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910B1 -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910B1
KR100260910B1 KR1019970070031A KR19970070031A KR100260910B1 KR 100260910 B1 KR100260910 B1 KR 100260910B1 KR 1019970070031 A KR1019970070031 A KR 1019970070031A KR 19970070031 A KR19970070031 A KR 19970070031A KR 100260910 B1 KR100260910 B1 KR 10026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
transmission time
minimum transmissi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841A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9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83Preventive counter-measures, e.g. using redundant hardware, or anticipating a fault
    • H04N1/32689Involving the use of error corr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37Detecting, i.e.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42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 H04N2201/33371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transmission mode using test signals, e.g. checking error occur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송신측으로부터 부호화 처리된 후 전송되는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를, 데이터 전송속도와 라인 최소전송시간으로부터 산출된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와 비교하여서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가 라인끝 식별정보(EOL)로 오인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오인된 라인끝 식별정보를 무시하고 후속 전송되는 또 다른 한 라인분 데이터를 연결하여, 송신측에서와 동일한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 만든 후 복호화 처리하므로, 송신측에서 한 라인분으로 전송한 데이터가 두 라인분의 데이터로 오인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신측에서 재현된 원고의 화상이 왜곡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도중에 그의 필 데이터에서 오류(Error)가 발생됨에 따라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두 라인분의 데이터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류정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주사(scanning) 기술을 이용하여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원고의 화상을 모사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전기 통신에 관한 표준을 작성하고 이를 세계에 널리 권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nsulative Committee; 이하 'CCITT'라 칭함)에서 권고하는 규약에 따른다.
CCITT 규약에는 다양한 팩시밀리 장치에 관한 규격이 권고되어 있는 바, 그 가운데에는 화소 데이터를 부호화(Coding) 방식으로 압축하여 일반 전화교환망(General Switched Telephone Network; GSTN)을 통해 A4 크기의 원고를 1분 이내로 전송할 수 있는 그룹 3의 팩시밀리에 대한 규격도 권고되어 있다.
CCITT 규약의 T.4에 권고된 단말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는 그룹 3의 팩시밀리는, 송신시에는 원고를 라인(Line) 단위로 스캐닝하여 얻어진 흑/백의 화소 데이터들을 1차원 부호화 방식(Modified Huffman; MH) 또는 2차원 부호화 방식(Modified Read; MR)에 따라 부호화 처리한 후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수신시에는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송신측에서와 동일한 부호화 방식에 따라 복호화(decoding) 처리한 후 이를 통해 얻어진 화소 데이터를 기록지에 인쇄하므로, 원고의 화상을 재현한다.
이때, 송신측에서 부호화 처리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는 압축된 정도에 따라 그 크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를 동일한 데이터 전송속도로 전송한다 하더라도 그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기 다르다. 반면에, 송신측에서 원고의 한 라인을 스캐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일정하다. 따라서, 부호화 처리된 한 라인분 데이터의 크기가 아무리 작다 하더라도 수신측에서 이를 전송받는 데에는 일정한 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이처럼, 부호화 처리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최소한 시간을 라인 최소전송시간이라 하여, 송신측에서는 부호화 처리된 한 라인분 데이터가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보장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인 경우 이에 '0'의 비트(bit)열로 이루어진, 이른바 필 데이터(Fill data)를 첨가하여서 이를 보장할만한 크기로 만든 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
즉, 단지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화상을 재현하는 데에는 불필요한 필 데이터를 첨가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할 때 그 가운데에서 필 데이터는 제거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가지고 화상을 형성하여 원고의 화상을 재현한다.
이처럼, 수신측에서 원고의 화상을 재현하는 데 필 데이터가 불필요하다고는 하나, 이에서 오류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문제가 달라진다.
예컨대, 송 수신측 상호간에 교신을 통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속도가 9600BPS (Bit Per Second)이고 라인 최소전송시간이 20㎳(milli-second)라 할 때,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는 192비트가 될 것이다.
고로 송신측에서는, 부호화 처리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상기한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인 192비트보다 작다면 이에 필 데이터를 첨가하여 그보다 크거나 같도록 만들어야 하며, 이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화상 재현에 실제로 사용되는 유효 데이터;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첨가된, '0'의 비트열로 이루어진 필 데이터; 및 한 라인분 데이터의 끝을 알리기 위한, 11비트의 '0'과 한 비트의 '1'로 이루어진 라인끝 식별정보(End Of Line)(이하 'EOL'이라 칭함)로 구성되는 한 라인분의 데이터는, 그의 총 비트수가 192비트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수신측으로 전송되는 도중,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 데이터에서의 한 비트가 '0'에서 '1'로 오류를 일으키게 되면, 수신측에서는 '1'로 오류를 일으킨 한 비트를 그에 앞선 '0'의 11비트와 더불어 EOL로 오인하게 된다.
즉, 실제로는 한 라인분인 데이터에 두 개의 EOL이 있는 셈이어서 수신측에서는 이를 두 라인분의 데이터로 오인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크기는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수신측에서는 두 라인분의 데이터가 오류인 것으로 판정하여 화상 재현시 인접한 라인을 복사하거나 혹은 빈 공백으로 남겨두기 때문에, 결국 재현된 화상이 왜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두 라인분의 데이터로 오인되어 재현된 화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를 정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송신측에서 송신한 데이터의 상태와, 전송 도중에 필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수신측에 수신된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팩시밀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부 20 : 스캐너부
30 : 프린터부 40 : 모뎀부
50 : 망제어부 60 : 메모리부
70 : 조작패널 100 : 팩시밀리
200 : 일반 전화교환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측과의 교신을 통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속도와 라인 최소전송시간으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를 산출하고, 송신측으로부터 소정 방식으로 부호화 처리된 후 전송되는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를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와 비교하여서,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가 EOL로 오인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오인된 EOL을 무시하고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에 송신측으로부터 후속 전송되는 또 다른 한 라인분 데이터를 연결하여 두 라인분의 데이터를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서 복호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가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보다 작으면 필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한 라인분 데이터의 EOL을 무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수신측에서 오류로 판정된 두 라인분의 데이터가 송신측에서와 같은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 만들어지므로, 이로서 재현한 화상이 왜곡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팩시밀리(100)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화소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스캐너부(20)와, 각종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부(30)와, 타 팩시밀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부(40)와, 모뎀부(40)와 일반 전화교환망(200)과의 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망제어부(Network Control Unit; NCU)(50)와, 팩시밀리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Firmware) 및 그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60)와, 각종 키(Key)들과 표시창이 구비된 조작패널(Operating Panel; OPE)(70)과,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팩시밀리의 각 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부(10)를 포함한다.
이러한 팩시밀리(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70)에 구비된 키들이 눌려짐에 따라 중앙처리부(10)가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각부를 제어함으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데, 송신시에는 스캐너부(20)를 통해 원고를 스캐닝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화소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 처리한 후 모뎀부(40)를 통해 수신측의 팩시밀리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시에는, 송신측의 팩시밀리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모뎀부(40)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송신측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복호화 처리한 후 이렇게 하여 얻어진 화소 데이터를 프린터부(30)를 통해 기록지에 인쇄하여 원고의 화상을 재현한다.
이러한 것들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하고, 이하 본 발명에 따라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가 정정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 전화교환망(200)을 통해 송신측과 회선이 접속되어 호(Call)가 형성되면, 중앙처리부(10)는 송신측과의 교신을 하여 데이터 전송속도와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결정하고, 이처럼 결정된 데이터 전송속도와 라인 최소전송시간으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를 산출한 후 이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한다(S10, S20).
이후, 모뎀부(40)를 통해 송신측으로부터 부호화 처리되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이와 동시에, 전송되는 매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와 기 저장된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와 비교하여, 그 결과를 통해 필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어 EOL로 오인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S30).
이때, 전송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라면, 이의 비트수는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보다 크거나 같을 것이다. 그러나 전송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가 EOL로 오인된 비정상적인 데이터라면, 이의 비트수는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보다 작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후속 전송되는 한 라인분의 데이터 역시 그의 비트수가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보다 작을 것이다. 원래 이는 앞서 전송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와 더불어 송신측에서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서 전송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의 결과 필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한 라인분 데이터의 EOL을 무시하고, 그에 후속 전송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연결한다. 즉, 상기 EOL의 마지막의 '1'인 비트를 '0'으로 만들어 필 데이터화하고, 그에 후속 전송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연결하여 두 라인분의 데이터를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 만든다(S40, S50). 이렇게 하면 송신측에서 동일한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이처럼 필 데이터에서의 오류가 정정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한 라인분의 화소 데이터를 프린터부를 통해 기록지에 인쇄하여 한 라인분의 화상을 형성한다(S60, S70).
이후 수신 완료될 때까지 상기한 동일한 과정을 되풀이하여, 원고의 화상을 재현한다(S8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를 검출하여 이를 정정하여 주므로, 필 데이터에서 발생된 오류가 EOL로 오인됨으로 인해 한 라인분의 데이터가 두 라인분의 데이터로 오인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서 재현된 화상이 왜곡되지 않는다.

Claims (2)

  1. 송신측과의 교신을 통해 결정된 데이터 전송속도와 라인(Line) 최소전송시간으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를 산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소정 방식으로 부호화(coding) 처리된 후 전송되는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를 상기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와 비교하여서, 상기 라인 최소전송시간을 보장받기 위해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에 첨가된 필 데이터(Fill data)에서 발생된 오류(Error)가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의 끝을 알리기 위한 라인끝 식별정보(EOL; End Of Line)로 오인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오인된 라인끝 식별정보를 무시하고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에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후속 전송되는 또 다른 한 라인분 데이터를 연결하여 두 라인분의 데이터를 한 라인분의 데이터로서 복호화(decoding) 처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데이터 오류정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한 라인분 데이터의 비트수가 상기 라인 최소전송시간당 전송 비트수보다 작으면 상기 필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데이터 오류정정방법.
KR1019970070031A 1997-12-17 1997-12-17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KR10026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31A KR100260910B1 (ko) 1997-12-17 1997-12-17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31A KR100260910B1 (ko) 1997-12-17 1997-12-17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841A KR19990050841A (ko) 1999-07-05
KR100260910B1 true KR100260910B1 (ko) 2000-07-01

Family

ID=1952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031A KR100260910B1 (ko) 1997-12-17 1997-12-17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9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84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7162A (en) Facsimile machine having retransmission function
KR100233721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한 메시지 재전송방법
KR100260910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방법
US5416607A (en)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system which determines the proper response to a received instruction
US7123374B2 (en) Facsimile gateway device
JP2527704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351429B2 (ko)
KR20000009857A (ko) 팩시밀리의 전송시간 단축방법
JP260418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2743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707927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641883B2 (ja) 画像通信装置
JP3635862B2 (ja) 通信端末装置
JP2571796B2 (ja) 画像通信装置
JP2874873B2 (ja) 通信システム
JP262880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798405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303226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画像処理方法
KR100338067B1 (ko) 팩시밀리의 송/수신 모드 변경방법
JP3162777B2 (ja) ファクシミリ伝送方法
JPH01232870A (ja) データ通信装置の伝送制御方法
JPH022017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5130036A (ja) 通信端末装置
JPH0714754U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33480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