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0343B1 -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 Google Patents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0343B1
KR100260343B1 KR1019920015898A KR920015898A KR100260343B1 KR 100260343 B1 KR100260343 B1 KR 100260343B1 KR 1019920015898 A KR1019920015898 A KR 1019920015898A KR 920015898 A KR920015898 A KR 920015898A KR 100260343 B1 KR100260343 B1 KR 100260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layer
diameter
pipe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58A (ko
Inventor
카르스트룀 뵈르게
Original Assignee
가브리엘라 론치
호바스 엔지니어링 아게
도미니끄 메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브리엘라 론치, 호바스 엔지니어링 아게, 도미니끄 메이어 filed Critical 가브리엘라 론치
Publication of KR93000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4Moulding material on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preformed part, e.g. outsert moulding
    • B29C70/76Moulding on edges or extremities of the preformed part
    • B29C70/766Moulding on edges or extremities of the preformed part on the end part of a tubular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15M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질이 강화된 플라스틱재질이 원통형상 외부층과 폴리우레탄재질의 내부층을 갖춘 커플러와 이 커플러의 주조모울드 및 그 공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부층은 2개의 선단사이의 중간부 위에 서로 연결될 2개의 파이프의 선단부용 걸리개역할을 하는 리브가 구비되고, 이 리브와 한쪽 선단사이에는 바깥쪽으로 크기가 증가되는 직경을 갖는 원추형내부가 형성되며, 이 원추형내면에는 2개의 밀봉비드가 갖춰지고, 또한 원추형상부와 톱니형상리브 및 환형홈은 리브와 다른쪽 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이러한 형식의 커플러는 파이프의 선단부상에 각각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착제를 매개로 반영구적으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커플러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는 커플러의 단쪽 선단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커플러와 파이프의 중심축이 동심적이지는 않지만 서로 약간의 각도를 가질 때에는 커플러내에 견고하게 끼워맞춰지게 된다.

Description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모울드
본 발명은 2개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성형하는 성형모울드 및 그 성형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플러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커플러는 각각의 파이프가 한쪽 끝에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특정방식으로 각 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체결되는 원통형상의 파이프이다. 그러나 파이프의 한쪽 끝에 커플러역할을 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그 안으로 동종파이프의 연장되지 않은 끝을 끼우는 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한 2가지 방법은 플라스틱 파이프의 경우에 공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커플러의 장점과 단점 역시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파이프와 슬리브간의 밀착결합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 파이프나 커플러에 밀봉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파이프의 끝과 인접한 부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내에 예컨대 오형링이나 이와 유사한 밀봉수단을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은 파이프 벽의 두께를 감소시켜서, 특히 파이프가 지면에 눕혀지거나 가압수단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양되어야 하므로, 그 내부가 탄성을 가짐 립을 구비하고 그리고 그 내부에 고체재질의 덮개부재가 구비되는 커플러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타입의 커플러는 제조하기에 복잡하고, 따라서 고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기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밀봉수단이 구비되어 밀봉수단이 없는 파이프의 끝 위로 빈틈없이 밀어넣어질 수 있고 필요하다면 고정도 가능하여 파이프가 분리가능하면서 빈틈없는 밀봉 상태로 삽입되 수 있도록 된 커플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목적은 특히 2개의 밀봉되지 않은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파이프의 연결에 적합한 커플러에 의해 달성되는 바, 여기서 상기 커플러는 적어도 한쪽 끝 부분에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외부층과,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형성되면서 커플러내부를 향하여 내경이 감소되는 내부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끝사이에 있는 부분의 직경은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과 적어도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더불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바, 즉 나머지 파이프 부분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끝부분을 갖춘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어서 일정한 외경을 갖는 파이프 라인 즉 외부비드나 리브가 없는 파이프라인의 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전체길이에 걸쳐 외경이 동일한 무견각 파이프 위에도 역시 장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수단이 갖추어지지 않은 2개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밀봉수단이 구비된 커플러의 성형공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외부층과 적어도 한쪽 끝부분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성형되고 커플러 내부를 향해 그 내경이 감소하도록 된 내부층을 갖추는바, 여기서 양끝 사이에서의 커플러의 내경은 더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내부코팅층을 구비하되 이 코팅층이 상기 내부 형상을 이루도록 모울드 주조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봉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원통형 끝부분의 직경(D2)이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 보다 작은 2개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는 밀봉수단이 구비된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모울드를 제공하는데에 있는바, 여기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재질로 된 원통형 외부층과 그리고 적어도 한쪽 끝부분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커플러의 안쪽을 향해 내경이 감소하는 내부층을 구비하며, 또한 2개의 끝 사이의 부분에서 커플러의 내경은 보다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과 적어도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의 길이는 원통형 끝부분의 길이의 2배이고, 커플러이 외경은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과 동일하며, 커플러 내부에는 하나의 폴리우레탄층이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커플러 길이의 30%∼50%까지에만 형성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내부코팅층을 구비하되 이 코팅층이 상기 내부형상을 이루도록 모울드 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모울드는 주조에 의해 제조될 폴리우레탄층에 상기 내부형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이 바닥판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는 모울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은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를 모울드링과 동축상으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봉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2개의 무견각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는 밀봉수단이 구비된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모울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가에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외부층과 그리고 적어도 한쪽 끝 부근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커플러의 안쪽을 향해 내경이 감소하는 내부층을 구비하고, 양끝 사이에서의 커플러의 내경은 더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고, 상기 내부층은 서로 연결될 파이프에 대하여 멈춤부 역할을 하는 리브를 2개의 커플러 끝 사이의 중간부분에 구비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표면은 상기 리브로부터 커플러의 한쪽 끝까지 원추형상으로 확장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비드를 구비하며, 원통형상부와 커플러의 내부로 톱니형상으로 돌출하는 리브 및 이 리브의 방사상 플랭크면에 인접한 환형상 홈이 리브와 커플러의 다른쪽 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상 홈의 직경(n)은 원통형상부의 내경(D4)보다 크고, 상기 원통형상부의 내경(D4)은 커플러의 반대쪽 끝이 직경(D5)과 동일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내부코팅층을 구비하되 이 코팅층은 상기 내부형상을 이루도록 모울드 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모울드는 원추형상부와 리브의 측면 및 끝면을 성형하는 역할을 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끝판에 연결되는 슬리이브와 그리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원통형 링을 지지하는 유지링을 갖춘 제1금속부와 원통형상부와 톱니플랭크면을 성형하는 데에 사용되면서 제1 금속링상에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된 제2 원통형 금속슬리이브 및 환형상 홈을 성형하는데에 사용되면서 분리 가능한 플라스틱링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링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그리고 서로 연결될 파이프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의 성형모울드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와 그리고 서로 연결될 파이프들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커플러이 성형모울드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플러 2, 3 : 플라스틱 파이프
4 : 끝부분 5 : 외부층
6 : 내부표면 7 : 내부층
8 : 계단부 9 : 접착제
10 : 바닥판 11 : 모울드링
12 : 위치결정수단 21 : 커플러
22 : 외부층 23 : 내부층
24, 25 : 파이프 26 : 리브
27 : 내부표면 28, 29 : 밀봉비드
30 : 커플러축 31 : 경사부
33 : 원통형상부 36 : 홈
35 : 리브 32, 37 : 파이프축
41 : 제1금속부 42 : 슬리브
43 : 끝판 44 : 유지링
45 : 금속슬리브 46 : 플라스틱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1)는 동일한 외경(D1)을 갖는 2개의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파이프(2, 3)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이 커플러(1)에 파이프(2, 3)를 삽입하기 위하여 파이프들(2, 3)의 원통형 끝(4)은 그 직경(D2)이 파이프의 주단면직경(D1)보다 작다. 커플러(1)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외부층(5)과 그리고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성형된 내부층(7)을 구비하는데, 이 내부층(7)은 내부표면 전체에 걸쳐 뻗어있지는 않고 단지 커플러의 끝에서 시작하여 커플러길이의 30∼50%정도까지만 뻗어있고, 커플러(1)의 나머지 내부표면(6)은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커플러 끝에서의 폴리우레탄층(7)의 내경(D3)은 원통형 파이프의 끝부분(4)의 외경(D2)과 같거나 또는 상기 외경보다 기껏해야 0.5% 크다. 빈틈없는 밀봉을 위하여 폴리우레탄층의 최소내경은 파이프의 원통형 끝부분(4)의 외경(D2)보다 0.35∼1.5% 만큼 작다. 이 직경(D3)은 커플러의 끝으로부터 파이프안쪽으로 점점 줄어드는데, 내부표면의 윤곽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을 수도 있으나 예컨대 둥글게 처리되어 달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층의 내경은 커플러의 내부쪽으로 감소해야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층(7)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6)은 본래 방사상인 면(8)에 접하지만 이와 약간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커플러의 길이(b)는 원통형의 끝부분 길이의 거의 2배인데, 이러한 구조로 이해 상기 파이프와 커플러로 이루어진 파이프부는 그 외부표면이 균일하게 되므로 상기 파이프는 가압공정에 의해 눕혀질 수 있다. 커플러의 길이(b)가 원통형 부분의 길이의 2배보다 약간 작다면, 개개의 파이프는 서로 직접 맞닿아서 작동 중에 힘의 전달에 유리하다. 사용하는 동안, 도시된 커플러(1)는 그 왼쪽방향으로 플라스틱 파이프(2) 위로 밀어넣어지는데, 커플러를 밀어넣기 전에 그 위에 발라진 접착제(9)에 의해 파이프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접착제층의 두께는 적어도 커플러(1)의 내경과 파이프 끝부분(4)의 외경(D2)의 차의 반정도와 일치해야 한다. 이후 우측파이프가 삽입된다. 끝부분(4)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들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직경이 큰 쪽은 커플러상에 접착제로 고정하고 직경이 작은 쪽은 커플러안으로 삽입하여 필요에 따라 커플러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2, 3)가 서로 동축으로뿐만 아니라 약간 비스듬하게 놓여질 수 있고 폴리우레탄층(7)에 의해 요구되는 밀착결합이 모든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커플러(1)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성형을 위한 모울드는 바닥판(10)과 이 바닥판(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가능한 모울드링(11)으로 구성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중공의 플라스틱실린더(5)를 판 위에 모울드링(11)과 동축상으로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10)은 위치결정수단(12)을 구비한다. 상기한 위치결정수단은 링이나 또는 예컨대 핀처럼 다른 방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될 수 있으며, 이 위치결정수단은 견고하게 혹은 분리가능하게 바닥판(10)에 결합된다. 중공실린더(5)가 장착된 후에 이 중공실린더와 모울드링(11) 사이의 공간은 폴리우레탄으로 채워져 그 결과 견고하게 링에 고정된 내부층(7)이 형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라스틱링의 표면을 종래방식으로 처리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 결과 내부층(7)과 외부층(5)이 영구결합된다. 상기한 내부층(7)이 경화된 후에 중공실린더(5)는 회전되어, 커플러가 파이프끝에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지 않는다면 실린더의 다른 끝 역시 폴리우레탄층을 구비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커플러(21)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원통형 외부층(22)과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딘 내부층(23)을 갖는다. 상기 내부층(23)은 2개의 커플러 끝(21a, 21b) 사이의 거의 중간쯤에 2개의 파이프(24, 2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리브(26)를 구비한다. 커플러의 내부표면(27)은 상기 리브(26)와 도면상 좌측인 커플러의 한쪽 끝(21a) 사이에서 원추형으로 넓혀져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 이 원추형표면(27)은 조금 편평한 2개의 밀봉비드(28, 29)를 구비하며 축(30)과 약 4°의 각을 이룬다. 커플러(21) 측면의 내경(D5)이 파이프(24)의 외경(D6)보다 조금 크다면, 커플러(21)는 파이프의 끝부분 위로 용이하게 밀어넣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끝에는 경사부(31)가 형성되어 비드(28, 29)에도 불구하고 리브(26)가 파이프 끝에 위치할 때까지 별 어려움없이 커플러를 파이프위로 밀어넣을 수 있다. 이렇게 파이프를 밀어넣는 동안에 커플러의 내부는 물론 약간 변형되며 폴리우레탄층(23)은 특히 비드(28, 29) 영역에서 가압된다. 파이프의 외부나 커플러의 내부에 접착제가 발라져 있다면, 상기 커플러(21)는 커플러축(30)이 파이프축(32)과 일치하는 상태로 파이프(24)에 영구적으로 분리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리브(26)와 도면 오른쪽의 커플러 끝(21b) 사이의 파이프 내부 영역은 약간 다른데, 원통형상부(33)가 최외곽에 있고 이 경우에 바깥끝에는 역시 경사부(3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원통형상부(33)에는 톱니모양으로 커플러의 내부로 돌출된 리브(35)가 이어지며, 환형상 홈(36)이 상기 리브(35)와 다른쪽 리브(26) 사이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36)의 내경(n)은 원통 형상부(33)의 내경(D4)보다 조금 크다.
원통형상부(33)의 직경은 본래 커플러의 반대쪽 끝(a)의 내경(D5)과 일치하고, 특히 원통형상부(33)에 경사부(34)가 형성된 경우 원추형부분(27)의 자유단의 직경(D5)보다 조금 작을 수 있다. 커플러의 끝(b) 역시 외경이 D6인 파이프(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한 크기는 바람직하기로는 다음과 같다.
즉, 원통형상부(33)의 내경(D4)이 파이프(25)의 외경(D6)보다 0.5% 더 크거나 동일하고, 홈(36)이 직경(n)은 파이프 외경(D6)보다 2%∼5%정도 더 크다. 이에 비해 톱날리브(35)의 내경(S)은 파이프(25)의 외경(D6)보다 5%∼10%정도 작다. 따라서,
이다.
커플러의 우측에서의 상기한 치수로 인해 파이프(25)가 커플러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톱니리브(35)에 의해 밀봉이 확실히 이루어지며, 이때 톱니부는 파이프(25)가 삽입될 때 홈(36)에 의해 변형, 즉 가압되고 약간 만곡되어서 커플러축(30)이 파이프축(37)과 5°정도의 예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우 크고 이에 상응하여 중량이 많이나가는 즉, 직경이 1m 내지 그 이상인 파아프의 삽입시에는 커플러의 원통형 내부표면(33)과 파이프(25)의 외부표면 사이에 균일한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 대신에 상기 파이프는 원통형표면(33)의 바닥에 안착될 것이고, 그 크기에 따라 파이프 직경의 0.5% 정도의 간격이 파이프(25)와 원통형 표면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톱니리브(35)의 내경이 적어도 파이프(25) 직경(D6)보다 0.35% 정도 작기 때문에 파이프(25)는 커플러(21)내에서 여전히 밀착결합된다.
앞서 기술한 커플러(21)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울드(40)를 사용하여 성형되는데, 모울드(40)는 다음과 같은 3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슬리브(42)와 끝판(43) 및 유지링(44)을 구비한 제1금속부(41)와, 제2 금속슬리브(34) 및 개개의 부분으로 분리가능한 플라스틱 링(46)으로 구성된다.
슬리브(42)는 외주면에 커플러의 원추형 부분(27)을 형성하는 부분(42a)과, 리브(26)의 한쪽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42b)과 상기 리브(26)의 끝면을 형성하는 부분(42c)을 구비한다. 슬리브(42)와 동축상으로 유리섬유로 강화된 링 또는 중공 실린더(22)를 파지하는 역할을 하는 유지링(44)을 그 바깥쪽 끝에 구비하는 끝판(43)은 원통형 표면(42c)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슬리브(42)의 끝에 일체로 성형된다.
금속 슬리브(45)는 외주면에 3개의 상이한 부분을 갖추는 바, 최외곽부에 원통형표면(33)을 형성하는 원통형부분(45a)과 톱니(35)의 플랭크면을 형성할 원추형부분(45b) 및 플라스틱 링(46)을 수용할 작은 직경부를 갖추는데 예컨대 실리콘 따위로 구성되며, 커플러(21)의 내부층(23)의 성형후에 커플러(21)로부터 제거가능하도록 분할되는데, 내부층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다. 2개의 부분(41, 45)을 동축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슬리브(42)의 끝면에는 슬리브(45)의 인접끝면의 직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 만입부(41d)가 구비된다.
상기 모울드를 기술하는 중에 이 모울드의 사용,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42)의 성형과정을 지적하였는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재질의 실린더(22)가 모울드(40)내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중공실린더(22)와 슬리브(42)와 링(46) 및 슬리브(45)로 경계된 공간에 액체 폴리우레탄을 채워 경화시킨 후, 모울드부(41)와 슬리브(45)와 실리콘 링(46)을 차례로 제거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리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링의 내부표면은 고체 폴리우레탄이 모울드 표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모울드 부분이 처리되는 한편, 폴리우레탄이 견고하게 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Claims (11)

  1. 밀봉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2개의 파이프(2, 3; 24, 25)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외부층(5; 22)과, 그리고 적어도 한쪽 끝 부근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내경이 커플러의 안쪽으로 감소하는 내부층(7, 23)을 구비하고, 양끝 사이에서의 상기 커플러의 내경은 더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파이프의 원통형 끝부분(4)이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갖는 2개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플러의 길이는 상기 원통형 끝부분(4)의 길이의 2배이고, 상기 커플러의 외경은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과 동일하고,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커플러 길이의 30∼50% 까지만 연장되는 하나의 폴리우레탄층만이 상기 커플러이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끝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내경(D3)은 파이프의 원통형 끝부분의 외경(D2)과 동일하거나 또는 끝부분의 외경(D2)보다 0.5% 범위 내에서 크고,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최소내경은 파이프의 원통형 끝부분(4)의 직경(D2)보다 0.35∼1.5% 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외경(D6)을 가지는 2개의 무견각 파이프(24, 25)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층(23)에는 서로 연결될 파이프(24, 25)에 대하여 멈춤부 역할을 하는 리브(26)가 2개의 커플러 끝(a, b) 사이의 중간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이 내면(27)은 상기 리브(26)로부터 커플러의 한쪽끝(a)까지 원추형상으로 확장되며 그리고 두루두루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비드(28, 29)를 구비하고, 원통형상부(33)와 커플러안쪽으로 톱니형상으로 돌출된 리브(35) 및 이 리브(35)의 방사상 플랭크면에 인접한 환형상 홈(36)이 상기 리브(35)와 커플러의 다른쪽 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상 홈(36)의 직경(n)은 원통형상부의 내경(D4)보다 크고, 상기 원통형상부(33)의 내경(D4)은 커플러의 반대쪽 끝(a)의 직경(D5)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견각파이프(24, 25)의 외경(D6)과 원통형상부의 내경(D4) 사이의 관계는 D6≤D4≤1.005D6이고, 톱니형상리브의 내경(S)과의 관계는 0.985D6≤S≤0.9965D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6. 밀봉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원통형 끝부분의 직경(D2)이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 보다 작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로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외부층과 그리고 적어도 한쪽 끝 부근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커플러의 안쪽으로 내경이 감소하는 내부층을 구비하고, 양끝 사이의 커플러의 내경은 더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의 길이는 원통형 끝부분의 길이의 2배이고, 커플러의 외경은 나머지 파이프 부분의 외경(D1)과 동일하며,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커플러 길이의 30%∼50%까지에만 연장되는 하나의 폴리우레탄층만이 커플러 내부에 형성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내부코팅층을 구비하되 이 코팅층이 상기 내부형상을 이루도록 성형모울드를 주조하여 형성되고, 상기 성형모울드는 주조에 의해 제조될 폴리우레탄층에 상기 내부형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닥판(10)과 이 바닥판(1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는 모울드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은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5)를 모울드링과 동축상으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7. 밀봉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2개의 무견각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로서, 상기 커플러는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 외부층과 그리고 적어도 한쪽 끝 부근에 폴리우레탄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커플러의 안쪽을 향해 내경이 감소하는 내부층을 구비하고, 양끝 사이에서의 커플러의 내경은 더 큰 내경을 갖는 끝부분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고, 상기 내부층은 서로 연결될 파이프에 대하여 멈춤부 역할을 하는 리브를 2개의 커플러 끝 사이의 중간부분에 구비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표면은 상기 리브로부터 커플러의 한쪽 끝까지 원추형상으로 확장되며 그리고 두루두루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비드를 구비하며, 원통형상부와 커플러의 내부로 톱니형상으로 돌출하는 리브 및 이 리브의 방사상 플랭크면에 인접한 환형상 홈은 리브와 커플러의 다른쪽 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환형상 홈(7)의 직경(n)은 원통형상부의 내경(D4)보다 크고, 상기 원통형상부의 내경(D4)은 커플러의 반대쪽 끝이 직경(D5)과 동일하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실린더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내부코팅층을 구비하되 이 코팅층은 상기 내부혀상을 이루도록 성형모울드 내에서 주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성형모울드는 원통형상부와 리브의 측면 및 끝면을 성형하는 역할을 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끝판(43)에 연결되는 슬리이브(42)와 그리고 유리섬유로 강화된 원통형 링(22)을 지지하는 유지링(44)을 갖춘 제1금속부(41)와, 원통형상부(33)와 톱니플랭크면을 성형하는 데에 사용되면서 제1금속링(42)상에 밀어넣어질 수 있도록 된 제2 원통형 금속슬리이브(45), 및 환형상 홈(36)을 성형하는데에 사용되면서 분리가능한 플라스틱링(46)의 3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8.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커플러 내경과 커플러 외경을 가지며 또한 제1끝과 제2끝을 가지는 외부층으로서, 상기 외부층의 제1끝과 제2끝 사이의 상기 커플러 내경이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층의 제2끝에서의 내경과 같은 외부층과; 상기 외부층을 상기 2개의 파이프 중 한쪽에 대하여 밀봉하는 밀봉수단으로서, 상기 외부층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층의 제1끝으로부터 상기 외부층이 길이의 30∼50%의 길이만큼 상기 외부층의 제2끝을 향해 연장되며 그리고 제1끝과 제2끝을 가지는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층의 제1끝은 상기 외부층의 제1끝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내부층의 내경은 내부층의 제1끝에서 내부층의 제2끝을 향해 줄어드는 밀봉수단; 을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의 각각의 외경이 상기 커플러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또한 각각의 파이프 끝부분이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파이프 끝부분 각각이 상기 외부층의 길이의 절반인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파이프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끝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외부층은 원통형이며 유리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제1끝에서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파이프 끝부분의 외경과 그리고 상기 파이프 끝부분의 외경보다 0.5% 큰 범위 사이에 있고, 상기 내부층의 내경의 최소 크기는 파이프 끝부분의 외경보다 0.35∼1.5% 작은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11.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제1끝과 제2끝을 가지는 외부층과; 상기 2개의 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외부층을 밀봉하는 밀봉수단으로서, 상기 외부층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층의 제1끝으로부터 상기 외부층의 제2끝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제1끝과 제2끝을 가지는 내부층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층의 제1끝은 상기 외부층의 제1끝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내부층은 상기 두 개의 파이프가 상기 커플러 내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상기 내부층의 제1끝과 제2끝 사이의 중간지점에 멈춤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멈춤수단은 제1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층의 내경은 상기 제1리브로부터 상기 내부층의 제2끝까지 증가하고, 상기 내부층은 상기 리브와 내부층의 제2끝 사이에 밀봉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의 내부로 돌출하는 제2리브가 상기 제1리브와 상기 내부층의 제1끝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층은 상기 제1끝과 상기 제2리브 사이에 원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층은 상기 제1리브와 상기 제2리브사이에 환형상 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층의 제1끝에서의 내경은 상기 내부층의 제2끝에서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환형상 홈의 내경은 상기 내부층의 제1끝과 제2끝에서의 내경보다 큰 밀봉수단; 을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의 각각의 외경이 상기 내부층의 제1끝 및 제2끝에서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내부층의 제1끝 및 제2끝에서의 내경이 상기 파이프의 외경의 100.5%보다 작고, 상기 제2리브의 내경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의 98.5%보다 크고 상기 파이프의 외경의 99.65%보다 작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KR1019920015898A 1991-09-06 1992-09-02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KR100260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622/91 1991-09-06
CH262291 1991-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58A KR930006358A (ko) 1993-04-21
KR100260343B1 true KR100260343B1 (ko) 2000-07-01

Family

ID=423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898A KR100260343B1 (ko) 1991-09-06 1992-09-02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330238A (ko)
EP (1) EP0532459B1 (ko)
JP (1) JP3342714B2 (ko)
KR (1) KR100260343B1 (ko)
AT (1) ATE144602T1 (ko)
AU (1) AU651908B2 (ko)
CA (1) CA2077619A1 (ko)
DE (1) DE59207423D1 (ko)
ES (1) ES2093238T3 (ko)
HK (1) HK1007437A1 (ko)
NO (1) NO303084B1 (ko)
RU (1) RU2076987C1 (ko)
SI (1) SI92001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44B1 (ko) 2009-06-24 2011-11-11 천호산업(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펌프시스템
KR101387422B1 (ko) * 2012-06-13 2014-04-21 듀라케미 (주) 관의 내.외부 방식도장에 의해 결합된 패킹 일체형 관
KR20190070579A (ko) *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파라텍 배관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503669D1 (de) * 1994-07-08 1998-10-29 Hobas Eng Ag Zum Verbinden zweier Kunststoffrohre dienende Muffe
US5480196A (en) * 1994-08-15 1996-01-02 American Cast Iron Pipe Company Ductile iron pipe joint employing a coupling and coupling therefor
WO1998056555A1 (de) * 1997-06-09 1998-12-17 Hobas Engineer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leitungsteilen aus kunststoff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rohrleitungsteil
DE19902456A1 (de) * 1999-01-22 2000-08-10 Boerge Carlstroe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faserverstärkten Kunststoffrohres sowie einer Kupplung
DE19925817C1 (de) * 1999-06-07 2000-08-31 Hobas Engineering Gmbh Klagenf Rohrkuppl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030231A1 (de) 2000-06-20 2002-01-10 Hobas Engineering Gmbh Klagenf Kupplung zum Verbinden von zwei Rohren
EP1818590A1 (en) * 2006-02-10 2007-08-15 Luxembourg Patent Company S.A. Sealed flange joint for high pressure and high purity gas channels
EP1909018B1 (de) * 2006-10-05 2014-08-20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Rohrverbindungsformteil mit thermischer Isol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Rohrverbindungsformteiles
US7942422B2 (en) * 2009-01-02 2011-05-17 Unisert Multiwall Systems, Inc. Multiwall pipe lip seal joint
WO2011043689A1 (ru) * 2009-10-05 2011-04-14 Zamaleev Firdaus Usmanovich Муфта с внутренним уплотнением, исключающим отложения (варианты)
DK2521874T3 (en) * 2010-01-04 2016-11-07 Lokring Tech Llc Mechanically attached fittings for use in an acidic environment
KR101379922B1 (ko) 2012-10-19 2014-04-02 (주)에이티씨 파이프형 섬유 강화 복합재 구조체 및 그 성형 방법
ES2745269T3 (es) 2014-02-13 2020-02-28 Frimo Group Gmbh Dispositivo de sellad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110C (ko) *
FR806525A (fr) * 1936-05-15 1936-12-18 Anciens Etablissements Somborn Nouveau joint de tuyauterie
US2302244A (en) * 1942-01-27 1942-11-17 John F Morrell Pipe coupling and sealing device
US2794483A (en) * 1955-11-28 1957-06-04 John R Hopkins Preformed product for protecting and coating field joints of pipes
FR1218062A (fr) * 1958-12-29 1960-05-09 Yale & Towne Mfg Co Frein perfectionné
US3575445A (en) * 1965-06-24 1971-04-20 Johns Manville Thermally insulated pipe
FR1516933A (fr) * 1967-01-18 1968-02-05 Fonderie Soc Gen De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joint d'étanchéité pour assemblage de canalisation
US3430989A (en) * 1967-12-20 1969-03-04 Pacific Clay Products Pipe coupling
FR2204254A5 (en) * 1972-10-25 1974-05-17 Kleber Colombes Elastic coupling of fibre-contg rubber - with axial elasticity and circumfer-ential rigidity
DE2343958A1 (de) * 1973-08-31 1975-03-13 Wolf Stahlbau Kg Hopfenpflueckmaschine
CH600228A5 (ko) * 1976-10-13 1978-06-15 Hobas Eng Ag
US4229028A (en) * 1978-12-20 1980-10-21 Universal Sewer Pipe Company Pipe coupler
SE8003870L (sv) * 1980-05-23 1981-11-24 Forsheda Gummifabrik Ab Tetningsring
US4400019A (en) * 1981-04-22 1983-08-23 Unisert Systems, Inc. Multilayer pipe joint
DE3146272A1 (de) * 1981-11-21 1983-06-01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anbringung eines schlauches an einem anschlussstueck"
US4565381A (en) * 1984-04-24 1986-01-21 Joelson C R Self aligning concrete pipe with configured joint
US4915422A (en) * 1989-01-06 1990-04-10 The American Brass & Iron Foundry Pipe coupling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44B1 (ko) 2009-06-24 2011-11-11 천호산업(주)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위한 펌프시스템
KR101387422B1 (ko) * 2012-06-13 2014-04-21 듀라케미 (주) 관의 내.외부 방식도장에 의해 결합된 패킹 일체형 관
KR20190070579A (ko) * 2017-12-13 2019-06-21 주식회사 파라텍 배관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방법
KR102044171B1 (ko) * 2017-12-13 2019-11-13 주식회사 파라텍 배관의 접착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44602T1 (de) 1996-11-15
JPH05209698A (ja) 1993-08-20
SI9200178A (en) 1993-03-31
NO303084B1 (no) 1998-05-25
RU2076987C1 (ru) 1997-04-10
NO923463D0 (no) 1992-09-04
HK1007437A1 (en) 1999-04-09
US5330238A (en) 1994-07-19
KR930006358A (ko) 1993-04-21
AU651908B2 (en) 1994-08-04
AU2205292A (en) 1993-03-11
NO923463L (no) 1993-03-08
EP0532459B1 (de) 1996-10-23
CA2077619A1 (en) 1993-03-07
JP3342714B2 (ja) 2002-11-11
DE59207423D1 (de) 1996-11-28
ES2093238T3 (es) 1996-12-16
EP0532459A1 (de) 199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343B1 (ko)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와 이 커플러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모울드
US4174125A (en) Tube coupling
AU705827B2 (en) Sockets serving for the connection of two plastic pip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ocket
US4229028A (en) Pipe coupler
EP0418961B1 (en) Pipe coupling
US3993331A (en) Electrically insulating pipe coupling
FI89626C (fi) Tvaodelad klaemkoppling av metall
US5709411A (en) Draft compensating coupling member
MXPA97002917A (es) Miembro de acoplamiento que compensa lainclinacion
JPH0150797B2 (ko)
JPH0572241B2 (ko)
JPS642048B2 (ko)
JPH0735188Y2 (ja) リブ付管の接続構造
KR950019005A (ko) 텐트용 폴의 접속관 결합방법
FI66069C (fi) I en plastroersmuff belaeget spaor foer taetningsring
JPS6126713Y2 (ko)
JPH04179536A (ja) Frp管継手成形用内型およびこの内型を用いたfrp管継手の成形・脱型方法
TW203116B (ko)
KR90000593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리드선 인출부 결합구조
JPS61149617A (ja) たわみ軸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32178A (ja) 螺旋補強体入りホース用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32435U (ko) 철근이음용 슬리브
JPS61114811A (ja) コンクリ−ト管の管端成型法
JPS63267511A (ja) セメントモルタル管の端部突条成形法
JPS62477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