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877B1 - 기기조작용 패널 - Google Patents

기기조작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877B1
KR100254877B1 KR1019970082227A KR19970082227A KR100254877B1 KR 100254877 B1 KR100254877 B1 KR 100254877B1 KR 1019970082227 A KR1019970082227 A KR 1019970082227A KR 19970082227 A KR19970082227 A KR 19970082227A KR 100254877 B1 KR100254877 B1 KR 10025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light emitting
linear
spac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319A (ko
Inventor
미치타카 오오쿠라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이즈루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056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87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258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3678B2/ja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이즈루,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filed Critical 나카무라 이즈루
Publication of KR1999000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04Printed circuit t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 H01H2219/016LED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22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38Folding of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6Control panel; Graphic display; Programm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1Miscellaneous combined with other elements on the same substrate
    • H01H2239/012Decoding imped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기기의 내부의 제어장치와의 접속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표면에 스위치의 접점부분(W11)…과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21)…을 형성하고, 또 회로기판(7)의 표면에 발광다이오드(LED1)∼(LED9)를 배치한다. 제 1의 가용성회로기판(7)은 접속선패턴을 인출하는 인출부분(7B)을 가진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위에 스페이서층(33)을 적층한다. 스페이서층(33)위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을 적층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에는, 스위치의 접점부분(SW21)…과 가변저항기의 가동쪽전극(29)을 형성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위에 커버시트부재(39)를 적층한다. 기기조작용패널은, 적층체로서 구성되고, 기기(3)의 케이스(5)의 외부면에 접착층을 개재해서 접합된다. 적층체로부터 연장하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인출부분(7B)이, 케이스(5)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기기의 제어장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기조작용 패널
본 발명은, 난방기기나 전기기기등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을 구비하고, 또한 기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석유난방기, 가스난방기 등의 기기의 조작부에는, 난방기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나 가변저항기, 그리고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표시수단 등의 전기부품이 배설되어 있다. 종래의 기기조작용 패널에서는, 이들 전기부품을 베이크라이트기판이나 유리에폭시수지기판과 같이 경질의 회전기판위에 실장하고, 이 회로기판을 합성수지제의 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회고기판을 지지한 프레임을 기기의 케이스에 형성한 개구부에 외부조작이 필요한 전기부품이나 발광표시수단이 위치하도록, 기기의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하고 있다. 게다가, 표면에 문자나 기호등이 인쇄되고, 또 발광표시수단으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부분을 구비하고, 또 스위치 등의 외부조작이 필요한 부품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진 커버부재에 의해서, 케이스의 개구부를 틀어막도록 하고 있었다.
종래의 기기조작용 패널의 구조에서는, 기기의 케이스에 큰 개구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의 설계가 번잡하게 되는 위에, 기기조작용 패널의 장착장소도 한정되는 경우가 있다. 또 종래의 구조에서는, 기기조작용 패널의 장착작업이 번잡했다.
또 석유난방기 등의 기기에서는, 최소연소량에서부터 최대연소량사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연소량을 조절하고, 소망하는 연소량을 선택한다. 이 조절을 위해서는, 슬라이드식의 가변저항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사용했던 슬라이드식의 가변저항기는, 슬라이더를 기계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슬라이더를 기계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조를 채용하면, 기기조작용 패널의 두께를 얇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꼭 케이스의 내부에 기기조작용 패널의 일부를 수납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기기의 내부의 제어장치와의 접속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부가해서 종래보다도 박형이고 또한 접착에 의해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장착할 수 있는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에 가변저항기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박형화의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박형화의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면이 작은 발광소자를 사용해서도 발광표시부의 면적을 크게할 수 있는 기기조작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1)을 적용한 석유난방기(석유스토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의 일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기기조작용 패널에서 사용되는 2개의 가요성회로기판이 1개의 큰 가요성기판에 의해서 구성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요부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예에서 사용되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예에서 사용되는 제 1의 스페이서층의 평면도
도 10은 도 7의 예에서 사용되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1은 도 7의 실시의 형태의 기기조작용 패널의 평면도
도 12는 숫자표시용 시그먼트의 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3은 숫자표시용 시그먼트의 요부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XV-XV선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XVI-XVI선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예에서 사용하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8은 도 14의 예에서 사용하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9는 도 14의 예에서 사용하는 제 2의 스페이서층의 평면도
도 20은 도 14의 예에서 사용하는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의 바닥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기조작용 패널 3: 석유난방기(기기)
5: 케이스 7: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
7B: 인출부분,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
13: 제 1의 회로패턴 15: 제 2의 회로패턴
17, 19: 오버코트층 LED1∼LED9: 발광다이오드
21: 선형상전극 23, 25: 단부전극
27: 저항막 29: 가동쪽전극
33: 스페이서층 35: 스페이서·시트
39: 커버시트부재 45: 광투과부재
본 발명은, 기기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 또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발광소자를 구비해서, 기기의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을 개량의 대상으로 한다.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으로서는 푸시식의 스위치나 가변저항기등이 포함되고, 발광소자로서는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다.
본원 발명의 제 1의 기본구조에서는, 2종류의 가요성기판과, 스페이서층과, 커버시트부재를 사용한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은, 표면에 1개이상의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을 포함하는 제 1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주요부분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을 가지고 있다. 스페이서층은, 1층구조이상의 구성을 가지고,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접점부분을 노출시키는 1개이상의 윈도부를 구비해서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적층된다. 그리고 스페이서층의 윈도부에 대응해서 도전부재(예를 들면 가동접점부재등)를 배치하고, 이 도전부재가 접점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조작신호가 발생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은, 스페이서층위에 적층되고 또한 상기한 도전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의 회로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제 2의 회로패턴이 도전부재를 포함하는 경우는, 도전부재가 제 2의 회로패턴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시트부재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위에 적층되고, 적어도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시트부재는, 1층구조라도 다층구조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발광소자의 위 또는 옆에 광을 확산하는 투과성부재를 배치할 경우와 같이, 특정한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되는 경우등에는, 본래의 커버시트부재의 하부쪽에 두께조정용의 스페이서·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그리고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주요부분, 스페이서층,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커버시트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1개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이 적층체로부터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인출부분이 기기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도출된다.
이와 같은 적층체로서 기기조작용 패널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출부분을 적층체로부터 도출시킨 구조로하면, 이 인출부분을 기기의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하고, 적층체를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기기조작용 패널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에 의하면,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기기의 내부의 제어장치와의 접속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적층체의 구조가, 기기조작용 패널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기조작용 패널을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장착할 경우에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주요부분의 뒷면을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착층을 개재해서 직접 접착해도 된다. 또한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을, 소정의 절연성시트를 개재해서 케이스의 외부면에 직접 장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위에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를 배설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스페이서층에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윈도부를 형성하고,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은,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윈도부를 가지거나 또는 그 부분이 광투과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커버시트부재에는,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투과성을 가지게하면 된다.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에 가변저항기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 적층체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가변저항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된다. 먼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형상 전극을 형성해서, 이들을 접점부분으로 한다. 또 이들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적속하도록,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형성한다. 또한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제 2의 회로패턴중에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대향하는 위치에 도전부재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저항막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선형상전극과 도전부재간에서부터 저항치를 검출하도록, 제 1의 회로패턴 및 제 2의 회로패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하면,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커버시트부재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도전부재가 제 1의 회로패턴의 복수의 선형상전극의 일부와 접촉하고 저항막의 일단부와 도전부재가 접촉한 선형상전극간의 저항막의 저항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변저항기를 구성하면, 종래와 같이 기계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더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가변저항기를 내장하고 있어도 기기조작용 패널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회로패턴의 출력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인출부분의 접속선패턴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개소에서 제 1의 회로패턴과 제 2의 회로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해두면 된다. 가장 간단하게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과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을 1개의 가요성회로기판을 절곡해서 형성하고, 절곡부에 제 1 및 제 2의 회로패턴의 접속패턴을 형성하면 된다. 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에도 인출부분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양자로부터 각각 인출부분을 도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가변저항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먼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선형상전극으로 이루어진 제 1의 선형상전극군과, 이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이들 복수의 선형상전극간에 서로 다르게 배치되고 또한 상호간에 연결선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선형상전극으로 이루어진 제 2의 선형상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형성한다. 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제 2의 회로패턴에, 제 1 및 제 2의 선형상전극군과 대향하도록 도전부재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일단부쪽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선형상전극과 제 2의 선형상전극군의 연결선간에서부터 저항치에 비례한 조자신호를 얻도록, 제 1의 회로패턴을 구성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제 2의 회로패턴에 포함시키는 도전부재는,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소정의 선형상전극과 제 2의 선형상전극군의 소정의 선형상전극을 단락시키는 기능을 다하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면, 제 2의 회로패턴으로부터 출력을 낼 필요가 없어지게 때문에, 제 1 및 제 2의 회로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고,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의 양자가 기기조작용 패널의 내부에 내장하는 경우에, 발광소자자체 또는 발광소자에 부수하는 다른 부품의 두께가 두껍게 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동일 가요성회로기판위에 양자를 배치하면, 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도전부재와 가요성회로기판위의 접점부분과의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질 염려가 있다. 이 거리가 너무 길어지면, 조작성이 악화될뿐만아니라, 도전부재와 접점부분과의 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할 염려도 있다. 이와 같은 일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본원 발명의 제 2의 기본구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이 푸시 ON스위치와 같은 스위치로, 가변저항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은, 표면에 제 1의 회로패턴과 이 제 1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발광소자가 고정된 주요부분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을 가진다. 또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윈도부를 구비한 1층구조이상의 제 1의 스페이서층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적층한다. 그리고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을 제 1의 스페이서층의 위에 적층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은, 표면에 스위치의 접점부분을 포함하는 제 2의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윈도부가 형성된 주요부분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제 2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을 가진다. 또한, 접점부분을 노출시키는 1개이상의 윈도부와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윈도부를 구비한 1층구조이상의 제 2의 스페이서층을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표면위에 적층한다. 그 위에서, 접점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도전부재를 제 2의 스페이서층의 윈도부에 대응해서 배치한다. 그리고 또한 적어도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진 커버시트부재를 제 2의 스페이서층의 위에 적층한다.
가변저항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전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의 회로패턴을 구비한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을, 제 2의 스페이서층의 위에 적층하고, 그 위에 커버시트부재를 적층하면 된다. 이와같이해서 형성된 적층체로부터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인출부분이 각각 도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발광소자의 위 또는 옆에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확산해서 투과하는 광투과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에, 광투과부재의 두께가 두껍게되어도, 도전부재와 접점부분과의 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염려가 없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1)을 구비한 석유난방기(석유스토브)(3)의 사시도를 표시하고 있다. 이 기기조작용 패널(1)은, 석유난방기(3)의 케이스(5)의 위뚜껑(5a)위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다. 도 2는, 기기조작용 패널(1)의 일례의 평면도이다. 위뚜껑(5a)의 기기조작용 패널(1)의 접착영역은 다른 부분보다도 약간 안으로 들어가서 오목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착영역에는, 케이스(5)의 내부에 기기조작용 패널(1)로부터 연장되는 인출부분(7B)을 삽입하는 작은 슬릿(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기기조작용 패널(1)을 케이스(5)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인출부분(7B)을 슬릿에 삽입한다.
도 3∼도 5는, 각각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Ⅳ-Ⅳ선 단면도 및 V-V선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의 기기조작용 패널(1)에서 사용하는 2개의 가요성회로기판(7) 및 (9)가 1개의 큰 가요성회로기판(11)에 의해서 구성된 상태를 표시한 가요성회로기판(11)의 평면도이다. 제 1 및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7) 및 (9)는,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가요성인기판재료위에, 은페이스트와 같은 도전성페이스트를 사용해서 인쇄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의 회로패턴(13) 및 (15)가 형성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7) 및 (9)의 위에는, 제 1 및 제 2의 회로패턴의 접점부분을 제외해서 절연수지페이스트가 스크린인쇄되어서 절연오버코트층(17) 및 (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주요부분(7A)위에 형성된 제 1의 회로패턴(13)은, 5개의 푸시ON스위치(SW1)∼(SW5)(도 2)의 접점부분(SW11)∼(SW15)과,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1)과, 이들의 접점부분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L1) 및 (L2)와, 발광다이오드(LED1)∼(LED9)로 이루어진 발광소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L3)을 구비하고 있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인출부분(7B)에는, 제 1의 회로패턴(13)의 배선(L1)∼(L-3)의 연장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접속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7개의 발광다이오드(LED8)…로 이루어진 숫자표시용 시그먼트와 7개의 발광다이오드(LED9)…로 이루어진 숫자표시용 시그먼트에의 배선(L3)의 일부는 생략하고 있고, 또 인출부분(7B)의 선단부쪽의 배선은 생략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지않으나, 인출부분(7B)의 선단부쪽에는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접속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출부분(7B)의 선단부의 커넥터접속전극은, 기기의 케이스(5)의 내부에 삽입되어, 케이스(5)의 내부에 배치된 제어장치의 제어기판에 배설된 커넥터에 삽입된다. 제어기판과의 사이의 거리가 긴경우에는, 제어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중계케이블의 단부에 배설된 커넥터에, 인출부분(7B)의 선단부의 커넥터접속전극이 삽입되게 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LED1)∼(LED9)…는, 각각 칩형상의 발광다이오드이며, 제 1의 회로패턴(13)위의 복수의 전극위에 도전성접착제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LED1)∼(LED7)는, 운전모드, 타이머동작의 유무, 연료의 보급의 필요성의 유무 등을 표시하는 목적으로 발광한다. 또 발광다이오드(LED8)… 및 (LED9)…는, 숫자를 표시해서, 운전레벨이나 온도등을 표시한다. 이들 발광다이오드(LED1)∼(LED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는, 기기(3)의 케이스(5)의 내부에 배치된 제어장치로부터 배선(L3)을 개재해서 공급해간다.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1)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표면위에 상호간에 대략 동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선형상전극(21)…은, 대략 평행으로 나란히 전극열을 구성하고 있고, 전극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1)…은, 단부전극(23) 및 (25)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간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외의 선형상전극(21)…의 일단부와 단부전극(23) 및 (25)에 걸쳐서, 이들 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7)이 형성되어 있다. 저항막(27)을 박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퍼터링등에 의해 형성하고, 저항막(27)을 후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저항페이스트를 사용해서 스크린인쇄에 의해 형성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의 뒷면(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표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제 2의 회로패턴(15)은, 푸시ON스위치(SW1)∼(SW5)(도 2)의 접점부분(SW21)∼(SW25)과,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1)과 접속시켜지는 도전부재를 구성하는 가동쪽전극(29)과, 배선(L4) 및 (L5)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배선(L4) 및 (L5)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과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을 연결하는 연결부분 또는 되집어꺾기부분(31)을 지나서, 제 1의 회로패턴(13)의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위에 점선으로 기재된 패턴은,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위에 포갠 상태에 있어서의 제 2의 회로패턴(15)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가동쪽전극(29)은 선형상전극(21)과 대향하고, 접점부분(SW21)∼(SW25)은 접점부분(SW11)∼(SW15)과 대향한다.
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에는, 발광다이오드(LED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의 윈도부(W1)가 형성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LED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의 윈도부(W2)가 형성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LED8)… 및 (LED9)…로 이루어진 숫자표시시그먼트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 3의 윈도부(W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7) 및 (9)사이에는, 접점부분(SW21)∼(SW25), 접점부분(SW11)∼(SW15), 선형상전극(21)…으로 이루어진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1), 및 발광다이오드(LED1)∼(LED9)…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윈도부(W11),(W12),(W13)…를 구비한 1층구조의 스페이서층(33)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층(33)은, 폴리에스테르수지분말을 가열압축해서 형성된 다공질이고 유연성과 탄력성을 가진 절연성시트이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층(33)은, 양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서 형성된 대단히 얇은 접착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도 5에 있어서는, 스페이서층(33)의 양면의 접착층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본예에서는, 도 3∼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위에는 뒷면쪽(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과 대향하는 쪽)의 면에 대단히 얇은 접착층을 구비한 두께조정용의 스페이서·시트(35)가 적층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시트(35)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수지제시트재료(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복수의 윈도부(W22)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시트(35)에 형성되는 복수의 윈도부는, 도 1에 표시한 가요성회로기판(9)에 형성된 윈도부(W1)∼(W3)DP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시트(35)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위에 광을 확산시키는 광투과부재(45)를 배치하는 경우에, 이 광투과부재(45)의 두께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스페이서층(33)의 두께를 단순히 두껍게하거나, 또는 스페이서층(33)을 복수층구조로해서 그 두께를 두껍게하거나, 또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의 두께를 두껍게하면, 스페이서·시트(35)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도 3∼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스페이서·시트(35)위에 투명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37)을 개재해서 커버시트부재(39)가 적층되어 있다. 이 커버시트부재(39)는, 적어도 스위치조작부 및 가변저항기조작부에 대응하는 부분(도 2에 부호(SW1)∼(SW5) 및 AR로 표시한 부분)이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커버시트부재(39)는, 적어도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시트부재(39)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도 2에 부호(39a)로 표시한 부분)에 투명 또는 광투과부분을 남기도록 뒷면쪽에 소정의 인쇄가 실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도 5에는, 이 인쇄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예에서는, 보강을 위하여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뒷면쪽에 접착층(41)을 개재해서 보강용시트(43)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강용시트(43)은, 반드시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을 기기의 케이스(5)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개재해서 직접 접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1)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1)…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성형가공에 의해 복수의 돌기(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7a)는, 어느정도강한 힘으로 커버시트부재(39)의 조작부를 압압한 경우에만, 가동쪽 전극(29)과 선형상전극(21)…이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돌기(7a)의 높이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가변저항기의 조작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전극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21)…을 단부전극(23) 및 (25)에 의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열의 양단부에서는 다소 누르는 위치가 상위해도, 확실하게 최소저항치와 최대저항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ED7)위에 반투명의 플라스틱재료, 예를 듬련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고, 발광다이오드(LED7)의 발광부로부터 나온 광을 확산해서 투과하는 광투과부재(4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투과부재(45)는, 작은 발광다이오드(LED7)로부터 나온 광을 내부에서 확산해서 발광면적을 확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투과부재(45)의 주위에는, 광투과부재(45)의 측방으로부터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투과성을 가지지 않도록 착색된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광불투과부재(4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LED7)이외의 다른 발광다이오드의 부분에도, 도 4에 표시한 구조와 동일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확산성과 광투과성을 가진 광투과부재를,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해서 1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발광다이오드(8)… 및 (9)…에 의해 숫자표시시그먼트를 구성할 경우에는, 1개의 큰 광불투과부재(47)에 8의 숫자를 형성하는 7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구멍의 개구부의 일단부를 각각 광투과부재로 덮고, 광투과부재의 하부에 각각 발광다이오드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해서 명확하게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푸시ON스위치가 구성되는 부분에서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접점부분(SW11)과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의 접점부분(SW21)과의 사이에, 반전동작가능한 접시형상의 도전부재(택트금속판)(4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접점부분(SW11)의 외주부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오버코트층(17)에 의해서 덮어져 있고, 도전부재(49)의 외주부는 오버코트층(17)위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시트부재(39)의 스위치(SW1)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위에 누르면, 도전부재(49)는 그 중앙부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접점부분(SW11)과 접촉하도록 변형한다. 도전부재(49)는 그 중앙부가 접점부분(SW11)과 접촉하면 접점부분(SW11) 및 (SW21)간이 도통해서 ON상태가 형성되어서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조작부의 압압을 해제하면 도전부재(49)는, 반전동작을 행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OFF상태로 되어서, 조작신호가 없어진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도 2∼도 6에 표시한 상기 예에서 사용하는 부재와 동일부재 또는 근사한 부재에는 상기 예에 부여한 부호에 100을 가한수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예와 도 2∼도 6의 예를 대비하면, 먼저 기기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으로서 가변저항기가 사용되어 있지 않고 푸시 ON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는 점과, 발광소자로서의 발광다이오드LED의 옆에 광투과부재(145)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 발광소자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위에 배치되고, 푸시ON스위치의 접점부분이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위에 형성되는 점도 다르다. 또한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과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페이서층(133)의 두께가 상기 예와 비해서 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점과, 두께조정용의 스페이서·시트(35)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점에서 상위하다.
발광다이오드LED를 배치하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은,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제 1의 회로패턴(113)을 가지고 있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의 제 1의 회로패턴(113)은, 개별표시를 위한 발광다이오드(LED10)∼(LED16)를 구동하기 위한 제 1의 구동회로배선(L11)과 숫자표시용 시그먼트(100)를 구동하기 위한 제 2의 구동회로배선(L1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의 주요부분(107A)으로부터 2개의 인출부분(107B1) 및 (107B2)이 도출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LED10)∼(LED13)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1개의 큰광투과부재(145)의 옆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ED10) 및 (LED12)와 발광다이오드(LED11) 및 (LED13)와는, 색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것은 2종류의 발광색을 조합함으로써, 1개의 광투과부재(145)의 발광색을 바꾸어서, 예를 들면 기기의 운전상태와 정지상태를 1개의 광투과부재(145)를 통해서 식별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광투과부재(145)의 하부에 박막의 반사막(144)이 형성되어 있고, 광투과부재(145)에 들어간 광이, 반사막(144)에서 반사해서, 될 수 있는 한 많이 광투과부재(145)위의 면에서부터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반사막(144)을 구비한 광투과부재(145)는, 접착층(142)을 개재해서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그외의 발광다이오드(LED14)∼(LED16)위에는, 광투과부재(14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LED14)의 위에만 광투과부재(146)를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광투과부재(145)의 옆에 두는 것은, 발광다이오드위에 광투과부재(146)을 두는 경우보다도, 큰 발광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경우나, 소정의 길이의 가늘고 긴 표시등을 얻을 수 있는 경우이다.
도 9는, 제 1의 스페이서층(133)의 평면도이다.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스페이서층(133)은, 그위의 면이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위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LED의 윗면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 스페이서층(133)도 최초의 예와 마찬가지로 가요성과 다소의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층(133)에는, 발광소자를 수납하는 5개의 윈도부(W31)∼(W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층(133)의 양면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132) 및 (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스페이서층(133)위에는, 접착층(134)을 개재해서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이 접합되어 있다. 도 10은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의 평면도이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의 표면(제 1의 스페이서층(1343)대향하지 않는면)에는, 5개의 푸시ON스위치(SW21)∼(SW25)의 접점부분(SW31)∼(SW35)을 구비한 제 2의 회로패턴(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점부분(SW31)∼(SW35)은 1쌍의 대향전극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반전동작가능한 접시형상의 도전부재(149)(도 7)에 의해서, 1쌍의 대향전극이 단락됨으로써, 푸시ON스위치가 ON상태로 되어서 조작신호를 발생한다. 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은 주요부분(109A)과 인출부분(109B)을 구비하고 있고, 제 2의 회로패턴(115)에 연결되는 접속선패턴(L13)은 인출부분(109B)을 통해서 인출되고 있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의 표면전체에는 제 2의 회로패턴(115)의 접점부분(SW31)∼(SW35)을 실질적으로 제외해서 절연수지페이스트가 스크린인쇄되어서 절연오버코트층(1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버코트층(119)은, 제 2의 스페이서층을 구성하고 있고, 접점부분(SW31)∼(SW35)의 외부가장자리부분을 덮고 있는 부분이 접시형상의 반전동작가능한 도전부재(택트금속판)(149)를 수납하는 윈도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전부재(149)는, 오버코트층(119)을 개재해서 접점부분(SW31)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전부재(149)의 중앙부가 압압되어서 접점부분(SW31)을 구성하는 1쌍의 전극의 양쪽에 중앙부가 접촉하면, 스위치는 ON상태로 되고,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제 2의 스페이서층을 더 두껍게 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오버코트층(119)을 복수층구조로 하거나, 절연시트재료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시트를 다시 오버코트층(119)위에 적층해도 된다.
커버시트부재(139)의 뒷면에는,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도료에 의해 광불투과층(138)이 인쇄되어 있다. 커버시트부재(139)는 가요성이 있고, 광투과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 광불투과층(138)이 인쇄되고 있지않는 부분(139a∼139c)이 발광부분이 된다. 광투과부재(145) 및 커버시트부재(139)의 굴절율 및 투명도등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광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커버시트부재(139)의 재질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커버시트부재(139)의 광투과부분(139a)∼(139c)에 광투과부재(145)의 가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투과부재(145)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 11은,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기기조작용 패널(101)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예에서 사용하는 숫자표시용 시그먼트(100)의 회로기판(100a)의 평면도이다. 이 회로기판(100a)위에는, 7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해서 7시그먼트가 구성되고, 1개의 발광다이오드LED에 의해 포인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회로패턴(10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로기판(100a)으로서 폴리이미드수지로 이루어진 기판을 사용하고, 회로패턴은 첩부된 구리박을 에칭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회로기판(100a)의 일단부에는, 접속용의 8개의 전극(100c)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접지전극(100d)이 형성되어 있다. 구리박으로 형성한 전극(100c) 및 접지전극(100d)는, 제 1의 회로기판(107)의 제 1의 회로패턴(113)의 배선 또는 접속선패턴(112)의 단부에 플라즈마용착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예에 있어서도, 백플레이트(143)를 설치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0a)의 표면은 발광다이오드LED를 설치하는 전극부를 제외해서 절연오버코트층(100e)에 의해서 덮어져 있다. 오버코트층(100e)위에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수납하는 8개의 윈도부(100m)를 구비한 광을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 스페이서부재(100g)가 접착층(100f)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다. 8개의 윈도부(100m)의 위쪽개구부에는, 광투과성을 가진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광투과판(100j)이 각각 끼워합쳐지고 있다. 또 스페이서부재(100g)위에는, 뒷면에 광불투과층(100i)이 인쇄형성된 커버시트(100k)가 접합되어 있다. 광불투과층(100i)은, 광투과판(100j)에 대응하는 부분에 광투과부분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위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숫자표시용 시그먼트(100)를 별개로 형성하면, 숫자표시용 시그먼트(100)를 범용품으로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발광소자의 옆에 광투과부재(145)를 배치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을 도 2∼도 6에 표시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기조작용 패널(201)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평면도이다. 이 기기조작용 패널(201)이, 도 7∼도 13을 사용해서 설명한 기기조작용 패널(101)과 크게 다른 점은, 신호발생용 전기부품으로서 신규인 구조의 가변저항기를 포함하고 있는 점과, 가변저항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그래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도 7∼도 13에 표시한 예에서 사용하는 부재와 동일 또는 근사한 부재에는, 도 7∼도 13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에 다시 100을 부가한 수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예에서도,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가용성회로기판(207)의 표면에 형성한 제 1의 회로패턴(213)에는, 발광다이오드(LED41) 및 (LED42)와 숫자표시시그먼트(200)만이 접속되어 있다. 또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41) 및 (LED42)간에는 이들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광을 확산하고 또한 투과하는 광투과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207)의 주요부분(207A)으로부터는 인출부분(207B)이 연장하고 있고, 이 인출부분(207B)에는 제 1의 회로패턴(213)에 접속된 접속용 패턴(L1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207)위에는, 양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232) 및 (234)를 구비한 제 1의 스페이서층(23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의 스페이서층(233)은, 상기한 스페이서층(33)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발광소자를 수납하는 2개의 윈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의 스페이서층(233)위에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이 적층되어 있다. 도 18에는,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평면도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기기의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어장치(300)도 도시하고 있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표면에는, 푸시ON스위치(SW41)의 접점부분(SW51)과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2)을 포함하는 제 2의 회로패턴(215)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분(SW51)은, 배선(L04) 및 (L05)의 양단부에 형성된 1쌍의 대향전극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2)은,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21)…으로 이루어진 제 1의 선형상전극군과,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2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복수의 선형상전극(211)…사이에 번갈아배치되고 또한 상호간에 연결선(22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22)…으로 이루어진 제 2의 선형상전극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21)…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은, 단부전극(223) 및 (225)에 의해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단부전극(223) 및 (225)는 배선(L01) 및 (L0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22)을 연결하는 연결선(224)의 단부는 배선(L02)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단부전극(223) 및 (225)와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21)…의 단부에는, 복수의 선형상전극(221)…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27)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주요부분(209A)으로부터 연장하는 인출부분(209B)에는 접속선패턴(L15)이 형성되어 있고, 인출부분(209B)의 단부에는 커넥터접속용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는 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장치(300)의 커넥터에 인출부분(209B)의 단부의 전극이 삽입되어서,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제 2의 회로패턴(215)은 제어장치의 내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어장치(300)는, 스위치 또는 가변저항기로부터 송출해오는 조작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를 행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어장치(300)에는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207)의 인출부분(207B)의 단부의 전극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장치(300)로부터 발광소자에의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의 표면에는, 접점부분(SW51) 및 (VR2)를 제외하도록 절연수지페이스트 즉 절연도료를 스크린 인쇄해서 절연층(219)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219)을 형성할때에 동일한 절연도료를 사용해서, 복수의 선형상전극(221)… 및 (222)…의 몇 개인가의 위에는, 그 선형상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점형상의 복수의 절연스페이서(216)…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에는, 발광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윈도부(W51) 및 (W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위에는, 도 19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제 2의 스페이서층(251)이 접착층(252)을 개재해서 적층되어 있다. 제 2의 스페이서층(251)은, 제 1의 스페이서층(233)과 마찬가지의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스페이서층(251)에는, 발광소자와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209)위에 형성한 접점부분(SW51) 및 (VR2)를 수용하는 4개의 윈도부(W61)∼(W6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스페이서층(251)위에는,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이 적층되어 있다.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의 뒷면(제 2의 스페이서층(251)과 대향하는 면)위에는, 제 3의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 3의 회로패턴은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위에 형성된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2)의 복수의 선형상전극(221)… 및 (222)…과 접촉가능한 접점패턴 또는 도전부재(254)이다. 이 도전부재(254)는, 은도료와 같은 도전성페이스트를 인쇄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의 뒷면위에는, 도전부재(254)를 제외해서 절연수지페이스트 즉 절연도료를 사용해서 절연층(255)이 형성되어 있다. 본예에서는, 도전부재(254)를 형성함으로써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절연층(255)이 형성하고 있으나, 접착층(219)의 두께를 두껍게하거나, 도전부재(254)의 두께를 얇게하면, 이 절연층(255)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 절연층(255)를 형성할때에, 도전부재(254)위에는, 선형상전극(221)… 및 (222)…의 몇 개인가와 대향하는 부분에 선형상전극(221)… 및 (2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절연층(255)을 형성하는 절연도료를 사용해서 복수의 점형상의 절연스페이서(256)…를 형성하고 있다. 도 16에 상세히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절연스페이서(216)와 절연스페이서(256)와는 상호간에 대향하지 않도록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에는,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또는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윈도부(W71) 및 (W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은 접착층(253)을 개재해서 제 2의 스페이서층(251)위에 적층되어 있다. 또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위에는, 뒷면쪽에 광불투과층(238)을 구비한 커버시트(239)가 접착층(237)을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다.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커버시트부재(239)에는 5개소의 광투과부분(239a)∼(239c)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시트부재(239)의 가변저항기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가압해서,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에 형성한 도전부재(245)를 가변저항기의 접점부분(VR2)을 구성하는 선형상전극(221)… 및 (222)…의 양자에 접촉시키면, 도전부재(245)를 개재해서 선형상전극(221)…의 일부와 선형상전극(222)…의 일부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L01)(단부전극(223))과 배선(L02)(또는 연결선(224))간 또는 배선(L02)(또는 연결선(224))과 배선(L03)(단부전극(235))간에, 저항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어장치(300)에서 저항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에 걸쳐서 조작신호를 판독해 넣고, 판독해넣은 복수의 조작신호의 값이 소정치이상의 값으로 일치하였을 경우에, 그 값을 입력저항치로서 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의 도전부재(249)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예와 마찬가지로, 별개로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에 도전부재(254)를 형성할때에, 스위치의 도전부재(249)에 대응하는 위치에 은페이스트등의 도전페이스트에 의해 스위치용의 도전부재를 형성해도 된다.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의 가요성이 적당한 것이라면, 반전동작가능한 접시형상의 도전부재(249)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예에 있어서도, 백플레이트(243)를 형성하는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도 14∼도 20에 표시한 가변저항기의 구조를 도 2∼도 2에 표시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기기조작용 패널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반대로, 도 2∼도 6에 표시한 가변저항기의 구조를 도 14∼도 20에 표시한 기기조작용 패널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스위치의 구조에 관해서도, 도 4∼도 6에 표시한 스위치의 구조를 도 14∼도 20에 표시한 기기조작용 패널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 경우에는, 제 3의 가용성회로기판(257)에도 다른 가용성회로기판과 마찬가지로 인출부분을 형성해서, 그 인출부분을 적층체로부터 인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예에서는, 기기조작용 패널(1)의 내부에 스위치, 가변저항기 및 발광소자가 수납되어 있으나,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발생용의 칩형상마이크로컴퓨터나, 그외의 처리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을 기기조작용 패널(1)의 내부에 수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과 같이, 적층체로서 기기조작용 패널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소정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일부를 구성하는 인출부분을 적층체로부터 도출시킨 구조로 하면, 이 인출부분을 기기의 케이스의 내부에 도입하고, 적층체를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기기조작용 패널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어, 기기조작용 패널을 기기의 케이스의 외부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또한 기기의 내부의 제어장치와의 접속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저항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접촉만으로 임의의 저항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였음으로, 기기조작용 패널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를 아래쪽의 가요성회로기판에 배치하고, 스위치 또는 가변저항기등의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을 위쪽의 가요성회로기판에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발광소자가 크게되어도, 또 발광소자에 부수해서 광투과부재를 배치해도, 가동접점의 도전부재와의 사이의 거리가 크게되는 일은 없고,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을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발광소자의 위 또는 옆에,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광투과부재를 배치하면, 발광표시면적을 넓게할 수 있는 데에, 또한 임의의 형상의 발광표시부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기기(3)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300)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의 케이스(5)에 대해서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1)로서,
    표면에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SW11…, 21…)을 포함하는 제 1의 회로패턴(13)이 형성된 주요부분(7A)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 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7B)을 가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과,
    상기 접점부분을 노출시키는 윈도부(W11, W12)를 구비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스페이서층(33)과,
    상기 스페이서층의 상기 윈도부에 대응해서 배치되어서, 상기 접점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신홀르 발생하는 도전부재(49, 29)와,
    상기 스페이서층(33)위에 적층되고 또한 상기 도전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의 회로패턴(15)을 구비한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위에 적층되어, 적어도 상기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진 커버시트부재(39)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주요부분(7A)과, 상기 스페이서층(33)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 및 상기 커버시트부재(39)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1개의 적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인출부분(7B)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7A)의 뒷면이 상기 기기(3)의 상기 케이스(5)의 외부면에 접착층을 개재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3. 기기(3)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300)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상기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LED1∼LED9)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의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1)로서,
    표면에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SW11…, 21…)을 포함하는 제 1의 회로패턴(13)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표면에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고아소자가 고정된 주요부분(7A)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7B)을 가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과,
    상기 접점부분(SW11…, 21…) 및 상기 발광소자(LED1∼LED9)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윈도부를 구비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스페이서층(33)과,
    상기 스페이서층의 상기 접점부분과 대응하는 상기 윈도부에 대응해서 배치되어서, 상기 접점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도전부재(49, 29)와,
    상기 스페이서층위에 적층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에 윈도부를 가지거나 또는 그 부분이 광투과성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도전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의 회로패턴(15)을 구비한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9)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위에 적층되어, 적어도 상기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지고 또한 적어도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이 광투과성을 가진 커버시트부재(3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주요부분, 상기 스페이서층,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버시트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1개의 적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인출부분(7B)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1개이상의 스위치 및 1개이상의 가변저항기의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기는,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7)의 상기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1…)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점부분과,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7)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제 2의 회로패턴(15)에 포함되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도전부재(2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막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상기 선형상전극과 상기 도전부재간으로부터 저항치에 비례한 상기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의 회로패턴(13) 및 상기 제 2의 회로패턴(15)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기는,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11…)으로 이루어진 제 1의 선형상전극군 및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22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위에 서로 다르게 배치되고 또한 상호간에 연결선(22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22…)으로 일워진 제 2의 선형상전극군에 의해서 구성된 상기 접점부분과,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27)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선형상전극군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제 2의 회로패턴에 포함되는 상기 도전부재(2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일단부쪽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상기 선형상전극과 상기 연결선간으로부터 저항치에 비례한 상기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 및 상기 제 2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221…, 222…) 및 상기 도전부재(254)의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한쪽위에는, 선형상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점형상의 절연스페이서(216…, 256)가 절연도료를 사용해서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칩형상의 1개이상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소자를 수납하는 상기 윈도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광을 확산하고 또한 투과하는 광투과부재(4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45)는 상기 1개이상의 발광다이오드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재는 상기 1개이상의 발광다이오드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시트부재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광투과부재(145)로부터 나오는 광만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발광색이 다른 복수의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광투과부재(145)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시트부재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광투과부재로부터 나오는 광만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2. 기기(3)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상기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LED10…, 100)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의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로서,
    표면에 제 1의 회로패턴(113)과 이 제 1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광소자(LED10…, 100)가 고정된 주요부분(107A)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107B)을 가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과,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윈도부를 구비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107)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제 1의 스페이서층(133)과,
    상기 제 1의 스페이서층위에 적층되고, 표면에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SW31∼SW35)을 포함하는 제 2의 회로패턴(115)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윈도부(W41, W42)가 형성된 주요부분(109A)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109B)을 가진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109)과,
    상기 접점부분을 노출시키는 1개이상의 윈도부와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윈도부를 구비해서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제 2의 스페이서층(119)과,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119)의 상기 윈도부에 대응해서 배치되어서, 상기 접점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도전부재(149)와,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119)위에 적층되어, 적어도 상기 도전부재(149)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진 커버시트부재(139)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107A)과, 상기 제 1의 스페이서층(133)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109A)과,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119) 및 상기 커버시트부재(139)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1개의 적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인출부분(107B, 109B)이 각각 상기 기기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3. 기기(13)의 내부에 수납된 제어장치(300)에 조작신호를 공급하는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과 상기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발광소자(LED41, LED42, 200)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의 케이스(5)에 대해서 고정되는 기기조작용 패널(201)로서,
    표면에 제 1의 회로패턴(213)과 이 제 1의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발광소자가 고정된 주요부분(207A)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207B)을 가진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207)과,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하는 윈도부를 구비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제 1의 스페이서층(233)과,
    상기 제 1의 스페이서층위에 적층되고, 표면에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의 접점부분(SW51, VR2)을 포함하는 제 2의 회로패턴(215)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윈도부가 형성된 주요부분과 이 주요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209B)을 가진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209)과,
    상기 접점부분(SW51, VR2)을 노출시키는 1개이상의 윈도부와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윈도부를 구비해서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적층된 제 2의 스페이서층(251)과,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의 상기 윈도부에 대응해서 배치되어서, 상기 접점부분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도전부재(249, 254)와,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위에 적층되고 또한 상기 도전부재(254)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도전부재(24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3의 회로패턴을 구비한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257)과,
    상기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위에 적층되어, 적어도 상기 도전부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요성을 가진 커버시트부재(239)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과, 상기 제 1의 스페이서층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과, 상기 제 2의 스페이서층과, 상기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상기 커버시트부재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서 1개의 적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인출부분(207B, 2091B)이 상기 기기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게 각각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은, 상기 제 3의 회로패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선패턴이 형성된 인출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인출부분이 도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주요부분의 뒷면이 상기 기기의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착층을 개재해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1개이상의 스위치 및 1개이상의 가변저항기의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기는,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1…)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점부분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7)과,
    상기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제 3의 회로패턴에 포함되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도전부재(2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막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상기 선형상전극과 상기 도전부재간으로부터 저항치에 비레한 상기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 2 및 제 3의 회로패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신호발생용 전기부품은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기는,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21…)으로 이루어진 제 1의 선형상전극군 및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접촉하지 않도록해서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간에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상호간에 연결선(22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선형상전극(222…)으로 일워진 제 2의 선형상전극군으로 구성되는 상기 접점부분과,
    상기 제 2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위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박막 또는 후막의 저항막(227)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선형상전극군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사익 제 3의 가요성회로기판의 상기 제 3의 회로패턴에 포함되는 상기 도전부재(2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의 일단부쪽에 위치하는 1개이상의 상기 선형상전극과 상기 연결선간으로부터 저항치에 비례한 상기 조작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 2의 회로패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선형상전극군 및 상기 제 2의 선형상전극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 및 상기 도전부재의 상기 복수의 선형상전극과 대향하는 부분의 적어도 한쪽위에는, 선형상전극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점형상의 절연스페이서(216…, 256…)가 절연도료를 사용해서 인쇄에 이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칩형상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윈도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광을 확산하고 또한 투과하는 광투과부재(24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복수의 칩형상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투과부재는, 발광하는 복수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횡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복수의 칩형상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광투과부재(245)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광투과부재의 하부에는 광반사막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시트의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광투과부재로부터 나오는 광만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색이 종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조작용 패널.
KR1019970082227A 1997-06-30 1997-12-31 기기조작용 패널 KR100254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0567 1997-06-30
JP1997-190567 1997-06-30
JP19056797A JP4288712B2 (ja) 1997-06-30 1997-06-30 表示機能付シートプレート
JP21258397A JP3893678B2 (ja) 1997-07-22 1997-07-22 可変抵抗入力機能付プレート
JP97-212583 1997-07-22
JP1997-212583 1997-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19A KR19990006319A (ko) 1999-01-25
KR100254877B1 true KR100254877B1 (ko) 2000-08-01

Family

ID=2650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227A KR100254877B1 (ko) 1997-06-30 1997-12-31 기기조작용 패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72666B1 (ko)
EP (1) EP0889495B1 (ko)
KR (1) KR100254877B1 (ko)
CN (1) CN1217130C (ko)
DE (1) DE69712475T2 (ko)
ES (1) ES2174193T3 (ko)
MY (1) MY115707A (ko)
SG (1) SG74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0360B1 (en) 1999-01-26 2002-06-25 Teledyne Industries, Inc. Laminate-based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on
FI105956B (fi) * 1999-05-31 2000-10-31 Kone Corp Hissin näppäimistö
ES2246000T3 (es) * 2001-05-07 2006-02-01 E.G.O. Elektro-Geratebau Gmbh Disposicion de interruptores tactiles y procedimiento de mando del interruptor tactil.
US6555745B1 (en) 2001-10-19 2003-04-29 Medtronic, Inc. Electrical interconnect between an articulating display and a PC based planar board
JP3993475B2 (ja) * 2002-06-20 2007-10-17 ローム株式会社 Ledチップの実装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み取り装置
CN100383573C (zh) 2002-12-02 2008-04-23 3M创新有限公司 多光源照明系统
DE10259763B4 (de) * 2002-12-19 2017-02-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gerät, insbesondere Einbau-Haushaltgerät
US20050116235A1 (en) * 2003-12-02 2005-06-02 Schultz John C. Illumination assembly
US8395053B2 (en) * 2007-06-27 2013-03-12 Stats Chippac Ltd. Circuit system with circuit element and reference plane
US8105077B2 (en) * 2007-08-17 2012-01-31 Red-Ray Manufacturing, Co., Inc. Integrated operating and control package for a pressurized burner system
US8422240B2 (en) * 2009-07-27 2013-04-16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8283800B2 (en) 2010-05-27 2012-10-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rol system with proximity switch and method thereof
KR101725550B1 (ko) * 2010-12-16 201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TWI525172B (zh) * 2011-04-28 2016-03-11 鐘化股份有限公司 補強板一體型撓性印刷基板
US8975903B2 (en) 2011-06-09 2015-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learned sensitivity and method therefor
US8928336B2 (en) 2011-06-09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sensitivity control and method therefor
US10004286B2 (en) 2011-08-08 2018-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love having conductive ink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proximity sensor
US9143126B2 (en) 2011-09-22 2015-09-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lockout control for controlling movable panel
US8994228B2 (en) 2011-11-03 2015-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US10112556B2 (en) 2011-11-03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adaptive learning and method
US8878438B2 (en) 2011-11-04 2014-1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US9568527B2 (en) 2012-04-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having virtual button mode
US9559688B2 (en) 2012-04-11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pliable surface and depression
US9287864B2 (en) 2012-04-11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9520875B2 (en) 2012-04-1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iable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065447B2 (en) 2012-04-11 2015-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having adaptive time delay
US9944237B2 (en) 2012-04-1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with signal drift rejection and method
US8933708B2 (en) 2012-04-11 2015-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with exploration mode
US9219472B2 (en) 2012-04-11 2015-1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ing rate monitoring
US9831870B2 (en) 2012-04-11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tuning same
US9184745B2 (en) 2012-04-11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sensing user input based on signal rate of change
US9197206B2 (en) 2012-04-11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differential contact surface
US9531379B2 (en) 2012-04-1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ove between adjacent proximity sensors
US9660644B2 (en) 2012-04-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136840B2 (en) 2012-05-17 2015-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dynamic tuned threshold
US8981602B2 (en) 2012-05-29 2015-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non-switch contact and method
US9337832B2 (en) 2012-06-06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nd method of adjusting sensitivity therefor
US9641172B2 (en) 2012-06-27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varying size electrode fingers
US8922340B2 (en) 2012-09-11 2014-12-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based door latch release
US8796575B2 (en) 2012-10-31 2014-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und layer
US9311204B2 (en) 2013-03-13 2016-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interface development system having replicator and method
US10038443B2 (en) 2014-10-20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proximity switch assembly
US9654103B2 (en) 2015-03-18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haptic feedback and method
US9548733B2 (en) 2015-05-20 2017-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ensor assembly having interleaved electrode configuration
US10426044B2 (en) * 2015-12-18 2019-09-24 Dic Corporation Thermosetting adhesive sheet, reinforcement-part-equipped flexible printed circuit,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ment-part-equipped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6211660B1 (ja) * 2016-08-30 2017-10-11 Eizo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表示装置
CN107883586B (zh) * 2016-09-30 2021-03-09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一种电热水器
US11239155B2 (en) * 2019-12-22 2022-02-01 Intel Corporation Conductive contact structure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in integrated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6577A (en) * 1975-03-03 1978-06-20 Ferber Leon A Thin flexible electronic calculator
US4145584A (en) * 1976-04-28 1979-03-20 Otterlei Jon L Flexible keyboard switch with integral spacer protrusions
US4263659A (en) * 1978-03-27 1981-04-2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instrument with a flexible keyboard
DE2902769C2 (de) * 1979-01-25 1982-12-09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Drucktastenschalter
US4385213A (en) * 1980-12-01 1983-05-24 Oak Industries, Inc. Switch and component attachment to flexible printed circuitry
US4493952A (en) * 1983-08-29 1985-01-15 Amp Incorporated Membrane switch having integral switch tail insulator
US4684767A (en) * 1985-05-30 1987-08-04 Phalen Robert F Tactile affirmative response membrane switch
US5138137A (en) * 1990-12-27 1992-08-11 Whirlpool Corporation Fault detecting membrane potentiometer switch
DE4206243C2 (de) * 1992-02-28 1995-04-13 Telefunken Microelectron Folienschalter-Baugru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9495B1 (en) 2002-05-08
CN1217130C (zh) 2005-08-31
EP0889495A1 (en) 1999-01-07
ES2174193T3 (es) 2002-11-01
CN1204024A (zh) 1999-01-06
KR19990006319A (ko) 1999-01-25
DE69712475T2 (de) 2002-11-21
US6172666B1 (en) 2001-01-09
MY115707A (en) 2003-08-30
SG74038A1 (en) 2000-07-18
DE69712475D1 (de) 200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877B1 (ko) 기기조작용 패널
US5847336A (en) Direct keypad backlighting
KR100861345B1 (ko) 정전용량형의 발광형 스위치 및 이에 사용하는 발광형스위치 소자
US6987466B1 (en) Keyboard having a lighting system
US6747402B2 (en) EL element lighting unit employing the same EL element
US20080200085A1 (en) Textile or Fabric
CN104995839A (zh) 输入装置、电子设备和传感器片
MXPA06009347A (es) Dispositivo sensor.
US4194099A (en) Control panel overlay
EP0936852B1 (en) Console panel for equipment
US5578802A (en) Keypad structure including switches with external metal dome like spring operating members
EP0295289B1 (en) Switch matrix keyboard
US5839810A (en) Display gauge
CN111697959B (zh) 电热设备及其触控装置
US20020145591A1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JP4596050B2 (ja) 薄形表示板の表示灯構造
CN211919020U (zh) 一种机载设备中的按键式导光面板结构
CA2522788C (en) Multi-layer solid state keyboard
KR100397114B1 (ko) 시트형상 스위치
JPH0412571B2 (ko)
JP3933275B2 (ja) 照光式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H1021785A (ja) 入力・表示機能付シートプレート
JP2007165330A (ja) 機器の操作部構造
JP4288712B2 (ja) 表示機能付シートプレート
JP3893678B2 (ja) 可変抵抗入力機能付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