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968B1 -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968B1
KR100262968B1 KR1019970079711A KR19970079711A KR100262968B1 KR 100262968 B1 KR100262968 B1 KR 100262968B1 KR 1019970079711 A KR1019970079711 A KR 1019970079711A KR 19970079711 A KR19970079711 A KR 19970079711A KR 100262968 B1 KR100262968 B1 KR 10026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oltage
current
power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503A (ko
Inventor
한승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9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6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점등시 과도시간을 단축시키므로써 램프의 위험시간을 최소화하여 램프의 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스위칭 펄스에 따라 상기 램프의 구동전원을 발생하여 인가하는 구동전원 공급수단과, 고전압을 발생하여 램프에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수단과, 램프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과,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의 정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저장수단의 보정값을 기준으로 펄스 폭 변조를 하여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 제어수단과,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Appratus for Controlling Ballas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Projection Type Displa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이트 밸브 디바이스(Light Valve Device)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를 구동하는 밸러스트(Ballast)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라이트 밸브 디바이스(Light Valve Device)를 사용하여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전면 투사형인 프로젝터(Projector) 및 프로젝션(Projection)의 광원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를 사용되고 있다. 이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현존하는 광원으로서는 가장 높은 광효율과 화면구현에 적합한 칼라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쇼트 ARC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통상의 메탈 할라이드 램프와는 달리 점등을 하고 그 점등을 안전적으로 유지시켜 램프의 수명을 보장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술한 램프를 구동하는 장치는 밸러스트(Ballast)라고 하며 밸러스트 구동은 모두 전자식으로 퍽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라 한다) 제어방법을 이용하고 있고, 이 PWM 제어방식을 이용한 밸러스트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개선안이 제의되어져 있는 형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의 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의 밸러스트 제어장치는 정류부(4) 및 보조전원부(2)와 정류부(4)에 직렬로 접속된 컨버터(6), 필터(8), 인버터(10) 및 램프(12)와, 램프(12)에 접속된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 및 램프 점등 검출부(16)와,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 및 램프 점등 검출부(16)에 공통 접속된 점등 제어부(20)와, 점등 제어부(20)에 접속된 타이머(24)와, 점등 제어부(20)와 컨버터(6) 사이에 접속된 PWM 제어부(22)와, 타이머(24)와 램프(12) 사이에 접속된 이그나이터(Ignitor; 28)와, 타이머(24)와 인버터(10)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 구동부(26)를 구비한다.
제1도에서 정류부(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AC)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보조전원부(2)는 정류뷰(4)의 직류전원으로부터 밸러스트에 사용되는 12V를 발생한다.
우선, 램프(12)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통상 20KV 이상의 고압펄스가 필요하다. 이 고압전원을 발생시키는 이그나이터(Ignitor; 28)가 램프(12)에 고압을 가하여 램프ARC 사이의 절연상태를 깨면 정류부(4) 및 컨버터(6)와 필터(8)를 통하여 입력되는 230V 이상의 직류(DC) 전원에 의해서 램프(12)가 턴-온(Turn-on) 된다.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는 구동되는 램프(12)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여 점등제어부(20)를 통하여 PWM 제어부(22)에 인가되도록 한다. PWM 제어부(22)는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 및 점등 제어부(20)를 통해 입력된 램프(12)의 전류와 전압을 이용한 피드백(Feedback) 전압값과 램프(12)의 소비전력에 맞춰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에러값을 검출한다. 이어서, PWM 제어부(22)는 상기 에러값과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내부 삼각파형을 내부 비교기를 이용하여 비교검출하고 이에 의해서 펄스폭이 변조되어 컨버터(6)의 스위칭소자가 동작된다.
상기 PWM 제어부(22)는 제2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 제어의 주파수를 결정하여 삼각파형을 발생하는 삼각파형 발생부(30)와, 제1도의 점등제어부(20)를 통하여 피드백된 값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하여 비교전압치로 출력하는 에러검출부(32)와, 삼각파형 발생부(30)의 삼각파형과 에러 검출부(32)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펄스 변조 폭을 검출하는 비교기(34)와, 비교기(34)로부터의 출력파형에 의해 컨버터(6)의 스위칭소자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파형을 발생하는 구동출력단(36)를 구성으로 한다.
제2도a의 PWM 제어부(22)에서 삼각파형 발생부(30)는 PWM 제어의 주파수를 갖는 삼각파형을 발생하여 비교기(34)로 출력한다. 에러 검출부(32)는 점등제어부(20)를 통해 입력된 램프(12)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한 피드백 전압값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을 에러로 환산하고 PWM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교전압치를 만들어 비교기(34)로 출력한다.
상세히 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 검출부(32)에서 증폭기(T1)는 공통 전압(VCC)이 제4 및 제5 저항 (R4, R5)에 의해 분배되어 제1 노드(N1)에 발생된 전압, 즉 기준전압(Vref) 과 램프전압(LV)이 제6 및 제7 저항(R6, R7)에 의해 분배된 전압과 램프전류(LI)가 제8 저항을 거쳐 발생된 전압이 더해져서 제2 노드(N2)에 발생된 전압, 즉 피드백 전압을 비교하여 검출된 차이값을 R2/R3배 만큼 증폭하여 에러검출 값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도의 PWM 제어부(22)에서 비교기(34)는 삼각파형 발생부(30)의 삼각파형과 에러 검출부(32)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펼스 변조 폭을 검출한다. 제2도b을 참조하여 상기 비교기(34)에서의 듀티를 가변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삼각파형 발생부(30)로부터 입력되는 삼각파형을 기준으로하여 에러 검출부(32)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검출값(a) 상하로 변하게 됨에 따라서 삼각파형이 에러검출값(a)보다 높은 경우 하이상태가 되고, 낮은 경우 로우 상태가 되어 펄스의 듀티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출력되는 펄스의 듀티가 기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듀티를 줄이고 낮으면 듀티를 늘려서 출력펄스의 듀티를 조정하게 된다.
제1도로 돌아와서, 컨버터(6)는 정류뷰(4)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변조된스위칭 펄스에 의해 필터(8)로 출력하고, 필터(8)는 컨버터(6)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램프(12)에 필요한 전력을 유지시켜준다. 여기서, 램프(12)가 교류 램프인 경우 인버터(10)를 추가하여 필터(8)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원을 교류형파로 만들어 주고, 직류 램프인 경우 상기 인버터(10)를 생략하고 필터(8)로부터의 직류전원을 그대로 램프(12)에 인가한다.
램프 점등 검출부(16)에서는 램프(12)의 점등유무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신호를 점등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점등 제어부(20)에서는 램프(12)가 점등이 안되었다는 신호를 받으면 PWM 제어부(22)의 스위칭 듀티를 최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램프(12)가 점등이 잘 되도록 하고, 램프가 점등이 되면 곧바로 PWM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타이머(24)는 전원이 들어온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작하여 설정된 시간안에 램프(12)가 점등이 되지 않으면 점등제어부(20)는 이그나이터(28)를 오프(Off)시켜 이그나이터(28)의 고압에 의하여 기타 회로부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술한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다른 램프와는 달리 초기 점등시와 정상 구동시의 전기적 특성이 많은 차이가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램프가 턴-온이 되면 전류는 정상구동시보다 많이 흐르고, 전압은 낮은 상태가 된다. 이때, PWM 제어부(22)에 의해 전류는 감소시키고 전압은 증가시키면서 서서히 정상치에 도달하게 됨과 아울러 램프의 전력 및 밝기도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가 점등(t0)되어 정상상태(t1)로 들어가는 데 걸리는 상승 시간(Rising Time)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램프의 주어진 수명시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 장치에서 PWM 스위칭 파형이 필터(8)에 구성된 인덕터와 캐패시터로 정류가 되는데 그 필터(8)의 고유 값은 램프(12)가 정상상태로 구동할 때의 전류 및 전압 값에 의해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점등에서 정상상태로의 상승 시간 내에서는 정상적인 필터의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파형에 있어서 dv 만큼의 과대한 리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과대한 리플은 서서히 감소되면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파형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12)의 과도상태에서 나타나는 과대한 리플로 인하여 상술한 피드백 시스템은 정확한 이득을 얻지 못하게되므로써,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장치는 상승시간을 줄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램프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많아지므로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과도시간 만큼 화면의 정상밝기 도달시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그 기간이 긴 만큼 사용자의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
그리고, 제5도는 램프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램프의 광량, 램프의 전류 및 램프의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램프의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램프의 전류는 감소하고, 램프의 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램프 사용을 많이 할수록 ARC 간격이 초기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손실이 발생하여 늘어나는데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램프의 광량은 저하되므로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여, 램프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램프의 저항성분이 변하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램프의 구동시 정전력을 유지시켜주어야만 안정적인 램프의 출력과 수명보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장치는 초기 램프의 특성에 맞춰져 있으므로 상술한 램프의 특성변화에 정밀하게 대응하지 못하여 램프의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전력을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램프의 사용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로 구성상의 각 소자 값의 오차와 초기 설계치의 오차 그리고 램프의 특성변화에 대한 오차등이 누적되어 초기 정격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전력을 램프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공급하는 램프의 전력이 차츰 높아지는 경우 광량은 좀더 높게 낼수 있으나, 과전류 및 과전압으로 인하여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한편, 공급하는 램프의 전력이 차츰 낮아지는 경우 결국 램프 광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또한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는 램프의 수명이 초기 광량을 기준으로 어느 기준치까지 낮아지는 시간을 나타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점등시 스위칭 주파수를 변화시켜 상승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프 점등시 과도시간을 단축시키므로써, 램프의 위험시간을 최소화하여 램프의 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의 사용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램프의 전기적인 특성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정전력을 유지시키므로써, 램프의 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 램프의 정전력 제어를 정활하게 수행하고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PWM 제어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PWM 제어부에서 에러 검출부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램프 점등시 램프의 전류 및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
제5도는 램프의 사용 시간에 따른 램프의 전류 및 전압과 광량의 변화를 나타낸 특성도.
제6도는 램프가 과도상태인 경우 제1도에 도시된 램프의 출력 파형도.
제7도는 램프가 정상상태인 경우 제1도에 도시된 램프의 출력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밸러스트 제어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조전원부 4 : 정류부
6 : 컨버터 8 : 필터
10 : 인버터 12 : 램프
14 : 전류 및 전압 검출부 16 : 램프 점등 검출부
20 : 점등 제어부 22 : PWM 제어부
24 : 타이머 26 : 인버터 구동부
28 : 이그나이터 30 : 삼각파형 발생부
32 : 에러 검출부 34 : 비교기
36 : 구동 출력단 38 : 주파수 변환부
40, 42 :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44 : 마이크로 컨트롤러 46 : 연산부
48 : 전력비교기 50 : 정전력 제어부
52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54 : 기준전압 기억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입력전원으로부터 스위칭 펄스에 따라 상기 램프의 구동전원을 발생하여 인가하는 구동전원 공급수단과, 고전압을 발생하여 램프에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수단과, 램프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과,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의 정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저장수단의 보정값을 기준으로 펄스 폭 변조를 하여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 제어수단과,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여 펼스폭 변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방법은 전원이 입력되면 스위칭펄스를 발생하여 램프에 인가하고 램프의 점등여부를 검출하는 1단계와, 램프가 점등되고 과도상태인 경우 램프로부터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변환하는 2단계와, 램프의 정상상태인 경우 램프로부터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의 전력의 보정값을 검출하는 3단계와, 보정값을 저장하는 4단계와, 저장된 보정값을 기준으로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8도의 밸러스트 조정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밸러스트 장치와 대비하면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에 접속되어 검출된 램프(12)의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주파수 변환부(38)와,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을 디지털 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ADC; 40, 42)와, 제1 및 제2 ADC(40, 42)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받아 램프의 전력환산과 비교 및 제어를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44)와, 마이크로 건트롤러(44)로부터의 전력오차 보정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52)와, DAC(52)의 신호 값을 PWM 제어부(22)의 기준전압으로 하는 기준전압 기억부(54)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밸러스트 제어 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9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가 나오면 램프 점등 검출부(16)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44)를 통하여 램프(12)가 점등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9도b). 일단 초기의 램프(12)가 점등이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램프(12)의 전류가 크고 전압이 낮은 상태에서 차츰 전류는 감소하고 전압은 증가하면서 정상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과도상태에 이르르게 된다(제9도c). 이때,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에서 램프(12)의 전류와 전압을 검출하여 주파수 변환부(38)로 출력하고, 주파수 변환부(38)는 검출된 전류와 전압에 따라 주파수를 변환하여 PWM 제어부(22)로 출력하므로써 스위칭 주파수가 변화되도록 한다(제9도d). 이 변화된 스위칭 주파수에 의해서 고정된 인버터(10)의 출력필터에 맞는 정류된 출력이 나오므로 리플이 적고 응답이 빠른 피드백 시스템이 된다.
그리고, 램프의 과도상태가 끝나면 고정된 주파수에 의해서 출력이 제어되면서 전류 및 전압 검출부(14)를 통해 검출된 램프(12)의 전류 및 전압은 제1 및 제2 ADC(40, 42)에서 각각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44)로 인가 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4)는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램프(12)의 전류 및 전압을 전력으로 환산하기 위한 연산부(46)와, 연산부(46)로부터의 전력과 기준전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출력하는 전력비교기(48)와, 전력비교기(48)로부터의 차이값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에 해당하는 디지탈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력제어부(50)와, 타이머(28)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4)의 연산부(46)는 제1 및 제2 ADC(40, 42)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인가된 전류 및 전압을 램프(12)의 전력으로 환산하여 전력비교기(48)로 출력한다. 전력비교기(48)는 연산부(46)로부터 인가된 램프(12)의 전력 값을 기준전력 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값, 즉 에러 값을 정전력제어부(50)로 출력한다. 정전력제어부(50)는 전력비교기(48)로부터 출력되는 에러값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 즉 전압 보정 값을 발생하여 DAC(52)로 출력한다.
DAC(5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44)의 정전력 제어부(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정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기준전압 기억부(54)에 기억시킨다. PWM제어부(22)는 기준전압 기억부(54)에 저장된 값을 PWM 제어를 하기위한 피드백 값으로 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44)를 이용한 램프(12)의 전력 체크는 제9도의(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수행하여 기준전압부(54)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고 PWM 제어부(22)는 갱신된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정확한 제어를 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상술한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램프의 사용시간에 따른 특성변화에 대응하여 램프의 정전력을 유지시키므로써, 램프의 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어를 하므로 외부 장치와 시리얼 데이터를 통한 간단한 인터페이스가 용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의 점등신호와 램프의 수명 체크등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와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램프 점등시 스위칭 주파수를 변화시키므로써, 과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의 과도상태로 인한 위험시간을 최소화하므로 램프의 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램프의 사용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램프의 전기적인 특성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상 정전력을 유지시키므로써, 램프의 수명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 제어 장치는 간단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 램프의 정전력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7)

  1. 램프를 구동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으로부터 스위칭 펄스에 따라 상기 램프의 구동전원을 방생하여 인가하는 구동전원공급수단과,
    고전압을 발생하여 램프에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수단과,
    상기 램프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는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과,
    상기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의 정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보정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의 보정값을 기준으로 펄스 폭 변조를 하여 상기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 제어수단과,
    상기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신호를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보정값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수단으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과,
    상기 전류 및 전압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의 점등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로 출력하는 램프점등 검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원 공급수단은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 수단과,
    상기 정류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펄스 폭 변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에 따라 절환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램프로 출력하는 필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램프로 출력하는 인버터 수단과,
    상기 인버터 수단을 구동하는 인버터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류 및 전압을 연산하여 전력으로 환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으로부터의 전력을 기준전력과 비교하여 에러값을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에러값을 부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출력하는 정전력 제어수단과,
    상기 입력전원이 들어온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타이밍하여 그 시간안에 램프가 점등되지 않으면 상기 고전압 발생수단을 오프시키는 타이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장치.
  6. 전원이 입력되면 스위칭펄스를 발생하여 램프에 인가하고 램프의 점등여부를 검출하는 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램프가 점등되고 과도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로부터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변환하는 2단계와,
    상기 램프가 정상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로부터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램프의 전력의 보정값을 검출하는 3단계와,
    상기 보정값을 저장하는 4단계와,
    상기 저장된 보정값을 기준으로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하여 스위칭 펄스를 제어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램프로부터 검출되는 전류 및 전압을 각각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램프의 전력을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을 기준전력과 비교하여 에러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값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출력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 제어 방법.
KR1019970079711A 1997-12-30 1997-12-30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6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711A KR100262968B1 (ko) 1997-12-30 1997-12-30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711A KR100262968B1 (ko) 1997-12-30 1997-12-30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503A KR19990059503A (ko) 1999-07-26
KR100262968B1 true KR100262968B1 (ko) 2000-08-01

Family

ID=1953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711A KR100262968B1 (ko) 1997-12-30 1997-12-30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374A (ko) * 2002-05-27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1644798B1 (ko) * 2016-02-18 2016-08-02 주식회사 아이레즈 디밍 시 발생하는 플리커의 과도한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503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681969T3 (en) REAR EDGE COMPATIBILITY WITH PREVENTION OF HIGH DUMPING RESISTANCE
US7425777B2 (en) Lighting circuit
CN1820555B (zh) 高亮度放电灯的控制
JPH02142096A (ja) 放電ランプ用電力制御回路とその作動方法
US8089215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headlight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1345479B1 (en) Electric discharge lamp device
WO2015166559A1 (ja) 電源装置、光源点灯装置およびバッテリ充電装置
US8564221B2 (en) Driving circuit system for gas discharge lamp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028152A1 (en) Lighting apparatus for discharge lamp
KR100262968B1 (ko) 밸러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1223096A (ja) 放電灯点灯回路
JP4470756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2231480A (ja) 放電灯点灯回路
US9596729B1 (en) Dimmable switching mode LED driving circuit without phase angle measurement
JP4400872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0068092A (ja) 改良された電子安定化回路方法および装置
JP3735874B2 (ja) 照明装置
JP3279202B2 (ja) 放電灯点灯回路
JP331983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0072976A (ko)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보조전원장치의전류제한 방법 및 장치
JP4656117B2 (ja) 放電灯装置
JP4596187B2 (ja) 放電灯装置
JPH08298191A (ja) 放電灯点灯装置
EP1773104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JPH11215845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