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692B1 - 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692B1
KR100254692B1 KR1019960046143A KR19960046143A KR100254692B1 KR 100254692 B1 KR100254692 B1 KR 100254692B1 KR 1019960046143 A KR1019960046143 A KR 1019960046143A KR 19960046143 A KR19960046143 A KR 19960046143A KR 100254692 B1 KR100254692 B1 KR 10025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hanger
rods
member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963A (ko
Inventor
마사또모 아따라시
Original Assignee
마사또모 아따라시
싱꼬항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67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8861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또모 아따라시, 싱꼬항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사또모 아따라시
Publication of KR97001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외주에 마찰계수가 높은 미끄럼방지부재를 가지는 걸이봉과, 이 걸이봉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옷걸이를 개시한다. 삽입부재가 걸이봉 또는 지지부재중의 하나에 구비되고 수납부재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다. 수납부재는 삽입부재와 결합되어 걸이봉을 그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삽입부재와 수납부재간에 회전저항기구가 구비되어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걸이봉이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Description

옷걸이
제1도는 내부구조를 보이도록 어깨부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옷걸이의 정면도.
제2도는 실시예 1의 옷걸이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 1의 옷걸이의 요부 정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의한 옷걸이의 정면도.
제8도는 실시예 2의 옷걸이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8도는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실시예 2의 변형예를 보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옷걸이를 보이는 사시도.
제13도는 종래의 옷걸이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C : 옷걸이 본체 11,30 : 걸이훅
12,31 : 어깨부 13,32 : 걸이봉받이
14 : 걸이봉 18,34 : 수납부재
23,35 : 요철면 23a,35a : 톱니
29 : 미끄럼방지부재 24,37 : 사입부재
27,40 : (삽입부재의) 제2축부 28 : (링형태의) 스프링
42 : 판스프링
본 발명은 바지나 스커어트 또는 수건등의 의류를 거는데 사용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의나 바지등의 의류를 거는 종래의 옷걸이를 제13도를 통해 설명한다.
제13도에서 종래의 옷걸이는 상의등을 걸기 위한 옷걸이 본체(A)와, 걸이봉받이(3,3), 그리고 걸이봉(4)을 구비한다. 옷걸이 본체(A)는 그 중심부에 설치된 걸이훅(hanger hook;1)과, 이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어깨부(2,2)를 포함한다. 걸이봉받이(3,3)는 각 어깨부(2,2)의 소정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걸이봉(4)은 두 걸이봉받이(3,3)사이를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어 고정된다. 이 걸이봉(4)은 바지나 스커어트, 수건등(이하 “바지등”으로 약칭함)을 걸기 위한 것이다.
걸이봉(4)에는 그 표면이 고무등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된 미끄럼방지부재(4a)가 구비되어, 바지등이 걸이봉(4)에 걸린 상태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옷걸이는 미끄럼방지부재(4a)의 구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특히 옷걸이에서 바지등을 인출할 때 미끄럼방지부재(4a)가 마찰저항을 일으켜, 바지의 인출이 어렵고 억지로 바지를 끌어내면 바지등의 천이 손상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서 사용자는 바지등과 미끄럼방지부재(4a)간의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바지등을 들어올리며 잡아 빼는 번거로운 조작을 해야한다. 이러한 문제는 옷걸이에서 의복을 쉽게 인출하기 어렵게 한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걸이봉(4)을 걸이봉받이(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바지등이 불균형하게 걸리면 바지등의 자중에 의해 걸이봉(4)이 회전하여, 바지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므로 미끄럼방지부재(4a)를 설치한 의미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이봉의 미끄럼방지부재를 유효하게 사용하면서 의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옷걸이는
그 외면에 큰 마찰계수를 가지는 미끄럼방지부재를 가지는 걸이봉과,
이 걸이봉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걸이봉 또는 지지부재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삽입부재와,
이 삽입부재와 결합되어 걸이봉을 그 축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납부재와,
삽입부재와 수납부재간에 설치되어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걸이봉이 호전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회전저항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저항기구가 걸이봉이 의류의 중량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걸이봉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하며, 걸이봉이 옷걸이에서 의류를 인출하는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걸은 상태의 의류는 미끄럼에 의한 낙하가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동시에 외력의 인가에 의한 걸이봉의 회전으로 의류가 한손에 의해서도 옷걸이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회전저항기구는 수납부재 또는 삽입부재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요철면과, 수납부재 또는 삽입부재중의 나머지 하나에 설치된 탄성접촉부재로 구성된다. 요철면은 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탄성접촉부재가 이 요철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걸이봉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재와 수납부재간에 고무링등의 마찰부재가 설치된 경우에 비해, 탄성접촉부재나 요철면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회전저항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된 저항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탄성접촉부재는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링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링형 스프링은 요철면에 접촉하는 돌기를 가진다. 또한 탄성접촉부재는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판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판형스프링은 요철면에 접촉하는 자유단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걸이봉이 전후 어느 방향의 회전을 하더라도 균일한 저항력이 제공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걸이봉의 전후 어느 방향 회전시에도 회전저항의 차이가 발생되거나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될 우려가 없다.
링형스프링은 큰 탄성을 가져 아암(arm)형으로 구성된 스프링에 비해 장수명의 접촉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형스프링은 삽입부재와 수납부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므로 옷걸이의 생산을 촉진할 수 있다.
삽입부재는 합성수지에 의해 축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납부재는 역시 합성수지에 의해 중공(中空)의 원통(cylinder)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에는 탄성접촉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납부재의 내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요철면과 접촉부재가 수납부재와 삽입부재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요철면과 접촉부재를 수납부재와 삽입부재의 성형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옷걸이를 낮은 제조원가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옷걸이에는 좌우의 어깨부와 걸이훅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는 좌우의 어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이봉받이를 구비한다. 이 경우, 삽입부재는 걸이봉받이 또는 걸이봉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수납부재는 걸이봉받이 또는 걸이봉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걸이봉상에 바지나 스커어트등을 걸수 있게 될 뿐아니라, 좌우 어깨부상에 상의등도 걸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는 걸이봉받이와 이 걸이봉받이를 고정구조물에 부착하는 설치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재는 걸이봉받이 또는 걸이봉중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수납부재는 걸이봉받이 또는 걸이봉중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지나 스커어트뿐아니라 수건이나 넥타이등 다양한 스트립(strip) 형태의 의류를 걸수 있는 다용도 옷걸이가 제공된다.
옷걸이에는 또한 두 거링봉 받이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확개(擴開;widening) 방지부재를 두 걸이봉받이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확개방지부재는 두 걸이봉받이간의 거리가 소정간격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걸이봉받이의 확개에 의해 걸이봉이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확개방지부재는 우측 걸이봉받이에 부착된 우측 연결간과 좌측 걸이봉받이에 부착된 좌측 연결간과, 그리고 좌우측 연결간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확개방지부재의 조립이 매우 간단해지는데, 특히 걸이봉을 걸이봉받이에 결합한 뒤, 좌우측 연결간을 결합부재로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확개방지부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제1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제1도 내지 제6도 참조)]
이 실시예의 옷걸이는 상의와 바지등(스커어트등을 포함하여 이하 “바지등”으로 약칭함)을 거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B로 표시된 옷걸이 본체는 그 중심부에 걸이훅(11)을 구비하며, 이 중심부의 좌우측에 어깨부(12,12)가 각각 연장된다. 걸이봉받이(13,13)은 각 어깨부(12,12)의 단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파이프형태의 걸이봉(14)은 두 걸이봉받이(13,13)간을 수평으로 연결한다.
제1,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어깨부(12,12) 단부의 내면에서 수직벽(15,15)이 소정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된다. 각각 훅(hook)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안내레일(16,16)이 이 수직벽(15,15)에 구비되는데, 안내레일(16,16)은 어깨부(12,12)의 폭방향으로 전후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수직벽(15,15)에는 사각형의 고정구멍(17,17)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걸이봉받이(13,13)가 어깨부(12,12)에 결합된다.
걸이봉받이(13,13)는 예를들어 P.P.(포리프로필렌)나 ABS 수지등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횡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지는 수납부재(18,18)와, 이 수납부재(18,18) 외주의 소정위치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아암(joint arm;19,19)을 구비한다.
연결아암(19)에는 U형의 절개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개부(21)가 연결아암(19)에 결합편(20)을 형성한다. 결합편(20)에는 그 상단에 돌출부(20a)가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걸이봉(14)의 축방향으로 밀려진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아암(19,19)이 수직벽(15,15)과 안내레일(16,16) 사이로 삽입될 때 결합편(20,20)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고정구멍(17,17)에 결합되어, 걸이봉받이(13,13)이 옷걸이본체(B)에 고정결합된다.
걸이봉받이(13,13)의 수납부재(18,18)에는 그 중심부에 수평축(22,22)이 구비되고, 그 내주에는 복수의 톱니(23a)를 포함하는 요철면(23)이 형성된다. 그 톱니(23a)는 삼각형 단면을 가져 수납부재(18)의 내주에 소정의 피치(pitch)로 등간격 배열된다.
걸이봉(14)의 양단에는 각각 삽입부재(24,24)가 결합되는데, 이 삽입부재(24)는 폴리프로필렌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삽입부재(24,24)는 플랜지부(25,25)를 경계로 제1축부(26,26)와 제2축부(27,27)를 구비하는데, 제1축부(26,26)를 걸이봉(14)의 양단에 삽입함으로써 삽입부재(24,24)가 걸이봉(14)의 양단에 결합된다.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부(26,26)의 외주에는 홈(26a)이 형성되고, 걸이봉(14)의 내주에는 전길이에 걸쳐 리브(rib;14a)가 형성된다. 걸이봉(14)의 리브(14a)가 삽입부재(24,24)는 걸이봉(14)에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없도록 걸이봉(14)에 고정결합된다.
제2축부(27,27)의 내주에는 링(ring) 형태의 스프링(28,28;28,28)이 각각 한쌍 형성되는데, 한쌍의 스프링(28,28)은 대칭으로 배열되어 탄성 접촉부재 역할을 한다. 제2축부(27,27)와 스프링(28,28;28,28)들은 모두 걸이봉받이(13,13)의 수납부재(18,18)내에 고정결합된다.
스프링(28)은 귀(ear) 형태로 구성되어 외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스프링(28,28)의 외면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28a,28a)와 수납부재(18)의 요철면(23)간에 저항을 유발함으로써 걸이봉(14)이 자유로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톱니(23a)의 형태와 유사하게, 돌기(28a,28a)도 삼각형 단면을 가진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14)의 외주에는 부틸(butyl) 고무등 큰 마찰게수를 가지는 재질로 된 미끄럼방지부재(29)가 구비된다.
미끄럼방지부재(29)의 외면에는 걸이봉(1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돌기(29a)가 형성되어, 연장돌기(29a)가 형성된 미끄럼방지부재(29)는 바지등의 옷걸이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한 옷걸이는 걸이봉(14)의 양단에 한쌍의 스프링(28,28;28,28)을 구비하고, 걸이봉받이(13,13)에 요철면(23,23)을 형성하여 걸이봉(14)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저항력은 주로 스프링(28,28)의 탄성력과 톱니(23a)의 높이에 따라 좌우되는데, 이것은 걸은상태의 의복의 중량에 의해서는 걸이봉(14)이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가 옷걸이로부터 의복을 인출하기 위해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서는 회전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지등에 견인력을 가하지 않을때는 큰 마찰저항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재(29)가 바지등의 걸은 상태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바지등을 옷걸이로부터 당길때에는 걸이봉(14)이 사용자의 견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바지등을 한손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요철면(23)과 돌기(28a)를 가지는 스프링(28,28)은 걸이봉(14)의 회전저항기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2축부(27)와 수납부재(18)간에 고무링의 마찰부재를 삽입한 경우에 비해, 스프링(28,28)의 탄성력과 요철면(23)의 톱니(23a)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회전저항을 더욱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아니라, 설정된 회전저항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2(제7도 내지 제11도 참조)]
실시예 2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와 실시예 2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C로 지시된 것은 플라스틱 재질등으로 된 옷걸이본체인데, 이 옷걸이본체(C)는 그 중앙부에 배열된 걸이훅(30)과, 각각 중앙부의 좌우로 연장되는 어깨부(31,31)를 구비한다. 어깨부(31,31)의 양단에는 각각 걸이봉받이(32,32)가 일체로 형성된다.
걸이봉받이(32,32)에는 어깨부(31,31)의 양단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하방 연장되는 아암(arm)부(33,33)아 이 아암부(33,33)의 단부에 수평으로 배열된 수납부재(34)를 구비한다. 실시예 1의 수납부재(18)와 유사하게, 수납부재(34)에는 그 내주에 복수의 톱니(35a)를 포함하는 요철면(35)이 일체로 형성된다. 톱니(35a)는 삼각형 단면을 가져 수납부재(34)의 내주에 소정피치로 등간격 배열된다.
걸이봉받이(32,32)의 하면에는 확개(擴開;widening) 방지부재(36)가 구비되는데, 이는 걸이봉(14)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연장된다. 확개방지부재(36)는 걸이봉받이(32,32)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두 걸이봉받이(32,32)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실시예 2의 걸이봉(14)은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실시예 1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걸이봉(14)의 양단에는 삽입부재(37,37)가 구비되는데, 이 삽입부재(37)들은 폴리프로필렌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제8도에는 삽입부재(37,37)중 하나만이 도시됨).
삽입부재(37,37)는 플랜지부(38,38)를 경계로 제1축부(39,39)와 제2축부(40,40)를 구비하는데, 제1축부(39,39)를 걸이봉(14)의 양단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삽입부재(37,37)가 걸이봉(14)에 결합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부(39,39)의 외주에는 홈(39a,39a)이 형성되고 걸이봉(14)의 내주에는 전길이에 걸쳐 리브(14a)가 형성된다. 실시예 1와 유사하게, 걸이봉(14)의 리브(14a)가 제1축부(39,39)의 홈(39a,39a)에 결합되면, 삽입부재(37,37)는 걸이봉(14)에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없도록 걸이봉(14)에 고정결합된다.
제1축부(39)의 단부에는 링형태의 스토퍼(stopper;41)가 축방향에 대해 고정상태로 결합된다. 이 링형의 스토퍼(41)는 수납부재(334)의 개구부(opening) 내측에 접촉되어 삽입부재(37)가 수납부재(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축부(40)의 외주에는 한쌍의 판스프링(42,42)이 일체로 형성된다. 각 판스프링(42,42)은 제2축부(4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어, 탄성접촉부재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수납부재(34)의 내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면(35)이 형성되어, 제2축부(40)가 수납부재(34)에 결합되면 각 판스프링(42,42)의 선단은 요철면(35)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접촉한 상태가 된다.
제2축부(40)의 외단에는 수납2부재(34)의 외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마감부(4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재(37)가 수납부재(34)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 걸이봉(14)의 양단에 구비된 판스프링(42,42;42,42)과 걸이봉받이(32,32)의 양단에 형성된 요철부(35,36)가 걸이봉(14)의 자유회전을 방지하는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개구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와 같이 자유회전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1와 비교할 때, 실시예 2에서는 판스프링(42)이 탄성접촉 부재로 사용되므로 삽입부재(37)를 더욱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실시예 2의 확개방지부재(36)는 두 걸이봉받이(32,32)간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삽입부재(37,37)가 걸이봉(14)에서 분리되어 걸이봉(14)이 걸이봉받이(32,32)에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실시예 2의 옷걸이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 확개방지부재(36)는 각각 걸이봉받이(32,3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두 연결간(connecting rod;36a,36a)과, 이 연결간(36a,36a)들을 결합하는 결합부재(36b)를 구비한다. 각 연결간(36a,36a)은 걸이봉받이(32,32)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 연결간(36a,36a)의 선단에는 돌기(36c,36c)가 형성되고, 결합부재(36b)의 이 돌기(36c,36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구멍(36d,36d)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연결간(36a,36a)가 결합부재(36b)의 양단으로 삽입되면 연결간(36a,36a)의 돌기(36c,36c)들이 결합부재(36b)의 고정구멍(36d,36d)에 고정결합됨으로써, 두 연결간(36a,36a)이 결합부재(36b)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걸이봉(14)이 걸이봉받이(32,32)에 결합된 뒤에 두 연결간(36a,36a)을 결합부재(36b)로 결합함으로써 확개방지부재(36)가 옷걸이에 결합될 수 있어서, 걸이봉(14)을 걸이봉받이(32,32)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제12도 참조)]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옷걸이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 3의 옷걸이는 바지나 수건 또는 넥타이등 스트립(strip) 형태의 의류를 걸기 위해 벽면에 설치하는 다용도 옷걸이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걸이봉받이(13,13)의 수납부재(18,18)는 그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43,43)을 구비하여 걸이봉(14)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아암(43,43)의 내측단부에는 지지판(43a,43a)이 결합되어, 이 지지판(43a,43a)을 나사등(접착제나 못도 가능)으로 벽에 고정하면, 실시예 3에 의한 다용도 옷걸이가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수납부재(18,34)는 걸이봉받이(13,32)의 양단에 형성되고 삽입부재(24,37)의 제2축부(24,37)가 걸이봉(14)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수납부재가 걸이봉의 양단에 형성되고 삽입부재가 걸이봉받이의 양단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링형태의 한쌍의 스프링(28,28)이 삽입부재(24)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한쌍의 판스프링(42,42)이 삽입부재(37)의 반경방향으로 대향 배열되어 탄성접촉부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셋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부재가 삽입부재(24,37)에 구비될 수 있을 뿐아니라, 한 스프링 부재만이 삽입부재(24,37)에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접촉부재는 만곡된 아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이나 스프링들이 별도로 구성되어 삽입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접촉부재가 수납부재의 내면에 형성되고 요철면이 삽입부재의 외주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미끄럼방지부재(29)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구성되어 걸이봉(14)의 외주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미끄럼방지부재(29)는 걸이봉(14)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몇가지 예를 통해 설명되었으나, 당업계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이를 통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외주에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미끄럼방지부재(29)를 가지는 걸이봉(14)과, 상기 걸이봉(14)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재(13)와, 상기 걸이봉(14) 또는 지지부재(13)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삽입부재(24,37)와, 상기 걸이봉(14) 또는 지지부재(13)중의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재(24,37)와 결합되어 상기 걸이봉(14)을 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납부재(18,34)와, 상기 삽입부재(24,37)와 수납부재(18,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봉(14)이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저항기구(23,35,28,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항기구(23,35,28,42)가 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톱니(23a,35a)를 가지도록 상기 수납부재(18) 또는 삽입부재(24,37,40)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요철면(23,35)과, 상기 수납부재(18) 또는 삽입부재(24,37)중의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요철면(23,35)과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이봉(14)의 회전에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접촉부재(28,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재(28,42)가 서로 대칭 배열된 한쌍의 링형스프링(28)을 구비하고, 상기 각 링형스프링(28)이 상기 요철면(23)에 접촉하는 돌기(28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재(28,42)가 서로 대칭 배열된 한쌍의 판형 스프링(42)을 구비하고, 상기 각 판형스프링(42)이 상기 요철면(35)에 접촉하는 자유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24,37)가 합성수지에 의해 축 형태로 구성되며, 탄성접촉부재(28,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재(18,34)가 합성수지에 의해 중공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내면에 요철면(23,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1항에 있어서, 좌우의 어깨부(2,31)와 걸이훅(11,30)을 가지는 옷걸이 본체(B,C)를 더 포함하며, 지지부재(13)가 상기 좌우의 어깨부(12,31)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이봉받이(13,3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재(24,37)가 상기 걸이봉받이(13,32) 또는 걸이봉(14)중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재(18,34)가 상기 걸이봉받이(13,32) 또는 걸이봉(14)중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걸이봉받이(13,32) 사이에 상기 두 걸이봉받이(13,32)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확개방지부재(3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방지부재(36)가, 우측 걸이봉받이(32)에 부착된 우측연결간(36a)간과 좌측걸이봉받이(32)에 부착된 좌측연결간(36a)과, 상기 좌우측 연결간(36a,36a)을 결합하는 결합부재(3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가 걸이봉받이(18)와 상기 걸이봉받이(18)를 고정구조물에 부착하는 설치부재(43,43a)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24,37)가 상기 걸이봉받이(18) 또는 걸이봉(14)중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재(18,34)가 상기 걸이봉받이(18) 또는 걸이봉(14)중의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걸이봉받이(18) 사이에 상기 두 걸이봉받이(18)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확개방지부재(3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방지부재(36)가, 우측 걸이봉받이(32)에 부착된 우측연결간(36a)과, 좌측 걸이봉받이(32)에 부착된 좌측연결간(36a)과, 상기 좌우측 연결간(36a)을 결합하는 결합부재(36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KR1019960046143A 1995-10-16 1996-10-16 옷걸이 KR100254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67388A JP2788618B2 (ja) 1995-01-23 1995-10-16 ハンガー
JP7-267388 199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63A KR970019963A (ko) 1997-05-28
KR100254692B1 true KR100254692B1 (ko) 2000-06-01

Family

ID=1744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143A KR100254692B1 (ko) 1995-10-16 1996-10-16 옷걸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0254692B1 (ko)
CN (1) CN1148139C (ko)
GB (1) GB2306311A (ko)
HK (1) HK1001278A1 (ko)
MY (1) MY137178A (ko)
SG (1) SG43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03799U1 (de) * 2001-03-05 2001-05-31 Karner Batts Gmbh Verbindungselement
KR20010113030A (ko) * 2001-11-17 2001-12-24 박준석 슬라이딩 옷걸이
GB2397756B (en) * 2003-01-30 2005-12-21 Braitrim Non-slip garment hanger
IT201800007764A1 (it) * 2018-08-02 2020-02-02 Mainetti Omaf Srl Appendino munito di asta portapantalon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5709A (en) * 1920-11-24 1921-07-07 Eino Saukkon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rment hangers
GB456411A (en) * 1936-05-20 1936-11-09 Bruno Neubert Clothes hanger
GB612912A (en) * 1946-06-06 1948-11-19 Margaret Alice Glen Improvements in protectors or preservers for stockings, socks and like articles of wearing apparel, applicable also as 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06311A (en) 1997-05-07
MY137178A (en) 2009-01-30
CN1153625A (zh) 1997-07-09
KR970019963A (ko) 1997-05-28
GB9620441D0 (en) 1996-11-20
HK1001278A1 (en) 1998-06-12
SG43423A1 (en) 1997-10-17
CN1148139C (zh) 200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218A (en) Curtain or drape suspension arrangements
US4703878A (en) Hanger with garment support bar
KR100254692B1 (ko) 옷걸이
WO2008006161A1 (en) Adjustable clothes hanger
US5018694A (en) Clothes hanger spacer
US11717103B2 (en) Hanger
US20230277012A1 (en) Customizable Shower Caddy
US20080257920A1 (en) Adjustable arms for garment hanger
US5221012A (en) Expandable hanging rack
CN210766039U (zh) 可调节晾衣架
JP3836951B2 (ja) 吊持用ハンガー
JPH0824489A (ja) クリップ
KR200227692Y1 (ko) 바지걸이대
JP2788618B2 (ja) ハンガー
CN220571784U (zh) 一种儿童用挂衣组件及儿童衣柜
KR200176160Y1 (ko) 장농용 옷걸이
KR200321911Y1 (ko) 옷장용 옷걸이봉 고정구
JP2591283Y2 (ja) 衣服用ハンガー
JPH08215018A (ja) 多段式ハンガー
JP2829263B2 (ja) ハンガー掛け
CN215127062U (zh) 一种带自锁功能的窗帘挂钩
JPS6116978Y2 (ko)
JPH0428464Y2 (ko)
JPH0453752Y2 (ko)
JPH088662Y2 (ja) 衣服収納家具のハン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