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652B1 -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652B1
KR100253652B1 KR1019930002195A KR930002195A KR100253652B1 KR 100253652 B1 KR100253652 B1 KR 100253652B1 KR 1019930002195 A KR1019930002195 A KR 1019930002195A KR 930002195 A KR930002195 A KR 930002195A KR 100253652 B1 KR100253652 B1 KR 10025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ligh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48A (ko
Inventor
노부유끼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노부유끼 야마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유끼 야마무라 filed Critical 노부유끼 야마무라
Publication of KR93002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7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 G02F1/13476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layers or cells in which the final condition of one light beam i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he effects of two or more layers or cells in which at least one liquid crystal cell or layer assumes a scattering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응답함과 동시에 동작시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한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액정표시소자를 반사형으로 사용하면 짙은 백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액정표시소자를 백라이트형으로 사용하면 원하는 짙은 색을 명료하게 표시할 수 있다.
광을 투과하는 전기절연성 재료층을 개재시켜 적층되는 복수의 전계효과형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액정층의 두께는 3㎛이하, 전기절연성재료의 층 두께는 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절연성 재료는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성수지, 또는 반도체 혹은 금속산화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소자의 전체 두께는 1㎛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도 나타낸다. 예를들어, 정보표시나 장식표시, 대형스크린, TV나 컴퓨터등이 표시화면, 시계나 전자계산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의 적층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반사형 적층액정표시소자를 Ⅱ-Ⅱ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반사형 적층액정표시소자를 Ⅲ-Ⅲ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4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형 적층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형의 적층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백라이트형의 적층액정표시소자를 XI-X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백라이트형의 적층액정표시소자를 XII-X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 ITO 전극 11, 41 : 차광판
16, 52 : 절연성 기판 18, 48 : 전극
20, 56 : 광투과성 전기절연수지층 22, 58 : 전계효과형 액정층
12 : 전기절연 지주 14, 42 : 액정 주입공
26, 60 : 광투과성 표면수지층 50 : 차광성 지주
44 : 칼라 필터 46 : 차광판
54 : 광투과성 집광부
본 발명은 광학적 표시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소자, 특히 정보표시판이나 장식표시, 대형스크린, TV나 컴퓨터등의 표시화면, 시계, 전자계산기나 가인쇄(假印刷)등의 일시적 기억표시에 유용한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구동전압이 낮아 소비전력이 적다는 특징 때문에 눈부신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액정표시소자, 예를들어 단순 X-Y 매트릭스 구동방식 혹은 TFT(박막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소자는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의 액정이 적용되기 때문에 광제어를 위한 편광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편광판은 50% 이상의 빛을 차광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을 낮춘다. 이 때문에, 이와같은 LCD를 사용하는 랩탑형 켬퓨터 또는 워드프로세서는 소망하는 밝기의 화면을 얻기 위하여 상당한 소모전력을 요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LCD는 액정이 2매의 유리판 사이에 개재된 채 밀봉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른 셀갭이 요구되나, 유리판의 제조정밀도의 한계 때문에 LCD의 대형화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광이용 효율을 높여서 콘트라스트를 양호하게 하며, 액정표시소자의 대형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은 액적표시로 액정표시소자가 1매의 기판상에 패턴 형성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도, 편광판을 이용하지 않은 액정표시나 1매의 기판상에 형성되는 액정표시소자가 있었다. 예를들어, 편광판을 이용하지 않은 액정표시로서는 CNT(Collestellic Nematic transition)에 의한 상천이(相遷移)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나, 액정표시 개발 초기의 DSM(Dynamic Scattering Mode : 동적 산란 효과형)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CNT에 있어서도 액정이 2매의 유리판 사이에 밀봉된 것 밖에 없다. 또한, DSM은 응답속도가 늦고 또한 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사용범위가 극히 좁다.
한편, 1매의 기판상에 형성되는 액정표시소자로서는 PDLC(고분자 분산형 액정)가 있다. 그러나, PDLC는 고밀도로 조성된 것이라 할지라도, 그 체적의 50%이상이 광투과성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질 뿐아니라 액정층에 의한 빛의 산란을 효과적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차단성을 높여야만 소망하는 콘트라스트비의 화상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그 두께를 20㎛내지 그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이와같은 두터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그 응답속도도 1ms 이상으로 매우 늦다.
그리고, 하나의 액정층 중간에 유리를 개재한 다목적의 액정표시소자도 있는데, 이는 광이용효율이나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또한, 편광을 보정하기 위한 2층형 STN표시소자도 있는데, 이는 배경색의 보정(빛의 간섭 이용)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페이퍼 화이트 디스플레이(Paper White Display)를 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콘트라스트의 낮음(구체적으로는 백색의 엷음), 즉 광이용효율의 불량이 액정표시소자에 의한 전방산란(투과)이 크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여, 구동 전압을 증가시키지 않고 전방산란을 적게 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이것이 응답속도의 고속화와도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으로 응답함과 동시에 동작시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한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짙은 백색이 표시가능한 반사형의 액정표시 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하는 짙은 색을 명료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백라이트가 적용되는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소자는, 광을 투과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층을 개재시켜 적층되는 복수의 전계효과형 액정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층의 두께는 3㎛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절연성재료의 층 두께는 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기절연성재료는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성수지, 또는 반도체 혹은 금속산화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계효과형 액정으로서 상천이형 액정, 강유전성 액정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전체 두께는 1㎛이상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a)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기판상에 도전재료로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b) 광투과성 전기절연성재료로서 소정의 세정제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로 상기 전극을 피복하여 광투과성 전기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c) 상기 광투과성 전기절연층상에 상기 세정제에 용해되는 소정의 재료를 피복하여 용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d) 상기 공정(b), (c)를 소정회 반복하여 적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e) 상기 광투과성 전기절연층과 용해층과의 적층상에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의해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f) 상기 공정 (b)∼(d)로 형성된 적층에 소정간격으로 제 1 구멍을 뚫어 전기절연성의 경화성 재료로 충전하는 공정과, (g) 상기 적층에 소정간격으로 제 2 구멍을 뚫고, 상기 세정제로 상기 공정(c) (d)를 통해 형성된 용해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h) 상기 용해층이 제거되어 마련된 공동부에 액정을 충전한 후 상기 제 2 구멍을 밀봉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는 그 한쪽면이 차광판에 의해 차광되어 반사형 액정표시소자로 적용될 수도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액정표시소자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적용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백라이트로부터의 빛을 필터링하여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적층면을 따라 소정색을 방사하는 칼라 필터와, 상기 칼라 필터에 의한 백라이트의 표시판 표면으로의 직접적 투과를 차광하는 차광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표시장치나 장식표시장치, 대형 스크린, TV나 컴퓨터등의 표시화면, 시계나 전자계산기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액정표시소자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각 치수나 재료 및 순서는 일례로 제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며,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은 정확한 치수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다.
액정표시소자의 최상면에는 광투과성 수지층(26), 예를들어 에폭시수지나 아크릴수지 등이 균일하게 피복되어 있다. 단, 지주부(12)와 액정주입공부(14)의 상면에는 광차광판(11)(제2, 3도 참조)이 위치한다. 그 하부에는 광투과성전극(10 : 예를들어 ITO로 제조된)이 있다. 이 전극(10)과 합동하여 X-Y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는 전극(18)(제1도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액정층의 하부에 위치된다. 각 화소간에는 본 실시예의 적층화된 액정층을 분리하는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재료를 지지하는 수지재의 지주(12)와, 본 액정표시소자 형성시 액정을 충전하기 위한 주입공(14 : 충전후에는 밀봉되어 있다)이 있다.
또한, 지주(12) 및 주입공(14)의 위치 및 개수는 제1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X-Y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종횡의 시그널라인(28) 및 (30)은 통상 제1도와 같이 배선된다. 여기서, 각 화소는 예를들어 TV 등의 표시인 경우 고화질의 것으로 100㎛×300㎛이고, 지주(12) 및 주입공(14)으로서는 그 직경이 5∼10㎛가 되는데, 이들 치수는 용도에 따라 다른 것이다. 또한, 지주(12) 및 주입공(14)이 화소 내부에 있더라도 화질에 영향은 없다.
제2도는 제1도를 선 Ⅱ-Ⅱ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최하층은 빛을 차광하고 적어도 그 상면(16a)이 바람직하게는 흑색인 기판(16)으로, 예를들어 흑색 에폭시판등이 사용된다. 기판(16)의 표면에는 소정패턴으로 배열된 전극(18)이 형성된다. 전극(18)을 광투과성 전기절연 수지층(20)이 덮고, 이하 액정층(22)과 전기절연 수지층(20)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5 층이 적층되어 있다.
액정층(22)은 전계효과형으로 액정으로, 예를들어 네마틱형 액정이나 카일랄·네마틱상과 네마틱상과의 상천이를 이용하는 CNT(코레스테릭 네마틱 천이형)액정이나 FLC(강유전성 효과형) 액정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3㎛ 이하가 바람직하면, 특히 500∼5000Å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절연수지층(20)은 아크릴수지나 에폭시수지가 바람직하고, 두께는 5㎛이하가 바람직하며, 특히 2000Å∼2㎛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전기절연수지층(20), 액정층(22)의 두께를 모두 2000Å으로 하면, 5층의 액정부분의 전체 두께는 거의 2㎛가 되며, 고응답속도와 저구동전압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아 짙고 명료한 백색을 표시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절연수지층(20)과 액정층(22)의 적층상에는 ITO로 형성된 전극(10)이 패턴 배선되어 있다. 도면에서 "24"는 제조시 형성되는 잔여분인 포토레지스트로서 제조공정의 순서에 따라서 없는 경우도 있다. 최상층은 제1도를 통해 설명된 바와같이,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수지층(26)이다. 그 일부는 지주(12)에 연장되며, 지주(12)는 액정층(22)을 사이에 두는 광투과성 전기절연 수지층(20)에 연장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를 Ⅲ-Ⅲ선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최하층은 제2도에서와 같이 광차광성을 갖는 적어도 표면이 흑색인 기판(16)이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5층의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수지층(20)과 액정층(22)의 적층이 있으며, 최상부에는 잔류 포토레지스트(24)와 최상층의 광투과성의 전기절연 수지층(26)이 있다. 여기서, 액정층(22)은 주입공(14)와 연결되어 있고, 주입공(14)의 상부에서 전기절연수지층(26)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서 후술하겠지만, 주입공(14)은 액정층(22)을 형성하기 위해 폴리비닐알콜(이하 PVA)층이나 알루미늄(이하 Al)층을 용해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제2도, 제3도에 있어서, 지주(12) 및 주입공(14)의 상부에는 광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판(11)이 있다.
제4도∼제9도는 제1도∼제3도에 도시한 반사형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순서의 일례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4도∼제9도에서는 복수의 공정을 하나의 도면에 모은 것도 있다.
제4도의 공정에서는 흑색플라스틱기판(16)상에 도전성재료에 의해 하층의 전극(18)을 패턴 배선한다.
제5도의 공정에서는, 우선 전극(18)의 상부에 에폭시 수지층(20)과 PVA층(22a)을 각5층 반복 적층한다. 이들 층형성은 스핀코팅법, 롤코팅법 그 어느것이나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층을 예를들어 2000Å로 한다. 다음에, 최상의 에폭시수지층(20)의 상부에는 ITO로 상층의 전극(10)을 소정패턴으로 형성한다.
제6도의 공정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구조의 상부에 포토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한후 에칭하여, 제6도와 같이 포토레지스트(24)를 남긴다.
제7도의 공정에서는 포토레지스트(24)로 덮히지 않은 부분을 플라즈마 에칭하여 지주(12)용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에폭시수지로 충전함과 동시에 전면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지주(12) 및 표면 에폭시수지층(26)을 형성한다.
제8도의 공정에서는 액정의 주입공(14)을 포토 마스크 패턴의 형성과 플라즈마 에칭에 의해 형성한다. 여기서, 이 주입공(14)을 통해 물, 아세톤 혹은 알콜을 주입하여 세정을 행함으로써, PVA층(22a)을 녹여 제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공(14)과 액정층이 채워질 부분 제9도의 (22b)가 공간이 되며, 각 에폭시수지층(20)은 액정층이 되는 부분(22b)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지주(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9도의 공정에서는, 결과물 전체를 건조한 후 진공하에서 액정을 전면 도포하고 기압을 상승시켜 주입공(14)으로부터 공간부분(22b)에 주입해 가면서 액정층(22)을 형성한다. 액정의 충전이 종료되면 액정을 밀봉하기 위해 전면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고, 차광이 필요한 지주(12) 및 주입공(14) 상부에는 차광판(11)을 형성한다.
이상의 제4도∼제9도의 공정에 따라 제1도∼제3도에 도시한 반사형의 적층 액정표시소자가 제조된다.
상기 제조예에서는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수지의 재료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PVA를 사용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전기절연수지로서는 아크릴수지가, 액정층이 되는 부분에는 Al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아세톤등 대신에 염산등에 의해 Al층을 녹여 제거한다. PV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핀코팅법에 의한 층형성이 가능하며, 또한 장래 자외선효과형의 아ㅋ크릴수지를 사용하면 최하층까지 노광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A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성 때문에 에칭의 종단지점을 한눈에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조예에서는 광투과성의 전기 절연재료로서 전기절연수지를 사용하였으나, 반도체 또는 금속 산화물, 예를들어 SiO2나 Al2O3등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에서의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재료와, 이들 사이에 액정층이 충WLS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와의 선택은 특정 용제에 의해 액정층을 위한 부분의 재료로 용출되며, 반면에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재료는 용출되지 않는 조건에서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제10도∼제12도에 본 실시예의 적층 액정표시소자를 백라이트형으로 사용한 경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10도는 백라이트형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로, 본 실시예는 화소 중앙에 채광부(採光部)가 있는 예이며, 화소 경계에서 채광하는 구성으로 하면 보다 광량이 많아져 선명하게 된다.
여기서, 최상층은 반사형과 동일하게 광투과성의 전기절연 수지층(60)이 있다. (40)은 그 하부의 광투과성전극, (44)는 백라이트를 채광하여 소정의 색을 내기 위해 필터링하고, 적층 액정층에 광을 방사하는 칼라 필터, (46)은 백라이트가 직접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차광판, (42)는 제1도의 (14)와 동일한 액정주입DYD 구멍, (50)은 인접 화소로부터의 광 침입을 막는 차광벽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당연히 제1도와 마찬가지의 매트릭스 배선이 있는데, 번잡하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1도는 제10도를 선 XI-XI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54)는 광투과성 수지재료이며, (54a)에는 Al막이 증착되어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칼라 필터(44)에 집광된다. (52)는 후방으로부터의 다른 광침입을 차광하는 차광벽, (46)은 백라이트로 부터의 광이 상부 표면에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는 광차광판이다.
(40)은 ITO전극, (48)은 하부전극, (50)은 차광벽이다. 백라이트로 부터의 광은 집광되어 칼라필터(44)에 들어와, 소망하는 색상의 광이 액정층(58)과 전기절연층으로된 적층의 내부로 적층면을 따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된다. 혹은 소정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입사되어도 전반사에 의해 표시소자 표면에는 색은 나타나지 않는다. 액정에 의해 방사된 광이 산란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은 액정층을 투과 혹은 흡수될 뿐이다. 한편, 산란되면 산란광이 표시소자 표면에도 나타나 소정색상의 광이 보이게 된다.
제12도는 제10도의 선 XII-XII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10도, 제11도와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요소를 가리키고 있다. 여기서 (42)는 액정주입공이며, 액정의 주입후에는 광투과성 수지로 밀봉되어 있다. 액정주입공(42)의 상부에는 광의 누설을 막는 차광판(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치수나 재료 혹은 세부적인 구조 및 제조공정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변형, 추가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에 메모리 효과를 갖는 CNT 액정을 적용하면 대형스크린, TV나 컴퓨터등의 표시장치, 시계, 전자계산기의 표시장치 등 각종 정보표시나 장식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소자의 광 이용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백색이나 칼라가 백색이나 칼라가 선명하게 표시됨으로써, 어두운 표시화상 때문에 액정표시소자를 사용할 수 없었던 분야에도 액정표시소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액정층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고속으로 응답함과 동시에 콘트라스트가 명료한 액정표시소자 및 양질의 화상을 실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를 반사형에 적용하면, 짙은 백색이 표시가능한 액정표시소자와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를 백라이트형에 적용하면, 원하는 짙은색을 명료하게 표시가능한 액정표시소자와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광을 투과하는 전기절연재료의 층을 개재시켜 적층되는 복수의 전계효과형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WLD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액정층의 두께는 3㎛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성재료의 층 두께는 5㎛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절연성재료는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의 전기절연성수지, 또는 반도체 혹은 금속산화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효과형 액정은 네마틱형 액정, 상천이형 액정, 강유전성 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전체 두께는 1㎛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7. (a)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기판상에 도전재료에 의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 (b) 광투과성 전기절연재료로서 소정의 세정재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로 상기 전극을 피복하여 광투과성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 (c) 상기 광투과성 전기절연층상에 상기 소정의 세정제에 용해되는 재료를 피복하여 용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 (d) 상기 공정 (b), (c)를 소정회 반복하여 적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광투과성 전기절연층과 용해층과의 적층상에 광투과성 도전재료에 의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공정 (b) 에서부터 (d)로 형성된 적층에 소정간격으로 제 1 구멍을 뚫어 전기절연성의 경화성 재료로 충전하는 단계와, (g) 상기 적층에 소정간격으로 제 2 구멍을 뚫고, 상기 세정제에 의해 상기 공정 (c) 와 (d)에서 형성된 용해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h) 상기 용해층이 제거된 후의 공간에 액정을 충전한 후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기재된 액정표시소자의 한쪽면을 차광하여 반사형 액정표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광투과성 전기절연성 재료의 층을 개재시켜 적층되고, 복수의 전계효과형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판과 상기 액정표시판으로 백라이트를 방사하는 백라이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판은 백라이트장치로부터의 빛을 필터링하여 상기 그 적층면을 따라 소정색의 빛을 투과시키는 칼라 필터와, 상기 칼라 필터에 의해 필터된 백라이트가 표시된 표면으로 직접적으로 투과되는 것을 막는 차광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930002195A 1992-05-08 1993-02-17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KR100253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16146 1992-05-08
JP4116146A JP2672055B2 (ja) 1992-05-08 1992-05-08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使用す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48A KR930023748A (ko) 1993-12-21
KR100253652B1 true KR100253652B1 (ko) 2000-04-15

Family

ID=1467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195A KR100253652B1 (ko) 1992-05-08 1993-02-17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63481A (ko)
JP (1) JP2672055B2 (ko)
KR (1) KR100253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354B1 (ko) * 1992-11-26 1999-11-15 윤종용 광산란형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5753937A (en) * 1994-05-31 1998-05-19 Casio Computer Co., Lt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semitransparent layer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substrates
KR970011972A (ko) * 1995-08-11 1997-03-29 쯔지 하루오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990046B2 (ja) * 1995-08-16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297591B2 (ja) * 1996-04-17 2002-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US5875012A (en) * 1997-01-31 1999-02-23 Xerox Corporation Broadband reflective displ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3361029B2 (ja) * 1997-03-19 2003-01-07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US5982464A (en) * 1998-12-16 1999-11-09 Technoloogy Resourc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twist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US6980421B2 (en) * 2002-06-28 2005-12-27 Shuttle Inc. Front panel for personal computer
WO2008099496A1 (ja) * 2007-02-15 2008-08-21 Fujitsu Limite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629548A (zh) * 2016-01-26 2016-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6098735B (zh) 2016-06-20 2020-10-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6014A (en) * 1970-12-21 1975-05-27 Electrovac Method of production of a liquid crystal cell
JPS57196214A (en) * 1981-05-28 1982-12-02 Nippon Denso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4581608A (en) * 1983-06-13 1986-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system
JPS60186889A (ja) * 1984-03-07 1985-09-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多層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US4878741A (en) * 1986-09-10 1989-11-07 Manchester R & D Partnership Liquid crystal color display and method
FR2595157B1 (fr) * 1986-02-28 1988-04-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a double couche de cristal liquide, utilisant l'effet de birefringence controlee electriqu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milieu uniaxe d'anisotropie optique negative utilisable dans cette cellule
US4886343A (en) * 1988-06-20 1989-12-12 Honeywel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tive/subtractive pixel arrangement in color mosaic displays
WO1991004505A1 (fr) * 1989-09-18 1991-04-04 Idemitsu Kosan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un filtre de couleur et reserve pour film d'ecran antilumiere utilise par ce procede
US5113272A (en) * 1990-02-12 1992-05-12 Raychem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semiconductor display using liquid crystal
EP0450780A3 (en) * 1990-04-05 1992-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microelement array and its production method
NL9001444A (nl) * 1990-06-25 1992-01-16 Philips Nv Vloeibaar-kristalweergeefinrichting met rotatiesymmetrische iso-kontrastkurven.
JP3162762B2 (ja) * 1991-11-12 2001-05-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63481A (en) 1995-10-31
JPH06281946A (ja) 1994-10-07
KR930023748A (ko) 1993-12-21
JP2672055B2 (ja) 1997-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225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13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19214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52798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0253652B1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TW200541077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31045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1337A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US532325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opaque metal electrodes parallel to transparent electrodes with notch at their intersection
KR970000357B1 (ko) 액정 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05006790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H0912749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02871A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low resistance electrode and method therefor
KR960000257B1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040012309A (ko) 패턴드 스페이서가 사용된 액정패널
KR100710158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803786B2 (ja) 液晶表示素子
KR100628273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0680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18651B1 (ko)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50001898Y1 (ko)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KR950008932B1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09251003A (ja)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液晶装置用基板
KR950008934B1 (ko) 액정표시소자와 그 제조 방법
KR20050068457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