체화시켜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접속구용 고정수단(40)은 도5에서와 같이, 일정한 두께와 직경을 가지는 유연성의 판상체(411) 내에 수개의 영구자석(412)들이 내표면을 향하여 노출되게 매설하여서 된 외측취부판(41)과, 상기 외측취부판(41)의 영구자석(412)들과 반대의 극성으로서 수개의 영구자석(422)들을 외표면에 노출되게 매설된 접지판체(421) 중앙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확개형성되는 고정판체(423)의 저면을 만곡지게 감싸는 받침철판(424)을 가지는 내측취부판(42)으로 이루어져서, 관체부(10)을 성형하기 이전에 상기 성형틀(3) 내의 해당위치에 지관접속구(30)을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의 제조방법.
KR1019980016665A 1998-05-09 1998-05-09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665A KR100263619B1 (ko) 1998-05-09 1998-05-09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665A KR100263619B1 (ko) 1998-05-09 1998-05-09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12A KR19990084712A (ko) 1999-12-06
KR100263619B1 true KR100263619B1 (ko) 2000-08-01

Family

ID=1953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665A KR100263619B1 (ko) 1998-05-09 1998-05-09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6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12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619B1 (ko) 지관접속구가 구비된 콘크리트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FI86764C (fi) Foerfarande foer foergrening av ett roer
JP3592658B2 (ja) 排水路の形成方法および排水路装置
KR102147273B1 (ko) 하수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101729734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JP2578342Y2 (ja) 下水道管における既設管との接続装置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JP2006083565A (ja) 暗渠管用継手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101524462B1 (ko) 개거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개거수로용 신축이음장치 시공 방법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1496635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JP3497383B2 (ja) マンホールと管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20010026627A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0841525B1 (ko) 하수관 접합식 맨홀
KR200406041Y1 (ko)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KR100992693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관로간의 방수용 연결구조
KR200224190Y1 (ko) 하수관의 가지관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