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585B1 -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585B1
KR100263585B1 KR1019970078923A KR19970078923A KR100263585B1 KR 100263585 B1 KR100263585 B1 KR 100263585B1 KR 1019970078923 A KR1019970078923 A KR 1019970078923A KR 19970078923 A KR19970078923 A KR 19970078923A KR 100263585 B1 KR100263585 B1 KR 10026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glass
ar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765A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주식회사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주식회사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101997007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5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캐빈의 내측에서 운전자가 레버를 동작하게 되면 차량의 외측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되며, 레버를 해제하게 되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게 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캐빈(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베이스(10)와;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 브라켓(20)과; 상기 도어 브라켓(20)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레버 브라켓(30)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어 있는 도어록(34)과;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레버(22)와; 측면 유리(8)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 시프트브라켓(51)에 연결하여 결합되는 도어록 암(48)과; 상기 측면 유리(8)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글래스 암(46)에 연결되는 글래스 브라켓(50)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내측에서 운전자가 작업도중에는 간단히 글래스 암을 동작함에 의해 도어를 폐쇄할 수 있고, 작업 완료시에는 도어 잠금레버를 해제하고 글래스 암을 작동함에 의해 간단히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빈의 내측에서 운전자가 레버를 동작하게 되면 차량의 외측에서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되며, 레버를 해제하게 되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게 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그 측면에 유리를 구비한 도어 브라켓이 캐빈의 소정부위(예를들어, 캐빈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안내레일을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 브라켓을 좌, 우로 밀게 되면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지, 종래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를 개폐하는 기능만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폐장치는 주로 농기계와 같은 소형의 차량에 적용되므로 별도의 도어 로킹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즉, 종래의 도어 개폐장치는 승용차와 같은 도어 로킹장치(즉, 모터와 레귤레이터등)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중에 농로나 비포장의 경사진길등을 이동하게 되거나 이와같은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 이동중 또는 작업중에 도어가 개방되게 되어 사용자(운전자)가 당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내측에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작업도중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내측에서 사용자가 간단히 도어 잠금레버를 동작시킴에 의해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캐빈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베이스와; 도어 베이스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 브라켓과; 도어 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레버 브라켓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어 있는 도어록과; 도어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레버와; 측면 유리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시프트브라켓에 연결하여 결합되는 도어록 암과; 측면 유리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글래스 암에 연결되는 글래스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주요부인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도4의 주요부인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빈 2 : 약탱크
6 : 시트 10 : 도어 베이스
20 : 도어 브라켓 22 : 도어 잠금레버
27 : 널링툴 30 : 레버 브라켓
33 : 돌출편 34 : 도어록
35 : 도어암 36 : 보조스프링
37 : 도어 스프링 41 : 글래스 시프트
42 : 축 46 : 글래스 암
48 : 도어록 암 50 : 글래스 브라켓
51 : 도어 시프트 브라켓 52 : 도어시프트
53 : 회동축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3은 도2의 주요부인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4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5는 도4의 주요부인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1은 캐빈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캐빈(1)의 내부 일측에는 도어 베이스(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는 도어 브라켓(20)이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어 브라켓(20)의 내측으로 레버 브라켓(30)이 삽설되어 있고 상기 레버 브라켓(30)의 일측에 도어록(34)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어 있고, 이 도어록(34)의 외주면에는 도어 스프링(37)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레버(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잠금레버(22)의 상부 일측에는 널링툴(27)이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지시부호 48은 도어록 암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록 암(48)의 일측에는 측면유리(8)의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시프트브라켓(51)에 결합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도어시프트(52)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53)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록 암(48) 하부 중앙 가까이에는 널링툴(48)이 형성되어 있다.
지시부호 46은 글래스 암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글래스 암(46)의 일측에는 측면 유리(8)의 소정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글래스 브라켓(50)에 결합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글래스시프트(41)의 일측에 형성된 축(42)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어 베이스(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6)의 일측에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는 도어 잠금레버(22)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잠금레버(22)의 상부에는 도어 잠금 레버고무(26)가 연결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레버 브라켓(30)은 도어 브라켓(20)의 내측으로 도어록(3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어록(34)의 돌출편(33)은 도어암(35)에 삽설되어 연결된다. 상기 도어 브라켓(20)과 도어암(35)의 일측은 도어 스프링(37)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암(35) 하부와 도어브라켓(20)의 표면에는 보조스프링(3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글래스 암(46)의 일측에는 글래스 시프트(41)가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 암(46)의 타측에는 글래스 브라켓(5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 브라켓(50)은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면 유리(8)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도어록 암(48)은 도어 시프트 브라켓(51)에 연결되어 측면 유리(8)에 연결되게 된다.
도1에서, 미설명 부호 2는 약탱크이고, 3, 4는 엔진카버이며, 5는 패카버이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 도어의 개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2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도3은 도2의 주요부인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잠금레버(22)를 사용자가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 잠금레버(22) 상부 일측에 형성된 널링툴(27)에 압압 연결된 레버브라켓(30)과 도어록(34)이 도어 스프링(37)의 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도어록(34)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편(33)에 연결된 도어암(35)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도어록 암(48) 하부 중앙 가까이에 형성된 널링툴(49)이 도어암(35)으로부터 이탈되면 사용자가 글래스 암(46)을 차량 외부로 밀면 상기 글래스 암(46)의 타측에 형성된 글래스시프트(41)의 일측에 형성된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측면유리(8)가 차량 외부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도어록 암(48)은 도어시프트(52)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축(53)을 중심으로 차량 외부로 회동하면서 측면유리(8)가 열리게 된다.
다음, 차량 도어의 폐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4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도5는 도4의 주요부인 잠긴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작업을 하기 위하여 캐빈(1)의 내측에 설치된 시트(6)에 앉은 상태에서 측면유리(8)에 부착된 글래스 브라켓(50)과 연결된 글래스 암(48)을 차량 내부쪽으로 당기면 글래스 암(46)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시프트(41)의 축(42)에 의해 글래스 암(46)이 회전됨과 동시에, 측면유리(8)에 부착된 도어시프트브라켓(51)과 연결된 도어록 암(48)이 상기 도어록 암(48)의 타측에 결합된 도어시프트(52)의 회동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록 암(48) 하부 중앙 가까기에 형성된 널링툴(49)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암(35)의 일면에 밀착되고 따라서 순차적으로 도어록(34)를 압압하면 레버브라켓(30)의 일측이 압압되고 반면에 상기 레버브라켓(30)의 타측에서는 도어 잠금레버(22)를 사용자가 수평으로 놓으면 상기 도어 잠금레버(22)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널링툴(27)이 상기 레버브라켓(30)을 압압한다. 이와같이 되면 상기 도어록(34) 외주면에 결합된 도어 스프링(37)과 상기 도어암(35)과 도어 브라켓(20)을 연결하는 보조스프링(36)에 의해 측면유리(8)을 밀착되게 폐쇄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시 도어암(35)의 흔들림에 의해 측면유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스프링(36)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운전자가 캐빈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잠금레버를 간단히 조작함에 의해 작업중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의 내측에서 운전자가 작업도중에는 간단히 도어 잠금레버를 동작함에 의해 도어를 폐쇄할 수 있고, 작업 완료시에는 도어 잠금레버를 해제함에 의해 간단히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정정) 캐빈(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베이스(10)와;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 체결되는 도어 브라켓(20)과; 상기 도어 브라켓(20)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레버 브라켓(30)에 연결되는 도어록(34)과; 상기 도어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 잠금레버(22)와; 측면 유리(8)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시프트브라켓(51)에 연결하여 결합되는 도어록 암(48)과; 상기 측면 유리(8)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글래스 암(46)에 연결되는 글래스 브라켓(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브라켓(20)은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측으로 도어록(34)이 삽설되어 레버 브라켓(30)에 연결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34)의 상부 일측에는 도어암(35)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암(35)을 지지하는 돌출편(3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4.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브라켓(20)과 도어암(35)은 도어 스프링(3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970078923A 1997-12-30 1997-12-30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26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23A KR100263585B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923A KR100263585B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65A KR19990058765A (ko) 1999-07-15
KR100263585B1 true KR100263585B1 (ko) 2000-08-01

Family

ID=1952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923A KR100263585B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5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76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40571A1 (fr) Procede servant a controler le trajet de deplacement d'une piece
KR100263585B1 (ko) 차량의 도어 개폐 장치
FR275277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n volet pour 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FR2381159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pour une fenetre articulee de vehicule
JPH048204Y2 (ko)
KR0177412B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클로징 장치
KR0131657Y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의 힌지 구조
JPH1134747A (ja) 小物入れのロック構造
JPH0239859Y2 (ko)
JPH066976Y2 (ja) サンル−フのシェ−ド装置
KR0153684B1 (ko) 차량용 후드잠금장치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FR2735433A1 (fr) Dispositif de support mobile pour un radiotelephone d'automobile
JP2868251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9980051525U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록킹 시스템
JPS6146026Y2 (ko)
KR19980026513U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KR20010064472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228079B1 (ko)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KR200141680Y1 (ko) 차량의 연료캡 및 연료캡도어 자동개폐장치
KR19980045299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JPH0628334U (ja) ヒンジ機構
JP2537122Y2 (ja) 自動車のリッド開閉装置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JP2000038090A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