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669B1 - 무한 전동 체인벨트 - Google Patents

무한 전동 체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669B1
KR100258669B1 KR1019920001270A KR920001270A KR100258669B1 KR 100258669 B1 KR100258669 B1 KR 100258669B1 KR 1019920001270 A KR1019920001270 A KR 1019920001270A KR 920001270 A KR920001270 A KR 920001270A KR 100258669 B1 KR100258669 B1 KR 10025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adblock
support surface
chain belt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744A (ko
Inventor
필립제이.모트
Original Assignee
그레그 지젤레프스키
보그-워너오토모티브디버시파이드트랜스미션프러덕츠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그 지젤레프스키, 보그-워너오토모티브디버시파이드트랜스미션프러덕츠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그레그 지젤레프스키
Publication of KR92001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에 구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특별히 적용된 무한 전동 체인벨트에 관한 것이다.
체인벨트는 복수개의 교착 링크의 세트 조립체인 체인을 갖는다. 피봇수단은 무한 체인벨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링크의 인접 세트를 짜맞추어 피봇식으로 연결하도록 체인을 통하여 연장한다. 체인의 링크 세트는 피봇수단에 의해 서로 유지된다. 복수개의 제 1 로드블록이 체인벨트에 연결된다. 제 1 로드블록은 체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제 1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도록 인접 피봇수단에 결합한다. 제 1 로드블록은 체인의 폭을 교차하여 연장하며 링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편평한 제 1 지지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 1 로드블록은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에 마찰 결합하는 측방향 가장자리를 갖는다. 복수개의 제 2 로드블록은 체인벨트에 연결되고 체인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제 2 로드블록은 링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지지면을 갖는다. 제 2 지지면은 제 1 로드블록의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다. 제 2 로드블록은 제 1 및 제 2 지지면이 링크와 접촉할 때 제 1 로드블록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며, 사용 중에 체인벨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는 감소된다.

Description

무한 전동 체인벨트
제1도는 연속 가변 전동장치(CVT)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연속 가변 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로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로드블록을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로드블록을 이용하는 체인벨트를 도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체인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체인벨트에 사용되는 또 다른 로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로드블록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리 전동장치 2,3 : 풀리
4,5 : 샤프트 6,7,79 : 플랜지
8 : 벨트 9 : 측면 가장자리
10,12,61 : 체인 13 : 체인벨트
14,65 : 제 1 로드블록 15,75 : 돌출부
16,18,20,22,66,68 : 링크 17 : 홈
21 : 제 1 지지면 24,74 : 핀
34,35,85 : 제 2 로드블록 41 : 제 2 지지면
본 발명은 풀리 전동장치(pulley transmission), 더 구체적으로 연속 가변 전동장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VT)의 풀리를 연결시키도록 특별히 적용된 금속성의 무한 전동 체인벨트에 관한 것이며, 더 넓게는, 피봇수단에 의해 결합된 인접 세트들이 횡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교착 링크(interlaced link)들로 구성된 인장부재나 캐리어, 그리고 풀리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캐리어에 의해 지지된 로드블록을 포함한다.
중첩된 복수개의 강철 스트립과 복수개의 V형 금속볼록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가변 전동장치(flexible power transmission)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일례로서는, 1973년 3월 13일자로 에이취. 제이. 반 도어니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3,720,11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된 구조에서, 블록에는 부품들을 조립상태로 유지하도록, 강철 스트립 위에 놓이며 상부 가장자리를 갖는 측면 가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하중은 블록에 의해 지지되며 블록은 밴드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가변 전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1976년 4월 13일자로 뷰싱크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3,949,62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특허에서 금속판은 금속 스트립상에 장착되며, 상기 스트립은 판의 측면 가장자리들 중 한쪽에 있는 슬롯에 수용된다.
1936년 4월 28일자로 마우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2,038,583호와 1949년 7월 5일자로 슈튼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2,475,264호에는, 링크, 핀 그리고 풀리 접촉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가변 전동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또 다른 전동장치의 금속 벨트가 미국특허 제 4,645,479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복수개의 삽입 링크 세트로 각각 구성되는 한 쌍의 평행 이격 체인(spacecd parallel chain)들이 제공되어 있다. 각 세트는 핀에 의해 다음 인접세트에 결합되며 핀은 양 체인들을 가로질러 뻗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로드블록들이 체인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 체인들을 배치하기 위하여 측면에 절취부(cutout)를 갖는다. 로드블록들은 일반적으로 풀리의 V형상부에 끼워지도록 그의 가장자리가 V형상부의 형태에 맞게 가공되며 체인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로드블록은 체인과 핀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로드블록들은 체인의 핀에 의해 체인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배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들을 구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특별히 적용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를 제공한다. 체인벨트는 복수개의 삽입 링크 세트들을 연결할 수 있는 조립부품으로서 체인을 갖는다. 피봇수단은, 무한 전동 체인벨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나란하게 이어져 인접된 링크 세트들을 피봇식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체인을 통해 뻗어 있다. 체인의 링크 세트들은 피봇수단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복수개의 제 1 로드블록들은 체인벨트에 연결된다. 제 1 로드블록들은 체인쪽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이 돌출부는 제 1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한다. 제 1 로드블록들은 실질적으로 체인의 폭을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링크들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 1 지지면을 갖는다. 각각의 제 1 로드블록들은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와 마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루는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다. 복수개의 제 2 로드블록들은 체인벨트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로드블록들도 체인쪽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다. 제 2 로드블록들은 링크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지지면을 갖는다. 제 2 지지면은 제 1 로드블록들의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다. 제 2 로드블록들은,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이 링크와 접촉할 때, 제 1 로드블록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며, 이로써 사용 중에 체인벨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두 가지 구동비 상태로 연속 가변식 풀리 전동장치(1: CVT)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CVT는 샤프트(4, 5)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풀리(2, 3)를 포함한다. 샤프트들 중 하나는 피동 샤프트이며 다른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이다. 풀리(2, 3)들은 한 쌍의 플랜지(6, 7)를 포함하며 이 플랜지들중 적어도 하나는 원추형이다. 상기 풀리들은 벨트(8)에 의해 연결되며 벨트의 측면 가장자리(9)는 풀리의 플랜지와 마찰 결합한다. 각 풀리의 적어도 한쪽 플랜지는, 풀리간의 구동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른 쪽 플랜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화살표는 다른 구동비를 수행하기 위한 플랜지의 축방향 이동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니지만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다른 쪽 플랜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 3 도 내지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동 수단은 한 쌍의 이격 체인(10, 12 : spaced chain)과, 무한 체인벨트(13)를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제 1 로드블록(14)과 제 2 로드블록(34)을 포함한다. 각 체인(10, 12)은 피봇수단으로서의 핀(24)에 의해 연결되는 삽입 링크(16, 18 및 20, 22) 세트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로드블록(14)들은 풀리의 플랜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경사진 측면 가장자리(26, 28)들을 갖는다. 또한 제 1 로드블록(14)은 다음 인접 핀(24)들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로드블록(14)은 이 제 1 로드블록에서 이격 체인(10, 12)들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5)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15)는 삽입된 링크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핀(24)과 결합한다. 또한, 돌출부는 이 돌출부의 대향 측면상에 위치하는 홈(17)을 갖는다. 상기 홈(17)은 핀(24)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핀에 대한 제 1 로드블록(14)의 상대적 회전 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홈(17)의 중심점은 대향된 돌출부(15)의 표면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홈을 구성함으로써, 체인을 사용하는 동안 핀(24)을 중심으로 이격 체인(10, 12)이 꺽일(articulate) 수 있다. 제 1 로드블록의 하부로부터 이격된 돌출부(15)의 단부는 인접 핀(24)들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9)에서 종단한다. 돌출부(15)의 홈(17)과 플랜지(19)에 핀(24)을 배치함으로써, 제 1 로드블록과 이격 체인(10, 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돌출부(15)가 연장되어 있는 제 1 로드블록(14)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 1 지지면(21)을 갖는다. 상기 제 1 지지면(21)은 이격 체인(10, 12)들을 형성하는 링크들 중 한쪽 측면과 접촉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링크(16, 18, 20, 22)들은 제 1 지지면에 대항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편평면(31)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제 1 로드블록(14)들의 제 1 지지면(21)은 돌출부(15)의 측면(11)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돌출부(15)의 측면(11)은 이격 체인(10, 12)들의 외부 가장자리(25)에 실질적으로 평행한다. 따라서, 제 1 지지면(21)은 이격 체인(10, 12)들의 외부 가장자리(25)에 실질적으로 수직한다. 또한, 제 1 지지면(21)은 상기 이격 체인(10, 1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제 1 로드블록(14)을 통하여 뻗어 있는 평면(27)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상기 평면(27)은 제 1 로드블록(14)의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뻗어 있다. 이격 체인(10, 12)들로부터 이격된 제 1 로드블록(14)의 측면(23)은, 금속 로드블록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강도(strength)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로드블록(14)은 핀(24)에 의해 종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로드블록은 핀과 체인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제 1 로드블록(14)은 일반적인 T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각 로드블록(14)의 측면 가장자리(26, 28)들은 풀리의 각 플랜지(6, 7)와 마찰 접촉하도록 거칠게 가공될 수 있다. 실제로, 조립체는 이격된 풀리들을 연결하여 풀리 사이에서 구동 기능을 제공하며, 풀리들은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이 풀리들 사이의 구동비가 변화될 수 있도록 가변성을 가질 수 있다.
제 7 도 및 제 8도는 체인벨트에 이용되는 제 2 로드블록(34)을 도시한다. 제 2 로드블록(34)은 제 1 로드블록(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된다. 제 1 로드블록과 동일한 제 2 로드블록의 부품은 제 1 로드블록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반복 사용한다. 또한, 간격함을 위하여 제 1 로드블록(14)에 대하여 이미 기술한 특징과 동일한 특징은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제 2 로드블록(34)과 제 1 로드블록(14)간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기술하기로 한다. 제 2 로드블록(34)은 제 1 로드블록(14)의 제 1 지지면(2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된 제 2 지지면(41)을 갖는다. 또한 제 2 지지면(41)은 링크(16, 18, 20, 22)들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31)에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 2 로드블록(34)상의 제 2 지지면(41)은, 이격 체인(10, 1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제 2 로드블록을 통하여 횡으로 뻗어 있는 평면(47)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선(46)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 A로 배치되며, 여기서 평면(47)은 제 2 로드블록(34)의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뻗어 있다. 상기 각도 A는 제 1 지지면(21)과 제 2 지지면(41) 사이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제로, 제 1 지지면(21)에 대하여 제 2 지지면(41)을 약 1°내지 10°의 각도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 2 로드블록(34)은 돌출부(15)의 대향 측면상에 위치하는 원호형 홈(37)을 갖는다. 원호형 홈(37)은 핀(24)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핀에 대한 제 2 로드블록(34)의 상대 회전 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37)을 구성함으로써, 체인을 사용하는 동안 핀(24)을 중심으로 이격 체인(10, 12)이 꺽일 수 있다. 또한, 제 2 로드블록(34)상에서 홈(37)의 중심선(38)은 선(4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36)에 대하여 각도 B로 배치된다. 각도 B는 제 2 지지면(41)의 각도 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홈(37)의 중심점(38)들의 위치는, 이 홈(37)들 중 하나가 제 2 로드블록(34)상의 돌출부(15) 상부에 위치하는 플랜지(19)로부터 더 나아가도록 설정된다. 상기 원호형 홈(37)은 제 2 로드블록(34)상의 제 2 지지면(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다. 제 2 로드블록(34)상에서 원호형 홈(37)들 사이의 각도 B로 인하여, 제 2 지지면(41)을 이격 체인(10, 12)들의 링크(16, 18, 20, 22)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접촉시킬 수 있다.
제 2 로드블록(34)은 본 발명의 체인벨트(13)내에서 일반적으로 랜덤하게(randomly) 배치된다. 제 2 로드블록들은 제 1 로드블록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며 제 1 로드블록(14)과는 다른 방법으로 풀리(2, 3)의 플랜지(6, 7)에 결합한다. 제 2 로드블록(34)의 랜덤한 위치설정은 체인벨트(13)가 풀리의 플랜지와 결합할 때 발생되는 임의 형태의 노이즈 패턴을 차단하며 체인벨트(13)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랜덤한 위치설정은 사용 중에 체인벨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제 1 로드블록(14)과 제 2 로드블록(34)의 풀리 접촉 측면은 이격 체인(10, 12)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실질적으로 이격 체인(10, 12)을 제 1 및 제 2 로드블록 만큼의 폭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가능한 많은 링크들이 사용되어, 이격 체인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는, 이 돌출부가 두껍다면 상당수의 링크들이 배치되지 못하게 되는 공간에서 이러한 상당수의 링크들을 잃지 않도록 비교적 얇게 구성된다. 실제로, 약 40% 이상의 링크가 종래의 로드블록을 갖는 CVT 체인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체인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단일의 고체 로드블록이 매우 강하며, 풀리의 플랜지(6, 7)들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힘을 처리하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작동 중에, 제 1 로드블록(14)과 제 2 로드블록(34)은 이격 체인(10, 12)에 대항하여 가압되며, 그 결과 제 1 지지면(21)과 제 2 지지면(41)은 체인의 링크와 접촉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로드블록의 지지면 위와 또한 이격 체인(10, 12)들의 링크 위의 체인벨트(13) 상에 힘을 분산시킨다. 이것은 이격 체인(10, 12)의 링크들을 함께 고정시키는 핀(24)과 로드블록상의 돌출부(15)에 의해 유지되어야 하는 하중을 감소시킨다. 이로써, 돌출부가 주로 이격 체인(10, 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로드블록을 유지하며 제 1 및 제 2 로드블록을 풀리로부터 제거하는데 조력하는 역할을 하는 한, 돌출부를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격 체인(10, 12)들은 체인의 인장 강도를 가능한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로드블록(14) 및 제 2 로드블록(34)은 강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인 링크들은 박판 금속 리본 재료(sheet metal ribbon stock)로 타출가공(stamp)되며, 핀들은 다이 형성 금속 재료(die formed metal stock)로 가공된다. 핀의 대향 단부들은 링크의 조립체를 유지하는데 차질을 가져 올 수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링크가 판상에서 미끄럼 결합(slip-fit)하는 반면에 체인의 외부 링크는 링크와 로드블록의 조립 동안에 핀에 억지 끼워 맞춤(press-fit)된다.
또한, 제 2 로드블록(34)은 이 로드블록이 체인벨트(13)상에 위치할 때 180°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된 제 2 로드블록은 제 3 도에서 도면번호 35로 표시한다. 회전된 제 2 로드블록(35)은 로드블록이 체인벨트에 대하여 180°회전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2 로드블록(34)과 동일하다.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제 1 로드블록(14)의 제 1 하중 지지면(21)과 제 2 로드블록(34)의 제 2 하중 지지면(41)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회전된 제 2 로드블록(39)상에 제 2 지지면(41)이 배치된다. 비록 제 3 도에서는 제 1 로드블록(14)과, 제 2 로드블록(34)과, 체인벨트(13)상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된 제 2 로드블록(35)을 도시하지만, 제 2 로드블록(34)과 회전된 제 2 로드블록(35)만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도 이해되어야 한다. 제 2 로드블록(34)과 회전된 제 2 로드블록(35)은 일반적으로 체인벨트(13)내에서 랜덤하게 위치하며, 사용 중에 체인벨트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위치에서 풀리(2, 3)의 플랜지(6, 7)들과 결합한다.
제 9 도 내지 제 13 도는, 무한 체인벨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일 체인(61)과,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복수의 제 1 로드블록(65)과, 제 2 로드블록(85)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체인(61)은 핀(74)에 의해 함께 피봇식으로 연결된 교착 링크(66, 68) 세트로 각각 형성된다. 제 1 로드블록(65)은 풀리의 플랜지에 결합하도록 배치된 측면 가장자리(76, 78)들을 갖는다. 각각의 로드블록은 체인벨트(67)상의 인접 핀(74)들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로드 블록(65)은, 상술한 체인벨트의 제 1 로드블록(14)에서 이용되는 제 1 지지면(21)과 같은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동일 방식으로 배치된 편평한 제 1 지지면(71)을 갖는다. 돌출부(75)는 제 1 로드블록(65)들의 각 단부로부터 뻗어 나와 인접 핀(74)들 사이로 연장한다. 돌출부(75)는 교착 링크들을 함께 연결하는 핀(74)들과 결합한다. 돌출부(75)는 돌출부의 양쪽 대향 측면상에 위치하는 홈(77)을 갖는다. 홈(77)은 핀(74)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핀에 대한 제 1 로드블록(65)의 상대 회전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77)을 구성함으로써, 체인을 사용하는 동안 핀(74)을 중심으로 체인(61)이 꺽일 수 있다. 제 1 로드블록의 하부로부터 이격된 돌출부(75)의 단부들은 인접 핀(74)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79)에서 종단한다. 돌출부(75)의 홈(77)과 플랜지(79)에 핀(74)을 배치함으로써, 제 1 로드블록(65)과 체인(6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 2 로드블록(85)은 제 1 로드블록(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제 2 로드블록(85)은, 상술한 체인벨트의 제 2 로드블록(34)의 홈(37) 및 제 2 지지면(41)과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 제 2 지지면(91)과 홈(97)을 갖는다. 제 2 지지면(91)과 홈(97)은, 체인벨트의 제 2 로드블록(34)의 홈(37)과 제 2 지지면(41)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면(7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다. 또한 제 2 로드블록(85)은 체인벨트(67) 내에서 랜덤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 1 로드블록(65)과 제 2 로드블록(85)은 상술한 제 1 로드블록(14) 및 제 2 로드블록(34)과 같이 구조와 기능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일한 중요 차이점은, 상기 로드블록의 돌출부(75)가 로드블록의 중심 대신에 로드블록의 각 단부상에 위치한다.
제 2 로드블록(85)은 이 로드블록이 체인벨트(67)상에 위치할 때 180°회전할 수 있다. 회전된 제 2 로드블록(86)은 이 로드블록이 180°회전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2 로드블록(85)과 동일하다. 상기 회전은 제 2 로드블록(34)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목적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제 2 로드블록(85)과, 회전된 제 2 로드블록(8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벨트(67)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블록은 체인벨트(67) 상에서 랜덤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체인벨트(67)는 상술한 체인벨트(13)와 동일한 기본 방식으로 작용한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장점은, 플랜지(79)가 체인(61)의 외부 가장자리상에 위치하며, 체인(61)내의 그 위치에서 링크(66, 68)를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체인을 함께 유지하도록 사용되는 가이드 링크 및 기타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체인벨트를 위하여 이용되는 구조는 사용 중에 체인벨트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를 종래의 체인벨트보다 약 40% 내지 70%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명세서는 설명을 위하여 주어졌으며, 여러 가지 변용 및 변경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9)

  1.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들을 구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무한 전동 체인 벨트에 있어서, 복수의 교착 링크 세트 조립체로 이루어진 체인과; 상기 체인을 통하여 연장하여 링크들의 인접 세트들을 짜맞추고 피봇식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무한 체인벨트를 구성하며, 이때 체인의 링크들의 세트들을 함께 유지하는 피봇수단과; 상기 체인벨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 1 로드블록과; 상기 체인벨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 2 로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블록은, 상기 체인쪽으로 연장하고 제 1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체인의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링크들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들과 마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측면 가장자리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블록은, 상기 체인쪽으로 연장하고 제 2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한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들의 세트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1 로드블록의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 제 2 지지면을 통하여,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이 링크와 접촉할 때, 제 1 로드블록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고, 또한 상기 체인 사용 중에 체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며, 상기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에 마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측면 가장자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상의 돌출부와 제 2 로드블록상의 돌출부는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도록 원호형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인접 피봇수단 위로 연장하는 플랜지에서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은 단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의 제 1 지지면과 제 2 로드블록의 제 2 지지면은 로드블록상의 하중을 체인의 폭 전면으로 분산시키도록 링크들의 세트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편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제 1 지지면 및 제 2 지지면과 접촉하게 위치된 편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은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1 로드블록을 통하여 뻗어 있고 제 1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면은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그리고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2 로드블록을 통하여 연장하고 제 2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약 1°내지 1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상의 원호형 홈은 이 홈들중 하나가 제 2 지지면을 링크들과 접촉시키도록 제 2 로드블록상의 돌출부의 플랜지로부터 더 전진하여 위치되는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상의 원호형 홈은 제 2 지지면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제 1 체인과 제 2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체인과 제 2 체인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상의 돌출부와 제 2 로드블록상의 돌출부는 제 1 체인과 제 2 체인 사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의 각 단부와 제 2 로드블록의 각 단부에는 돌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은 체인벨트내에서 랜덤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은,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1 로드블록을 통하여 연장하고 제 1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약 1°내지 1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은 체인상에서 180°회전된 제 2 로드블록이며, 제 2 지지면은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7.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를 구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에 있어서, 복수의 교착 링크 세트 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이 복수의 링크들에 의해 한쪽 측면을 따라 편평면을 이루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통하여 연장하여 링크들의 인접 세트들을 짜맞추고 피봇식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무한 체인벨트를 구성하며, 이때 체인의 링크들의 세트들을 함께 유지하는 피봇수단과; 상기 체인벨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 1 로드블록과; 상기 체인벨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 2 로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블록은, 상기 체인쪽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이 돌출부의 대향 측면상에 원호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은 제 1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체인의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링크들의 편평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 1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들과 마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측면 가장자리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블록은, 상기 체인쪽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이 돌출부의 대향 측면상에 원호형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은 제 2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링크들의 세트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1 로드블록의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된 제 2 지지면을 통하여, 제 1 지지면과 제 2 지지면이 링크의 편평면과 접촉할 때, 제 1 로드블록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고, 또한 상기 체인 사용 중에 체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감소되며, 상기 풀리 전동장치의 풀리와 마찰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측면 가장자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인접 피봇수단 위로 연장하는 플랜지에서 종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은 단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은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1 로드블록을 통하여 연장하고 제 1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면은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그리고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2 로드블록을 통하여 연장하고 제 2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약 1°내지 1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상의 원호형 홈은 이 홈들중 하나가 제 2 지지면을 링크의 편평면과 접촉시키도록 제 2 로드블록상의 돌출부의 플랜지로부터 더 전진하여 위치하는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상의 원호형 홈은 제 2 지지면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제 1 체인과 제 2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체인과 제 2 체인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상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로드블록상의 돌출부는 제 1 체인과 제 2 체인 사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의 각 단부와 제 2 로드블록의 각 단부에는 돌출부가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을 체인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접 피봇수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블록과 제 2 로드블록은 체인벨트내에서 랜덤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면은 체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제 1 로드블록을 통하여 연장하고 제 1 로드블록에 대한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선에 대하여 약 1°내지 1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블록은 체인상에서 180°회전된 제 1 로드블록이며, 제 2 지지면은 제 1 지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 전동 체인벨트.
KR1019920001270A 1991-02-15 1992-01-29 무한 전동 체인벨트 KR100258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57,141 US5131892A (en) 1990-03-20 1991-02-15 Chain-belt
US657,141 199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744A KR920016744A (ko) 1992-09-25
KR100258669B1 true KR100258669B1 (ko) 2000-08-01

Family

ID=2463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270A KR100258669B1 (ko) 1991-02-15 1992-01-29 무한 전동 체인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31892A (ko)
EP (1) EP0499385B1 (ko)
JP (1) JP3283560B2 (ko)
KR (1) KR100258669B1 (ko)
CA (1) CA2059755C (ko)
DE (1) DE692050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424A (en) * 1993-04-09 1995-04-25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 belt with two parallel chains having means for inhibiting relative movements of the chains
JP2832412B2 (ja) * 1993-04-09 1998-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チェーンベルト
JPH06300089A (ja) * 1993-04-09 1994-10-25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ベルト
US5453058A (en) * 1994-04-29 1995-09-26 Borg-Warner Automotive, Inc. High capacity phased chain for use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V-pulleys
JPH08114253A (ja) * 1994-10-17 1996-05-07 Borg Warner Automot Kk 動力伝達用チェーンベルト
USD426841S (en) * 1999-09-01 2000-06-20 Fenner, Inc. Transmission belt
IL141094A0 (en) * 2001-01-25 2002-02-10 Ran Siman Tov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WO2005045280A1 (ja) * 2003-10-29 2005-05-19 Jtekt Corporation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7014514B2 (ja) * 2014-02-24 2022-02-0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リンクプレート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8583A (en) * 1933-03-16 1936-04-28 P J V Ketten & Getriebe G M B Power transmitting chain
US2475264A (en) * 1944-03-20 1949-07-05 Sk Wellman Co Flexible belt
US3720113A (en) * 1971-04-06 1973-03-13 Doorne H Van Flexible continuous power transmission means
NL152969C (nl) * 1973-08-31 1983-04-18 Volvo Car Bv Drijfband met een trapeziumvormig profiel, bestaande uit een metalen trekband en verschuifbaar daarop aangebrachte metalen dwarselementen.
US4645479A (en) * 1980-04-21 1987-02-24 Borg-Warner Corporation Metal transmission belt
US4545779A (en) * 1983-01-25 1985-10-08 Aisin Warner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endless belt
EP0135710B1 (en) * 1983-07-29 1987-09-0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V belt
JPS6179044A (ja) * 1984-09-26 1986-04-22 Aisin Warner Ltd 伝動用無端ベルト
US4650445A (en) * 1985-02-20 1987-03-17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belt
US4764158A (en) * 1985-11-27 1988-08-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chain
US4993999A (en) * 1990-03-20 1991-02-19 Borg-Warner Automotive, Inc. Chain-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83560B2 (ja) 2002-05-20
KR920016744A (ko) 1992-09-25
EP0499385B1 (en) 1995-09-27
DE69205025T2 (de) 1996-03-07
JPH04312245A (ja) 1992-11-04
EP0499385A1 (en) 1992-08-19
CA2059755A1 (en) 1992-08-16
DE69205025D1 (de) 1995-11-02
CA2059755C (en) 2003-06-17
US5131892A (en) 199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1682A (en) Cambered pin CVT chain belt
US4080841A (en) Push element for transmission belt
CA1255119A (en) Chain-belt
JPS5999142A (ja) 動力伝達チエ−ン
EP0259997A2 (en) Chain-belt
KR100258669B1 (ko) 무한 전동 체인벨트
US4882901A (en) Detachable link chain
US5007883A (en) Chain-belt
JP3076611B2 (ja) チエーンベルト
JP3076610B2 (ja) チエーンベルト
EP0448208B1 (en) Chain-belt
EP0740087B1 (en) Chain belt
EP0448210B1 (en) Chain-belt
EP0452994A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link therefor
US5009631A (en) CVT chain-belt
JPH0781613B2 (ja) 駆動用無端ベルト
EP0245879A2 (en) Multiple link chain
JPH0583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