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723B1 -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 Google Patents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723B1
KR100259723B1 KR1019970070983A KR19970070983A KR100259723B1 KR 100259723 B1 KR100259723 B1 KR 100259723B1 KR 1019970070983 A KR1019970070983 A KR 1019970070983A KR 19970070983 A KR19970070983 A KR 19970070983A KR 100259723 B1 KR100259723 B1 KR 10025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wrench
hammer
wrench
nu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626A (ko
Inventor
백흠석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1019970070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7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정확한 타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기기부재(5)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2)의 양 쪽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제1·제2고정너트(3,3a)들을 풀기 위해 이용되는 제1·제2해머렌치(4,4a)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의 한 쪽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2)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둘레에 배치되어 한정된 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실린더부(20)와,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실린더부(20)에 의해 형성된 공간(23)에 배치되어 해머를 의해 가해진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해머렌치(4)가 상기 실린더부(2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제1해머렌치(4)가 외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본 발명은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산업설비의 모든 기기들에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풀거나 조이기 위해 사용되는 해머렌치가 볼트나 너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설비의 모든 기기들은 수많은 볼트나 너트로 결합되어 있으며, 정비작업시 해머렌치를 사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이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산업현장에서 해머를 사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풀고 조일 경우에 있어서, 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이나 발로서 해머렌치를 잡고 경우가 많이 있는 데, 이런 경우에는 작업자의 부정확한 타격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너트를 사용하여 이런 해머렌치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해머를 사용하여 해머렌치를 타격한 후에 타격위치의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서 너트를 풀고 해머렌치의 위치를 바꾸고 다시 너트를 조인후 해머를 사용하여 해머렌치를 타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반복작업이 계속되므로 잘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인건비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정확한 타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를 사용하여 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의 보조너트가 유압렌치를 사용할 경우에도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2 : 고정볼트 3,3a : 고정너트
4,4a : 해머렌치 41 : 손잡이부
5 : 기기부재 6 : 유압렌치
10 : 몸체부 11,13 : 걸림턱
12 : 나사산 14 : 볼트부
20 : 실린더부 21 : 돌출부
22 : 원통부 23 : 공간
30 : 스프링 40 : 보조너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기기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의 양 쪽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제1·제2고정너트들을 풀기 위해 이용되는 제1·제2해머렌치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한 쪽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배치되어 한정된 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실린더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해머를 의해 가해진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해머렌치가 상기 실린더부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제1해머렌치가 외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다른 쪽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고정너트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2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너트가 부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너트는 상기 제2해머렌치를 상기 지지부재쪽으로 밀착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체결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보조너트가 배치된 단부부위에는 상기 스프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제1걸림턱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는 몸체부의 역할을 하는 몸체부(10)를 포함한다. 이런 몸체부(10)는 중실의 원형실린더 형상으로서, 한 쪽의 단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단부의 내측방향으로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다른 쪽 단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2걸림턱(13)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런 제2걸림턱(13)의 단부에는 너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볼트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둘레에는 실린더의 역할을 하는 실린더부(2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실린더부(20)의 한 쪽의 단부 쪽에는 상기 몸체부(10)의 한 쪽의 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턱(11)에 의해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해머렌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ㄱ"자 형상의 돌출부(21)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런 돌출부(21)의 상부측면부위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제2걸림턱(13)보다 직경이 큰 원통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린더(20)의 돌출부(21)와 원통부(2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실린더부(20)가 몸체부(10)의 둘레에 배치되면, 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와 실린더부(20)에 의해 형성된 공간(23)에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런 스프링(30)에 의해 실린더부(20)가 압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부(14)에는 이런 볼트부(14)에 체결될 수 있는 보조너트(4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런 보조너트(40)의 외경은 상기 몸체부(10)의 제2걸림턱(13)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실린더부(20)의 원통부(22)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를 사용하여 기기에 사용되는 기기부재(5)들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고정볼트(2)에서 고정너트(3,3a)를 푸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를 사용하여 해머렌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가 압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듯이, 먼저, 풀고자 하는 제1고정너트(3)의 크기에 맞는 제1해머렌치(4)를 끼운다. 이 때, 해머를 사용하여 타격시에 용이하게 타격될 수 있도록 제1해머렌치(4)의 손잡이부(41)가 상부쪽에 배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해머렌치(4)의 이탈을 방지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2)과 고정볼트(2)의 한 쪽의 부분을 결합한다. 이 때, 고정볼트(2)에 형성된 나사산이 1∼2정도의 여유를 갖도록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되면, 실린더부(20)의 돌출부(21)와 제1해머렌치(4)의 단부면이 거의 닿을 정도가 된다. 이렇게 고정볼트(2)에 1∼2정도의 나사산이 결합되지 않게 여부를 주어 결합하는 이유는, 제1고정너트(3)의 풀림시에 이런 제1고정너트(3)와 몸체부(10)가 동시에 조여질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한 쪽 부분에 대한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볼트(2)의 다른 쪽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너트(3a)에 맞는 제2해머렌치(4a)를 끼운다. 이런 제2해머렌치(4a)는 제1해머렌치(4)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다른 쪽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부(14)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너트(40)를 풀어, 제2고정너트(3a)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볼트(2)에 결합한다. 이렇게 보조너트(40)가 결합되면, 제2해머렌치(4a)는 측면에 배치된 기기부재(5)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이런 보조너트(4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모든 과정이 완료되면, 해머를 사용하여 제1해머렌치(4)의 손잡이부(41)를 타격하여 제1고정너트(3)와 동시에 제1해머렌치(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해머의 충격력에 의해 제1해머렌치(4)가 외부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하지만 실린더부(20)의 돌출부(21)에 의해 이런 이탈이 제한된다. 이렇게 제1해머렌치(4)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제1고정너트(3)를 조금씩 회전시키기 위해 크게 작용하고, 이런 충격력에 의해 제1해머렌치(4)가 외부방향으로 이탈하려는 힘이 다소 미약하며, 이런 이탈력은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된다.
이렇게 하여 제1고정너트(3)가 조금 풀려 제1해머렌치(4)의 손잡이부(41)가 하부방향에 위치하면, 이런 제1해머렌치(4)를 외부방향으로 당겨 제1고정너트(3)로부터 상기 제1해머렌치(4)를 완전히 이탈시킨다. 이렇게 제1해머렌치(4)를 외부방향으로 당기면, 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실린더부(20)가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해머렌치(4)가 제1고정너트(3)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면, 이런 제1해머렌치(4)를 회전시켜 손잡이부(41)가 상부방향에 위치되게 한 다음, 다시 제1고정너트(3)에 제1해머렌치(4)를 끼운다. 그러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부(2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1고정너트(3)를 고정볼트(2)로부터 풀 수 있게 된다.
이런 모든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면 보조너트(40)를 풀어 볼트부(14)에 결합하고, 몸체부(1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12)과 고정볼트(2)의 결합을 해체한다. 그런 다음, 느슨하게 풀려 있는 제1고정너트(3)를 수작업이나 다른 수공구를 사용하여 푼다.
도면에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의 보조너트가 유압렌치를 사용할 경우에도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는 유압렌치(6)를 사용하여 제1고정너트(3)를 풀 때에도 사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볼트부(14)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너트(40)를 풀어 제2고정너트(3a)에 끼워져 있는 제2해머렌치(4a)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고정너트(3)와 크기가 동일한 유압렌치(6)를 사용하여 제1고정너트(3)를 고정볼트(2)로부터 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의 보조너트(40)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며,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부(10)의 볼트부(14)에 결합되어 있다. 이런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1)는 여러 종류의 크기별로 제작되어 각각의 작업사항에 맞게 사용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는 해머의 충격력에 의해 해머렌치가 외부로 이탈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런 해머렌치의 이탈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 경량으로 제작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하나의 공구로 2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종래에서처럼 2인 1조가 되어 작업을 수행하던 것을 1인이 해결할 수 있으므로, 인원 절감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기기부재(5)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2)의 양 쪽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제1·제2고정너트(3,3a)들을 풀기 위해 이용되는 제1·제2해머렌치(4,4a)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에 있어서, 양 단부에 제1·제2걸림턱(11,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한 쪽의 단부에 상기 고정볼트(2)의 한 쪽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12)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와 소정의 공간을 두고 그 둘레에 배치되는 원통부(22)와, 상기 원통부(22)의 한 쪽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걸림턱(11)에 맞닿아 상기 원통부(22)가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정하는 돌출부(21)로 구성된 실린더부(20) 및;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실린더부(20)에 의해 형성된 공간(23)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부(21)와 상기 제2걸림턱(13)의 사이에 배치되어 해머를 의해 가해진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해머렌치(4)가 상기 실린더부(2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제1해머렌치(4)가 외부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고정볼트(2)의 다른 쪽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고정너트(3a)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2해머렌치(4a)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너트(40)가 부가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너트(40)는 상기 제2해머렌치(4a)를 상기 지지부재(5)쪽으로 밀착하도록 상기 고정볼트(2)에 나사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KR1019970070983A 1997-12-19 1997-12-19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KR10025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83A KR100259723B1 (ko) 1997-12-19 1997-12-19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983A KR100259723B1 (ko) 1997-12-19 1997-12-19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26A KR19990051626A (ko) 1999-07-05
KR100259723B1 true KR100259723B1 (ko) 2000-08-01

Family

ID=1952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983A KR100259723B1 (ko) 1997-12-19 1997-12-19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59Y1 (ko) * 2015-11-23 2016-10-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해머렌치 이탈방지 장치
KR101715555B1 (ko) * 2016-03-23 2017-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볼트 작업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626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723B1 (ko)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KR20140062780A (ko) 스패너
US7862278B2 (en) Anti-tamper device
KR200466760Y1 (ko) 가설물 고정 클램프
GB2060452A (en) Tool for Applying Torque to Fastening Elements
US3924507A (en) Fastener apparatus
KR102034257B1 (ko)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KR19990026551U (ko)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너트
KR200220219Y1 (ko)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패너
JPH08290367A (ja) 締付工具
JP2515066Y2 (ja) プレート類用孔開け工具
KR102109888B1 (ko) 이탈방지 해머렌치
KR19980050595U (ko) 클립 체결용 로커(locker) 어셈블리
KR870003995Y1 (ko) 집게식 스패너
GB1562731A (en) Spanner
JPS6317656Y2 (ko)
JPH0781577B2 (ja) ねじ付ファスナの緩み止め装置
KR19990022981U (ko) 억지 끼워맞춤식 고정핀 제거용 도구
USH1046H (en) Drill chuck remover
US3879015A (en) Structural steel handling device
US5709116A (en) Hydraulic crimper and bolt assembly
KR960008490Y1 (ko) 너트 조임용 지그
KR880003238Y1 (ko) 체결구
US4005623A (en) Fastener apparatus
JP3041345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コーン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