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196B1 -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196B1
KR100263196B1 KR1019970075957A KR19970075957A KR100263196B1 KR 100263196 B1 KR100263196 B1 KR 100263196B1 KR 1019970075957 A KR1019970075957 A KR 1019970075957A KR 19970075957 A KR19970075957 A KR 19970075957A KR 100263196 B1 KR100263196 B1 KR 10026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wer case
optical
chi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981A (ko
Inventor
송덕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19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3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using guiding surfaces for the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파장 분할기에 내장되는 칩, 칩블럭 및 상기 칩블럭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칩어세이를 하부케이스에 장착할 때,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변형 가공하고, 외부로 돌출되는 광케이블과 상,하부케이스의 케이블안착홈과의 치수편차를 제거할 수 있는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안착홈에는 접촉되는 광케이블과의 치수편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돌기를 각각 형성시키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장착되는 상기 칩어세이와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돌출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파장 분할기에 적용.

Description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본 발명은 광파장 분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파장 분할기에 내장되는 칩, 칩블럭 및 상기 칩블럭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파장 분할기는 광의 신호를 변화, 가공하여 목표한 기능과 성능을 구현시켜 주는 광부품인 칩과 칩블럭 및 이를 전달하는 광케이블이 상호 결합되어 일정형상의 하부케이스에 내장된후, 그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상부케이스를 스크류 체결로 조립하여 상기 부품들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에 광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의 광파장 분할기의 구성 및 장착관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일정형상의 하부케이스(2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내측 좌우 모서리에는 상기 하부케이스(20)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30)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구멍(26a)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보스(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좌우 양단에는 광케이블(16)이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면을 갖는 케이블안착홈(22)이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그후,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는 정밀한 평탄도를 갖는 유리판(40)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유리판(40)의 상측에는 칩(12)과, 칩블럭(14)이 결합되며, 그 좌우 양단에는 광케이블(16)이 각각 연결된 칩어세이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6)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케이블안착홈(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후,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상측에는 상부케이스(3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의 광케이블과 접촉하는 좌우 모서리면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케이블안착홈(32)이 각각 형성된다. 그후,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를 스크류(40)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광파장 분할기는 하부케이스에 장착되는 칩과 칩블럭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그 하측에 별도의 평면유리를 안착시켜야 하기때문에 이에따른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안착홈과 이에 고정되는 광케이블 직경과의 치수편차로 인하여(도 2 참조), 상기 광케이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단선되거나, 칩블럭과 광케이블의 연결부위에 크랙이나 단락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칩어세이를 하부케이스에 장착할 때,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변형 가공한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돌출되는 광케이블과 상,하부케이스의 케이블안착홈과의 치수편차를 제거할 수 있는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칩어세이와, 상기 칩어세이가 안착되어 이에 연결된 광케이블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곡형의 케이블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광케이블과 접촉되는 좌우 모서리 부분에 곡형의 케이블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스크류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되는 광파장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안착홈에는 접촉되는 광케이블과의 치수편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돌기를 각각 형성시키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장착되는 상기 칩어세이와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돌출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에 광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에 광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칩어세이 12: 칩
14: 칩블럭 16: 광케이블
20: 하부케이스 22, 32: 케이블안착홈
30: 상부케이스 24, 34: 돌기
28: 돌출단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에 광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파장 분할기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칩어세이(10)와, 상기 칩어세이(10)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측에 스크류체결에 의해서 고정되어 상기 칩어세이(10)를 보호하는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칩어세이(30)는 광의 신호를 변화, 가공하여 목표한 기능과 성능을 구형시켜주는 광부품인 칩(12)과, 상기 칩(12)의 좌우 양단에 장착되는 칩블럭(14) 및 상기 칩블럭의 양단에 연결되어 하부케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광케이블(16)로 구성된다.
그후, 상기 칩어세이(10)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케이스(2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내측면에는 상부케이스(30)와 스크류(40) 체결을 하기 위한 스크류구멍(26a)이 형성된 다수개의 보스(26)가 적소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칩어세이(10)와의 단차보정을 위하여 일정한 높이로 돌출단(28)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28)은 상기 칩어세이(10)가 안착되기 때문에 정밀한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가동된다. 그후,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광케이블(16)이 외부로 유연하게 돌출되도록 곡형의 케이블안착홈(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안착홈(22)의 광케이블(16)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24)가 형성된다.
그후, 상기 하부케이스(20)와 결합되도록 상부케이스(3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광케이블(16)과 접하는 좌우 하측 모서리에도 역시, 케이블안착홈(3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안착홈(32)의 광케이블(16) 외주면과 접하는 면에도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의 케이블안착홈(32, 22)에 각각 형성된 돌기(34, 24)는 광케이블(16)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접촉면이 곡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광케이블(16)이 연결된 칩어세이(10)가 하부케이스(20)에 장착되고, 그 상측에 상부케이스(30)가 스크류(40)체결에 의하여 조립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16)은 상, 하부케이스(30, 20)의 케이블안착홈(32, 22)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34, 24)에 그 외주면이 단단히 물리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는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칩어세이를 장착할 때, 별도의 단차보정재를 사용하지 않고 돌출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따른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 하부케이스의 케이블안착홈에 형성된 돌기는 광케이블의 외주면을 단단히 고정시켜주기 때문에 치수편차로 인한 단선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광케이블이 연결되는 칩어세이와, 상기 칩어세이가 안착되어 이에 연결된 광케이블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곡형의 케이블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광케이블과 접촉되는 좌우 모서리 부분에 곡형의 케이블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와 스크류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되는 광파장 분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안착홈에는 접촉되는 광케이블과의 치수편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돌기를 각각 형성시키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장착되는 상기 칩어세이와의 단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돌출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의 상측 표면은 상기 칩어세이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정밀한 평탄도를 갖도록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케이블안착홈에 각각 형성된 돌기는 광케이블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접촉면이 곡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19970075957A 1997-12-29 1997-12-29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026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57A KR100263196B1 (ko) 1997-12-29 1997-12-29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57A KR100263196B1 (ko) 1997-12-29 1997-12-29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81A KR19990055981A (ko) 1999-07-15
KR100263196B1 true KR100263196B1 (ko) 2000-08-01

Family

ID=1952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57A KR100263196B1 (ko) 1997-12-29 1997-12-29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1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8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901B2 (en)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US200401964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3020025B2 (ja) パネル取付型電気コネクタ
CA2234498A1 (en) Antenna device and radar module
US4834486A (en) Connector sleeve adapter
KR20030065344A (ko) 게이지의 사용에 의하여 접촉 단자의 평평함을 쉽게점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표면-장착 가능한 커넥터 및게이지
JPH10233263A (ja) 基板用コネクタ
KR100263196B1 (ko) 광파장 분할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JPH0810609B2 (ja) 高背型コネクタ
WO2019139123A1 (ja) 光変調器、及びそれを用いた光送信装置
KR100262773B1 (ko) 광 섬유 케이블용 커넥터
US7314319B2 (en) Electrical module cover, electrical module and optical transceiver
KR100319201B1 (ko) 액정표시장치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CN110631698A (zh) 一种用于光纤光谱仪的狭缝结构
JPH09213423A (ja) コネクタ用スナップリング
KR1003887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JPH0821937A (ja) 光走査系レンズの支持構造
KR0136103Y1 (ko) 티·브이의 에이·브이 단자용 회로기판 고정구조
JPH06244516A (ja) 一体成形絶縁部品
JP2510043Y2 (ja) 係合装置
KR200180712Y1 (ko) 차단기용 단자 연결구
JPH11186756A (ja) 回路基板の支持固定装置
KR200279052Y1 (ko) 모니터가 구비된 다기능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록킹장치
KR200255674Y1 (ko) 텔레비젼 칼라브라운관의 공용화를 위한 곡면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