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236B1 - 캠코더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236B1
KR100261236B1 KR1019930001053A KR930001053A KR100261236B1 KR 100261236 B1 KR100261236 B1 KR 100261236B1 KR 1019930001053 A KR1019930001053 A KR 1019930001053A KR 930001053 A KR930001053 A KR 930001053A KR 100261236 B1 KR100261236 B1 KR 10026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ss filter
output
contro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132A (ko
Inventor
정수열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236B1/ko
Publication of KR94001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의 광학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부와,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 색차신호,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구비한 캠코더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제1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휘도신호의 저역 성분을 제2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저역통과필터; 제1소정기간마다 대역통과필터의 고역의 휘도신호, 제2소정기간마다 저역통과필터의 저역의 휘도신호, 제3소정기간마다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색차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선택부; 선택부의 출력을 소정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적분회로로 부터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된 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하고,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으로 자동노출조절을 수행하며, 영상신호처리부의 색차신호로 화이트밸런스조절을 수행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촬영 화면을 소정수로 분할하여 광학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를 각 분할 영역별로 디지탈 적분을 한 후 적분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의 기능을 하나의 회로로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링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코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화면분할부에 의해 64분할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2선택부에서 입력신호의 시분할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캠코더장치의 적분회로에 대한 상세회로도.
제5(a)도 및 제5(b)도는 화면분할부에서 화면분할에 대한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a)도 내지 제6(d)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적분회로에 대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제1 및 제2HPF 13,16 : 제1, 제2선택부
14,15 : 제1LPF 20 : A/D변환부
30 : 화면분할부 40 : 디지탈적분부
50 : 마이콤 인터페이스부 60 : 마이콤
본 발명은 캠코더장치에 있어서 촬영 화면을 소정수로 분할하여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를 각 분할 영역별로 디지탈 적분을 한 후 적분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을 동시에 처리하는 캠코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일명 비디오 카메라라고 함)와 같은 촬영장치는 촬상소자(CCD)상에 맺힌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신호를 만들어 주는 것 이외에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등의 여러 추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자동 초점 조절(Auto Focusing:AF)은 휘도신호를 고대역 검파기를 거쳐 고주파성분을 취한 후 화면의 일정영역(통상적으로 중앙부분)에 대하여 적분을 한 결과가 항상 최대치를 유지하도록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켜 수행한다.
자동 노출 조절(Auto Exposure:AE)은 휘도신호를 저대역 검파기를 거쳐 저주파성분의 휘도신호 레벨을 취하여 이를 분할된 화면영역별로 적분을 한 결과치에 따라 조리개의 열림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영역별 적분 결과가 그 영역의 밝기정도를 나타내는 데 이 적분결과가 각 영역에 대해 고르게 적당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캠코더의 조리개 및 셔터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Auto White Balance: 일명 색보정이라고 함)는 화면의 각 미소 영역별로 R-Y, B-Y등의 색상정보에 대하여 적분한 결과를 이용하여 R, G, B의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에 대해 각각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여 이 중 자동 노출과 자동색 보정은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하여 제어하였으며, 자동 초점 조절은 화면을 2분할 또는 6분할하여 디지탈 적분한 값으로 초점평가치를 취하여 제어하였다.
이렇게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회로로 구성을 하면 하드웨어링이 증가하고, 특히 자동 노출, 자동색 보정에 대한 회로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됨에 따라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화면을 소정수로 분할하여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를 각 분할 영역별로 디지탈 적분을 한 후 적분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의 기능을 하나의 회로로 동시에 수행하는 캠코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는 피사체의 광학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수단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 색차신호,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캠코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휘도신호의 고역 성분을 제1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수단;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휘도신호의 저역 성분을 제2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저역통과필터수단; 제1소정기간마다 상기 대역통과필터수단의 고역 휘도신호, 제2소정기간마다 상기 저역통과필터수단의 저역 휘도신호, 제3소정기간마다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차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시분할 다중화수단; 상기 시분할 다중화수단의 출력을 소정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상기 적분회로로 부터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된 상기 대역통과필터수단의 출력으로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하고, 상기 저역통과필터수단의 출력으로 자동노출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색차신호로 화이트밸런스조절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캠코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제1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촬영렌즈를 통해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상에 맺힌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부와, 광학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처리하여 휘도신호, 색차신호,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고역통과필터(HPF)(11)에서는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의 저고주파성분을 필터링하며 제2고역통과필터(12)에서는 휘도신호의 고고주파성분을 필터링한다.
이때, 촬영렌즈의 특성상 차단주파수가 변화하는 저역통과필터의 역할을 하며 렌즈는 초점 조절이 되었을 때는 차단주파수가 높아지고, 초점이 뒤틀어질수록 차단주파수는 낮아지기 때문에 초점이 많이 튀틀어져 있을 때에는 제1고역통과필터(11)를 선택하고, 초점조절이 거의 일치할 때는 제2고역통과필터(12)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1고역통과필터(11)의 차단주파수는 200KHz이고, 제9고역통과필터(12)의 차단주파수는 600KHz이다.
제1선택부(13)에서는 제1 또는 제2고역통과필터(11,12)의 출력을 선택하여 일정 주파수(2MHz)이내의 신호만을 필터링하는 제1저역통과필터(LPF)(14)를 거친다.
제2저역통과필터(14)에서는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에 대하여 저주파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일정주파수이내의 신호만을 필터링한다.
제2선택부(16)에서는 제1 또는 제2저역통과필터(14,15)의 출력,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R-Y, B-Y색차신호를 선택해서 A/D 변환부(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2선택부(16)에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별로 시분할한다. 즉, 9필드주기로 1,2,3,4,5,7,8번째필드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AF수행하고, 3번째 필드의 휘도신호를 이용하여 AE를 수행하며, 6번째와 9번째의 2필드에 대한 R-Y,B-Y 색차신호를 이용하여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수행한다.
A/D 변환부(20)에서는 제2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디지탈신호형태로 변환하여 디지탈 적분부(40)에 출력한다.
화면분할부(30)에서는 시스템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4배의 색부반송파(4fsc), 수직동기신호(VD), 수평동기신호(HD), 색블랭킹신호(C.blank)등의 동기신호를 받아 화면을 분할한 후 해당 영역별로 입력신호가 적분되도록 디지탈 적분부(40)를 제어하게 된다.
디지탈 적분부(40)에서는, 화면분할부(30)에 의해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64화면에 대하여 A/D 변환부(20)의 출력신호를 적분하게 된다.
마이콤 인터페이스부(50)에서는 디지탈적분부(40)의 출력신호가 마이콤(6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나란히 있는 8개 영역의 적분이 끝날때 마다 적분결과를 마이콤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A/D 변환부(20), 화면분할부(30), 디지탈 적분부(40), 마이콤 인터페이스부(50)는 적분회로(A)에 해당한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캠코더장치의 적분회로(A)에 대한 상세회로도이다.
먼저, 적분회로(A)는 입력신호를 디지탈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부(20)와, 4배의 색부반송파(4fsc) 신호를 받아 A/D 클럭및 마이콤(60)의 구동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기(31), A/D 클럭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 값을 디코딩하여 디지탈 적분부(40)의 디멀티플렉서(42) 및 제1멀티플렉서(44)의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분할기(32), 수평동기신호(HD)를 카운팅하여 30회 카운팅마다 적분 종료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직 분할(33)로 되어 있는 화면 분할부(30)와, 매 샘플링시마다 A/D 변환된 디지탈 신호와 제1내지 제8 영역레지스터(43a-43h)로부터 피이드백된 신호를 가산하는 전가산기(41), 수평 분할기(31)로 부터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하여 전가산기(41)의 출력을 해당 영역레지스터를 연결시켜주는 디멀티플렉서(42), 디멀티플렉서(42)로부터 출력되는 적분 데이타를 저장하고 전가산기(41)로 적분데이타를 피이드백시켜주는 8개의 16비트 영역레지스터(43a-43h), 수평 분할기(31)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하여 제1 내지 제8영역레지스터(43a-43h)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해서 전가산기(41)의 제2입력단자(b)로 입력시키는 제1멀티플렉서(44)로 되어 있는 디지탈적분부(40)와, 각 영역의 적분이 종료된 후 적분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8개의 16비트 래치(51a-51h), 제1 내지 제8래치(51a-51h)에 저장된 데이타를 8비트씩 차례로 마이콤(60)으로 전송하여 주는 제2멀티플렉서(52), 마이콤(60)으로부터 스트로브신호를 받아 이를 카운팅하고 디코딩하여 상기 제2멀티플렉서(52)의 선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주는 선택제어신호발생기(53)로 되어 있는 마이콤 인터페이스(50)로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의 동작을 제4도를 중심으로 제5(a)도 내지 제6(d)도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클럭발생기(31)는 시스템 제어수단으로부터 4fsc(14.4MHz)의 주파수를 갖는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3분주하여 4.8MHz의 A/D 클럭을 발생시켜서 A/D 턴환부(20)에 공급한다. 이때 블랭킹신호(C.blank)를 입력받으면 불랭킹 기간동안은 A/D클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수평 분할기(32)에서는 MTSC방식에서 1H의 유효 수평주사 시간은 2.7μSEC이다. 또한 본 시스템의 A/D 클럭은 4.8MHz이므로 1H 기간동안의 A/D변환시 샘플링횟수는 다음과 같다.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H 기간동안의 A/D변환 샘플링횟수가 251회 이므로 제2도에 도시된 캠코더 화면이 수평으로 8영역, 수직으로 8영역으로 64분할되기 위해서는 수평적으로 한 영역에 29회의 샘플링이 되도록 하고 1H의 시작부분에 7회의 샘플, 종료부분의 4회의 샘플여유치를 두며, 각 영역 경계에 1샘플의 여유를 두어 각 영역의 데이타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즉, 수평 분할기(32)에서는 A/D 클럭(CLK)을 입력으로 하여 카운팅한 결과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한 값에 대응한 디지탈 적분부(40)의 해당 영역레지스터가 선택되도록 디멀티플렉서(42) 및 제1멀티플렉서(44)에 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NTSC방송방식에서 1 필드의 유효 H는 242.5H 이다. 수직분할기(33)에서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동기신호(HD)를 카운팅하여 매 30H 마다 캐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단 1필드는 시작부분에서 1.5H, 종료부분에서 1H의 여유를 두어 각 영역의 크기를 같게 맞춘다.
242.5H = 1.5H + (30H × 8) + 1H
디지탈적분부(40)에서는 수직 분할기(33)에서 캐리신호가 발생하면 적분동작을 마치고 제1 내지 제8영역레지스터(43a-43h)에 있는 적분된 데이타를 마이콤 인터페이스부(50)지 제1 내지 제8래치(51a-51h)에 이동시킨 후 제1 내지 제8영역레지스터(43a-43h)를 클리어시켜 다음 H 에서 다시 새로운 영역과 적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수직 분할기(33)에서 캐리신호가 발생한 후 미소시간(t1) 지연시킨 신호 즉,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럽트 요구신호(IRQ)가 마이콤(60)에 전송하면, 마이콤(60)은 이 IRQ신호를 인식하여 제1 내지 제8래치(51a-51h)에 저장된 적분 데이타를 8비트씩 차례로 입력한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나란히 있는 8개 영역의 적분이 종료되면 그 결과를 마이콤(60)으로 즉시 전송하고 디지탈 적분부(40)는 다음의 8개 영역의 적분을 수행하게 된다.
디지탈 적분부에서 행해지는 디지탈 적분은 다음과 같다.
S(n) = D(n) + S(n-1) (n=1,2...)
전가산기(41)에서는 a입력과 b입력의 합이 항상 출력되는 데 제1 내지 제8영역 레지스터(43a-43h)중 임의의 영역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타는 제1멀티플렉서(44)를 통하여 전가산기(41)의 b 입력으로 피이드백되어 A/D 변환부(20)의 출력 즉, 전가산기(41)의 a입력과 합쳐져서 다시 영역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즉, 수평 분할기(32)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디멀티플렉서(42) 및 제1멀티플렉서(44)를 제어하면 현재 A/D변환이 되는 데이타가 제1 내지 제8영역 레지스터(43a-43h)중 해당하는 레지스터를 선택하여 화면 영역별로 적분한다.
즉, 1H 기간동안 A/D 변환부(20)로부터 출력되는 처음 8에서 37샘플까지는 제1영역 레지스터(43a)가 선택되고, 38에서 67회까지는 제2영역의 레지스터(43b)가 선택된다. 이러한 동작이 30H동안 반복되면 수직 분할기(32)에서는 캐리신호가 발생하며, 그동안 적분된 8개 영역의 데이타는 제1 내지 제8래치(51a-51h)로 옮겨지고 다음 H에서는 새로운 8개 영역의 적분이 시작된다.
수직 분할기(33)에서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동기신호가 발생한 후 다음 수직동기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8개의 캐리신호가 발생되며, 캐리신호가 발생할 때면 제1내지 제8래치(51a-51h)로 8개 영역의 데이타가 옮겨지고 마이콤(60)으로 제6(b)도에 도시된 IRQ신호가 전달된다. 마이콤(60)에서 IRQ신호를 받으면 곧바로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브신호를 연이어 16회 발생하여 선택제어신호발생기(53)에 출력한다.
선택제어신호발생기(53)에서는 내장되어 있는 카운터 및 디코더에서는 스트로브신호를 카운팅하여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내지 제8래치(51a-51h)의 출력데이타를 차례로 마이콤(60)으로 전송되도록 제2멀티플렉서(52)를 제어한다. 이때 제1내지 제8래치(51a-51h)로부터 출력되는 한 영역은 16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8개 영역의 데이타가 있으므로 하이 바이트, 로우 바이트씩 선택하면 16회동안 모든 데이타가 마이콤(60)으로 전송이 된다.
마이콤(60)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분할된 필드마다 제1, 제2, 제4, 제5, 제7, 제8필드에서는 화면의 일정영역에 대하여 적분을 한 결과가 항상 최대치를 유지하도록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켜 자동초점조절기능을 수행한다.
9필드주기중 3번째필드에서는 제2선택부(16)에 의해 선택된 제2저역통과필터(15)의 출력을 선택해서 화면영역별로 적분한 데이타를 입력하여 캠코더의 조리개 열림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영역별 적분 결과를 입력하여 분할된 각 영역이 고르게 적당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캠코더의 조리개 및 셔터 속도를 조절하는 셔터속도제어신호, 조리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조리개의 동작기준은 조도 2000룩스(Lux), 반사율 89.9%의 그레이 스케일 챠트를 촬상했을 때 화이트 레벨이 100IRE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개를 조절하면 빛의 양이 조절되어 100IRE를 맞출수 있어야, 1Vp-p 표준영상신호를 얻어 낼수 있기 때문이다.
제6번째, 제9번째필드에서는 영상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R-Y, B-Y색차신호를 선택하는 제2선택부(16)의 선택출력을 화면영역별로 적분한 데이타를 입력하여 화면의 각 영역별로 R-Y, B-Y등의 색상정보를 적분한 결과를 이용하여 R,G,B의 이득을 조정하여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촬영하는 신호는 계속적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개도 적정한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상 변하고 있으므로 화이트 레벨이 항상 100IRE가 되도록 이득을 조정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장치는 촬영 화면을 64 분할하여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를 각 분할 영역별로 디지탈 적분을 한 후 적분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자동 초점 조절, 자동 노출 조절, 자동색 보정의 기능을 하나의 회로로 동시에 수행함으로서 하드웨어링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노출조정, 자동색보정기능을 디지탈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훨씬 정밀하고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며, AF조절도 화면을 64분할하여 종래의 2분할이나 6분할로 조절할 때보다 더 정확한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피사체의 광학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학수단과,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부터 휘도신호, 색차신호,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을 구비한 캠코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휘도신호의 고역 성분을 제1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수단;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휘도신호의 저역 성분을 제2소정기간마다 검출하는 저역통과필터수단; 제1소정기간마다 상기 대역통과필터수단의 고역의 휘도신호, 제2소정기간마다 상기 저역통과필터수단의 저역의 휘도신호, 제3소정기간마다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차신호를 시분할 다중화하는 시분할 다중화수단; 상기 시분할 다중화수단의 출력을 소정수의 화면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상기 적분회로로 부터 분할된 영역별로 적분된 상기 대역통과필터수단의 출력으로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하고, 상기 저역통과필터수단의 출력으로 자동노출조절을 수행하며,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색차신호로 화이트밸런스조절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회로는 상기 시분할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디지탈신호형태로 변환하는 A/D 변환수단; 상기 A/D변환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디지탈 적분하는 디지탈 적분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화면을 분할한 후 해당 영역별로 입력신호가 적분되도록 상기 디지탈 적분수단을 제어하는 화면분할수단; 상기 디지탈적분수단의 적분결과가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분할수단은 A/D클럭 및 상기 제어수단의 구동 클럭등을 발생하는 클럭발생기; 상기 A/D 클럭을 카운팅 한 값을 디코딩하여 수평방향의 영역분할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분할기;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소정횟수마다 적분 종료신호를 발생시켜 수직방향의 영역분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직 분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적분수단은 분할된 화면영역별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복수의 레지스터; A/D변환된 디지탈 신호와 상기 복수의 레지스터로부터 피이드백된 신호를 더하여 주는 전가산기; 상기 수평 분할기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분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가산기의 출력을 복수의 레지스터중 해당하는 레지스터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수평분할기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분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레지스터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전가산기에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상기 수직분할기로 부터 적분종료 제어신호가 상기 복수의 레지스터에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레지스터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복수의 래치수단; 상기 복수의 래치수단에 저장된 데이타를 차례로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제2멀티플렉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데이타 전송하라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멀티플렉서의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제어신호 발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장치.
KR1019930001053A 1993-01-28 1993-01-28 캠코더장치 KR10026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053A KR100261236B1 (ko) 1993-01-28 1993-01-28 캠코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053A KR100261236B1 (ko) 1993-01-28 1993-01-28 캠코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32A KR940019132A (ko) 1994-08-19
KR100261236B1 true KR100261236B1 (ko) 2000-07-01

Family

ID=1935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053A KR100261236B1 (ko) 1993-01-28 1993-01-28 캠코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98B1 (ko) 2005-01-27 2008-01-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98B1 (ko) 2005-01-27 2008-01-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7630020B2 (en) 2005-01-27 2009-12-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132A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1152B2 (ja) 複数の光学系を備えた撮像装置
KR100968983B1 (ko) 촬상 장치
US6204878B1 (en) Image pickup device having interlacing circuitry
US5481317A (en) Gamma correction circuit which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gamma corrected signals as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level of an input signal
KR920003656B1 (ko) 전자적으로 화상을 확대하여 촬영이 가능한 촬상 장치
US2002001206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focus and camera equipped with automatic focus detecting apparatus
US6798455B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common circuit portion for autofocusing and outline emphazising circuits
KR950008129B1 (ko) 2계통의 촬상부와 1계통의 신호 처리부를 갖고 있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개선된 촬상 장치
KR100261236B1 (ko) 캠코더장치
JPH0230230B2 (ko)
US6219096B1 (en) Image signal generating and converting device
JP3786234B2 (ja) 画像信号検波回路
JP2632110B2 (ja) ビデオカメラ
JPH05191706A (ja) 動画像の追跡カーソル発生回路
JPH07177427A (ja) ビデオカメラ
KR100423616B1 (ko) 영상 보정기능이 있는 ccd 카메라
KR950006041B1 (ko) 캠코더의 디지탈 카메라 프로세싱 오토 화이트 밸런스장치
KR100442160B1 (ko) 색신호조정장치
JPH0646317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620436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H0215793A (ja) 白バランス調節装置
JPH089981Y2 (ja) ビデオカメラ
JP2724924B2 (ja) ビデオカメラ
KR100727839B1 (ko)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색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카메라 시스템
KR101722479B1 (ko) 카메라의 백라이트 보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