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422B1 -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422B1
KR100263422B1 KR1019980023936A KR19980023936A KR100263422B1 KR 100263422 B1 KR100263422 B1 KR 100263422B1 KR 1019980023936 A KR1019980023936 A KR 1019980023936A KR 19980023936 A KR19980023936 A KR 19980023936A KR 100263422 B1 KR100263422 B1 KR 10026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code
day
registr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942A (ko
Inventor
김영욱
김의호
Original Assignee
허애경
주식회사이노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애경, 주식회사이노버텍 filed Critical 허애경
Priority to KR1019980023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4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41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alternative alert, e.g. remote or silent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또는 특정일등록형식인가를 판단하는 등록형식판단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이면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코드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이면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일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및 특정일등록형식이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와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특정코드판단단계와, 상기 특정코드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와 동일하면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일반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수신알림단계와, 현재 날짜가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이면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는 특정일알림단계로 이루어져,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 수신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미리 등록된 특정일 및 특정일의 전일에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일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본 발명은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 수신시 그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된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에 그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10) 또는 전화기(20)는 메시지를 유무선망(30)을 통해 기지국(40)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40)은 상기 유무선망(30)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무선망 및 무선호출망(50)을 통해 페이징 단말기(60)로 송신하며, 상기 페이징 단말기(60)는 상기 무선망 및 무선호출망(50)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최근들어,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들은 단순한 기본기능 외에 특별한 부가기능을 많이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부가기능이 페이징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페이징 단말기가 제공하는 게임 등의 부가기능과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프로야구 정보, 주식 정보 등의 부가기능이 페이징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최근의 추세에 따라,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 수신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미리 등록된 특정일 및 특정일의 전일에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일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은,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또는 특정일등록형식인가를 판단하는 등록형식판단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코드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일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및 특정일등록형식이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특정코드판단단계와, 상기 특정코드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하면 등록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지시를 표시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일반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수신알림단계와, 매일 기준시간 마다 현재 날짜가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인가를 판단하여 현재 날짜가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이면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는 특정일알림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페이징 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을 수행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직접 등록방법의 순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코드등록형식의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일등록형식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 안테나 62 : 고주파수신부
63 : 디코더 64 : 키조작부
65 : 메모리 66 : 멜로디생성부
67 : 진동모터 68 : 표시부
69 :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을 수행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페이징 단말기는, 안테나(61)와, 고주파수신부(62), 디코더(63), 키조작부(64), 메모리(65), 멜로디생성부(66), 진동모터(67), 표시부(68) 및, 제어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주파수신부(62)는 상기 안테나(61)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더(63)로 출력하고, 상기 디코더(63)는 상기 고주파수신부(6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디코딩하여 메시지를 제어부(69)로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조작부(6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페이징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신호를 제어부(69)로부터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65)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 특정일코드, 특정일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진동모터(67)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페이징 단말기를 진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68)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69)는 상기 디코더(63)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및 상기 키조작부(64)로부터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페이징 단말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 수신시 그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상기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미리 등록된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에 그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상기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직접 등록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3 및 도 4에서 S는 단계(step)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에서는 제어부(69)가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단계(S2)를 진행하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S14)를 진행한다.
즉, 기지국에서 송신된 고주파신호는 안테나(61)를 통해 고주파수신부(62)에 수신되고, 상기 고주파수신부(62)는 상기 안테나(61)을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디코더(63)로 출력하며, 상기 디코더(63)는 상기 고주파수신부(6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디코딩하여 메시지를 제어부(69)로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9)는 상기 디코더(63)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입력되었으면 단계(S2)를 진행하고,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S14)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단계(S2)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상기 디코더(63)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인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이면 단계(S3)를 진행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이 아니면 단계(S6)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3)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하고, 이어서 단계(S4)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메모리(65)에 저장되는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표시부(68)에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S5)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메모리(65)에 저장되는 멜로디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특정멜로디를 생성한 다음 상기 단계(S1)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6)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상기 디코더(63)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인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이면 단계(S7)를 진행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이 아니면 단계(S10)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7)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하고, 이어서 단계(S8)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메모리(65)에 저장되는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표시부(68)에 표시한다.
이어서, 단계(S9)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메모리(65)에 저장되는 특정일구분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특정멜로디를 생성한 다음 상기 단계(S1)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0)에서는 제어부(69)가 수신된 메시지가 메모리(65)에 저장된 특정코드(SC)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단계(S11)를 진행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SC)와 동일하지 않으면 단계(S12)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1)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상기 특정코드(SC)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특정 멜로디를 생성한 다음 단계(S13)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2)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일반 메시지가 수신었음을 알리기 위해 일반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일반멜로디를 생성한 다음 단계(S13)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3)에서는 제어부(69)가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68)에 표시한 다음 상기 단계(S1)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S1)에서 제어부(69)가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S14)를 진행하고, 상기 단계(S14)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이미 구비되어 있는 타이머의 출력신호를 받아 현재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인가를 판단하여 현재시간이 기준시간이면 단계(S15)를 진행하고, 현재시간이 기준시간이 아니면 상기 단계(S1)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5)에서는 상기 제어부(61)가 타이머의 출력신호 및 메모리(65)에서 독출한 특정일코드(SD)를 비교하여 현재날짜가 특정일의 전일인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일의 전일이면 단계(S17)를 진행하고, 특정일의 전일이 아니면 단계(S16)를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S16)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현재날짜가 특정일인가를 판단하여 특정일이면 단계(S17)를 진행하고, 특정일이 아니면 상기 단계(S1)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단계(S17)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메모리(65)에 저장된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일구분코드(ST)를 독출하여, 상기 특정일구분코드(ST)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도록 멜로디생성부(66)를 제어하고, 상기 멜로디생성부(66)는 상기 제어부(69)의 제어에 따라 특정멜로디를 생성한 다음 상기 단계(S1)을 진행한다.
즉, 상기 특정코드등록형식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코드(S; Start code)와, 특정코드(SC; Special Code), 멜로디코드(M; Melody code) 및, 종료코드(E; End cod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시작코드(S)와, 멜로디코드(M) 및, 종료코드(E)는 페이징 단말기 개발시에 개발자가 임의로 정하는 것으로, 페이징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코드(SC)와 멜로디코드(M)의 값은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한 직접 등록방식 또는 무선호출방식에 의한 간접 등록방식에 의해 수시로 등록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코드등록형식에 대한 시작코드(S)를 "0", 멜로디코드(M)를 1자리, 종료코드(E)를 "9999"라고 정한 상태에서, "000002839001529999"라는 메시지가 페이징 단말기에 수신되면 페이징 단말기의 제어부(69)는 "0"을 시작코드(S)로 인식하고, "28390015"를 특정코드(SC)로 인식하며, "2"를 멜로디코드(M)로 인식하고, "9999"를 종료코드(E)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69)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시작코드(S)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임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특정코드(SC) 및 멜로디코드(M)를 메모리(65)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65)에는 다수개의 특정코드(SC) 및 멜로디코드(M)가 저장될 수 있음에 따라, 저장시에 일련번호를 부가하여 일련번호-특정코드(SC)-멜로디코드(M) 순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메시지지가 수신된 이후에 "28390015"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멜로디코드(M) "2"에 해당하는 멜로디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일등록형식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코드(S; Start code)와, 특정일코드(SD; Special Day code), 특정일구분코드(ST; Special day Type code) 및, 종료코드(E; End cod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시작코드(S)와, 특정일구분코드(ST) 및, 종료코드(E)는 페이징 단말기 개발시에 개발자가 임의로 정하는 것으로, 페이징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특정일구분코드(ST)는 특정일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이면 모임이 있는날, "2"이면 생일, "3"이면 결혼기념일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일코드(SD)와 특정일구분코드(ST)의 값은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한 직접 등록방식 또는 무선호출방식에 의한 간접 등록방식에 의해 등록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일등록형식에 대한 시작코드(S)를 "1111", 특정일구분코드(ST)를 1자리, 종료코드(E)를 "9999"라고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1111070529999"라는 메시지가 페이징 단말기에 수신되었으면 페이징 단말기의 제어부(69)는 "1111"을 시작코드(S)로 인식하고, "705"를 특정일코드(SD)로 인식하며, "2"를 특정일구분코드(ST)로 인식하고, "9999"를 종료코드(E)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69)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시작코드(S)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임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특정일코드(SD) 및 특정일구분코드(ST)를 메모리(65)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65)에는 다수개의 특정일코드(SD) 및 특정일구분코드(ST)가 저장될 수 있음에 따라, 저장시에 일련번호를 부가하여 일련번호-특정일코드(SD)-특정일구분코드(ST) 순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7월 4일 오후와 7월 5일 오전에는 특정일구분코드(ST) "2" 즉, 생일에 해당하는 멜로디가 울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정코드 및 특정일은 사용자가 페이징 단말기의 키조작부(64)를 조작하여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특정코드 및 특정일 직접 등록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0)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특정코드등록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특정코드등록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단계(S21)를 진행하고, 특정코드등록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단계(S22)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을 눌러 특정코드등록모드의 화면을 선택하고, 특정코드등록모드의 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읽기버튼을 눌러 특정코드등록모드의 선택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단계(S21)에서는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 및 읽기버튼을 조작하여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등록한 다음 상기 단계(S20)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을 눌러 원하는 숫자를 선택하고, 숫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읽기버튼을 한번 눌러 현재 선택된 숫자를 메모리(65)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하였으면 등록종료를 위해 읽기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연속해서 눌러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의 등록을 완료한다.
이어서, 단계(S22)에서는 상기 제어부(69)가 특정일등록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특정일등록모드가 선택되었으면 단계(S23)를 진행하고, 특정코드등록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단계(S20)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을 눌러 특정일등록모드의 화면을 선택하고, 특정일등록모드의 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읽기버튼을 눌러 특정일등록모드의 선택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단계(S23)에서는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 및 읽기버튼을 조작하여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등록한 다음 상기 단계(S20)를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키조작부(64)의 메뉴버튼을 눌러 원하는 숫자를 선택하고, 숫자가 선택된 상태에서 읽기버튼을 한번 눌러 현재 선택된 숫자를 메모리(65)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원하는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메모리(65)에 저장하였으면 등록종료를 위해 읽기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연속해서 눌러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의 등록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 수신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어떤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미리 등록된 특정일 및 특정일의 전일에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여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일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의사를 호출하는 각 병동 또는 각 담당과마다 다른 멜로디를 등록해 놓거나 위급한 상황의 정도에 따라 다른 멜로디를 등록해 놓는다면 멜로디만 듣고도 현재 상황을 알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확인 없이도 바로 달려가서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실험을 하는 연구소에서 연구실 내의 공기성분 중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농도 변화에 따라 다른 멜로디를 등록해 놓으면, 연구원들이 멜로디만 듣고도 현재 상황을 알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확인 없이도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또는 특정일등록형식인가를 판단하는 등록형식판단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코드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일등록형식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등록하는 특정일등록단계와,
    상기 등록형식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특정코드등록형식 및 특정일등록형식이 아니면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특정코드판단단계와,
    상기 특정코드판단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하면 등록된 특정코드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지시를 표시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미리 등록된 특정코드와 동일하지 않으면 일반멜로디를 생성함과 동시에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수신알림단계와,
    매일 기준시간 마다 현재 날짜가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인가를 판단하여 현재 날짜가 특정일의 전일 또는 특정일이면 특정일에 해당하는 특정멜로디를 생성하는 특정일알림단계로 이루어진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코드등록단계는, 등록되는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등록되는 멜로디코드에 해당하는 멜로디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코드등록형식은, 시작코드와, 특정코드, 멜로디코드, 종료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등록단계는, 등록되는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표시하는 단계와,
    등록되는 특정일구분코드에 해당하는 멜로디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등록형식은, 시작코드와, 특정일코드, 특정일구분코드 및, 종료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코드 및 멜로디코드 또는 특정일코드 및 특정일구분코드를 페이징 단말기 사용자가 페이징 단말기의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집적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KR1019980023936A 1998-06-24 1998-06-24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KR10026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936A KR100263422B1 (ko) 1998-06-24 1998-06-24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936A KR100263422B1 (ko) 1998-06-24 1998-06-24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942A KR20000002942A (ko) 2000-01-15
KR100263422B1 true KR100263422B1 (ko) 2000-08-01

Family

ID=1954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936A KR100263422B1 (ko) 1998-06-24 1998-06-24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4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942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1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grammed call-back-number-determined alert
EP079584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announcing reception of a call by a melody sound composed by a user
US6653930B1 (en) Urgency-based variable call notification
EP0962001A2 (en) Melodic alerts for communications device
JPH07298327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およびその表示方法
US657382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lerting method
KR100267699B1 (ko) 데이터수신기장치
KR100263422B1 (ko)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JP2972632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702436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8256368A (ja) 無線呼出受信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693929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217730B1 (ko) 전화번호부 기능 구현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JPH04253427A (ja) 無線受信装置
KR100233168B1 (ko) 페이져에서 선택된 알람음 발생 방법
JP2001155262A (ja) ワイヤレス受信器
KR100217728B1 (ko) 무선호출기에서 호출자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AU709180C (en) Data receiver apparatus
KR19990012147A (ko) 알람 메시지 표시 방법
JPH09102974A (ja) 携帯無線機の時刻表示制御方式
KR19990018650A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경보패턴 설정 및 경보 발생 방법
JP2818570B2 (ja) 表示機能付無線呼出受信機
JPH10210518A (ja) 通信装置
JPH08130760A (ja) ページャー
KR19990041638A (ko) 무선호출수신기의 호출자별 경보 발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