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490Y1 - 너트 조임용 지그 - Google Patents

너트 조임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490Y1
KR960008490Y1 KR2019930026575U KR930026575U KR960008490Y1 KR 960008490 Y1 KR960008490 Y1 KR 960008490Y1 KR 2019930026575 U KR2019930026575 U KR 2019930026575U KR 930026575 U KR930026575 U KR 930026575U KR 960008490 Y1 KR960008490 Y1 KR 960008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nnecting rod
wrench socket
bolt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155U (ko
Inventor
양현학
Original Assignee
양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학 filed Critical 양현학
Priority to KR2019930026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490Y1/ko
Publication of KR950017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너트 조임용 지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
제2도는 (a)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플랜지에 보울트를 체결할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보울트가 체결되어져 감에 따라 코일 스프링에 의해 너트 고정용 브라켓이 너트를 계속 밀어주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단면도.
제3도는 (a)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해 보울트를 체결한 후 연결봉과 플랜지가 상호 밀착된 상태의 좌측면도.
(b)는 보울트의 체결이 완료된 후 본 고안의 지그를 분리시키기 위해 연결봉을 회전시킨 상태의 좌측면도.
제4도는 (a)는 제3도(a)의 요부의 확대도.
(b)는 제3도(b)의 요부의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치 소켓 1a : 멈춤돌기
1b : 사각구멍 1c : 볼스프링 구멍
2 :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 2a : 렌치소켓용 구멍
2b : 관통구멍 4 : 연결봉
4a : 평면부 5 : 코일스프링
6 : 회전레버 7 : 캡
8a, 8b : 스프링 핀 9 : 보울트
10 : 너트 11 : 플랜지
11a : 플랜지의 원주면 12 : 관통구멍
D : 연결봉의 평면부와 플랜지의 원주면 사이의 간격
본 고안은 보울트를 체결할 때 상대너트를 조여주는 너트 조임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플랜지를 관통보울트 및 너트로써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관통 보울트를 조이는 경우에 그 상대 너트가 보울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보울트와 너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너트 조임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관이음 또는 각종 기계 설비에서 양쪽 플랜지를 관통 보울트 및 너트로써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한손으로는 관통 보울트를 렌치 등으로써 조임과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는, 관통 보울트로부터 전달되는 체결 회전력 때문에 너트가 그 보울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너트를 스패너등으로 지지해야 했으며 특히, 그 플랜지의 크기가 커서 작업자 한사람이 보울트 헤드를 돌리면서 너트를 잡아주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너트를 잡아주는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였을 분 아니라, 다른 작업자와 함께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대형 플랜지 체결용 보울트는 대개 그 직경도 크기 때문에 다른 작업자가 스패너 등으로 보울트 헤드를 붙잡아 지지하는 경우, 임팩트 렌치의 강한 회전 토오크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력으로 인해 스패너를 놓치게 되면 작업자가 부상으로 당하기도 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는, 보울트 조임시 그 상대 너트를 고정할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 상대 너트가 보울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울트와 너트가 상호 체결되도록 한 너트 조임용 장치가 실용신안 공보 제90-8016호로 공지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너트 고정장치에는 아래와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 너트 고정장치가 임팩트 렌치의 몸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크기가 커지데 되고 따라서 그 장치의 취급이 불편하였다.
둘째 : 보울트와 너트가 상호 체결되어져감에 따라, 보울트 헤드와 너트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지게 되는데, 그 경우에도 너트가 지속적으로 너트 고정용 스패너에 지지되어 지도록 너트지지요 스패너와 보울트 헤드 지지용 렌치 사이의 간격도 점진적으로 조여져 감에 따라 그 너트가 그 지지용 스패너에서 이탈될 수 있었다.
셋째 : 보울트 체결 완료 직전에 너트를 지지하고 있는 스패너에 전달되어지는 강력한 잠금 회전 모우멘트를 지지해주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회전 모우멘트에 의해 렌치가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보울트 체결시 상대 너트를 조여 주도록 되어 있되, 임팩트 렌치와는 별개로 구성되도록 되어 전체크기가 작아지고, 또한 보울트가 너트에 체결되어져 감에 따라 보울트 헤드와 너트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질때에도 너트가 지속적으로 너트 고정용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를 밀어주도록 하는 한편, 보울트의 체결 완료직전에 너트로 전달되는 임팩트 렌치의 강력한 회전력이 지지되도록 되고, 보울트 체결 후 플랜지 결합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된 너트 조임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공지의 렌치소켓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관통설치되어 있는 렌치소켓지지용 브라켓과 너트 고정용 홈이 형성된 너트 고정용 브라켓이 하나의 연결봉에 의해 상호 대향하도록 관통설치되어 있고, 상기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은 상기 연결봉의 한쪽 선단에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는 없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은 상기 연결봉에 대해 회전 및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의 뒤쪽에는 압축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 이 너트 고정용 브라켓을 대향하고 있는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어 부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그는 공지의 렌지소켓(1)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관통 설치되어 있는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2)과 너트 고정용 홈(3a)이 형성된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상호 대향하도록 하나의 연결봉(4)에 의해 관통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렌치 소켓지지용 브라켓(2)은 상기 연결봉(4)의 한쪽 선단에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은 회전 및 축방향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 뒤쪽의 연결봉(4)에는 코일 스프링(5)이 압축 설치되어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을 렌지 소켓 지지용 브라켓(2)쪽으로 밀어 부쳐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치 소켓(1)의 원주면상에는 한쌍의 멈출돌기(1a)가 구비되어 상기 렌치 소켓(1)이 상기 렌치 소켓지지용 브라켓(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있고,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에는 너트(1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각홈부(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10)와 보울트(9)가 체결될 때 너트(10)가 상기 다각홈부(3a)에서 밀려나가지 않도록 되면서 상기 보울트(9)의 선단의 진행이 방해되지 않도록 해주는 캡(7)이 그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뒷쪽의 상기 연결봉(4)선단에는 한쌍의 스프링 핀(8a)이 관통 설치되어 상기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이 상기 연결봉(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연결봉(4)의 다른쪽 선단에도 스프링핀(8b)이 관통 설치되어 이 스프링판(8b)과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사이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5)이 탄력적으로 압축설치 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4)의 원주면상에는 그 원주면의 일부분이 축방향으로 따라 절단되어 형성시키는 평면부(4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너트 조임용 지그의 또다른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봉(4)의 회전레버(6)가 삽입설치된 쪽 선단에 렌치 소켓지지용 브라켓(2)이 그 연결봉(4)위에서 회전 및 축방향으로 따른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레버(6) 앞쪽에 돌출구비된 스프링핀(8b)과 상기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2)의 측면 사이의 연결봉(4)상에 코일스프링(5)이 삽입설치되고, 연결봉(4)의 다른쪽 선단에는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연결봉(4)상에서 축선회는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봉(4)상에 관통 삽입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제2실시예는 보울트체결해야 할 공작물 후면이 벽과 같은 설치물과 인접하게 되어 회전레버(6)를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도록 회전레버(6)와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등의 부품의 위치를 변경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2도 (가), (나) 내지 제4도(가), (나)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고안에 따른 지그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제2도(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시키고자 하는 한쌍의 플랜지(11)에 형성된 보울트 구멍(12)에 보울트(9)를 삽입한 후 이 보울트(9)에 헤드를 렌치소켓(1)에 삽입시키고, 너트(10)를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상에 구비된 다각홈부(3a)에 각각 삽입시키면 상기 코일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상기 너트(10)를 확고하게 물어잡게 된다.
이와같이 셋팅시킨 후 상기 렌치소켓(1)의 일단면에 형성된 사각구멍(1b)에 임팩트 렌치등을 끼워 상기 렌치소켓(1)을 회전시키면, 제2도(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렌치 소켓(1)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보울트(9)가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상의 다각홈부(3a)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기 너트(1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을 하면서 점진적으로 상기 너트(10)에 체결되어져 가고, 이렇게 체결되어져 감에 따라 상기 보울트(9)의 헤드와 상기 너트(10)사이의 간격도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뒷쪽에 압축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5)의 복원력 때문에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상기 다각홈부(3a)에서 지지하고 있는 상기 너트(1)를 상기 보울트(9)쪽으로 계속 밀어부치면서 상기 너트(10)가 상기 다각홈부(3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제3도(가) 및 제4도(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보울트(9)가 상기 너트(10)에 조여져 가면서 렌치 소켓(1)에 가해지는 임팩트 렌치의 충격력과 회전 마찰력이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에 전달되어져, 상기 연결봉(4)과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함께 렌치소켓(1)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회전방향으로 따라 서서히 이동되어가다가 너트(10)와 보울트(9)의 체결이 완전히 이루어지고 나면, 마침내 상기 연결봉(4)의 외주면이 상기 플랜지(11)의 원주면(11a)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지게되는바, 이때 상기 플랜지(11)의 원주면(11a)과 연결봉(4)의 외주면 사이의 밀착력과 양쪽 브라켓(2, 3)의 서로를 향한 반대쪽 방향으로의 상호 결착력 때문에,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을 상기 연결봉(4)상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상기 플랜지 결합체(9, 10, 11)에서 분리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3도(나) 및 제4도(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연결봉(4)의 선단에 관통 설치된 상기 회전레버를 잡고 연결봉(4)을 회전시켜 상기 연결봉(4)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평면부(4a)가 상기 플랜지(11)의 원부면 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랜지(11)의 원부면(11a)과 상기 연결봉(4)의 평면부(4a)사이에 상기 연결봉(4)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평면부(4a)까지 반경방향으로 절단된 양만큼 간극(D)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1)의 원주면(11a)과 상기 연결봉(4)사이의 밀착력이 해소되고, 그 결과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을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상기 플랜지 결합체(9, 10, 11)에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는, 렌치소켓(1)에 끼워진 보울트(9)는 회전되지만, 너트 지지용 브라켓(3)에 끼워진 너트(10)의 회전은 지지되어 별도의 너트 고정용 공구나 작업자 없이 상기 보울트(9)가 상기 너트(10)에 체결되도록 되고, 보울트(9)의 체결이 완료되기 직전에는, 축선하던 연결봉(4)이 플랜지(11)의 원주면(1a)에 맞닿으면서 너트(1)의 회전이 고정되도록 됨으로써, 상기 보울트(9)가 상기 너트(10)에 확고히 체되어지고 지그의 튕김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너트 고정용 브라켓(3)상에 고정된 너트(10)를 보울트(9)측으로 지속적으로 밀게되어 있어, 보울트(9)와 너트(10)가 상호체결되어져 감에 따라 보울트(9)와 너트(10)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혀질때에도 너트(10)가 지속적으로 너트 고정용 브라켓(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된다.
또한, 회전레버(6)를 이용해 연결봉(4)을 회전시킴으로써 이 연결봉(4)상에 형성된 평면부(4a)가 플랜지(11)의 외주면과 연결봉(4)사이의 밀착력을 해소시키게 됨으로써, 보울트 체결 완료후 본 고안에 따른 지그를 용이하게 플랜지 결합체(9, 10, 11)로부터 분리시켜 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렌치소켓(1)이 관통 삽입되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도록 되며 보울트(9)의 헤드를 지지해주는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과, 너트 고정용 다각홈부(3a)가 형성되어 너트(10)를 지지해주는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이, 이들 브라켓(2, 3)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2b, 3b)을 통해 연결봉(4)으로 연결되고, 상기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은 관통, 삽입되어진 상기 연결봉(4)을 중심으로 회전은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선단에 고정설치된 2개의 스프링 핀(8a)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은 상기 연결봉(4)을 중심으로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 고정용 브라켓(3)과 상기 연결봉(4)의 일측선단에 고정설치된 스프링핀(8b)사이에 코일스프링(5)이 압축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봉(4)의 원주면(11a)에는 소정 원호각도 만큼 길이방향으로 딸 평면부(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4)의 일측선단에 회전레버(6)가 관총, 설치되어 있는 너트 조임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 소켓 지지용 브라켓(2)이 회전레버(6)와 인접한 연결봉(4) 선단쪽에 배치되어 그 연결봉(4)위에서 회전 및 축방향으로 따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은 상기 회전레버(6)와 렌치소켓 지지용 브라켓(2)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너트고정용 브라켓(3)은 연결봉(4)의 반대쪽 선단에 회전은 가능하나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조임용 지그.
KR2019930026575U 1993-12-07 1993-12-07 너트 조임용 지그 KR960008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75U KR960008490Y1 (ko) 1993-12-07 1993-12-07 너트 조임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75U KR960008490Y1 (ko) 1993-12-07 1993-12-07 너트 조임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55U KR950017155U (ko) 1995-07-20
KR960008490Y1 true KR960008490Y1 (ko) 1996-10-02

Family

ID=1936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575U KR960008490Y1 (ko) 1993-12-07 1993-12-07 너트 조임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4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24B1 (ko) * 2006-07-14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24B1 (ko) * 2006-07-14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55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797B2 (en) Tool incorporating a locking swing bolt construction with associated method
JPH06339866A (ja) ねじクランプ
US6134992A (en) Fasterner removing tool
KR960008490Y1 (ko) 너트 조임용 지그
JP3237847B2 (ja) 動力計ねじまたはナット
JP4156976B2 (ja) タイヤ成型ドラムの連結装置
JP5090594B2 (ja) 解放システムでの使用のための反応カムシステムおよび反力を解放するための方法
JP2019035469A (ja) 勾配座金供回り防止具及びチャンネル材への勾配座金及びボルトの取付方法
JP3113415U (ja) 配管用クランプ
JPS63501781A (ja) 動力式管緊結具
US20080247840A1 (en) Fastener and Fastener Tightening/Loosening Device
GB211248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readed fastener and nut assemblies and mounting tools therefor
JP3364479B2 (ja) 部材連結装置
JPS6113261Y2 (ko)
JPS6224100Y2 (ko)
JP3086271U (ja) 衝撃工具
JP3021307B2 (ja) マニピュレータアーム案内式ボルト自動締緩装置
CN210060924U (zh) 开口棘轮扳手
JP3987662B2 (ja) 分岐線コネクタ−の着脱工具
CN211940679U (zh) 敲击扳手
KR0120884Y1 (ko) 핸드 소켓트
JPH0557629A (ja) ボルトナツト締結装置
KR19980037299U (ko) 전동공구의 연장형 소켓
JPH0532643Y2 (ko)
TW202415497A (zh) 扭力限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