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249B1 - 집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249B1
KR100257249B1 KR1019980004815A KR19980004815A KR100257249B1 KR 100257249 B1 KR100257249 B1 KR 100257249B1 KR 1019980004815 A KR1019980004815 A KR 1019980004815A KR 19980004815 A KR19980004815 A KR 19980004815A KR 100257249 B1 KR100257249 B1 KR 10025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dust collecting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145A (ko
Inventor
강광선
나승옥
Original Assignee
강광선
나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광선, 나승옥 filed Critical 강광선
Priority to KR101998000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2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2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5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heat exchan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프레샤(10)를 통해 압축된 압축공기를 상온에서 열교환하여 응축시킨 후 응축된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과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부(20)와; 도정기 또는 분쇄기(A)를 통과한 집진대상물을 직접 공급받아 분진은 상부로 배출시키고, 입자는 저장하는 저장부(30)와; 상기 저장부(30)에서 배출된 분진을 공급받아 여과휠터(42)에 포집하고, 상기 건조부(2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후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여과휠터(42)에 퇴적된 이자를 분리하고, 분리된 입자를 저장부(30)로 배출하는 집진부(40)를 구성함으로써 콤프레샤를 통해 압축된 공기중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집진부로 분출시켜 집진부로 수분이 침투되어 여과휠터의 공극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여과휠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기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기 전체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콤프레샤와 터보팬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정 또는 분쇄된 집진대상물을 저장부로 직접 공급시켜 입자는 저장하고 분진은 집진기를 통해 집진되도록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진 시스템{dust collector system}
본 발명은 도정공정이 끝난 곡물이나 분쇄된 왕겨 등에 함유된 분진을 강제로 흡인하여 집진시키는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집진 시스템은 곡물의 도정공정이나 왕겨의 분쇄공정이 끝난 집진 대상물을 강제로 흡인하여 중량침강식에 의해 입자는 저장하고, 분진은 휠터에 퇴적시켜 청정공기만을 대기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대기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래의 집진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정부 또는 분쇄부 (A)를 통해 가공이 종료된 집진 대상물을 중력침강식으로 포집시키는 입자포집부(2)가 구성되고, 상기 입자포집부(2)를 통해 포집되지 않은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휠터에 퇴적시키고, 청정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부(3)가 구성되며, 상기 입자포집부(2)에서포집된 후 배출되는 입자와 집진부(3)에서 퇴적된 후 배출되는 입자를 저장하고, 저장된 입자를 선택적으로 트럭적재와 정량포장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저장부(4)가 구성되며, 상기 집진부(3)의 일측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분출시켜 여과휠터에 퇴적된 분진을 털어주는 콤프레샤(1)가 연결되고, 집진부(3)의 타측에는 집진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보팬(5)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진시스템은 외기에 함유된 수분이 콤프레샤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포화 온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수증기의 포화온도 차이만큼 응축되어 액체상태의 물이 발생하고, 이 물은 배출공기중에 포함되어 집진부 (3)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집진부(3)로 분출되는 공기중의 수분은 여과휠터의 공극을 막아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게 됨으로써 터보팬(5)의 흡인력이 저하되고 모든 동력에 과부하가 생겨 기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고, 여과휠터의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각 구동부분의 윤활성분을 제거하고 부식을 일으키며, 기기 전체에 많은 압력을 손실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압력손실은 입자포집부(2)의 설치로 인하여 더욱 가중되어 콤프레샤(1)와 터보팬(5)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콤프레샤를 통해 압축되어 배출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압력손실을 억제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집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콤프레샤를 통해 압축된 압축공기를 상온에서 열교환하여 응축시킨 후 응축된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과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부와; 도정 또는 분쇄된 집진 대상물을 직접 공급받아 분진은 상부로 배출시키고, 입자는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된 분진을 공급받아 여과휠터에 포집하고, 상기 건조부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후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여과휠터에 퇴적된 입자가 제거되고, 이 입자를 저장부로 배출하는 집진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집진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집진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콤프레샤 20 : 건조부
21 : 응축기 22 : 세퍼레이타
23 : 전처리휠터 24 : 오일휠터
25 : 흡착식 드라이어 26 : 후처리휠터
27 : 배기탱크 30 : 저장부
40 : 집진부 50 : 터보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집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집진 시스템은 콤프레샤(10)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상온에서 열교환하여 응축시킨 후 응축된 공기중에 함유된 이물질과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건조부(20)가 구성되고, 도정기 또는 분쇄기(A)를 통과한 집진 대상물을 직접 공급받아 분진은 상부로 배출하고, 입자는 저장하는 저장부(30)가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 (30)에서 배출된 분진을 공급받아 여과휠터(42)에 포집하고, 상기 건조부(20)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후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여과휠터(42)에 퇴적된 입자를 분리하고, 분리된 입자를 저장부(30)로 배출하는 집진부(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조부(20)는, 콤프레샤(10)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상온에서 열교환시키는 응축기(21)가 구비되고, 응축기(2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타(22)가 구비되며, 세퍼레이타(22)를 통해 수분이 분리된 공기중의 이물질과 수분을 추가로 제거하는 전처리휠터(23)와 오일휠터(2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휠터(23)(24)를 통과한 공기중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흡착식 드라이어(25)와 후처리휠터(26)가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흡착식 드라이어(25)와 후처리휠터 (26)를 통과한 공기를 일정량 보유하여 집진부(40)로 배출시키는 배기탱크(27)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30)는, 상광하협 형상이고 하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타(311)가 장착된 호퍼(31)의 상부에 로터리밸브(43)와 연결되어 집진부(40)에서 분리된 입자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호퍼(31)의 내측 상부에는 입자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레벨감지센서(32)가 장착된다. 또한 호퍼(31)의 하부 중앙에는 저장된 왕겨를 트럭과 같이 많은 량을 운반하는 운반수단에 직접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공압 실린더(33)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34)가 구성되며, 호퍼(31)의 하부 일측에는 저장된 왕겨를 정량 추출하여 포대에 포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스크류컨베이어(35)가 구성된다.
상기 집진부(40)는, 상광하협 형상이고 하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터(411)가 장착된 호퍼(41)의 일측에 상기 저장부(30)에 연결되어 분진을 유입시키도록 구성되고, 그 상부에는 호퍼(4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20)의 배기탱크(27)가 연결되며, 그 타측에는 시스템 전체에 흡인력을 작용시키고 집진된 청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터보팬(50)이 연결되고, 호퍼(41)의 하부에는 퇴적된 분진을 저장부(30)의 호퍼(31)로 배출하는 로터리밸브(42)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집진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의 콘트롤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집진부(40)의 상부에 연결된 콤프레샤(10)와 솔레노이드밸브(S)가 작동되고, 이어서 집진부(40)의 로터리밸브(43)에 전원을 인가시키고, 터보팬(50)을 작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정기 또는 분쇄기(A) 등을 통과한 집진 대상물은 터보팬 (50)의 흡인력에 의해 저장부(30)의 호퍼(31)로 유입되고, 유입된 집진 대상물중 입자는 하부로 침강하고 가벼운 분진은 집진부(40)의 호퍼(41)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분진의 입자는 여과휠터(42)의 표면에 부착 퇴적되고 이 입자는 콤프레샤(10)에서 압축되어 호퍼(41)내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분리되어 로터리밸브(43)를 통해 저장부(30)의 호퍼(31)로 배출되고, 청정공기는 터보팬(50)에 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콤프레샤(10)에서 압축된 공기는 건조부(20)의 응축기(21)를 통과하면서 상온에서 열교환되고, 응축기(2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는 세퍼레이타(22)를 통과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분리되며, 세퍼레이타(22)를 통해 수분이 분리된 공기는 전처리휠터(23)와 오일휠터(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물질과 수분이 추가로 제거된다. 이어서 상기 전처리휠터(23)와 오일휠터(24)를 통과한 공기는 흡착식드라이어 (25)와 후처리휠터(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동안 나머지 수분이 모두 제거된 후 배기탱크(27)를 통해 일정량 보유되고, 배기탱크(27)에 보유된 건조된 공기는 솔레노이드밸브(S)를 경유하여 집진부(40)의 호퍼(41)로 분출되어 여과휠터(42)의 표면에 부착 퇴적된 입자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건조부(20)를 통과하여 집진부(40)의 호퍼(41)로 분출된 압축공기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집진부(40)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콤프레샤를 통해 압축된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집진부로 분출시켜 수분에 의해 여과휠터의 공극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과휠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전체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콤프레샤와 터보팬의 용량이 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정 또는 분쇄된 집진 대상물을 저장부로 직접 공급하여 입자는 저장하고 분진은 집진기를 통해 집진되도록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분쇄기(A)에서 배출된 집진 대상물의 분진이 포집되어 있는 여과휠터(42) 측으로 콤프레샤(10)에서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켜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A)를 통과한 집진 대상물을 직접 공급받아 분진은 상부로 배출시키고, 입자를 저장하는 저장부(30)와; 상기 저장부(30)에서 배출된 분진을 공급받아 입자는 여과휠터(42)에 포집하고, 여과휠터(42)에서 분리된 입자는 저장부 (30)로 배출하는 집진부(40)와; 상기 콤프레샤(10)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상온에서 열교환하여 응축시키도록 콤프레샤(10)의 출구에 응축기(21)를 구비하고, 응축기(21)의 출구에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타(22)를 구비하며, 세퍼레이타 (22)의 출구에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는 전처리휠터(23)와, 오일휠터(24)를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오일휠터(24)의 출구에 오일휠터(24)를 통과한 공기중의 수분을 추가로 제거하는 흡착식드라이어(25)와 후처리휠터(26)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후처리휠터(26)의 출구에 후처리휠터(26)를 통과한 공기를 일정량 보유하여 배출시키는 배기탱크(27)를 구비하여 상기 집진부(40) 입구측의 솔레노이드밸브(S)에 연결한 건조부(2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시스템.
KR1019980004815A 1998-02-17 1998-02-17 집진 시스템 KR10025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815A KR100257249B1 (ko) 1998-02-17 1998-02-17 집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815A KR100257249B1 (ko) 1998-02-17 1998-02-17 집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145A KR19990070145A (ko) 1999-09-15
KR100257249B1 true KR100257249B1 (ko) 2000-05-15

Family

ID=1953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815A KR100257249B1 (ko) 1998-02-17 1998-02-17 집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29B1 (ko) 2012-02-15 2012-08-06 주식회사 제이텍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64B1 (ko) * 2022-03-10 2022-12-01 안영탁 액상도장용 집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322U (ko) * 1992-02-07 1993-09-23 금성산전 주식회사 집진설비의 필터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9322U (ko) * 1992-02-07 1993-09-23 금성산전 주식회사 집진설비의 필터 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29B1 (ko) 2012-02-15 2012-08-06 주식회사 제이텍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145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83172A5 (ja) 車両
KR101245346B1 (ko) 집진시스템
US4904126A (en) Truck mounted vacuum loading apparatus
CN112546788A (zh) 一种车间除尘除湿一体化设备
CN201757583U (zh) 一种带清粮装置的谷物烘干机
CN209865604U (zh) 一种大型滤筒式除尘器
KR100257249B1 (ko) 집진 시스템
GB2270334A (en) Pneumatic refuse collection and filter apparatus for a roadsweeper
CN108479212A (zh) 一种环保型布袋除尘器
CN211568997U (zh) 一种垃圾装卸转运环卫车
CN208553446U (zh) 一种环保型布袋除尘器
CN212141811U (zh) 一种脉冲布袋除尘器
CN106457119B (zh) 用于从空气流中高效分离颗粒的设备和方法
RU2602890C2 (ru) Цилинд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частиц
KR100811921B1 (ko) 수세식 도장 부스
JPH0274709A (ja) 真空式路面清掃車
CN211190990U (zh) 一种氧化锌粉末收集装置
CN208450101U (zh) 拖曳式真空吸料清理装置
CN207221620U (zh) 锅炉用高温布袋除尘器
JP4287185B2 (ja) 細片脱水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多段脱水設備
CN213077905U (zh) 一种用于烘干废气的净化器
JP2003126639A (ja) 集塵方法および集塵機
CN213761014U (zh) 一种尾气自动除尘装置及干化机
CN214513536U (zh) 一种颗粒机除尘装置及颗粒机
CN216726581U (zh) 散装机高效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