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019B1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019B1
KR100257019B1 KR1019970033816A KR19970033816A KR100257019B1 KR 100257019 B1 KR100257019 B1 KR 100257019B1 KR 1019970033816 A KR1019970033816 A KR 1019970033816A KR 19970033816 A KR19970033816 A KR 19970033816A KR 100257019 B1 KR100257019 B1 KR 10025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ble
fastening
vehicle bod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934A (ko
Inventor
한재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3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0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차체(1)와 접면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가 차체(1)에 고정될 때 지지하는 탄성돌기(20)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케이블(3)을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홀딩수단(30)과, 상기 베이스(10)가 차체(1)에 형성된 체결공(6)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수단(40)과, 상기 체결수단(40)에 의해 상기 배이스(10)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체(1)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체(1)에 적용하여 케이블(3)을 차체(1)에 고정시키면, 클램프(2)를 차체(1)에서 탈거하지 않고 케이블(3)을 탈거할 수 있어 부품의 교환이 쉽게되고, 탈, 장착에 케이블(3)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클램프에 장착할 때 케이블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클램프의 탈거없이 케이블을 고정되게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단면을 보인 축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원이 필요한 각종 기기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케이블(3)을 고정되게 하는 클램프(2)가 장착된다.
상기 클램프(2)에는 클램프(2)에 장착된 케이블(3)이 차체(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3) 양측에 체결돌기(5)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 양측에 형성된 체결돌기(5)에는 차체(1)와 클램프(2)가 볼트(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는 1개의 클램프(2)에 2개의 케이블(3)을 장착하면 클램프(2)와 케이블(3)간의 마찰에 의해 손상이 초래되었으며, 작업시에도 클램프(2)를 차체(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케이블(3)을 잡고 클램핑 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이 극히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클램프에 장착할 때 케이블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클램프의 탈거없이 케이블을 고정되게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단면을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열린 상태를 보인 작동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클램프
3 : 케이블 4 : 볼트
5 : 체결돌기 6 : 체결공
10 : 베이스 20 : 탄성돌기
30 : 홀딩수단 31 : 홀더
32 : 고정돌기 33 : 걸림바
34 : 탄지축 35 : 걸림부재
36 : 걸림돌기 37 : 홀
40 : 체결수단 41 : 체결부재
42 : 걸림돌기 43 : 걸림턱
50 : 지지수단 51 : 지지돌기
52 : 탄지부재 53 : 삽입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와 접면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하는 탄성돌기와, 상기 베이스 양측에 케이블을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홀딩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열린 상태를 보인 작동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1)와 접면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하는 탄성돌기(20)와, 상기 베이스(10) 양측에 케이블(3)을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홀딩수단(30)과, 상기 베이스(10)가 차체(1)에 형성된 체결공(6)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수단(40)과, 상기 체결수단(4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가 차체(1)에 고정될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딩수단(30)은 홀더(31)와, 탄지축(32)과, 고정돌기(32)와, 걸림바(33)와, 걸림돌기(36)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31)는 상기 베이스(10)에 케이블(3)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을 갖으며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탄지축(32)은 상기 홀더(31)에 케이블(3)이 장착될 때 상기 홀더(31)가 탄력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홀더(31) 사이에 다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돌기(32)는 상기 홀더(31) 타측에 상기 베이스(10)에 케이블(3)이 장착될 때 고정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33)는 상기 걸림돌기(36)에 의해 케이블(3)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42) 양측에 장형의 바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재(35)는 상기 걸림바(3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36)는 상기 걸림부재(35) 끝단부에 상기 걸림바(33)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을 갖으며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40)은 체결부재(41)와, 체결돌기(4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1)는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홀(37)에 차체(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 일체로 수직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42)는 상기 체결부재(41)가 차체(1)의 체결공(6)에 결합될 때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으며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42)가 차체(1)의 체결공(6)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돌기(42) 일측에 걸림턱(4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50)은 지지돌기(51)와, 탄지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돌기(51)는 상기 체결수단(40)이 차체(1)의 체결공(6)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수단(40)에 대칭되는 곳에 상기 베이스(10)와 일체로 수직으로 복수개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돌기(51)에는 상기 체결수단(40)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칭되게 삽입홈(53)이 형성되고, 상기 탄지부재(52)는 상기 지지돌기(51) 이측에 상기 체결수단(40)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51)에 대칭되게 형성된 삽입홈(5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차체(1)에 케이블(3)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2)에 형성된 케결돌기(5)를 차체(1)에 형성된 체결공(6)에 삽입시킨다.
상기 차체(1)의 체결공(6)에 삽입된 체결부재(41)는 상기 지지수단(50)의 탄지부재(52)에 의해 항상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차체(1)의 체결공(6)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1)에 체결된 체결공(6)에 삽입되어 고정된 클램프(2)의 홀더(31)를 걸림돌기(36)에서 이탈시켜 오픈시킨다.
상기 홀더(31)를 오픈시킬 때 상기 홀더(31)와 베이스(10) 사이에 형성된 탄지축(34)에 의해 탄성력이 유지되므로 상기 홀더(31)는 각도를 유지하며 오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오픈된 홀더(31)에 케이블(3)을 장착시키고 상기 홀더(31)를 걸림돌기(36)에 체결시킨다.
상기 홀더(31)가 걸림돌기(32)에 체결될 때 상기 걸림돌기(32)의 일측이 반원의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32)의 외주를 따라 걸림바(33)가 부드럽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2)에 장착되어 있는 케이블(3)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31)를 차체(1) 쪽으로 누르면 상기 홀더(31)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바(33)가 상기 걸림돌기(32)에서 약간 이탈된다.
상기 걸림돌기(32)에서 약간 이탈된 걸림바(33)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35)에 케이블(3)이 장착되어 있는 쪽으로 밀면 상기 걸림바(33)는 상기 걸림돌기(32)에서 쉽게 이탈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와 접면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하는 탄성돌기와, 상기 베이스 양측에 케이블을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홀딩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고정될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을 차체에 적용하여 케이블을 차체에 고정시키면 클램프를 차체에서 탈거하지 않고 케이블을 탈거할 수 있어 부품의 교환이 쉽게되고, 탈, 장착시에 케이블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차체와 접면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돌기와, 상기 베이스 양측에 케이블을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홀딩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형성된 체결공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케이블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을 갖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케이블이 장착될 때 상기 홀더가 탄력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지축과, 상기 베이스에 케이블이 장착될 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케이블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 양측에 장형의 바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 끝단부에 상기 걸림바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을 갖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홀에 차체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일체로 수직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가 차체의 체결공에 결합될 때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가 차체의 체결공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돌기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체결수단이 차체의 체결공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수단에 대칭되게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수직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 일측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19970033816A 1997-07-19 1997-07-19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025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16A KR100257019B1 (ko) 1997-07-19 1997-07-19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16A KR100257019B1 (ko) 1997-07-19 1997-07-19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34A KR19990010934A (ko) 1999-02-18
KR100257019B1 true KR100257019B1 (ko) 2000-05-15

Family

ID=1951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816A KR100257019B1 (ko) 1997-07-19 1997-07-19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031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지에스이 케이블 고정 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6009B2 (en) 2008-01-30 2013-03-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d circuit board (PCB) flexibly connected to a device chas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031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지에스이 케이블 고정 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34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0587B1 (ja) 固定具
KR920007971B1 (ko) 배관/배선 파지용 고정 크램프
RU200313027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цевой заделки кабеля
US4790060A (en) Method for holding a conduit to a channel
KR100257019B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US3084409A (en) Support for wires and the like
KR100186702B1 (ko) 케이블 소켓의 고정구조
KR200179977Y1 (ko) 케이블 고정장치
JPH0537623Y2 (ko)
CN217692406U (zh) 一种线缆夹结构
JP4218780B2 (ja) ケーブルの把持機構
KR100345232B1 (ko) 차량의 배터리 접속구조
KR200165666Y1 (ko) 고정핀 겸용 와셔
ES2153237T3 (es) Abrazadera para cables.
JPH1113720A (ja) クランプ
KR100312567B1 (ko) 자동차용 케이블 고정 구조
JP2000004523A (ja) 少なくとも1つのケ―ブル又は導線のための保持装置
KR100205897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200166028Y1 (ko)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
KR200329875Y1 (ko) 자동차용 연료배관 및 배선 고정클립
KR19990052099A (ko)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45053Y1 (ko) 호오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KR100205895B1 (ko) 와이어링 고정 클립
JPS62173911A (ja) ケ−ブルクランプ装置
US2779012A (en) Electrical wi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