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653B1 - 분리식 외전 보조기 - Google Patents

분리식 외전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653B1
KR100251653B1 KR1019970057725A KR19970057725A KR100251653B1 KR 100251653 B1 KR100251653 B1 KR 100251653B1 KR 1019970057725 A KR1019970057725 A KR 1019970057725A KR 19970057725 A KR19970057725 A KR 19970057725A KR 100251653 B1 KR100251653 B1 KR 10025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duction
band
detachable
thigh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094A (ko
Inventor
구자교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최인호
구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호, 구자교 filed Critical 최인호
Priority to KR101997005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6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식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대퇴부를 향해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며 허리밴드(110)가 신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고정부(100)와; 신체의 대퇴부 양측을 대퇴부밴드(210)가 착용되고, 상기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와 제1길이조절수단(22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대퇴부고정부(200)와; 신체의 종아리부와 발목에 각각 지지부재(330)로 연결되는 다리밴드(310)와 발목밴드(320)가 착용되고, 이 지지부재(330)에 연결되는 매개부재(340)가 상기 대퇴부밴드(210) 사이에서 제2길이조절수단(35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다리고정부(30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짐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0)를 구비하여서, 성장기 아동의 하체 골격에 발생되기 쉬운 각종 질병에 대하여 교정 및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아동 성장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외전(外轉)운동범위의 점진적 증가를 유도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식 외전 보조기
본 발명은 분리식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성장기 아동의 하체 골격에 발생되기 쉬운 각종 질병에 대하여 교정 및 치료가 이루어 지고, 특히 아동 성장에 따라 길이 조절과 외전(外轉)운동범위의 점진적 증가를 유도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들에게는 발생되는 질병중 특히 유아의 하체에는 선천성 고관절 탈구(先天性 股關節 脫臼-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 성장기 아동에는 무혈성 괴사(無血性 壞死) 및 내전근 경직에 의한 고관절 불안정성-뇌성마비-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예로서, 선천성 고관절 탈구는 연령에 따라 병리소견이 변화되기는 하나, 출생기 고관절낭은 이환되고 비구와 대퇴골의 모양은 정상이나 치료를 안하고 방치되면 점차 비구개는 얕고 경사각이 증가되며 비구내에는 지방이나 섬유조직으로 차 있으며 대퇴 골두의 골화중심(骨化中心-ossifcation center-)의 출현도 지연되고 크기도 작으며 대퇴경부의 전염(前捻-anteversion-)이 증가된다. 한편, 체중을 부하하는데 따라 대퇴골두는 후상방으로 전위되고 골두가 편평해지며 관절순(iliopsoasm)과 교차부에서 협착하여져서 모래시계와 같은 모양으로 변화되고, 원인대(圓靭帶)도 길어지고 비후되며 때로는 위축되어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선천성 고관절 탈구의 징후는 대최골두의 골화중심의 출연이 늦어지거나 저형성(抵形性-hypoplasia-)상태를 나타낸다. 또, 대퇴골두가 측방 및 상방으로 전위되어 있고, 비구개의 경사도가 증가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선천성 고관절 탈구를 치료하기 위하여는 고관절을 90°굴곡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대퇴골을 장축방향으로 견인하면서 대전자부를 전방으로 밀어 올림과 아울러 외전(外轉)시키면 탈구가 정복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치료기구로 외전보조기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외전보조기의 기능으로 고관절을 90°굴곡시킨 상태에서 대퇴골을 장축방향으로 견인된 위치에서 골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석고붕대를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였다.
석고붕대의 착용기간은 약 3-9개월사이의 장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성장기 아동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전혀없는 석고붕대에 모든 골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성장에 지장을 주게 되었다.
또, 혈액공급의 중단으로 뼈가 괴사되는 무혈성 괴사와 같은 질병이 오히려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석고붕대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허리밴드와 대퇴부사이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외전 보조기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 허리부와 대퇴부만을 고정하기 위한 외전 보조기는 골반으로 부터 대퇴부의 탈골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는 하였으나, 이또한 성장기 아동 및 아동의 연령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 또한 아동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연령 및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제작 및 비치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환부의 조건에 따라 대퇴부의 각도는 물론, 무릎관절 밑의 다리와 발목관절을 포함한 전체의 균형있는 골격의 균형유지 및 조정이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발의 각도를 외전 및 회전조절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며 치료의 효과가 미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의 각도에 대한 회전(回轉) 및 외전(外轉)을 동시 조절하여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식 외전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동 성장과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어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토륵 한 분리식 외전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전 운동범위에 따라 점진적 증가유도가 가능하도록 된 분리식 외전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해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허리고정부와 대퇴부고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제4도는 대퇴부고정부와 다리고정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1 및 제2길이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7도는 지지부재와 매개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8도는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9도는 다리고정부에 길이조절부와 나란하게 각도조절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허리고정부 110 : 허리벨트
120 : 연결부재 200 : 대퇴부고정부
210 : 대퇴부밴드 220 : 제1길이조절수단
300 : 다리고정부 310 : 다리밴드
320 : 발목밴드 330 : 지지부재
340 : 매개부재 360 : 각도조절부재
400 : 각도조절부 410 : 봉부재
420 : 파이프부재 430 : 볼죠인트
440 : 피봇부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 대퇴부를 향해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며 허리밴드(110)가 신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고정부(100)와; 신체의 대퇴부 양측을 대퇴부밴드(210)가 착용되고, 상기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와 제1길이조절수단(22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대퇴부고정부(200)와; 신체의 종아리부와 발목에 각각 지지부재(330)로 연결되는 다리밴드(310)와 발목밴드(320)가 착용되고, 이 지지부재(330)에 연결되는 매개부재(340)가 상기 대퇴부밴드(210) 사이에서 제2길이조절수단(35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다리고정부(30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짐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0)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따라서, 허리로 부터 대퇴부 및 다리와 발에 이르기 까지 하체의 모든 골격을 교정 및 치료할 수 있다.
또, 환부의 치료경과와 활동하는 정우 및 밤에 취침하는 경우에 따라서 각 고정부를 분해하여 펼요에 의해 원하는 부위만을 치료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아동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알게 되며 환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최적의 상태에서 착용될 수 있어 그 치료효과를 배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용도가 다양하고 제품의 신뢰도와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가상하여 보인 정면도로 신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고정부(100)와 대퇴부고정부(200) 그리고 무릎의 하부에 해당되는 종아리부와 발목을 함께 감싸는 다리고정부(300)가 각각 연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2도는 허리고정부(100)와 대퇴부고정부(200) 그리고 다리고정부(300)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분해시시도로 도시하고, 제3도는 중앙에 위치되는 대퇴부고정부(200)의 상측으로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가, 그리고 대퇴부고정부(200)의 하측으로는 다리고정부(300)의 매개부재(340)가 제1길이조절수단(220) 및 제 2길이조절수단(350)에 의해 분해 상태에서 조립되는 상태를 요부도로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다리고정부(300)를 이루는 다리밴드(310)와 발목밴드(320)가 지지부재(330) 상하로 부착되고, 이 지지부재(330)에는 대퇴부고정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부재(340)가 핀(342)을 축으로 굴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체결볼트(343)가 나사 체결되어 지지부재(330)에 핀(342)을 축으로 동심거리에 뚫어지는 셋팅홀(344)에 결합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예시하고 있다.
제5도와 제6도는 제1길이조절수단(220) 및 제2길이조절수단(350)의 구성을 일부절결 사시도와 종단면도로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제8도는 각도조절 부(400)의 구성을 단면도로, 그리고 제9도는 다리고정부(300)의 발목밴드(320)가 내외측으로 각도조절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허리고정부(100)는 허리밴드(110)가 신체의 허리에 착용되어 이 허리를 기준하여 하체의 골격각도를 교정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
이 허리고정부(100)의 허리밴드(110)는 벨트부재가 허리를 감싸는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버클 내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적정한 조임 상태로 착용한 후 그 크기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허리밴드(110)의 양측으로는 대퇴부의 외측을 향해 연결부재(120)가 하부로 연장되어 대퇴부고정부(200)와 제1길이조절수단(220)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또, 상기 지지부재(330)를 제7도에서와 같이 2개의 부재가 중첩된 상태에서 다수의 구멍(331)들이 뚫어져 볼트(332)와 너트(333)로 체결되는 중첩길이에 따라 그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의 연령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다리고정부(300) 내에서 미세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연결부재(130)의 상부측에는 피봇핀(130)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환자에 착용상태에서 허리의 굽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태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토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대퇴부고정부(200)는 신체의 양측 대퇴부를 대퇴부밴드(210)에 의해 감싸지게 착용된 상태로, 상기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와 제1길이조절수단(220)에 의해 결합되어 특히 골반으로 부터 고관절이 탈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며 교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예로서 고관절을 감싸는 골반의 연결부 발달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고관절이 탈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퇴부를 소정의 각도(약 90°)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그 상부에 위치되는 고관절이 골반의 연결홈 깊숙히 위치되어 탈골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때 골반이 정상적으로 성장되어 고관절이 이탈되지 않토록 감싸질 때까지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대퇴부밴드(210)는 허리밴드(110)와 같이 벨트부재가 양측의 대퇴부 중간부를 감싸는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버클 내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적정한 조임상태로 착용한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대퇴부밴드(210)의 내외측에는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 및 다리고정부(300)의 매개부재(340)를 각각 결합시킨 상태로 길이 조절하기 위한 제1길이조절수단(220) 및 제2길이조절수단(350)의 지지홀더(221)(351)가 각각 위치 고정된다.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220) 및 제2길이조절수단(350)의 구성은 제5도 및 제6도에서 예시하고 있다.
즉, 지지홀더(221)(351)에는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홀(222)(352)을 관통시키고, 그 일측변에는 나란하게 작동홀(223)(353)을 뚫게 된다.
이 작동홀(223)(353)에는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가 길이 조절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작동체(224)(35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작동체(224)(354)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방향에 직각되게 레버(225)(355)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레버(225)(355)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기 위해 대략 ″
Figure kpo00001
″형상의 가이드홀(226)(356)이 작동홀(223)(353)로 부터 연통되게 절취된다.
한편, 작동홀(223)(353)에는 스프링(228)(358)이 셋트스크류(229)(359)에 의해 작동체(224)(354) 사이에서 탄력 설치되며, 작동홀(223)(353)과 슬라이드홀(222)(352)의 경계에는 스톱볼(S)이 위치되어 이 스톱볼(S)을 향해 작동체(224)(354)가 진행되려는 방향으로 스프링(228)(358)의 탄성이 작용된다.
상기 작동체(224)(354)의 하측, 즉 스톱볼(S)이 접하는 위치에는 스톱볼(S)을 캠역할에 의해 돌출작용 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캠면(224a)(354a)이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재(120) 및 다리고정부(300)의 매개부재(340)에는 이 스톱볼(S)에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홈(121)(341)들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파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흘더(221)(351)내로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를 끼워지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체(224)(354)가 스프링(S)의 탄력으로 전진할 때 그 하측에 위치되는 스톱볼(S)에 걸림홈(121)(341)에 걸려저는 것에 의해 더이상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작동체(224)(354)에 직각으로 나사 결합된 래버(225)(355)를 당겨 ″
Figure kpo00002
″형상의 가이드홀(226)(356)을 따라 이동시킨 후 직각방향으로 파여진 걸림홈부(227)(357)에 걸려지게 하면 스톱볼(S)의 유동이 자유로워 지므로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의 걸림이 해제되어 그 길이방향으로의 진퇴가 가능하게 되어 길이 조절이 이루어 지는 것이고, 적절히 길이 조절된 후에는 상기와 같이 다시 레버(225)(355)를 상승시켜 작동체(224)(354)의 캠면(224a)(354a)이 스톱볼(S)을 연결부재(120) 및 매개부재(340)의 걸림홈(121)(341)으로 걸려지게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다시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또는 착용된 상태에서 장기간 경과하여 아동이 성장되는 비례에 따라 절적한 상태로 착용상태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제1길이조절수단(220) 및 제2길이조절수단(350)의 구조 및 역할은 각각 동일하다.
상기 다리고정부(300)는 신체의 무릎 아래쪽의 종아리부와 발목에 착용되어 무릎 하측의 골격에 발생되는 비골이나 경골, 그리고 발목(족)관절 아래의 족근골(足根骨)등에 이상이 있었을 때 이를 교정 및 치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아리부를 감싸는 다리밴드(310)와 흔히 복숭아뼈라고 칭하는 내과와 외과로 부터 족관절 및 족근골에 해당되는 부위를 발목밴드(320)로 감싸게 된다.
이때 발목밴드(320)는 보다 정확한 각도조절 및 형태유지를 위해 발형상을 갖는 형틀(321)을 발목밴드(320)로 감싸지게 하는 것이며, 이 다리밴드(310)와 발목밴드(320) 또한 벨트부재가 양측의 대퇴부 중간부를 감싸는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버클 내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적정한 조임상태로 착용한 상태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리밴드(310)화 발목밴드(32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부재(330)로 연결되며, 이 지지부재(330)의 단부에는 매개부재(340)가 핀(342)으로 굴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330)와 매개부재(340)의 연결부를 핀(342)을 축으로 굴절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고, 체결볼트(343)가 나사 체결되어 지지부재(330)에 핀(342)을 축으로 동심거리에 뚫어지는 셋팅홀(344)에 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지지부재(330)와 매개부재(340)가 굴절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략 무릎위치에 있게 되는 굴절부의 핀(342)의 굴절기능에 의해 환자가 무릎을 굽히는 활동이 가능하고, 적절한 각도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는 조절이 가능하게 각도조절부(400)를 설치하게 된다.
이 각도조절부(400) 또한 상기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가 분리된 상태로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에 각각 설치하게 되는 바, 그 구조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어느 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도내지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대퇴부고정부(200)에는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홀더(351)의 사이로 봉부재(410)와 이를 수용하는 파이프부재(42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부재(420)는 봉부재(410)가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다소 큰 직경으로 설계되며,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지점운동이 가능하게 볼죠인트(430)(431)를 구비하게 된다.
또, 봉부재(410)를 수용하고 있는 파이프부재(420)에는 그 수용길이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421)가 나사 체결되고 봉부재(410)에는 이 블트(421)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걸려져 고정되도록 고정홈(411)들이 일정간격 반복 성형된다.
그리고, 볼죠인트(430)(431)들은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에 체결볼트(44)로 나사 체결되어 연결되며, 이 볼죠인트(430)(431)들을 피봇운동하게 구형을 홈을 갖는 피봇(440)(441)들은 상측 대퇴부고정부(200)의 경우에는 지지홀더(221)(351)에 고정된다.
또, 다리고정부(300)에 설치되는 피봇(440)(441)들은 지지부재(330)와 매개부재(340)에 각각 고정되어 피봇가능한 상태로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리고정부(300)의 지지부재(330)에는 제9도에서와 같이 형틀(321)을 포함한 발목밴드(3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의 단부에 또다른 각도조절부재(4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지지부재(330)의 벌어짐 각도전환이 가능하게 각도조절부재(460)를 설치하고, 그 일단은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에 고정되는 브라켓트(461)에 유동 불가능한 상태로 볼트(462)가 너트(463)들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이 볼트(462)에 나사 체결되는 조절너트(464)의 단부에는 지지판(465) 사이에서 피봇(467)과 볼죠인트(466)를 매개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 조절너트(464)를 블트(462)와 나사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브라켓트(461)와 지지판(465)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발목밴드(320)는 내측으로 오므라지게 각도 조절되고, 또 이와 반대로 조절너트(464)를 나사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발목밴드(320)는 외측으로 벌어지며 외전각도 조절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환부에 따라 허리고정부(100)와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를 선택적으로 펼요부분만 분리하여 착용할 수도 있다.
즉, 허리고정부(100)와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를 전체적으로 착용하게 되며, 고관절의 탈골을 방지하면서 낮에 활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가장 하측의 다리고정부(300)만을 제거한 상태로 허리고정부(100)와 대퇴부고정부(200)만을 착용하게 된다.
또, 초기 증상에 따라 대퇴부고정부(200)와 다리고정부(300)만을 결합하여 고 관절 탈골을 억제 및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취침시에는 다리고정부(300)만을 착용하므로 고관절 탈골을 차단함과 동시에 환자가 취침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활동성을 보장해줄 필요가 있을 때는 대퇴부고정부(200)만을 착용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성장기 아동의 하체 골격에 발생되기 쉬운 각종 질병에 대하여 교정 및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아동 성장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외전(外轉)운동범위의 점진적 증가를 유도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2)

  1. 양측에 대퇴부를 향해 연결부재(120)가 구비되며 허리밴드(110)가 신체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고정부(100)와; 신체의 대퇴부 양측을 대퇴부밴드(210)가 착용되고, 상기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와 제1길이조절수단(22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대퇴부고정부(200)와; 신체의 종아리부와 발목에 각각 지지부재(330)로 연결되는 다리밴드(310)와 발목밴드(320)가 착용되고, 이 지지부재(330)에 연결되는 매개부재(340)가 상기 대퇴부밴드(210) 사이에서 제2길이조절수단(350)에 의해 길이 가변되도록 결합되는 다리고정부(300)와; 상기 대퇴부고정부(200) 및 다리고정부(30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짐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400)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지지홀더(351)의 사이로 봉부재(410)와 이를 수용하는 파이프부재(420)를 연결하고 그 양단부에는 볼죠인트(430)(31)가 피봇(440)(441)에 피봇결합되고, 파이프부재(420)에는 볼트(421)가 나사 체결되어 봉부재(410)에는 일정간격 반복 성형된 걸림홈(411)에 걸려져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매개부재(340)의 사이로 봉부재(410)와 이를 수용하는 파이프부재(420)를 연결하고 그 양단부에는 볼죠인트(430)(431)가 피봇(440)(441)에 피봇결합되고, 파이프부재(420)에는 볼트(421)가 나사 체결되어 봉부재(410)에는 일정간격 반복 성형된 걸림홈(411)에 걸려져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지지부재(330)의 사이로 봉부재(410)와 이를 수용하는 파이프부재(420)를 연결하고 그 양단부에는 볼죠인트(430)(431)가 피봇(440)(441)에 피봇결합되고, 파이프부재(420)에는 볼트(421)가 나사 체결되어 봉부재(410)에는 일정간격 반복 성형된 걸림홈(411)에 걸려져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조절수단(220)은 지지홀더(121)에 연결부재(120)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홀(222)과 작동체(224)가 슬라이드되는 작동홀(223)을 관통하고, 이 작동체(224)의 위치를 제어하는 레버(225)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홀(226)을 따라 레버(225) 및 작동체(224)가 전후진 작동되며, 작동홀(223)에는 스프링(S)이 셋트스크류(229)에 의해 작동체(224) 사이에서 탄력 설치되며, 작동홀(223)과 슬라이드홀(222)의 경계에서 스톱볼(S)이 연결부재(120)의 걸림홈(121)에 걸려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조절수단(350)은 지지홀더(351)에 매개부재(340)가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홀(352)과 작동체(354)가 슬라이드되는 작동홀(353)을 관통하고, 이 작동체(354)의 위치를 제어하는 레버(355)의 작동범위를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홀(356)을 따라 레버(355) 및 작동체(354)가 전후진 작동되며, 작동홀(353)에는 스프링(S)이 셋트스크류(359)에 의해 작동체(354) 사이에서 탄력 설치되며, 작동홀(353)과 슬라이드홀(352)의 경계에서 스톱볼(S)이 매개부재(340)의 걸림홈(341)에 걸려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부(100)의 연결부재(120)에는 허리 굴절을 위한 피봇핀(130)이 힌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300)의 매개부재(340)는 무릎의 굴절을 위한 핀(342)이 힌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밴드(320)에는 발목의 각도조절 및 형태유지를 위해 발형상을 갖는 형틀(321)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30)에는 2개의 부재를 중첩시킨 상태로 다수의 구멍(331)들이 뚫어져 볼트(322)와 너트(333)로 체결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300)의 지지부재(330) 하측에는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각도조절부재(360)를 설치하고, 그 일단은 봉부재(410)와 파이프부재(420)에 고정되는 브라켓트(361)에 볼트(362)가 너트(363)들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이 볼트(362)에 나사 체결되는 조절너트(464)의 단부에는 지지판(465) 사이에서 피봇(467)과 볼죠인트(466)를 매개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12.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226)(356)에는 레버(225)(355)의 후퇴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걸림홈부(227)(357)가 파여지고, 상기 작동체(224)(354)에는 스톱볼(S)의 접촉위치로 캠면(224a)(35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외전 보조기.
KR1019970057725A 1997-11-03 1997-11-03 분리식 외전 보조기 KR10025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25A KR100251653B1 (ko) 1997-11-03 1997-11-03 분리식 외전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25A KR100251653B1 (ko) 1997-11-03 1997-11-03 분리식 외전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94A KR19990038094A (ko) 1999-06-05
KR100251653B1 true KR100251653B1 (ko) 2000-06-01

Family

ID=1952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725A KR100251653B1 (ko) 1997-11-03 1997-11-03 분리식 외전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6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42B1 (ko) * 2002-11-18 2005-04-11 박인식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KR101340560B1 (ko) 2012-03-02 2013-12-12 이지휘 키 성장 촉진기구
KR101865061B1 (ko) * 2017-12-22 2018-06-07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대퇴부 착용식 소아용 고관절 교정장치
KR20190023162A (ko) * 2017-08-28 2019-03-08 오석환 보간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97B1 (ko) * 2017-10-25 2020-03-13 이성완 인체 다리 교정 장치
KR102340611B1 (ko) * 2019-09-16 2021-12-16 송동호 관절 교정장치
WO2023129054A1 (en) * 2021-12-27 2023-07-06 Bahcesehir Universitesi An abduction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42B1 (ko) * 2002-11-18 2005-04-11 박인식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KR101340560B1 (ko) 2012-03-02 2013-12-12 이지휘 키 성장 촉진기구
KR20190023162A (ko) * 2017-08-28 2019-03-08 오석환 보간 조절기
KR101999627B1 (ko) 2017-08-28 2019-07-12 오석환 보간 조절기
KR101865061B1 (ko) * 2017-12-22 2018-06-07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대퇴부 착용식 소아용 고관절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94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8514A (en) Knee brace
US5060640A (en) Knee brace
JPH0346746Y2 (ko)
US11628081B2 (en) Orthopedic device having a dynamic control system
US5658241A (en) Multi-functional dynamic splint
US4771768A (en) Controlled motion ankle fracture walker
KR100408747B1 (ko) 시상 조정되는 무릎 보조기
EP0404362B1 (en) Orthopaedic brace and motion control mechanism therefor
US4873967A (en) Knee orthosis
US20040267179A1 (en) Knee unloading orthotic device and method
US10357390B2 (en) Ankle foot tensioned orthosis
US8343083B1 (en) Auto-flex knee brace
JPH06189995A (ja) 膝関節矯正器
JPH01121048A (ja) 筋肉外転のための調節をもたらす整形外科用腰部ヒンジ装置
US20200246171A1 (en) Orthopedic Device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mplications
KR100251653B1 (ko) 분리식 외전 보조기
Kostuik et al. Van Nes rotational osteotomy for treatment of proximal femoral focal deficiency and congenital short femur
EP2179712B1 (de) Orthese zum gestreckten Halten flexibler knöcherner Strukturen
GB2163352A (en) An orthopaedic hip hinge for casts and orthoses
WO1995025489A1 (en) Multi-functional dynamic splint
US7147612B2 (en) Apparatus for correction of leg deformities
US3848589A (en) Traction splint
EP3810044B1 (en) Eccentric and polycentric articulated tensioning joint for orthopedic braces
DE102005035106A1 (de) Orthese
RU220271U1 (ru) Экзоскеле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