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55B1 - 볼트 작업용 공구 - Google Patents

볼트 작업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55B1
KR101715555B1 KR1020160034359A KR20160034359A KR101715555B1 KR 101715555 B1 KR101715555 B1 KR 101715555B1 KR 1020160034359 A KR1020160034359 A KR 1020160034359A KR 20160034359 A KR20160034359 A KR 20160034359A KR 101715555 B1 KR101715555 B1 KR 10171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rench
bolt
ji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천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볼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와, 너트부를 회전시키는 렌치부와, 렌치부를 타격하는 해머부와, 볼트부에 결합되고 너트부에 밀착되어 렌치부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여, 작업자 혼자 렌치부를 타격하면서 너트부를 조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볼트 작업용 공구{TOOL FOR BOLTING}
본 발명은 볼트 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에 나사 조립되는 너트를 조여주는 과정에서, 너트가 삽입되는 렌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공작 장치는 다양한 부품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부품간의 결합을 위해 볼트와 너트가 사용된다. 한편, 대형 기계공작 장치의 경우, 부품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볼트 체결력을 강화시킨다.
볼트 체결력 강화를 위해, 한 명의 작업자가 렌치를 이용하여 너트를 고정시키고, 다른 한명의 작업자가 스패너를 볼트에 끼운 다음, 망치로 스패너를 타격하여 볼트의 조임력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4077호(2013.07.05. 공개, 발명의 명칭 : 함마 렌치용 고정지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트에 나사 조립되는 너트를 조여주는 과정에서, 너트가 삽입되는 렌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는: 볼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를 회전시키는 렌치부; 상기 렌치부를 타격하는 해머부; 및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에 밀착되어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부는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에 장착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너트부에 도달하여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지그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체결부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가 체결되는 체결관부; 상기 체결관부의 일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부; 상기 체결관부의 타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턱부; 및 상기 체결턱부에 나사 조립되는 체결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지지부는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걸리는 제1지지부;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조립부에 걸리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관통되고,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제1관통부; 및 상기 제1관통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체결조립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부; 상기 제2관통부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조립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2돌기부; 및 상기 제2관통부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는 지그부가 너트부에 밀착되어 렌치부를 지지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너트부에 맞물린 렌치부를 타격하여 너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는 지그체결부가 볼트부에 체결되고, 지그체결부에 장착된 지그지지부가 외력이 제거되면 너트부에 도달하여 렌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는 제1지지부가 협소한 공간에서 렌치부를 지지함으로써, 렌치부를 왕복 회전시켜 너트부를 조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는 제2지지부가 넓은 공간에서 렌치부를 지지함으로써, 렌치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제2지지부가 렌치부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제1지지부에 의해 렌치부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제2지지부에 의해 렌치부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1)는 볼트부(1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20)와, 렌치부(30)와, 해머부(40)와, 지그부(50)를 포함한다.
볼트부(10)는 볼트머리(11)와, 볼트머리(11)보다 단면적이 작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몸통(12)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부(20)는 볼트몸통(12)에 관통되면서 볼트몸통(12)과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볼트몸통(12)은 제1부품(91)과 제2부품(92)을 관통하고, 너트부(20)가 볼트몸통(12)에 체결되면서 제1부품(91)과 제2부품(9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렌치부(30)는 너트부(20)를 회전시켜, 너트부(20)를 볼트부(10)에 체결시키거나, 볼트부(10)에서 너트부(20)를 분리시킨다. 일 예로, 렌치부(30)는 막대 형상을 하되, 단부에는 너트부(20)를 감싸도록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20)는 다각형 형상을 하고, 렌치부(30)의 단부에는 너트부(20)가 맞물리도록 각진홈 또는 각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부품(91)과 제2부품(92)간의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완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렌치부(30)의 일단부가 너트부(20)와 맞물린 상태에서, 해머부(40)가 렌치부(30)의 타단부를 타격하여 너트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그부(50)는 볼트부(10)에 결합되고, 너트부(20)에 밀착되어 렌치부(3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지그부(50)는 볼트몸통(12)에 체결되어 너트부(20)에 밀착되면서, 너트부(20)를 감싸는 렌치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50)는 지그체결부(60)와 지그지지부(70)를 포함한다. 지그체결부(60)는 볼트부(10)에 체결된다. 지그지지부(70)는 지그체결부(60)에 장착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너트부(20)에 도달하여 렌치부(30)를 지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체결부(60)는 체결관부(61)와, 체결돌기부(62)와, 체결턱부(63)와, 체결조립부(64)를 포함한다.
체결관부(61)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부(10)가 체결된다. 일 예로, 체결관부(61)는 관 형상을 하여 볼트몸통(12)이 체결관부(61)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볼트몸통(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체결관부(6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치합될 수 있다.
체결돌기부(62)는 체결관부(61)의 일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체결턱부(63)는 체결관부(61)의 타단부 외측에 형성된다. 체결돌기부(62)는 체결관부(61) 보다 외경이 크다. 그리고, 체결턱부(63)는 체결관부(61) 보다 외경이 작다.
체결조립부(64)는 체결턱부(63)에 나사 조립된다. 일 예로, 체결조립부(64)는 링 형상을 하고, 내측면이 체결턱부(6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체결조립부(64)가 체결턱부(63)에 장착되면, 체결턱부(63)에 장착된 체결조립부(64)는 체결관부(61) 보다 외경이 크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지그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지지부(70)는 제1지지부(71)와, 제2지지부(72)와, 탄성지지부(73)를 포함한다. 체결관부(61)가 관통하는 제1지지부(71)는 체결돌기부(62)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고, 체결관부(61)가 관통되는 제2지지부(72)는 체결조립부(6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체결관부(61)가 관통되는 탄성지지부(73)는 제1지지부(71)와 제2지지부(7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탄성 지지한다.
제1지지부(71)는 제1관통부(711)와 제1돌기부(712)를 포함한다. 제1관통부(711)는 링 형상을 하여 체결돌기부(62)가 관통된다. 제1관통부(711)는 너트부(20) 및 너트부(20)를 감싸는 렌치부(30)를 지지하여 렌치부(30)가 너트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712)는 제1관통부(71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돌기부(62)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즉, 체결관부(61)는 제1지지부(71)를 관통하되, 체결관부(61)의 일단부가 제1지지부(71)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제2지지부(72)는 제2관통부(721)와, 제2돌기부(722)와, 제2받침부(723)를 포함한다. 제2관통부(721)는 관 형상을 하여 체결조립부(64)가 관통된다. 제2돌기부(722)는 제2관통부(721)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조립부(6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제2받침부(723)는 제2관통부(721)의 타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너트부(20) 및 너트부(20)를 감싸는 렌치부(30)를 지지하여 렌치부(30)가 너트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제1지지부에 의해 렌치부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에서 제2지지부에 의해 렌치부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지지부(71) 또는 제2지지부(72)가 너트부(20) 및 너트부(20)를 연동시키는 렌치부(30)를 지지한다. 이때, 제1지지부(71)에 의해 지지되는 렌치부(30)는 협소한 공간에서 렌치부(30)를 왕복 회전시키면서 너트부(20)를 조여줄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72)에 의해 지지되는 렌치부(30)는 넓은 공간에서 렌치부(30)를 일방향 회전시키면서 너트부(20)를 조여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결관부(61)가 제1지지부(71)를 관통하여 체결관부(61)의 일단부에 제1지지부(71)가 걸림 고정되고, 체결관부(61)가 제2지지부(72)를 관통한 다음 체결조립부(64)와 결합되어 체결관부(61)의 타단부에 제2지지부(72)가 걸림 고정된다. 이때, 제1지지부(71)와 제2지지부(72) 사이에 탄성지지부(73)가 배치되어 이들을 탄성 지지한다.
한편, 제1부품(91)과 제2부품(92)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부(10)에 너트부(20)를 체결하고 렌치부(30)로 너트부(20)를 회전시킨다. 작업자의 완력으로 렌치부(30)를 회전시킨 후 추가적인 외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그부(50)를 볼트부(10)에 장착한다.
먼저,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 제1지지부(71)가 너트부(20) 및 너트부(20)에 맞물리는 렌치부(30)를 지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해머부(40)로 렌치부(30)를 타격하여 렌치부(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렌치부(30)를 제1지지부(71) 방향으로 이동시켜 너트부(20)에서 분리시킨다. 너트부(20)에서 렌치부(30)가 분리되면 렌치부(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너트부(20)에 맞물리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제1지지부(71)는 탄성지지부(73)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너트부(20) 및 렌치부(30)를 지지한다. 제1지지부(71)가 렌치부(30)를 지지하면 해머부(40)를 사용하여 렌치부(30)를 타격한다. 즉, 작업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렌치부(30)가 왕복 이동되면서 너트부(20)를 회전시키되, 제1지지부(71)가 왕복 이동되면서 지속적으로 렌치부(30)를 지지한다(도 5 참조).
한편, 작업 공간이 넓어 렌치부(30)의 전방위 회전이 가능한 경우, 제2지지부(72)가 너트부(20) 및 너트부(20)에 맞물리는 렌치부(30)를 지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해머부(40)로 렌치부(30)를 타격하여 렌치부(30)의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제2지지부(72)는 초기에 탄성지지부(73)를 가압하면서 너트부(20)를 지지하게 되고, 렌치부(30)가 회전됨에 따라 탄성지지부(73)의 복원력에 의해 제2지지부(72)가 너트부(20) 및 렌치부(30)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1)는 지그부(50)가 너트부(20)에 밀착되어 렌치부(30)를 지지함으로써, 한 명의 작업자가 너트부(20)에 맞물린 렌치부(30)를 타격하여 너트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1)는 지그체결부(60)가 볼트부(10)에 체결되고, 지그체결부(60)에 장착된 지그지지부(70)가 외력이 제거되면 너트부(20)에 도달하여 렌치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1)는 제1지지부(71)가 협소한 공간에서 렌치부(30)를 지지함으로써, 렌치부(30)를 왕복 회전시켜 너트부(20)를 조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작업용 공구(1)는 제2지지부(72)가 넓은 공간에서 렌치부(30)를 지지함으로써, 렌치부(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제2지지부(72)가 렌치부(30)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볼트부 20 : 너트부
30 : 렌치부 40 : 해머부
50 : 지그부 60 : 지그체결부
61 : 체결관부 62 : 체결돌기부
63 : 체결턱부 64 : 체결조립부
70 : 지그지지부 71 : 제1지지부
72 : 제2지지부 73 : 탄성지지부
711 : 제1관통부 712 : 제1돌기부
721 : 제2관통부 722 : 제2돌기부
723 : 제2받침부

Claims (6)

  1. 볼트부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를 회전시키는 렌치부;
    상기 렌치부를 타격하는 해머부; 및
    상기 볼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부에 밀착되어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에 장착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너트부에 도달하여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지그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체결부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가 체결되는 체결관부;
    상기 체결관부의 일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부;
    상기 체결관부의 타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턱부; 및
    상기 체결턱부에 나사 조립되는 체결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지지부는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걸리는 제1지지부;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체결조립부에 걸리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체결관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관통되고,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제1관통부; 및
    상기 제1관통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1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체결조립부가 관통되는 제2관통부;
    상기 제2관통부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조립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제2돌기부; 및
    상기 제2관통부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렌치부를 지지하는 제2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작업용 공구.
KR1020160034359A 2016-03-23 2016-03-23 볼트 작업용 공구 KR10171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359A KR101715555B1 (ko) 2016-03-23 2016-03-23 볼트 작업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359A KR101715555B1 (ko) 2016-03-23 2016-03-23 볼트 작업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55B1 true KR101715555B1 (ko) 2017-03-13

Family

ID=5841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359A KR101715555B1 (ko) 2016-03-23 2016-03-23 볼트 작업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26A (ko) * 1997-12-19 1999-07-05 이원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KR20130004077U (ko) *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마 렌치용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626A (ko) * 1997-12-19 1999-07-05 이원 해머렌치 이탈방지용 공구
KR20130004077U (ko) * 2011-12-27 2013-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함마 렌치용 고정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588B2 (en) Method of setting a drop-in anchor
EP2692459B1 (en) Hand-held rivet nut (rivet bolt) tool with quick-change mandrel
US20060272140A1 (en) Positioning pin removing tool for vehicles
KR20100085856A (ko) 풀림방지 파스너
KR20100010227U (ko) 앵커볼트
TW202116493A (zh) 不導電磁性取回工具
US11105356B2 (en) Drop-in anchor setting tool
US10138918B2 (en) Fastening device
KR101715555B1 (ko) 볼트 작업용 공구
US8640315B1 (en) Rotating adapter assembly
US20170291289A1 (en) Connecting rod for an impact member of an impact tool
KR20160078046A (ko) 토크 쉐어 볼트 및 볼트 조립체
KR101252719B1 (ko) 가구용 연결장치
JP5190130B2 (ja) ボルト及びボルト締め付け具
JP2019035469A (ja) 勾配座金供回り防止具及びチャンネル材への勾配座金及びボルトの取付方法
US11035394B2 (en) Connection system
JP2012139723A (ja) 下部ノズルの固定装置
JP2011067898A (ja) 回転工具用アタッチメント
JP6355587B2 (ja) リベット締結装置
KR101776099B1 (ko) 오일부스에 대해 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 장치
KR20160008803A (ko) 앵커볼트 조립체
JP5255688B2 (ja) ナット及びナット締め付け具
US20140319785A1 (en) Tool Holder with Tensioning Design
KR102368410B1 (ko) 드릴비트 분리용 공구
KR101628685B1 (ko) 볼트용 풀림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