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471B1 - 화상 표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471B1
KR100260471B1 KR1019970002178A KR19970002178A KR100260471B1 KR 100260471 B1 KR100260471 B1 KR 100260471B1 KR 1019970002178 A KR1019970002178 A KR 1019970002178A KR 19970002178 A KR19970002178 A KR 19970002178A KR 100260471 B1 KR100260471 B1 KR 10026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rame
storage means
image
data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234A (ko
Inventor
시마카와 카주히로
타나카 쿠니아키
Original Assignee
에노모토 타츄야
미쓰비시 일렉트릭 세미콘덕터 소프트웨어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노모토 타츄야, 미쓰비시 일렉트릭 세미콘덕터 소프트웨어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에노모토 타츄야
Publication of KR97007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to the screen
    • G09G5/39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wo or more bit-mapped memories to the screen simultaneously, e.g. for mixing or over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복수의 프레임을 이용한 화상 표시에서는 화상 표시 처리가 늦었다.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과, 우선 표시 데이터가 저장된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과, 최상위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는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과, 우선 표시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중 우선 표시 데이터가 표시하는 우선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도록 화상 데이터를 선택 및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제어 장치{IMAGE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탑재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에 이용되고,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래스터 스캔 방식의 표시 장치에 송출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화면에 복수의 프레임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탑재용 네비게이션 시스템등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기본 화면에 점진적으로 스크롤(scroll)하는 복수의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이용된다.
도 10은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화상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 도면에서, (11)은 최상위 프레임인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퍼스트인 퍼스트아웃 메모리(First In First Out)(이하, FIFO 메모리로 기재), (12)는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 (13)은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 (14)는 최하위 프레임인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15)는 각 계층의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color data indicating transparency) 및 보더 색 데이터(color data indicating a border)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16, 17, 18, 19)는 입력단자 A, B에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2개의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EQ 단자를 통해 동일함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20, 21, 22, 23)은 제어 단자 S에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단자 A, B에 입력되는 2개의 신호중 1개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 Y를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5)는 최상위층의 제 1 프레임에서 투과를 표시하는 색 데이터인 투과 색 데이터 T1이 저장된 영역(15a)과, 제 2 프레임에서 투과를 표시하는 색 데이터인 투과 색 데이터 T2가 저장된 영역(15b)과, 제 3 프레임에서 투과를 표시하는 색 데이터인 투과 색 데이터 T3이 저장된 영역(15c)과, 최하위 프레임인 제 4 프레임에 있어서 투과를 표시하는 색 데이터인 투과 색 데이터 T4가 저장된 영역(15d)과, 중첩된 모든 프레임이 투과 색 데이터를 갖는 어떤 화소 위치에서의 표시 색을 나타내는 보더 색 데이터 BC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15e)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프레임 마다의 대응 화소가 투과 색 데이터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판정 결과, 투과 색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그 계층의 데이터가 선택되고, 투과 색 데이터의 경우에는 한 계층 하위의 데이터가 선택된다.
우선, 각 프레임 마다의 화상 데이터가 FIFO 메모리(11, 12, 13, 14)에 각각 전송된다. 이들 화상 데이터에는 화소의 RGB 색의 조합을 지정하는 색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어떤 프레임을 투과시켜 하위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그 프레임에 투과 색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그 프레임에서는 투과 색 데이터가 표시하는 색은 표시할 수 없게 된다. 각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1, T2, T3, T4는 메모리(15)의 영역(15a, 15b, 15c, 15d)에 각각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모든 프레임이 중첩하는 부분에서 투과 색 데이터를 가질 때에 화면에 표시하는 색 데이터인 보더 색 데이터 BC가 메모리(15)의 영역(15e)에 저장되어 있다.
FIFO 메모리(11)에 저장된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1화소 만큼씩 스위치(23)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 및 비교기(19)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한편, 메모리(15)의 영역(15a)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1은 비교기(19)의 입력 단자 B에 입력된다. 즉, 비교기(19)에서는 입력 단자 A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 T1과 동일한 경우에는 출력 단자 EQ에 H 신호가 출력된다. 이 H 신호는 스위치(23)의 제어 입력 단자 S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위치(22)의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선택되어 스위치(23)의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입력 단자 A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 T1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기(19)의 출력 단자 EQ에 L 신호가 출력된다. 이 L 신호는 스위치(23)의 제어 입력 단자 S에 입력된다. 그리고 FIFO 메모리(11)로부터 출력된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고 스위치(23)의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되어 표시된다.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제 3 프레임에 대해서도 제 1 프레임과 유사한 처리가 수행된다. 즉,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투과 색 데이터가 FIFO 메모리(12, 13)로부터 입력되면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위치(22, 21)는 1개 하위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 4 프레임은 최하위의 프레임이고, FIFO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는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제 4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4와 동일한 경우에는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보더 색 데이터 BC가 스위치(20)에 의해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화소 단위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인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스위치(20∼23)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중첩 표시를 실현하였다. 이 때문에, 보다 하위의 층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프레임보다 상위의 프레임중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데이터를 각각 투과 색 데이터로 치환하도록 FIFO 메모리(11∼14)의 데이터 기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FIFO 메모리(11∼14)는 메모리의 리프레시(refresh)를 위한 액세스 이외에 메모리 데이터의 재기록(rewrite)을 위한 대량의 액세스가 발생하고, 표시 속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예를 들면 화면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투과 색 데이터에 의해, 윈도우를 개방하여 하위층의 화상을 표시하면서 상위층을 스크롤하는 경우, 스크롤하는 것에 따라 이 상위층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 재기록 처리를 수행하지 않으면 안되서, 표시 속도가 더욱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1은 종래의 다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30)은 입력 단자 S0, S1, S2, S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FIFO 메모리(11∼1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및 메모리(15)의 영역(15e)에 저장되어 있는 보더 색 데이터 BC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31)은 비교기(16∼19)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로부터 스위치(30)의 입력 단자 S0, S1, S2, S3에 입력되어야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기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FIFO 메모리(11∼14)로부터 출력된 각 층의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3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0, A1, A2, A3에 입력됨과 동시에, 비교기(16∼19)의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이들 비교기(16∼19)에서는 각 층의 화상 데이터와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투과 색 데이터 T1∼T4가 비교되어 동일한 경우에는 EQ 단자로부터 H 신호가 출력된다. 이들 비교기(16∼19)의 EQ 단자로부터의 신호는 조정기(31)의 입력 단자 A0, A1, A2, A3에 입력된다. 조정기(31)에서는 입력 단자 A0, A1, A2, A3에 입력된 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FIFO 메모리(11∼14)에 저장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와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보더 색 데이터 BC중에서 1개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면, 어떤 화소 위치에서 FIFO 메모리(11, 12, 13)로부터의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이고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비교기(16)의 EQ 단자로부터 L 신호가 출력되고, 비교기(17), 비교기(18), 비교기(19)의 EQ 단자로부터는 H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조정기(31)는 스위치(30)가 FIFO 메모리(1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출력 단자 Y0, Y1, Y2, Y3으로부터 스위치(30)의 S0, S1, S2, S3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서 FIFO 메모리(1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시간 지연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10에 도시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와 유사하게, 보다 하위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위 프레임상의 데이터를 각각 투과 색 데이터로 치환하도록 FIFO 메모리의 데이터 재기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여 표시 속도가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종래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하위의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프레임보다 상위인 프레임이 대응하는 위치의 데이터를 각각 투과 색 데이터로 치환하도록 FIFO 메모리의 데이터 재기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표시 속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상의 표시 속도를 고속화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를 얻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프레임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각 프레임을 조합하여 1화면을 구성한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구성으로 한 경우에 FIFO 메모리에 기록해야 하는 제 1 프레임의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각 프레임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표시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프레임의 계층의 우선 순위가 역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0은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1은 종래의 다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52, 53, 54 : FIFO 메모리(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
60 : 메모리(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 보더 색 데이터 저장 수단)
71, 72, 73 : 비교기(제 2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 비교 수단)
80, 81 : 비교기(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
90 : 스위치(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
100, 101, 103 : 조정기(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
120 : 메모리(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 보더 색 데이터 저장 수단)
150 : 메모리(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과, 복수의 프레임의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 표시 데이터가 저장된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과, 복수의 프레임의 계층 관계에 있어서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우선 표시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과,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우선 표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중 우선 표시 데이터가 나타내는 우선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과,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각 프레임을 중첩한 경우에 그 프레임의 화상을 투과시켜서 보다 하위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각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가 저장된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과,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각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를 비교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비교 수단과, 계층 관계의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가 출력된 때에는, 복수의 프레임의 계층 관계를 변경하고 복수의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계층 관계로서 최상위 프레임과 그외의 평등한 프레임을 갖고 우선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제 1 모드와, 복수의 프레임 상호간에 상위 및 하위 계층 관계를 갖는 제 2 모드중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드 레지스터와, 모드 레지스터에 제 1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우선 표시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에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수단중 우선 표시데이터가 나타내는 우선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모드 레지스터에 제 2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계층 관계의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에는, 복수 프레임의 계층 관계를 변경해서 복수의 제 2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면에서, (51)은 최상위의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퍼스트 인 퍼스트 아웃 메모리(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 이하 FIFO 메모리로 기재), (52)는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 (53)은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 (54)는 최하위의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FIFO 메모리(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또한, (60)은 각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 보더 색 데이터 및, 제 2, 제 3, 제 4 프레임의 우선 표시 색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 보더 색 데이터 저장 수단)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71, 72, 73)은 입력 단자 A, B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고, 2개의 화상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H 신호를, 상이한 경우에는 L 신호를 EQ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비교기(제 2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 비교 수단)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80)은 입력 단자 A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와 입력 단자 B, C, D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이다. 또한, (90)은 입력 단자 S0, S1, S2, S3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FIFO 메모리(51∼5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와, 메모리(60)의 영역(67)에 저장되어 있는 보더 색 데이터 BC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 (100)은 비교기(71∼73)의 출력 단자 EQ 및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90)의 입력 단자 S0, S1, S2, S3에 입력되어야 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기(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201)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화상 메모리, (202)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각부(各部)의 설정(setting)을 수행하는 CPU, (203)은 스위치(9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대응하는 팔렛트(palette)를 참조하여 RGB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장치, (204)는 CPU(202)와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신호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CPU 인터페이스, (205)는 대용량 화상 메모리(201)로부터 FIFO 메모리(51∼54)에 화상 데이터의 송출 타이밍 및 래스터 스캔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타이밍 발생 레지스터, (206)은 CPU 인터페이스(204)의 지시에 의해 대용량 화상 메모리(201)로부터 FIFO 메모리(51∼54)에 타이밍 발생 레지스터(20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화상 메모리 인터페이스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프레임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는 최상위의 제 1 프레임 F1이 결정되어 있을 뿐이고 다른 제 2, 제 3, 제 4 프레임 F2, F3, F4는 동등하게 되어 있다. 단,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제 4 프레임을 계층 구조를 가지도록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서 제 2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의 소정의 위치에 왔을 때에 우선적으로 제 2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 우선 표시 데이터는 FIFO 메모리(51)에 저장되는 제 1 프레임에 기록되게 된다. 또한, 미리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제 4 프레임의 우선 표시 데이터 P2, P3, P4가 메모리(60)의 영역(63), 영역(62), 영역(61)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 또한, 영역(64), 영역(65), 영역(66)에는 각각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제 4 프레임의 각각의 투과 색 데이터 T2, T3, T4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화상 메모리 인터페이스(206)에 의해, FIFO 메모리(51), FIFO 메모리(52), FIFO 메모리(53), FIFO 메모리(54)에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제 4 프레임의 화상이 대용량 메모리(201)로부터 전송된다.
도 3은 각 프레임을 조합하여 1화면을 구성한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500)은 화면을 표시하고 있고, (510)은 제 1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520)은 제 2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530)은 제 3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540)은 제 4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구성으로 한 경우에 FIFO 메모리(51)에 기록해야 하는 제 1 프레임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서 제 2 프레임의 우선 표시 데이터가 P2, 제 3 프레임의 우선 표시 데이터가 P3, 제 4 프레임의 우선 표시 데이터가 P4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510)에는 P2, P3, P4 이외의 화상 데이터, 즉 각 화소에 대응하는 색 데이터가 기록된다. 영역(520)에는 모두 데이터 P2가 기록된다. 영역(530)에는 모두 데이터 P3이 기록된다. 영역(540)에는 모두 데이터 P4가 기록된다.
우선, FIFO 메모리(51)로부터 출력된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9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0에 입력됨과 더불어 비교기(8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FIFO 메모리(52)로부터 출력된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9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1에 입력됨과 더불어 비교기(73)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FIFO 메모리(53)로부터 출력된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9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2에 입력됨과 더불어 비교기(72)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FIFO 메모리(53)로부터 출력된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스위치(90)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3에 입력됨과 더불어 비교기(71)의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에 입력된다.
도 3에 도시된 화면 구성의 경우에는, 영역(510)에는 우선 표시 데이터 P2, P3, P4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교기(80)의 입력 단자 A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메모리(60)의 영역(61), 영역(62), 영역(63)에 저장되어 있는 우선 표시 데이터 P2, P3, P4와 동일하지 않다. 이 때문에,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EQ로부터는 입력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에는 출력 단자 Y0으로부터는 H 신호가, 출력 단자 Y1, 출력 단자 Y2, 출력 단자 Y3으로부터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90)는 화상 데이터 입력 단자 A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한다.
영역(520)의 스캔이 시작되면 FIFO 메모리(5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우선 표시 데이터 P2이므로 비교기(80)에서는 입력 단자 A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입력 단자 B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같게 된다. 이 때문에,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EQ 및 출력 단자 Y0으로부터는 H 신호가, 출력 단자 Y1, Y2로부터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들 신호가 조정기(100)의 입력 단자 B1, B2, B3에 입력되면 출력 단자 Y1로부터는 H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 Y0, Y2, Y3으로부터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90)는 입력 단자 A1에 입력된 FIFO 메모리(52)로부터의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한다. 유사하게, 영역(530)의 스캔이 시작되면 스위치(90)의 출력 단자 Y로부터는 FIFO 메모리(53)로부터 출력된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영역(540)의 스캔이 시작되면 스위치(90)의 출력 단자 Y로부터는 FIFO 메모리(54)로부터 출력된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따라서, 4개의 프레임의 중첩의 구성을 각각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우선 표시 데이터를 제 1 프레임에 기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 2, 제 3, 제 4프레임이 임의의 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라도 윈도우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재기록을 수행하지 않고 고속으로 자연적인 표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우선 표시되는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인 경우에는 조정기(100)의 출력 단자 Y0, Y1, Y2, Y3는 모두 H 신호로 되고, 이 경우에는 메모리(60)의 영역(67)에 저장되어 있는 보더 색 데이터 BC가 스위치(90)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된다. 예를 들면, FIFO 메모리(51)로부터 제 2 프레임을 우선하는 우선 표시 데이터 P2가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Y0으로부터는 제 2 프레임이 우선된 것을 표시하는 H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이 때 FIFO 메모리(52)로부터의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비교기(73)에서 메모리(60)의 영역(6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투과 색 데이터 T2와 비교된다. 비교기(73)에 입력된 2개의 데이터가 같은 경우에는 비교기(73)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H 신호가 출력된다. 조정기(100)는 입력 단자 A0, 입력 단자 B1이 모두 H로 되면 출력 단자 Y0, Y1, Y2, Y3에서 모두 H 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신호는 스위치(90)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S0, S1, S2, S3에 입력되고, 이 경우에는 스위치(90)은 입력단자 A4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즉 메모리(60)의 영역(67)의 보더 색 데이터 BC가 선택되어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스위치(90)의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팔렛트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RGB 데이터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우선 표시되는 프레임에 투과 색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에는 보더 색 데이터 BC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보더 색 데이터 BC를 출력시키지 않고 조정기(100)가 다른 FIFO 메모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스위치(9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해도 좋다. 예를 들면, FIFO 메모리(51)로부터 제 3 프레임의 우선 표시 데이터 P3이 출력된 경우에 제 3 프레임에 대응하는 FIFO 메모리(53)로부터 투과 색 데이터 T3가 출력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는 비교기(72)의 출력 단자 EQ 및 출력 단자 Y1으로부터 H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조정기(100)는 스위치(90)에 대해 다른 FIFO 메모리(52) 또는 FIFO 메모리(54)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FIFO 메모리(51)의 우선 표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일 없이 각 프레임의 계층적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120)은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제 4 프레임의 각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1, T2, T3, T4, 및 보더 색 데이터 BC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 보더 색 데이터 저장 수단), (81)은 입력 단자 A와 입력 단자 B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 단자 EQ를 통해 출력하는 비교기(비교 수단), (101)은 비교기(71, 72, 73, 81)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90)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S0, S1, S2, S3에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조정기(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이다. 또한, 이 조정기(101)는 CPU 인터페이스(204)에 접속되고, CPU(20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FO 메모리(51, 52, 53, 54)에 저장되는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계층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최상위(최전면) 계층인 제 1 프레임 F1, 제 1 프레임 F1의 하위 계층인 제 2 프레임 F2, 제 2 프레임 F2의 하위 계층인 제 3 프레임 F3, 최하위 계층인 제 4 프레임 F4로 불리우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우선, CPU(202)가 조정기(101)에 출력 제어 신호의 변경을 지시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도 1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와 유사한 동작으로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계층은 고정되고, 예를 들면 제 2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데는 제 1 프레임에 투과 색 데이터 T1을 기록한다. 그러면, 비교기(81)는 출력 단자 EQ를 통해 H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FIFO 메모리(52)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 T2가 아니면 조정기(101)의 입력 단자 A1에는 L이 입력된다. 이 경우에는 조정기(101)는 출력 단자 Y1을 통해 H 신호를 출력하고, 그외의 단자 Y0, Y2, Y3로부터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들 신호가 제어 입력 단자 S0, S1, S2, S3으로부터 입력되면 스위치(90)는 입력 단자 A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 Y로부터 출력한다. 제 3 프레임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에 투과 색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제 3 프레임이 투과 색 데이터가 아니면 조정기(101)의 입력 단자 A0, A1, A2에 각각 H 신호, H 신호, L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조정기(101)는 출력 단자 Y2를 통해서만 H를 출력하고, 그외의 단자 Y0, Y1, Y3을 통해서는 L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스위치(90)는 입력 단자 A2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 즉 제 3 프레임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 Y를 통해 출력한다. 유사하게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에 각각 투과 색 데이터 T1, T2, T3을 기록한다.
다음에, CPU(202)가 조정기(101)에 출력 신호의 변경을 지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표시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701)은 제 1 프레임의 화상, (702)는 제 3 프레임의 화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를 수행하는 경우에 CPU(202)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 혹은 미리 조정기(101)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단자 Y0, Y1, Y2, Y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경한다.
이 신호의 변경은 이하와 같이 수행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제 3 프레임의 화상 부분에 대응하는 제 1 프레임의 영역에는 투과 색 데이터 T1이 기록된다. 그리고, 우선 제 1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은 비교기(81)의 출력 신호 EQ에는 비교 불일치를 표시하는 L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는 출력 제어 신호의 변경을 행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출력 단자 Y0에는 H 신호가 출력되고, 스위치(90)는 FIFO 메모리(51)로부터 전송된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래스터 스캔이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로 오면 비교기(81)의 출력 단자 EQ로부터는 비교 일치를 표시하는 H 신호가 출력된다. 이 H 신호가 조정기(101)의 입력 단자 A0에 입력되면 조정기(101)는 입력 단자 A1과 입력 단자 A2에 입력되는 신호를 교환하여 처리하고, 출력 단자 Y1과 출력 단자 Y2로부터 출력하는 신호도 교환하여 출력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계층 관계의 제 2 프레임과 제 3 프레임을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제 3 프레임의 화상(702)에 래스터 스캔이 왔던 경우에는 제 2 프레임 대신에, FIFO 메모리(53)로부터 출력되는 제 3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 2 프레임에 대해 투과 색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없어, 고속의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CPU(202)측으로부터 설정을 변화함으로써, 혹은 미리 조정기(101)의 내부 설정을 변경해 놓음으로써, 제 1 프레임을 스캔하는 중에 투과 색 데이터 T1이 발견되면 제 3 프레임 대신에 제 4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우선시키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2의 구성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하의 관점에서 실시예 2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와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의 조정기(101)는 CPU(202)로부터 출력 신호의 변경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 실시예 2와는 상이한 출력 신호의 변경 처리를 수행한다. FIFO 메모리(51)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투과 색 데이터 T1으로 된 때에는 조정기(101)의 입력 단자 A0에 H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조정기(101)는 입력 단자 A1, A2, A3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 단자 A3, A2, A1으로 역 순서로 교환되어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출력 단자 Y1, Y2, Y3에 출력되는 신호를 Y3, Y2, Y1으로 역 순서로 교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 F2로부터 제 4 프레임 F4에서는 우선 순위가 역전하고, 최상위 계층으로부터 제 1 프레임 F1, 제 4 프레임 F4, 제 3 프레임 F3, 제 2 프레임 F2으로 된다. 이 때문에, 상황이 변화하여 하위 계층 표시를 빈번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때에 우선 순위가 반전되므로 투과 색 데이터를 기록하는 프레임을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고속의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4개의 프레임의 중첩을 수행하는 실시예 2, 3에서는 실시예 2의 제 2 프레임과 제 4 프레임의 순위를 교환하는 경우와 실시예 3의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제 4 프레임의 계층을 역전시키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5개 이상의 프레임의 중첩 화상 표시 제어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제 1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중 특정한 2개의 순위를 교환하는 것과 제 1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의 순위를 역전하는 것은 그 결과가 달라지게 된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 제어 장치는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동일한 회로로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9에서, (140)은 상술한 실시예 1, 2, 3중 어느 실시예 모드로 작동시키는가를 선택하기 위한 값을 CPU(202)에 의해 기록하는 모드 레지스터, (103)은 모드 레지스터(140)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입력 단자 A0, A1, A2, A3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 단자 Y0, Y1, Y2, Y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조정기(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 (150)은 CPU(202)에 의해 기록 가능한 메모리(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이고, 영역(151), 영역(152), 영역(153), 영역(154), 영역(155), 영역(156), 영역(157)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동작을 모드 1, 실시예 2의 동작을 모드 2, 실시예 3의 동작을 모드 3으로 부른다.
우선, 모드 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CPU(202)로부터 CPU인터페이스(204)를 통해 모드 레지스터(140)에 모드 1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150)의 영역(153), 영역(152), 영역(151)에 각각 제 2 프레임을 우선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제 2 프레임 우선 표시데이터 P2, 제 3 프레임을 우선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제 3 프레임 우선 표시데이터 P3, 제 4 프레임을 우선표시할 것을 나타니는 제 4 프레임 우선 표시데이터 P4를 각각 저장한다. 영역(154), 영역(155), 영역(156)에는 제 2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2, 제 3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3, 제 4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4를 각각 저장한다. 또한, 영역(157)에는 보더 색 데이터 BC를 저장한다. 모드 레지스터(140)의 값에 의해 조정기(103)는 모드 1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인식하여, 실시예 1에서 도시된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에, 모드 2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모드 레지스터(140)에 모드 2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50)의 영역(151), 영역(152)은 미사용으로 하고, 영역(153), 영역(154), 영역(155), 영역(156)에는 제 1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1, 제 2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2, 제 3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3, 제 4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4를 저장한다. 또한, 영역(157)에는 보더 색 데이터 BC를 저장한다. 모드 레지스터(140)의 값에 의해 조정기(103)는 모드 2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인식하여, 실시예 2에서 표시한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 2에서는 비교기(81)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H로 된 때에 출력 단자 Y1, Y2, Y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경 처리를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Y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모드 3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모드 레지스터(140)에 모드 3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50)의 영역(151), 영역(152)은 미사용으로 하고, 영역(153), 영역(154), 영역(155), 영역(156)에는 제 1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1, 제 2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2, 제 3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3, 제 4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 T4를 저장한다. 또한, 영역(157)에는 보더 색 데이터 BC를 저장한다. 모드 레지스터(140)의 값에 의해 조정기(103)는 모드 3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인식하여, 실시예 3에서 표시한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 3에서는 비교기(81)의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H로 된 때에 출력 단자 Y1, Y2, Y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경 처리를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기(80)의 출력 단자 Y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 단자 EQ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최상위 프레임에 기록되는 우선 표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에 우선 표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고속의 화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서로 계층 관계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계층 순위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투과 색 데이터의 기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속의 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계층 관계로서 최상위 프레임과 그외의 평등한 프레임을 갖고 우선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를 수행하는 제 1 모드와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 상위 및 하위의 계층 관계를 갖는 제 2 모드의 2개의 모드를 1개의 장치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고속의 화상 표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계층 관계(hierarchical relationship)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을 중첩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장치(a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에 있어서,
    ① 상기 계층 관계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으로서, 상기 계층 관계에 있어서 최상위 프레임(a frame having a highest order of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화상 정보(P2, P3, P4)를 더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과,
    ②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우선 표시 데이터가 저장된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61, 62, 63)과,
    ③ 상기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에 저장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 정보와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61, 62, 63)에 저장된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를 비교하는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80)과,
    ④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80)의 비교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의 상기 화상 정보와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61, 62, 63)의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중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가 나타내는 우선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 및 출력시키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90, 10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은 상기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90)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2. 서로 계층 관계(hierarchical relationship)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을 중첩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장치(a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에 있어서,
    ① 상기 계층 관계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각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으로서, 상기 계층 관계에 있어서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화상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과,
    ② 상기 각 프레임을 중첩시키는 경우, 해당 프레임의 화상을 투과(penetrate)시켜, 보다 하위 프레임(a lower frame i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의 데이터를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각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T1, T2, T3, T4)가 저장된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121, 122, 123, 124)과,
    ③ 상기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화상 정보와 상기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121, 122, 123, 124)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각 프레임 마다의 상기 투과 색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비교 수단(71, 72, 73, 81)과,
    ④ 상기 복수의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의 상기 화상 정보와 상기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121, 122, 123, 124)의 상기 투과 색 데이터가 일치하면, 사전 설정된 소정의 순서로 상기 최상위 프레임을 제외한 상기 프레임들의 상기 계층 관계를 변경시킨 뒤, 상기 복수의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을 제외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선택 및 출력시키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90, 101)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3. 계층 관계(hierarchical relationship)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을 중첩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제어 장치(a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에 있어서,
    ①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과,
    ②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각각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우선 표시 데이터가 저장된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150)과,
    ③ 각 프레임을 중첩시킨 경우, 해당 프레임의 화상을 투과시켜, 보다 하위 프레임의 데이터를 표시할 것을 나타내는 각 프레임 마다의 투과 색 데이터가 저장된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150)과,
    ④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상기 계층 관계에 있어서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 저장 수단(15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80)과,
    ⑤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150)에 저장되어 있는 각 프레임 마다의 상기 투과 색 데이터를 비교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 대응하여 제공된 복수의 제 2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71, 72, 73)과,
    ⑥ 상기 계층 관계로서 최상위의 프레임과 그외의 평등한 프레임을 갖고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제 1 모드와, 복수의 프레임이 상호간에 상위 및 하위의 계층 관계를 갖는 제 2 모드중 어느 쪽인가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드 레지스터(140)와,
    ⑦ 상기 모드 레지스터에 제 1 모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80)의 비교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으로부터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가 출력된 것으로 판단될 때에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 52, 53, 54)중 상기 우선 표시 데이터가 표시하는 우선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 및 출력하고, 상기 모드 레지스터에 제 2 모드를 표시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계층 관계에서 최상위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1)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투과 색 데이터가 출력될 때 상기 복수의 프레임의 계층 관계를 변경해서 상기 제 2 비교 수단(71, 72, 73)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으로부터 1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90, 103)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중 최상위 프레임을 제외한 각각의 프레임을 투과(penetrating)시키기 위한 투과 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64, 65, 66)과,
    상기 최상위 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프레임에 상기 투과 색 데이터가 기록되었을 때 화상으로서 표시될 보더 색(border color)을 나타내는 보더 색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더 색 데이터 저장 수단(67)과,
    상기 최상위 프레임을 제외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수단(52, 53, 54)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투과 색 데이터 저장 수단(64, 65, 66)에 저장된 투과 색 데이터와 비교하는 제 2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71, 72, 73)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 상기 최상위 프레임을 제외한 프레임의 상기 화상 데이터가 상기 투과 색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 선택 수단(90, 100)은 상기 보더 색 저장 수단(67)에 저장된 보더 색 데이터를 선택 및 출력시키는 화상 표시 제어 장치.
KR1019970002178A 1996-04-19 1997-01-25 화상 표시 제어 장치 KR100260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98543A JPH09288477A (ja) 1996-04-19 1996-04-19 画像表示制御装置
JP96-98543 1996-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234A KR970071234A (ko) 1997-11-07
KR100260471B1 true KR100260471B1 (ko) 2000-07-01

Family

ID=1422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178A KR100260471B1 (ko) 1996-04-19 1997-01-25 화상 표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53019A (ko)
JP (1) JPH09288477A (ko)
KR (1) KR100260471B1 (ko)
CN (1) CN1102006C (ko)
DE (1) DE19653438A1 (ko)
FR (1) FR2747809B1 (ko)
TW (1) TW3120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8456B2 (ja) * 1997-02-14 2010-02-03 株式会社ニコン 情報処理装置
US6756974B2 (en) * 1997-09-24 2004-06-29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DE19908082C2 (de) 1999-02-25 2001-05-23 Becker Gmbh Lokales ringförmiges Netzwerk
JP3543942B2 (ja) * 2000-03-02 2004-07-2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生成装置
US7210093B1 (en) 2000-03-09 2007-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isplaying pages downloaded from over a network in an application window
US7367899B2 (en) * 2000-04-18 2008-05-06 Acushnet Company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US7426594B1 (en) * 2004-10-08 2008-09-16 Nvid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rbitrating between memory requests
US20060132871A1 (en) * 2004-12-20 2006-06-22 Beretta Giordano B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mage frame color for an image frame
CN100525407C (zh) * 2005-05-26 2009-08-05 海尔集团公司 具有调频收音机功能的电视机
CN101515262B (zh) * 2008-02-18 2010-10-27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仲裁装置及其方法
JP5116514B2 (ja) * 2008-03-11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584342B1 (en) 2010-05-26 2017-02-28 Marvell International Ltd. Enhanced audio video bridging (AVB) methods and apparatus
JP5201541B2 (ja) * 2011-02-22 2013-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箇所抽出装置及び表示箇所抽出方法
JP5716731B2 (ja) 2012-12-04 2015-05-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6525352A (zh) 2017-06-02 2023-08-01 陈彦伯 智能型无熔丝开关组
CN110771051B (zh) 2017-06-29 2022-03-01 陈彦伯 可供电力线通讯网络跨相位的无熔丝开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257A (en) * 1989-04-27 1992-01-21 Motorola, Inc. Bit plane partitioning for graphic displays
US5170154A (en) * 1990-06-29 1992-12-08 Radius Inc. Bus structure and method for compiling pixel data with priorities
US5351067A (en) * 1991-07-22 1994-09-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source image real time mixing and anti-aliasing
US5530797A (en) * 1992-04-09 1996-06-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orkstat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overlapped windows using a priority control register
JP3444961B2 (ja) * 1994-05-09 2003-09-08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006C (zh) 2003-02-19
FR2747809A1 (fr) 1997-10-24
KR970071234A (ko) 1997-11-07
US5953019A (en) 1999-09-14
DE19653438A1 (de) 1997-10-23
JPH09288477A (ja) 1997-11-04
TW312001B (en) 1997-08-01
FR2747809B1 (fr) 2000-07-07
CN1163535A (zh)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471B1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US4661812A (en) Data transfer system for display
JPH0876713A (ja) 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
KR100196686B1 (ko) 이중버퍼출력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프레임 버퍼간에 카피를 고속으로 하기 위한 장치
KR920022808A (ko) 수신 화상 표시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
JP3002951B2 (ja) 画像データ記憶制御装置
KR100245266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JP2599412B2 (ja) 液晶表示装置
US5646694A (en)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having three line buffers controlled to store and provide picture data of different resolutions
JP3580685B2 (ja) 電子ブック表示制御装置
KR100382956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표시장치
JP3002247B2 (ja) 文字重畳装置
KR100206580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4분주 데이타를 위한 메모리 장치
JP2781924B2 (ja) スーパーインポーズ装置
JPS62113193A (ja) 記憶回路
JPH07319763A (ja) アドレス変換装置
KR100243009B1 (ko) 레터박스 필터
JPS61265680A (ja) ビツトマツプ画像表示制御方式
JPH0316037B2 (ko)
JPH0736424A (ja) 画像表示用メモリの制御回路
JPH08320681A (ja) 多色表示装置
JPS58102982A (ja) 画像表示装置
JPH07129136A (ja) Ohp用表示装置
JPS6332588A (ja) 表示制御装置
JPH023695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