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535B1 - 재료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재료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535B1
KR100254535B1 KR1019970011356A KR19970011356A KR100254535B1 KR 100254535 B1 KR100254535 B1 KR 100254535B1 KR 1019970011356 A KR1019970011356 A KR 1019970011356A KR 19970011356 A KR19970011356 A KR 19970011356A KR 100254535 B1 KR100254535 B1 KR 100254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ving part
moving
tooth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897A (ko
Inventor
아츠시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무로 아츠시
Publication of KR97006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과제) 이송속도·길이를 쉽게 조정가능한 전동식 재료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수단) 구동축(3) 상단에 편심으로 설치한 소기어(8)는 구동축과 별개체·동축인 대기어(5)의 내치(7)에 결합한다. 소기어(8)의 피치원 직경과 내치(7)의 피치원 반경은 대등하다. 제1 이동부(21)는 이송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제2 안내봉(23)에 따라 제2 이동부(24)가 이동한다. 소기어는 제2 이동부와 연동한다. 모터(4)가 구동축을 회전하고 소기어(8)가 대기어(5)의 내치(7)에 따라 전동한다. 제2 이동부(24)는 대기어(5)의 직경따라 왕복한다. 제1 이동부(24)와 이동클램프수단(35)은 이송방향 따라 직선왕복이동한다. 재료를 잡은 이동클램프수단(35)은 가공기에 재료를 보낸다. 웜(10)으로 대기어(5)를 회전하고, 대기어(5)의 내치(7)와 소기어(8)의 결합위치를 조정하고, 제2 이동부(24)의 왕복이동방향을 재료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송길이를 조정한다. 모터의 회전수에 의해 이동속도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재료이송장치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재료 파지(把持) 해제가 가능한 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그 클램프수단을 왕복직선운동시킴으로써 재료를 가공기 등에 보내는 재료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프레스기 등의 가공기에 재료를 공급할 경우, 그리퍼피더 등의 명칭으로 알려진 재료이송장치가 사용될 경우가 많다. 이 이송장치는 재료 파지와 해제가 가능한 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그 클램프수단을 왕복직선운동시킴으로써 재료를 가공기 등으로 보낼 수 있다. 클램프수단을 왕복직선운동시키는 수단은 에어실린더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외에, 클램프수단을 왕복직선운동시키기 위하여, 기계적 왕복직선운동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가령, 볼 나사를 이용한 이송기구, 벨트를 이용한 이송기구, 슬라이더 클램프를 이용한 이송기구, 통형 캠·홈캠 등의 구속캠을 이용한 이송기구 등을 서보모터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에어실린더를 사용한 종래의 이송장치는 재료를 이송할 때의 이송량을 조정할 경우, 스토퍼 등에 의해 클램프수단을 왕복운동가능범위를 규제함으로써 행하는데, 스토퍼 등의 위치를 바꾸어서 이송량을 조정하므로, 조정작업이 번거로워 정확한 이송량으로 조정하기 곤란하였다. 또, 클램프수단의 이동은 상기 스토퍼 등에 맞닿아 정지시키기 때문에, 그 때에 생기는 충격, 재료가 갖는 관성 등에 따라서도 이송정밀도를 높이기가 곤란하였다.
또, 상기 클램프수단의 왕복운동에 모터와 상기 기계적 구동기구를 채용할 경우, 모터회전량에 따라 이송량이 설정되고, 회전방향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수단의 왕복운동을 실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수단의 왕복운동 1회마다, 모터의 스타트, 스톱, 정전(正轉), 역전, 가감속제어 등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모터 제어가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송속도와 이송길이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간단한 기구의 재료이송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의 1형태의 정면측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의 1형태의 내부기구 개략의 평면측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의 1형태의 우측면에서 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의 1형태에 있어서의 구동기구원리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료이송장치 3 : 구동축
4 : 구동수단으로서의 서보모터 5 : 대기어
6 : 외치(外齒) 7 : 내치
8 : 소기어 10 : 조정기어로서의 웜
12 : 조작부로서의 핸들 21 : 제1 이동부
24 : 제2 이동부 30 : 표시부
35 : 이동클램프수단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 기재의 재료이송장치는 재료를 가공기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재료이송장치에 있어서, 내치를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대기어와, 상기 대기어와 축심을 일치시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대기어 내치의 피치원 반경을 피치원 직경으로 하고, 상기 내치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치에 따라 전동하는 소기어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재료이송방향 따라 왕복 직선운동하는 제1 이동부와, 상기 제1 이동부에 설치된 재료의 유지와 해제를 행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제1 이동부에 재료의 이송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기어에 연동연결된 제2 이동부를 가지고, 상기 대기어 내치에 대하여 상기 소기어를 전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이동부를 상기 대기어의 직경방향 따라 왕복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클램프수단을 재료이송방향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기재의 재료이송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재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기어를 희망각도로 회전시켜서 회전방향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부 왕복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재료이송장치는 청구항 2 기재의 재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이 상기 대기어에 설치된 외치와, 상기 외치에 맞물리는 조정기어와, 상기 조정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기재의 재료이송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재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 이동부 왕복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1예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면시의 단면도, 도 2는 평면시의 모식적 기구도, 도 3은 우측면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동일축적이나, 도 1은 전체를 표시하기 위하여 도 2나 도 3보다 작게 표시된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재료이송장치는 화살표로 표시하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압송(押送)의 경우는 우측 가공기를 향하여 좌에서 대상(帶狀)재료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또, 인송(引送)의 경우는 우측 가공기에서 좌를 향하여 대상재료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재료이송장치(1)는 프레임(2)을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2) 내부의 대략 중심위치에는 연직방향으로 평행의 구동축(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내에는 구동수단으로서의 서보모터(4)가 출력축을 연직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3) 하단과, 서보모터(4) 축력축은, 풀리와 벨트로 되는 전동기구(15)를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 내부에는 대기어(5)가 수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대기어(5)는 그 회전축이 상기 구동축(3)에 일치해 있고, 베어링을 통하여 구동축(3)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서보모터(4)가 구동하여 구동축(3)이 회전하여도 대기어(5)는 회전하지 않는다. 대기어(5)는 외치(6)와 내치(7)를 가지고 있다. 외치(6)는 웜호일이다.
상기 구동축(3) 상단에는 외측으로 장출한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에는 소기어(8)가 핀(9)을 통하여 수평면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소기어(8)의 회전축인 상기 핀(9)과, 상기 구동부(3) 축심은 상호평행이다. 소기어(8)는 상기 대기어(5)의 내치(7)에 물려 있다. 소기어(8)의 피치원 직경은 상기 대기어(5)의 내치(7)의 피치원 반경에 일치한다. 즉, 소기어(8)의 피치원은 대기어(5)의 내치(7)의 피치원 절반크기이다. 그 때문에, 상기 서보모터(4)가 구동하여 구동축(3)이 회전하면, 소기어(8)는 상기 내치(7)에 물린 상태로 상기 내치(7)에 따라 전동한다.
상기 대기어(5)의 외치(6)에는 조정기어로서의 웜(10)이 물려 있다. 웜(10)은 조정축(11)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축(11)은 프레임(2)내에 회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그 타단은 프레임(2)에서 돌출해 있다. 프레임(2) 밖으로 돌출한 조정축(11) 타단에는 조작부로서의 핸들(12)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12)을 돌려 조정축(11) 및 웜(10)을 회전시키고, 상기 대기어(5)를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대기어(5)에 물린 상기 소기어(8)는 내치(7)에 따라 전동하므로, 대기어(5)와 소기어(8)의 물림위치가 구동축(3)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이동한다.
상기 대기어(5) 하면에는 출력풀리(13)가 연결되어 있다. 출력풀리(13)는 구동축(3)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2) 내부에는 회전각도의 검출수단인 로터리엔코더(14)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엔코더(14) 입력축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풀리와 상기 출력풀리(13) 사이에는 벨트(16)가 걸려 있다. 상기 핸들(12)을 돌려 대기어(5)를 회전시키고, 소기어(8)를 전동시켜서 위치를 바꿀 경우, 로터리엔코더(14)는 구동축(3)을 중심으로 소기어(8)가 대기어(5)내를 전동한 각도를 검출하여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기어 등에 의한 구동기구의 회전운동을, 욍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2) 내부상방에는 재료이송방향으로 평행인 한쌍의 제1 안내봉(20, 2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안내봉(20)에는 재료이송방향에 따라 왕복직선운동할 수 있는 제1 이동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이동부(21)는 제1 안내홈(20, 20)에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슬라이드부(22, 22)와, 한쌍의 슬라이드부(22, 22)를 연결하는 제2 안내봉(23)을 가지고 있다. 제2 안내봉(23)은 제1 안내봉(20)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제2 안내봉(23)에는 재료의 이송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따라 이동가능하게 제2 이동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기어(8)에는 상기 핀(9)에 의해 연결부재(25)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이동부(24)는 이 연결부재(25)에 핀(26)을 통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제2 이동부(24)와 연결부재(25)가 연결되어 있는 위치는 대기어(5) 내치(7)와 소기어(8)가 물려 있는 위치, 즉 양기어의 피치원상에 상당한다. 따라서, 상기 소기어(8)가 대기어(5)의 내치(7) 따라 전동하면, 제2 이동부(24)는 소기어(8)상의 일점이 그리는 궤적따라 수평면내에서 이동한다. 제2 이동부(24)가 이동하면, 상기 제1 이동부(21)는 재료의 이송방향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제2 이동부(24)가 이동시에 그리는 궤적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의 도시와 같이, 어느 대원(大圓) 내주에 소원이 접하면서 회전할 경우, 소원상의 일점은 내전(內轉) 사이클로이드의 궤적을 그린다. 원의 반경과 소원의 반경의 비를 2:1로 하면, 상기 내전 사이클로이드는 대원 직경을 왕복하는 직선이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소기어(8)의 피치원 직경은 상기 내치(7)의 피치원 반경과 같으므로, 상기 제2 이동부(24)는 대기어(5) 직경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소기어(8)가 대기어(5) 내치(7)에 물리는 최초의 위치를, 재료의 이송방향의 가장 앞쪽위치로 하면, 도 4a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2 이동부(24)의 이동방향은 재료의 이송방향에 평행인 대기어(5)의 직경방향에 일치한다. 따라서, 그때는 상기 제1 이동부(21)는 대기어(5)의 피치원 직경에 상당하는 스트로크(도면에서는 직경(D)에 상당)를 왕복하게 된다. 또, 상기 핸들(12)을 조작하여 대기어(5)를 회전시키고, 소기어(8)가 대기어(5) 내치(7)에 물리는 최초의 위치를 재료의 이송방향의 가장 앞쪽위치에서 각도(θ)만큼 진행하면, 도 4b에 도시한 상기 제2 이동부(24) 이동방향은 재료이송방향에 대하여 각도(θ) 경사된 대기어(5)의 직경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그 때에는 상기 제1 이동부(21)는 대기어(5)의 직경(D)에 대하여 Dcosθ의 거리에 상당한 스트로크를 왕복하게 된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2) 외측에는 표시부(30)가 있다. 이 표시부(30)는 상기 제1 이동부(21)가 왕복이동할 때의 스트로크를 표시한다. 도 4a의 경우는 D를 표시하고, 도 4b의 경우는 Dcosθ(θ??0)를 표시한다. 상기 로터리엔코더(14)가 상기 각도(θ)를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에 입력되고, 제어부는 Dcosθ를 연산한다. 연산결과는 표시부(30)에 있어서 적당한 단위로 디지탈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부(30)의 디지탈표시로 확인하면서 핸들(12)을 조작하고, 본 장치(1)가 1회 동작으로 재료를 보낼때의 이송길이, 즉 재료의 이송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재료의 이송방향따라 왕복이동하는 상기 제1 이동부(21)에는 제1 이동부(21)의 이동방향과 평행으로 구동로드(31)가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로드(31)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리니어베어링(32)으로 지지되어 있다. 리니어베어링(32)에 지지된 구동로드(31) 선단부는 프레임(2)에 지지된 구동로드(31) 선단부는 프레임(2)에서 가공기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그 선단부에는 재료의 유지와 해제를 행하는 이동클램프수단(35)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클램프수단(35)의 구조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구동로드(31) 선단에는 기(基)부재(36)가 고정되어 있다. 기부재(36) 상면은 이송하는 재료의 유지면(33)이 된다. 기부재(36) 상면측에는 부착지그(3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착지그(37)에는 솔레노이드(38)가 부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8) 중심축은 연직선에 평행이다. 솔레노이드(38)에는 코일(39)과, 코일(39)에 상하동 가능하게 삽통한 플런저(40)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40) 상단에는 플랜지가 있고, 코일(39) 상면의 자성판(磁性板)에 접해 있다. 플런저(40) 중심에는 상기 유지면(33)과의 사이에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볼트상 클램프부재(41)가 삽통되어 있다. 플런저(40) 상방으로 돌출한 클램프부재(41) 상부에는 조절너트(42)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클램프부재(41)와 조절너트(42) 조작에 의해 클램프부재(41)가 플런저(40) 하단에서 돌출하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코일(39) 내부에 있어서, 코일(39) 하단의 칼라와 플런저(40) 플랜지 사이에는 가세수단으로서의 스프링(43)이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8)에 통전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40)는 스프링(43)에 가세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고, 코일(39)과 플랜지 사이 및 클램프부재(41) 하단과 상기 유지면(33) 사이에는 각각 소정 틈새가 생기게 되어 있다. 상기 부착지그(37)에는 플런저(40) 상한위치를 규정하는 스토퍼(44)가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코일(39)에 통전하면 플런저(40)는 스프링(43)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을 향하여 인하되고, 클램프부재(41)는 상기 유지면(33)을 향하여 이동한다. 유지면(33)상에 이송하는 재료가 있으면, 클램프부재(41)와 유지면(33) 사이에 그 재료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 상부에 있어서, 상기 이동클램프(35) 가공기에서 먼쪽 근방에는 고정클램프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클램프수단(50)의 구성은 상기 이동클램프수단(35)과 대략 동일하나, 고정클램프수단(50)은 이동하지 않는다. 고정클램프수단(50)은 상기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파지하여 이동할 때에는 재료를 유지하지 않고,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놓고 원위치로 돌아오는 동안은 재료를 유지하고, 그 사이에 행해지는 가공기에 의한 가공에 의해 재료가 위치빗나가는 것을 막고 있다.
상기 고정클램프수단(58)과 이동클램프수단(35)상에는 개폐가능한 상자모양 커버(51)가 설치되어 있다. 가공기에서 먼쪽의 상기 프레임(2)의 측면에는 이송되는 재료의 상하 양면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52, 52)와, 재료의 양측연에 접촉하여 안내하는 다른 한쌍의 가이드롤러(53, 53)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장치(1)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는 가령 대상의 긴 금속재료 등이다. 이와 같은 재료는 릴 등에 감겨서 본 장치(1) 근방에 설치되고, 본 장치(1)에 의한 이송에 따라 순차 송출된다.
압송시에는, 고정클램프수단(50)이 재료를 개방하고 고정클램프수단(50) 가까이에 위치한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파지한다. 양 클램프수단에 의한 재료파지는 코일(30)에 통전하는 것만으로 확실하게 행해진다. 코일(39)에 통전하면, 플런저(40)가 스프링(43)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고, 클램프부재(41)가 유지면(33)과의 사이에 재료를 고정한다. 코일(39)에의 통전을 끊으면, 플런저(40)는 스프링(43)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클램프부재(41)는 재료에서 떨어진다.
본 이송장치(1)는 가공기 가공동작에 따라 간헐적으로 휴지한다. 즉, 서보모터(4)는 재료가 이송된 시점에 정지하고, 가공기의 가공동작이 종료된 후, 재차 기동하여 다음 이송동작에 대비하기 위하여 이동클램프수단(35)을 이송개시위치에 되돌려 정지한다. 이와 같이, 본 장치(1)는 가공기의 가공동작에 맞추어 운전과 정지를 반복하나, 그 때에 서보모터(4)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하는 것만으로 서보모터(4)를 반전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서보모터(4)가 반전동작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제어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 외에, 모터를 정속회전시켜 놓고,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클러치기구를 이용하여 그 클러치기구를 가공기 동작에 맞추어 작동시킴으로써 본 장치(1)를 가공기 가공동작에 맞추어 운전·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모터는 서보모터일 필요는 없다.
본 장치(1)는 재료이송을 서보모터(4)로 행하고, 재료파지를 솔레노이드(38)로 행하고 있다. 양자의 제어는 전기적으로 행해지므로 도시하지 않은 공통의 제어부에 있어서, 양자를 임의의 정확한 타이밍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해진다.
서보모터(4)에 의해 구동축(3)이 회전하면, 소기어(8)가 대기어(5)의 내치(7)에 따라 전동한다. 소기어(8)에 연결된 제2 이동부(24)는 대기어(5)의 직경에 따라 왕복한다. 제2 이동부(24)의 운동에 따라 제1 이동부(21) 및 이에 연결된 이동클램프수단(35)은 제1 안내봉(20)에 따라 직선왕복이동을 행한다. 재료를 잡은 이동클램프수단(35)은 가공기를 향하여 재료를 이송한다.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1스트로크분 이송한 곳에서, 고정클램프수단(50)이 재료를 고정하고, 이동클램프수단(35)은 재료를 개방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가공기가 작동하여 재료를 가공한다.
여기서, 제1 이동부(21) 및 거기에 연결된 이동클램프수단(35)의 이동은 도 4중의 궤적상의 점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시작(스트로크 시작)은 속도가 늦고, 후에 빨라지며, 이동종료(가공기에 가장 가까운 스트로크 종료)에 가까워짐에 따라 재차 속도가 늦어진다. 즉, 재료를 이송하기 시작한 때에는 천천히 하고, 이송중에는 속도가 크고, 이송이 끝나는 가공위치 부근에서는 재차 이송속도가 늦어진다.
재료이송을 개시할 때에는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확실하게 파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나, 상기와 같이 재료를 이송하기 시작할 때의 속도가 늦으면 클램프동작에 요하는 시간에 여유를 줄 수 있어, 이송을 개시함에 있어서 재료파지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송된 재료는 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정 스크로크 이동하여 재료를 가공위치에 설정할 때, 재료가 소정위치에서 빗나갈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장치(1)의 경우는 재료를 위치결정해야 할 스트로크 종점 부근에서는 속도가 작아져 있으므로, 그 같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이동클램프수단(35)의 스트로크에 의해 정해진 소정위치에 재료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1)에 따르면, 이동클램프수단(35)의 왕복이동기구의 기계적 특징에 의해 서보모터(4)의 가감속시간이 짧고, 급격히 가속 또는 감속가능한 서보모터(4)의 제어가 이루어지더라도, 속도가 늦은 출발과 정지가 실현된다.
본 장치(1)에 있어서는, 재료이송속도는 서보모터(4)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서보모터(4)의 회전속도를 크게 하면 이송속도가 커진다.
본 장치(1)에 있어서는, 재료의 1회 이송길이, 즉 이동클램프(33)의 이동스크로크는 상기 핸들(12)의 조작에 의해 쉽게 조정가능하다. 설정한 이송길이는 표시부(30)에 있어서 직접 디지탈 표시되므로, 조작성은 양호하다.
인송시에는 고정클램프수단(50)이 재료를 개방하여 가공기측에 위치한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파지한다. 재료를 잡은 이동클램프수단(35)은 고정클램프수단(50)을 향하여 재료를 이송한다. 이동클램프수단(35)이 재료를 1스트로크분 이송한 곳에서 고정클램프수단(50)이 재료를 고정하고, 이동클램프수단(35)은 재료를 개방하여 원위치로 돌아간다. 가공기가 작동하여 재료를 가공한다.
또, 본 발명의 재료이송장치는 압송식에서 인송식으로 이송방향을 변경할 경우, 이동클램프수단(35)의 왕복운동과, 이동클램프수단(35)과 고정클램프수단(50)의 재료를 파지·해제하는 타이밍관계를 전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행해진다.
기타, 소기어(8)와 대기어(5)의 내치(7)의 결합상태(결합위치)를 바꾸어도 실현된다. 즉, 핸들(12)을 조작하여 대기어(5)의 내치(7)에 대한 소기어(8)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이송길이를 바꿀 수 있으나, 도 4b에 있어서의 θ가 90°에서 270°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θ가 270°에서 0°및 0°에서 90°범위에 있을 경우에 비해 이송방향이 외관상 반전한다. 따라서, 전기적 타이밍을 바꾸지 않고 θ를 적당하게 결정함으로써 이송방향을 바꿀 수 있다. 단, 상기 각도(θ)를 변경함으로써 이송방향 및 스트로크를 설정할 경우에는 한쪽의 이송방향에 대해서는 0°에서 90°범위로 각도(θ)를 설정하고, 다른쪽의 이송방향에 대해서는 90°에서 180°범위에서 각도(θ)를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재료이송장치는 클램프기구와 이송기구 쌍방 모두 전동식이므로 공기압이 사용될 수 없는 장소 또는 공기압을 사용하는데 불편이 있는 장소에서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재료이송장치가 적용되는 가공기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령 대상 코일재를 타발가공하는 프레스기 등에 적합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송장치(1)의 구동수단으로서 서보모터를 예시하였으나, 구동수단으로서 본 이송장치(1)가 적용되는 가공기 구동력을 이용하여도 된다. 가령, 가공기의 구동력을 링크기구 등으로 이송장치(1)에 전달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그 경우, 가공기 구동력은 가공기 동작에 동기하여 이송장치에 간헐적으로 전달되게 하고, 가공기가 재료를 가공하고 있는 동안은 가공기 구동력이 이송장치에 전달되지 않게 하여 이송동작을 정지시키고, 그 밖의 기간에 이송동작 또는 복귀동작 등을 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재료이송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기구이면서 이송속도와 이송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고, 이송동작에 있어서는 움직이기 시작과 종료 부근에서 속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송동작 및 재료의 위치결정이 확실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4)

  1. 재료를 가공기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재료이송장치에 있어서, 내치를 구비하고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대기어와, 상기 대기어와 축심을 일치시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대기어 내치의 피치원 반경을 피치원 직경으로 하고, 상기 내치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내치를 따라 전동하는 소기어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재료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직선운동하는 제1 이동부와, 상기 제1 이동부에 설치되어 재료의 유지와 해제를 행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제1 이동부에 재료의 이송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기어에 연동연결된 제2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어의 내치에 대하여 상기 소기어를 전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이동부를 상기 대기어의 직경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클램프수단을 재료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어를 소망의 각도 회전시켜서 회전방향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 이동부의 왕복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이 상기 대기어에 설치된 외치와, 상기 외치에 맞물리는 조정기어와, 상기 조정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이송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 이동부의 왕복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이송장치.
KR1019970011356A 1996-03-29 1997-03-29 재료이송장치 KR100254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76622A JPH09267143A (ja) 1996-03-29 1996-03-29 材料送り装置
JP96-076622 199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897A KR970064897A (ko) 1997-10-13
KR100254535B1 true KR100254535B1 (ko) 2000-08-01

Family

ID=1361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356A KR100254535B1 (ko) 1996-03-29 1997-03-29 재료이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9267143A (ko)
KR (1) KR100254535B1 (ko)
CN (1) CN10886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366A (ko) * 2002-11-18 2004-05-24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속정밀 성형기의 개선된 재료공급장치
CN103253503B (zh) * 2011-12-13 2015-04-22 中江机电科技江苏有限公司 拉料步距变换机构
CN102491078B (zh) * 2011-12-13 2013-08-14 中江机电科技江苏有限公司 拉料步距变换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2441A (en) * 1981-09-17 1984-06-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Newspaper stream forming device
JPS63108933A (ja) * 1986-10-24 1988-05-13 Futaba Corp 材料送り装置
US4926274A (en) * 1986-12-04 1990-05-15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ic head apparatus having surfaces contoured to minimize friction between a magnetic head and a magnetic di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179A (zh) 1997-10-29
KR970064897A (ko) 1997-10-13
JPH09267143A (ja) 1997-10-14
CN1088639C (zh)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411A (en) Apparatus for marking objects by a vibrating tool
KR100330188B1 (ko) 재료공급장치
KR100254535B1 (ko) 재료이송장치
US20050269755A1 (en) Electric locking device
US5248058A (en) Parts feeder
US20060048377A1 (en) Stacked core assembly method and its apparatus
US4890514A (en) Rotary indexing mechanism
JPH092633A (ja) 間欠搬送コンベア
JPH09267142A (ja) 材料送り装置
JPH08112733A (ja) 搬送位置決め装置
JP2869626B2 (ja) 直線切断機及び走間切断方法
CN112571721A (zh) 相位调整装置及相位调整方法
EP0338153A1 (en) Spring producing apparatus
JPS6363294B2 (ko)
CN213170318U (zh) 一种双轴取放料装置
JPH08197480A (ja)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機構
GB2165023A (en) Indexing apparatus
US4350862A (en) Feeding device in a welding machine for feeding can bodies to electrode rolls
JP2539408B2 (ja) コイル材の給送・位置決め装置
JP7397250B2 (ja) 線材切断装置
JPH1110260A (ja) プレス機械用コイル材送り装置
JPS6218249B2 (ko)
JPS6436449A (en) Turntable-type printing machine
JPH022505Y2 (ko)
KR19980064229A (ko) 재료이송장치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