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327B1 - 캠코더용 조리개 - Google Patents

캠코더용 조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327B1
KR100252327B1 KR1019970070097A KR19970070097A KR100252327B1 KR 100252327 B1 KR100252327 B1 KR 100252327B1 KR 1019970070097 A KR1019970070097 A KR 1019970070097A KR 19970070097 A KR19970070097 A KR 19970070097A KR 100252327 B1 KR100252327 B1 KR 10025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arm lever
base
aperture
cam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905A (ko
Inventor
임대순
김종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3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용 조리개에 관한 것이며, 조리개공을 개폐하는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가 그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공에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암 레버의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축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암 레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며, 구동 모터에 의해 암 레버가 회전되될 때, 암 레버의 지지축에 지지된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지지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 이동된다. 따라서, 조리개의 작동시 제 1 셔터 또는 제 2 셔터가 이 순간적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를 채택한 캠코더에 의해 녹화된 화면은 재생시 조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캠코더용 조리개
본 발명은 캠코더에 관한 것이며, 특히 셔터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화면 조도의 급격한 변화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캠코더용 조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및 캠코더는 줌 렌즈를 매개로 하여 고체촬상소자 등의 촬상면에 도달된 입사광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줌 렌즈 및 포커스렌즈가 각각 장착된 렌즈경통과 바렐마스터 사이에 설치된 조리개에 의해 촬상면으로 도달되는 입사광량을 일정한 범위내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도 1 내지 도 3a에 이러한 캠코더용 조리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캠코더용 조리개는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경통(2)과 바렐 마스터(3) 사이에 설치되며,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조리개공(11)이 형성된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전면에 서로 겹쳐져 설치된 제 1, 2 셔터(40, 50), 제 1, 2 셔터(40, 5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암 레버(30), 이 암 레버(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0) 및 커버(60)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0)의 후면 상측에는 구동 모터(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 모터(20)의 회전축(21)은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회전축(21)에 암 레버(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암 레버(30)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셔터(40) 및 제 2 셔터(50)는 암 레버(30)의 양측단에 각각 돌출된 지지축(31)가 그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지는 장공(41, 51)과, 베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가 끼워지는 가이드공(42)을 가지며, 베이스(10)의 전면에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장공(41, 51)은 베이스(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공(42)은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전방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셔터(40, 50)의 장공(41, 51)을 관통한 암 레버(30)의 양측 지지축(31)가 끼워지는 호형공(61)을 가지는 커버(60)가 부착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5는 암 레버(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캠코더용 조리개는 구동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셔터(40)와 제 2 셔터(50)가 서로 겹쳐져 베이스(10)의 조리개공(11)을 닫고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 모터(20)의 회전축(21)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암 레버(30)가 그 일측단이 스토퍼에 걸릴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 1 셔터(40) 및 제 2 셔터(50)가 각각의 장공(41, 51)에 끼워진 암 레버(30)의 지지축(31)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셔터(40) 및 제 2 셔터(50)는 그의 가이드공(42)에 끼워진 베이스(10)의 가이드 돌기(12)에 의해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셔터(40) 및 제 2 셔터(5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10)의 조리개공(11)이 열리게 되어, 렌즈 경통으로 입사된 입사광은 베이스(10)의 조리개공(11)을 통과하여 촬상면에 도달하게 된다. 도 4b에 베이스(10)의 조리개공(11)이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20)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암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었던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암 레버(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제 1 셔터(40) 및 제 2 셔터(5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이동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조리개공(11)을 닫게 된다.
여기서,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를 이동시키는 암 레버(30)의 지지축(3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의 장공(41, 51)에 이 장공(41, 5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암 레버(30)가 회전될 때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에는 암 레버(30)의 회전력의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의 성분만이 작용되고, 베이스(10)의 폭 방향의 성분은 작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는 암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돌기(12)의 안내에 의해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 레버(30)의 지지축(31)와 제 1 셔터(40)의 장공(41,5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 때문에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에는 암 레버(30)의 회전력 중에서 베이스(10)의 폭 방향 성분이 순간적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제 1 셔터(40)(및 제 2 셔터(50))가 베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도 4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도시된 바와 같은 순간적인 튐 현상이 발생되어, 이에 따라, 촬영후 녹화된 화면을 재생할 때 화면의 조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가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될 때 순간적인 튐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구조를 가지는 캠코더용 조리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캠코더용 조리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코더용 조리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는 조리개공이 닫힌 상태를 보인 일반적인 조리개의 사용 상태도.
도 3b는 조리개공이 열린 상태를 보인 일반적인 조리개의 사용 상태도.
도 4a는 암 레버의 회전에 의한 제 1 셔터의 상하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종래의 캠코더용 조리개의 문제점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의 조립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베이스 111 ; 조리개공
112 ; 가이드부 120 ; 구동 모터
121 ; 회전축 130 ; 암 레버
131 ; 지지축 135 ; 토션 스프링
140 ; 제 1 셔터 141 ; 원호부
142 ; 지지공 150 ; 제 2 셔터
151 ; 원호부 152 ; 지지공
160 ; 커버 161 ; 호형공
상기와 같은 목적은, 렌즈의 경통으로 입사된 입사광이 관통하는 조리개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버; 상기 암 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암 레버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 이동되는 제 1 셔터와, 상기 암 레버의 타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셔터와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셔터와 함께 상기 베이스의 조리개공을 개폐하는 제 2 셔터와, 상기 암 레버와,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 1 셔터와 제 2 셔터는 그의 하부 양측단에 상기 베이스의 양측벽 내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원호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공에 상기 암 레버의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축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암 레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는, 구동 모터에 의해 암 레버가 회전되면, 암 레버의 지지축에 지지된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지지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 이동된다.
따라서, 조리개의 작동시 제 1 셔터 또는 제 2 셔터가 이 순간적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를 채택한 캠코더에 의해 녹화된 화면은 재생시 조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의 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조립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도 종래와 같이,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후면 상측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120)와, 구동 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암 레버(130)와, 이 암 레버(130)에 의해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베이스(110)의 조리개공(111)을 개폐하는 제 1 셔터(140)와 제 2 셔터, 및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그의 하부에 렌즈 경통으로 입사된 입사광이 관통하는 조리개공(111)을 가지며, 이 베이스(110)의 후면 상측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120)는 그의 회전축(121)이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베이스(11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 구동 모터(120)의 회전축(121)에 암 레버(130)가 끼워져 설치되고, 암 레버(130)와 회전축(121) 사이에는 암 레버(130)를 시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전면으로 제 1 셔터(140) 및 제 2 셔터가 서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제 1 셔터(140) 및 제 2 셔터는 각각 그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공(142, 152)에 암 레버(130)의 양측단에 돌출된 지지축(131)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각각 지지축(1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 1 셔터(140) 및 제 2 셔터는 그 하부의 양측단이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원호부(141, 151)가 베이스(1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부(112)에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그 전방으로부터 제 1 셔터(140) 및 제 2 셔터의 지지공(142, 152)을 관통한 암 레버(130)의 양측 지지축(131)이 끼워지는 호형공(161)을 가지는 커버(160)가 부착된다.
한편,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35는 암 레버(1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용 조리개의 작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에서는 암 레버(130)와, 제 1 셔터(140), 그리고 베이스(110)의 일부분 만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셔터(140)는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어 있다. 이때에는 제 1 셔터(140)의 중앙을 지나는 직선, 즉, 양측 원호부(141, 151)의 베이스(110)의 각 가이드부(112)와 접촉된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선이 베이스(110)의 가이드부(112)와 평행을 이룬다.
구동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 모터(120)의 회전축(121)에 의해 암 레버(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따라 제 1 셔터(140)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암 레버(130)의 회전에 의해 암 레버(130)의 지지축(131)은 원래의 위치보다 베이스(110)의 일측벽 쪽으로 더 치우치게 되며, 따라서, 제 1 셔터는 일측으로 기울게 된다.
그리고, 암 레버(130)가 더 회전되어 제 1 셔터(140)가 도면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암 레버(130)의 지지축(131)은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보다 베이스(110)의 일측벽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고, 따라서, 제 1 셔터는 반대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셔터(140)는 암 레버(130)가 회전되는 것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암 레버(130)의 지지축(13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왕복 선회 이동된다.
한편, 비록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암 레버(130)의 반대측단에 지지된 제 2 셔터도 제 1 셔터(140)와 동일하게 작동되며, 제 1 셔터(140)와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셔터(140)와 제 2 셔터가 각각의 지지축(131)에 의해 선회되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110)의 조리개공(111)이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 1 셔터와 제 2 셔터가 암 레버의 지지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 이동되면서 상하로 이동되므로, 종래의 캠코더용 조리개에서와 같은 셔터들의 순간적인 튐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를 채택한 캠코더를 사용하게 되면, 녹화된 화면을 재생할 때 조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렌즈의 경통으로 입사된 입사광이 관통하는 조리개공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 레버;
    상기 암 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암 레버의 일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 이동되는 제 1 셔터;
    상기 암 레버의 타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암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셔터와 반대 방향으로 상하이동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내에서 선회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셔터와 함께 상기 베이스의 조리개공을 개폐하는 제 2 셔터;
    상기 암 레버와,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조리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와 제 2 셔터는 그의 하부 양측단에 상기 베이스의 양측벽 내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원호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조리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공에 상기 암 레버의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축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암 레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용 조리개.
KR1019970070097A 1997-12-17 1997-12-17 캠코더용 조리개 KR10025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97A KR100252327B1 (ko) 1997-12-17 1997-12-17 캠코더용 조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097A KR100252327B1 (ko) 1997-12-17 1997-12-17 캠코더용 조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905A KR19990050905A (ko) 1999-07-05
KR100252327B1 true KR100252327B1 (ko) 2000-04-15

Family

ID=1952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097A KR100252327B1 (ko) 1997-12-17 1997-12-17 캠코더용 조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3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90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66B1 (ko)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JP2009501357A (ja) 小型カメラ用開閉装置
US6867932B2 (en) Iris type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lens device, and image-taking apparatus
JP3983235B2 (ja) 光量調整装置
US7290947B2 (en) Light controller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252327B1 (ko) 캠코더용 조리개
KR101114775B1 (ko)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KR102415064B1 (ko) 광량 조절 장치
JP2848311B2 (ja) 焦点距離を変換可能なカメラ
JP3550963B2 (ja) カメラの絞り機構
KR102319688B1 (ko) 광량 조절 장치
KR100345926B1 (ko) 화상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 장착 구조
JP2006098486A5 (ko)
KR100467650B1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갖는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07298788A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0467654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444579B1 (ko) 캠코더의 뷰파인더 초점 조절장치
JP2002062581A (ja) 撮影装置
KR200170158Y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JP2004191750A (ja) 光量調節装置
JPH019938Y2 (ko)
JP2006215323A (ja) 光量調節装置及び光学機器
KR20040095816A (ko) 캠코더용 뷰파인더 초점조절장치
US5911089A (en) Aperture size changing apparatus for a camera
JPH0688997A (ja) 撮影画面が変更可能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