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190B1 -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190B1
KR100263190B1 KR1019980018337A KR19980018337A KR100263190B1 KR 100263190 B1 KR100263190 B1 KR 100263190B1 KR 1019980018337 A KR1019980018337 A KR 1019980018337A KR 19980018337 A KR19980018337 A KR 19980018337A KR 100263190 B1 KR100263190 B1 KR 10026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tate
press
check
p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736A (ko
Inventor
민용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1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8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수신 메시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소정 사이클 구간 내에서 특정 횟수의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 상태를 상기 사이클 구간별로 감지하여 키상태를 체크한 후 체크한 키상태에 따라 키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메시지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 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수신메시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호출기(Paging Receiver)는 무선호출 서비스 제공자에게 가입되어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기로서,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수신부 11은 무선호출 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 복조 및 파형 정형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 11의 출력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무선호출 정보가 되며, 상기 수신부 11의 출력은 디코더부 13으로 인가된다.
상기 디코더부 13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무선호출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즉, 아이들(Idle) 모드에서는 프리앰블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일정주기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배치(Batch) 모드에서는 워드싱크 데이터 및 설정된 프레임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프레임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제어부 15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경보기능 및 진동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 17은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문자 및 숫자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표시부 19는 상기 제어부 15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제어 신호에 의해 호출측의 메시지 및 무선호출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 15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전화번호와 함께 대응되는 개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영역을 구비한다.
경보부 21은 상기 제어부 1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제어 신호에 의해 호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톤신호 또는 진동신호등과 같은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키 입력부 23은 수신된 메시지를 검색할 때 소정의 키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무선호출기에서 메시지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키입력이 있어야 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키입력을 체크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어부 15의 포트중 하나를 할당하여 그 중 세 개의 키를 그라운드 시킨다. A, B, C중 어느 하나의 키를 누르면 이를 상기 제어부 15가 인식하는데 만일 눌러진 키의 값을 "영(0)"으로 한다면 상기 제어부 15는 세 개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의 값이 "0"이면 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며, 만일 두 개 이상의 키의 값이 "0"이라면 무시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어느 하나의 키가 "0"의 값을 유지한다면 "연속누름"인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호출기는 키입력의 체크에 있어서 키를 "한번누름" 또는 "연속누름"만 체크가 되고 키를 뗀 것이나 두 번 누른 것은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종래 무선호출기는 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키의 효과적 이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키입력의 체크시 키를 눌렀다가 뗀 것과 복수 횟수의 키누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소정 사이클 구간 내에서 특정 횟수의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 상태를 상기 사이클 구간별로 감지하여 키상태를 체크한 후 체크한 키상태에 따라 키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호출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 체크의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번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에 따른 수신메시지 검색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기의 구성은 도 1과 같으며, 키의 구성 또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도 무선호출기의 구성부 및 구성부의 인용부호를 도 1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하지만 키입력의 체크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키를 눌렀다가 뗀 것과 복수 횟수의 키누름을 인식할 수 있도록 메모리 17에 도 3의 일 예와 같은 키상태 저장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 15가 종래의 제어기능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 체크기능 자체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 체크방법을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한번누름", "두번누름", "연속누름"을 체크하는 제어흐름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한번누름", "두번누름", "연속누름"을 체크할 수 있는 지정된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지정된 시간 내에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를 감지하므로 써 키입력을 체크한다. 여기에서 키누름 해제란 키를 누르지 않고 뗀 상태를 가리킨다.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101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상태(KEY STATUS)가 준비상태(READY)에 있다면 1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준비상태 체크는 상기 도 3의 키상태 메모리 일 예에서와 같이 준비상태값, 예를 들어 "0"을 체크하여 판단한다. 상기 103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누름이 감지되면 105단계로 진행하여 'FIRST PRESS'값을 상기 키상태 메모리에 입력한다. 여기서 'FIRST PRESS'값이란 첫 번째 키누름 감지상태를 나타내는 임의의 값이다. 상기 105단계에서 'FIRST PRESS'값을 입력하였으면 107단계에서 제어부 15는 제1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해제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제1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해제되면 113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해제되지 않으면 109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1설정시간이란 한번누름, 두번누름과 연속누름을 구분하기 위하여 지정된 시간을 말한다. 상기 107단계에서 제1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해제되지 않으면 109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입력을 "연속누름"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연속누름이란 키를 제1설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연속누름"으로 판정되면 111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상태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던 모든 키상태 데이터를 초기화하도록 클리어 한다. 한편, 상기 107단계에서 제1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해제되면 113단계로 진행하여 'FIRST RELEASE'값을 입력한다. 여기서 'FIRST RELEASE'값이란 키가 한 번 눌렀다가 떼어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값이다. 그런 후 115단계에서 제어부 15는 제2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감지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2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감지되면 제어부 15는 12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5단계에서 제어부 15는 제2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한번누름"으로 판정한 후 119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 15는 키상태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던 모든 키상태 데이터를 초기화하도록 클리어 한다. 한편, 115단계에서 상기 제2설정시간 이내에 키누름이 감지되면 제어부 15는 키상태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던 모든 키상태 데이터를 초기화하도록 클리어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키입력시 한번만 누름, 두 번 누름, 지속적으로 계속 누름을 감지하여 해당 키입력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4에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 체크방법을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 체크의 제어흐름도이다. 상기 도 5의 일 실시예는 도 3의 키상태 저장 메모리와 도 6 - 도 8의 "한번누름", "두번누름", "연속누름"을 체크할 수 있는 시간 사이클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개의 사이클로 이루어진 키입력 체크 사이클을 구성하고, 각 사이클 구간을 루프라 칭하기로 한다. 도 5는 임의의 일 사이클의 구간, 즉 임의의 루프에서 수행되는 키입력 체크흐름으로써 완전한 키입력을 체크할 때까지 루프 카운트를 하나씩 증가시켜 키입력을 체크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번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번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누름"의 키입력을 체크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3, 도 6 -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201단계는 제어부 15가 새로운 루프카운트를 하나 증가시켜 새로운 루프, 사이클 구간에 대한 키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시작단계이다. 이렇게 새로운 사이클 구간에 대한 루프카운트가 하나 증가되면 상기 제어부 15는 203단계에서 키누름이 감지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키누름이 감지되면 205단계로 진행하고 키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2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키누름 감지는 제어부 15의 임의의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키가 눌러지는가를 검사하므로 써 이루어진다. 상기 203단계에서 키누름이 감지되면 205단계에서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FIRST RELEASE'값이란 임의로 지정한 값이다.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으면 207단계로 진행하여 "두번누름"으로 판정한 후 키입력 체크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두번누름"으로 판정하는 이유는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한 번의 키누름이 있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뒤이은 키누름은 "두번누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 제어부 15는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20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9단계에서 제어부 15는 'FIRST PRESS'값이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데, 상기 'FIRST PRESS'값이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213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1단계로 진행하여 'FIRST PRESS'값을 입력한 후 201단계로 돌아가 루프카운트를 하나 증가시켜 다음 루프의 키상태 체크를 203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FIRST PRESS'값은 임의로 지정한 값이다.
상기 209단계에서 'FIRST PRESS'값이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213단계로 진행하여 루프카운트 'N'을 검사한다. 상기 루프카운트 'N'이란 도 6 - 도 8의 전체 키입력 체크 사이클인 사이클(CYCLE)0부터 사이클5까지의 과정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이 값이 6이면 전 사이클 과정(사이클0부터 사이클5)을 거친 것으로 판정한다. 상기 루프카운트 'N'이 6이면 21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1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215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입력을 "연속누름"으로 판정한 후 종료한다. 여기서, 제어부 15가 키입력을 "연속누름"으로 판정하는 이유는 키가 눌러진 후 키입력 체크 사이클의 마지막 사이클까지 키누름이 지속됨을 체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203단계에서 제어부 15는 키누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217단계로 진행하여 'FIRST PRESS'값이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데, 상기 'FIRST PRESS'값이 저장되어 있으면 219단계로 진행하여 'FIRST RELEASE'값을 입력한 후 201단계로 돌아간다. 만약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FIRST PRESS'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221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 15는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키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키입력 체크를 종료하고, 상기 키상태 저장 메모리에 'FIRST RELEASE'값이 저장되어 있으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루프카운트 'N'이 6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루프카운트 'N'이 6이면 225단계로 진행하여 "한번누름"으로 판정한 후 종료하고, 루프카운트가 'N'이 6이 아니면 201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도 5를 정리하면;
1. "한번누름" 판정: 준비상태→키누름→'FIRST PRESS'→'FIRST RELEASE'→루프카운트'N'=6까지 키누름 없음
2. "두번누름" 판정: 준비상태→키누름→'FIRST PRESS'→'FIRST RELEASE'→키누름
3. "연속누름" 판정: 준비상태→키누름→'FIRST PRESS'값→루프카운트'N'=6까지 키누름 지속
이렇게 키입력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한번누름", "두번누름", "연속누름"으로 다양하게 체크하므로 써 부가되는 기능을 설명하면, 여기서 "한번누름"과 "연속누름"은 종래에도 체크되던 방법이므로, 본 발명에 따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두번누름"을 이용한 기능의 일 예를 도 9를 통해 들어본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에 따른 수신메시지 검색을 나타낸 도면으로, 키를 한 번만 누르면 하나의 메시지를 안에서 이동하고, 두 번 누르면 다음 메시지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와 같이 4개의 메시지(M1 - M4)가 수신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만약 사용자가 키를 한 번 눌러 M1-1에 있는 수신 메시지를 검색한 후 수신 메시지의 다음 부분인 M1-2를 검색하고 싶다면 이후 키를 한 번만 누르면 되고, 만약 다음 수신 메시지인 M2를 검색하고 싶다면 키를 두 번 누른다. 그러면 M1-1에서 M2-1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무선호출기에 키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있다면 좌/우키를 구분하여 순방향(메시지의 첫 부분에서 끝 부분으로의 방향)과 역방향(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신 메시지를 "한번누름" 또는 "두번누름"에 의해 상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입력 방법을 한번누름, 연속누름, 복수회 누름과 같이 다양화 할 수 있도록 키입력 체크방법을 제공하므로 써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 검색을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소정 사이클 구간 내에서 특정 횟수의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 상태를 상기 사이클 구간별로 감지하여 키상태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키상태 체크에 따라 키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이클 전구간에 대한 키상태 체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2과정을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누름 상태는 사용자가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에 따른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누름 해제상태는 키를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상태 체크로 판별되는 키입력 종류는 "한번누름", "연속누름", 그리고 "복수번 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상태 체크에 의해 판별된 키입력 종류에 따라 수신 메시지 검색에 따른 수신메시지 이동방법을 달리 수행하는 것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6. 메모리에 키상태 저장영역을 구비하며, 키누름 상태 및 키누름 해제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는 소정 사이클 구간 내에서 특정 횟수의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에 대한 키상태를 상기 사이클 구간별로 체크하여 상기 키상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 1과정과,
    다음 사이클 구간에서 키상태 체크시 현재 체크되는 상기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에 따른 키상태 정보와 상기 키상태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사이클까지의 키누름 및 키누름 해제에 대한 키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키입력 종류를 판별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소정 사이클 전 구간에 대한 키상태 체크가 완료될 때까지 각 사이클 구간마다 상기 제 2과정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상태 체크에 의해 판별된 키입력 종류에 따라 수신 메시지 검색에 따른 수신메시지 이동방법을 달리 수행하는 것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누름 상태는 사용자가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에 따른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누름 해제상태는 키를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상태 체크로 판별되는 키입력 종류는 "한번누름", "연속누름", 그리고 "복수번 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KR1019980018337A 1998-05-21 1998-05-21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KR10026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337A KR100263190B1 (ko) 1998-05-21 1998-05-21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337A KR100263190B1 (ko) 1998-05-21 1998-05-21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736A KR19990085736A (ko) 1999-12-15
KR100263190B1 true KR100263190B1 (ko) 2000-08-01

Family

ID=195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337A KR100263190B1 (ko) 1998-05-21 1998-05-21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83B1 (ko) 2005-10-1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 조작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83B1 (ko) 2005-10-10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플레이어 조작키 입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736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243C (fi) Dekoder samt foerfarande foer mottagande av en aktiveringskod i en oeverfoerd information.
US4660032A (en) Radio paging receiver operable on a word-scrolling basis
US4160240A (en) Binary digital pager having an eight function code read-out
US5822689A (en) Circuit and method using data synchronization for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paging receiver
KR100263190B1 (ko) 무선호출기의 키입력 체크방법
KR10031231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58209238A (ja) メツセ−ジ情報の受信機能を備えた無線個別選択呼出受信機
KR100263177B1 (ko) 무선호출기에서 읽지 않은 정보 메시지 보호방법
KR950022247A (ko) 어라팅 시간 자동-제어 기능을 가진 선택 호출 수신기
JP2002259032A (ja) 機能確定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217729B1 (ko) 지역 번호 검출에 의한 지역 명 표시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KR960001095B1 (ko) 모니터링 장치의 지속적인 터치처리 방법
JP2002259033A (ja) 機能確定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950030509A (ko) 계산기 기능을 가진 무선 호출기의 제어방법
KR970005437B1 (ko) 전화기의 알람기능 수행방법
KR0181121B1 (ko) 무선호출기의 전화번호 탐색방법
KR100229878B1 (ko) 무선 호출수신기에서 전화번호 입력 방법
KR19990004539A (ko) 미확인 메시지 확인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KR100263422B1 (ko)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KR100263076B1 (ko) 무선 호출기에서의 중요 메시지 검색시 경보 방법
KR0182432B1 (ko) 선별호출기능을 갖춘 무선호출기
KR20000003247A (ko) 비밀번호를 이용한 무선호출기 기능 다양화방법
KR970013842A (ko) 무선호출기에서 문자 수신 방법
JPH05233322A (ja) Cpu割込処理の優先順位制御回路
KR960016200A (ko) 코드분할다중억세스 시스템방식 휴대용 전화기의 알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