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642B1 -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 Google Patents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642B1
KR100481642B1 KR10-2002-0071538A KR20020071538A KR100481642B1 KR 100481642 B1 KR100481642 B1 KR 100481642B1 KR 20020071538 A KR20020071538 A KR 20020071538A KR 100481642 B1 KR100481642 B1 KR 10048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device
hip joint
bolt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307A (ko
Inventor
박인식
이영신
양신승
김봉옥
김동진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2002-007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6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4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liding movements, e.g. simulating movements of a natural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지지장치(1)와; 상기 허리 지지장치(1)의 엉덩이부 양측에 결합되며, 보행중 발생되는 양다리의 각도 변화를 조정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안정적인 상체지지와 허리지지가 가능한 구조의 고관절다축조절장치 (4)와;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각각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2개의 굴절각도를 갖는 신축성 내외전 보(3)와;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며, 허벅지에 착용하는 두 개의 허벅지 지지장치(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소아의 보행 중 발생하는 운동특성중 고관절과 슬관절의 하중 방향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 Multi-axial lower extremity orthosis for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본 발명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에게 발생되는 내전 및 외전에 의한 불편한 보행을 정상보행과 유사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은 하지 근육의 경직 때문에 하반신이 내전 및 외전이 발생되며 이는 불안하고 위험한 보행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내전 및 외전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기가 필요하며, 보조기를 통해서 정상아와 유사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조기를 사용하는 아동은 고관절 및 슬관절의 다축 운동이 가능하며, 서기, 걷기, 앉기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경학적으로 성숙되어 있어야 된다. 보조기는 기계적 구조로 작동되므로 보호자(성인) 및 치료자(의사)가 손쉽게 다룰 수 있어야 된다. 장시간 보조기를 사용하는 아동이 보조기 무게에 의한 피로를 줄이기 위해 소재 및 구조형상을 이용하여 경량화 해야된다. 장시간 사용에 의한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며, 손쉽게 수리가 가능해야 된다. 이러한 보조기를 사용해서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이 정상에 가까운 보행이 가능하고, 상지의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야 된다. 도1은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의 정지 및 보행시 발생되는 하지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써, (a)는 정상아의 하지형상으로 허벅지와 종아리의 형상이 지면과 직선으로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b)와 (c)는 경직성 장애아동의 하지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써 허벅지와 종아리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치하지 않으며, 허벅지가 내전 및 외전에 의한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다.
도2는 뇌성마비소아의 보조기 미착용 및 착용에 의한 하지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a)는 미착용 상태의 형상으로 내전된 모습을 보여주고 (b)는 보조기 착용상태의 형상으로 정상아동과 유사한 하지형상을 나타낸다.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2-8785호는 버팀대와 가동부인 착용각도 자동조절판을 두어 뼈의 굽은 각도에 따라 자동 조절되어 전체면적으로 압력이 분산되게 하였고 상하 2줄 조임 방식으로 형성된 다리교정기이며,
국내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6-3393호는 상방지지프레임에 허벅지 고정밴드를 고정하고, 지지프레임 하방에 발착용구를 유설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발착용구의 복사뼈 보호부를 실리콘으로 형성하고 지지프레임 중간부위에 고정시킨 정강이 당김밴드에 정강이 측면보호대를 고정케 하되, 정강이 당김 밴드를 매직테이프로 풀고 매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한 다리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버팀부가 고정식으로서 굽은 각도의 다양함에 적응할 수 없으며, 착용시 뼈의 굽은 각도와 버팀부의 착용각도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부분적인 압박으로 압박부위가 아파 오래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신축밴드는 장기간 사용 후에는 신축력이 떨어져 효과가 점점 저하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면 연결조인트가 마모되거나, 연결나사가 외부로 돌출되어 옷을 입거나 활동 중에 돌출된 연결나사에 의해 넘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정상적인 보행 또는 사용이 가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99-14086호 다리 및 발교정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경직성 소아의 내전 및 외전시 하중이 발생되는 내전력, 외전력을 지지할 수 있는 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직성 소아에게 발생되는 내전력 및 외전력을 정확하게 측정, 분석하여 분석된 값을 기초로 보조기를 개발한 것으로서, 허리지지장치, 허벅지 지지장치, 그리고 신축성 내외전 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축성 내외전 보는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므로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적당한 강도를 갖어야 한다. 두 개의 볼트로 체결되며 한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슬롯으로 가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신장변화 에 유동성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조건이 다른 환자(뇌성마비 소아)의 사용에 적합하다. 이러한 신축성 내외전 보는 임상실험을 통해 장애소아에게 발생되는 내전력을 분석한 후, 그 결과 값을 적용하여 제조된 다축 하지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허리 지지장치 및 허벅지 지지장치는 폴리프로필렌 재료로 제작된 플라스틱 재료이므로 조인트와의 연결부분에서 과도한 하중에 의해 소성 변형된다. 소성 변형된 면에서 반복적인 피로하중을 받으므로 쉽게 파손된다. 그러므로 응력분산판을 허벅지 지지장치와 허리지지장치 내에 삽입하여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지지장치(1)와; 상기 허리 지지장치(1)의 엉덩이부 양측에 결합되며, 보행중 발생되는 양다리의 각도 변화를 조정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안정적인 상체지지와 허리지지가 가능한 구조의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와;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각각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2개의 굴절각도를 갖는 신축성 내외전 보(3)와;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며, 허벅지에 착용하는 두 개의 허벅지 지지장치(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뇌성마비 소아의 보행 중 발생하는 운동특성중 고관절과 슬관절의 하중 방향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정상아와 장애아의 하지형상 비교 예, 도 2는 뇌성마비소아의 보조기 미착용 및 착용에 의한 하지형상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하지보조기의 착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 지지장치(2)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과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연결부(고관절 조인트)(A)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 허벅지 지지장치(2)의 연결부(슬관절 조인트)(B)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종래의 허벅지 지지장치 표면에 발생되는 항복영역 상세도, 도 10은 종래의 허벅지 지지장치 표면의 파손발생원인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허리 지지장치(1), 허벅지 지지장치(2), 신축성 내외전 보(3),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확장 보(10), 슬관절고정판(11), 통공(12,35,43), 슬라이더(13), 볼트통공(14,31,41), 길이조정 볼트(15), 슬관절 고정 볼트(16), 슬롯 보(20), 슬롯(21), 홈(22), 고관절 위치조정구멍(23), 고관절프레임(30), 컬러삽입홈(32), 관통공(33), 위치조정컬러(34), 위치조정 셋 스크류(36), 고관절조정볼트(37), 응력분산판(40), 슬라이딩저널(44), 고관절 조인트(A), 슬관절 조인트(B)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지지장치(1)와; 상기 허리 지지장치(1)의 엉덩이부 양측에 결합되며, 보행중 발생되는 양다리의 각도 변화를 조정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안정적인 상체지지와 허리지지가 가능한 구조의 고관절다축조절장치 (4)와;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각각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2개의 굴절각도를 갖는 신축성 내외전 보(3)와;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며, 허벅지에 착용하는 두 개의 허벅지 지지장치(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허리 지지장치(1)와 허벅지 지지장치(2)는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되며, 내부에 천과 솜으로 구성된 쿠션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통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에 슬관절 고정 볼트(16)로 결합되는 슬관절고정판(11)과, 상기 슬관절고정판(11)의 일측면에 직육면체형으로 돌출되며, 두 개의 볼트통공(14)이 형성된 슬라이더(13)로 구성된 확장 보(10)와; 상기 확장 보(10)의 슬라이더(13)에 길이조정 볼트(15)로 체결되며, 길이방향의 조종이 용이하도록 슬롯(21)과, 상기 확장 보(10)의 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ㄷ"형 홈(22)이 형성된 슬롯 보(20)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 보(20)의 다른 측부는 봉형상의 구조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관절 위치조정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에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장 보(10)와 슬롯 보(20)는 경량의 조건과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듀랄루민늄 으로 제작된다.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구조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 형성된 볼트통공(31)과, 상기 볼트통공(31)에 이웃하는 측부에 형성된 컬러삽입홈(32)과, 상기 컬러삽입홈(32)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33)으로 구성된 고관절프레임(30)과;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볼트통공(31)에 삽입되어 상기 허리지지장치(1)에 형성된 볼트홈(미도시)에 결합되며, 각도조정 및 위치고정이 가능한 고관절조정볼트(37)와;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컬러삽입홈(32)에 삽입되는 외측면 일측에 통공(35)이 형성된 링형상의 위치조정 컬러(34)와;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관통공과 위치조정 컬러(34)에 삽입되는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일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관절위치조정 구멍(23)과 상기 위치조정 컬러(34)에 형성된 통공(35)을 맞추어 강제 삽입하여 고정하는 위치조정 셋 스크류(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일측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볼트통공(41)이 형성된 응력분산판(40)과; 상기 응력분산판(40)에 형성된 볼트통공(41)부의 외측에 같은 크기의 통공(43)을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왼통형 구조의 슬라이딩저널(44)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저널(44)의 외륜은 높은표면조도를 가지며, 원활한 마찰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윤활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의 슬라이딩저널(44)을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확장보(31) 일측에 형성된 통공(12)에 삽입하여, 슬관절 고정볼트(16)를 확장보(31)과 슬라이딩저널(44)에 삽입, 응력분산판(40)에 체결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허리 지지장치(1)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는 각각의 작동특성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허리 지지장치(1)에 결착된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A)를 "고관절 조인트"라 칭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B)를 "슬관절 조인트"라 칭한다.
상기 고관절 조인트(A)와 슬관절 조인트(B)의 기능을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고관절 조인트(A)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내외전 보(3)의 고관절 연결부분은 원활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제작되었으며, 착용자의 보행폭을 조정하기 위해 신축성 내외전 보(3)의 길이 조정이 필요함에 따라 이러한 길이조정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4개 고관절 위치조정구멍(23)을 형성하고 위치조정컬러(34)와 위치조정 셋 스크류(36)로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에 체결된다.
종래의 기술은 위치조정 셋 스크류(36)가 봉 형상의 신축성 내외전 보(3)의 표면에 체결되어 잦은 사용에 의해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표면이 마모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봉 부분을 구멍으로 가공하여 위치조정 셋 스크류(36)에 의해 강제 삽입하여 체결하므로 잦은 사용에 의한 위치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며,
위치조정 컬러(34)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고관절 연결부분은 고관절 프레임(30)내부에 삽입되므로 보행중에 작용하는 회전운동만 허용하며 다른 운동을 구속하며, 고관절고정볼트(37)는 양쪽허벅지의 초기 폭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설치자(의사)의 판단에 의해 적합한 위치를 선정한 후 허리 지지창지(1)에 완전고정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각도로 조정이 가능하다.
슬관절 조인트(B)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력분산판(40)의 역할은 허벅지 지지장치(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보조기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관절 조인트가 작은 크기이며, 직접 허벅지 지지장치와 연결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슬관절 조인트 주변이 소성변형이 발생되고 파괴되며, 소성변형은 플라스틱 표면을 백색으로 변화시키며 크랙이 발생되고 진전하여 파손된다. 즉, 도 10과 같이 내전력(Adduction)과 외전력(Abduction)이 일정한 각도로 작용되며, 보행중에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플라스틱판과 슬관절 조인트의 연결부위에서 최대굽힘응력(Max. Bending Stress)이 작용된다. 그러므로 최대굽힘응력이 작용하는 부위에서 소성변형이 발생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응력분산판(40)이 사용된다. 응력분산판은 슬관절 조인트와 플라스틱 판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넓은 판에 의해 허벅지 지지장치(2)에 넓게 접착되어있으므로 집중적인 굽힘하중이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저널(44)의 역할은 안정된 왕복과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다축 하지보조기의 착용으로 장시간 보행시 슬관절 조인트에 반복적이며 복합적인 운동이 작용된다. 종래의 보조기는 슬라이딩 저널이 없으므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허벅지 지지장치(2)와 슬관절 고정 볼트(16)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Rivet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저널(44)를 사용하므로 슬관절 고정볼트(1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응력분산판(40)과 슬관절 고정볼트(43)는 강하게 볼트 체결된다. 그리고 확장보(31)의 접촉은 슬라이딩 저널(44)의 외륜에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저널(44)의 외륜은 오일레스 베어링과 같이 높은 표면조도를 갖으며, 원활한 마찰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윤활코팅이 되어 있다. 장시간 사용에 의해 슬라이딩 저널(44)의 윤활 코팅면이 손상되고 슬라이딩 저널(44)만 교환하면 손쉽게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은 고관절 및 슬관절의 다축 운동이 가능하며, 서기, 걷기, 앉기 등이 독립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신경학적으로 성숙되어 있어야 하며, 기계적 구조로 작동되므로 보호자(성인) 및 치료자(의사)가 손쉽게 다룰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는 아동이 보조기 무게에 의한 피로를 줄이기 위해 소재 및 구조형상을 이용하여 경량화 하였으며, 장시간 사용에 의한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었고, 손쉽게 수리가 가능하며, 경직성 뇌성마비아동도 정상에 가까운 보행이 가능하게 하고, 상지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정상아와 장애아의 하지형상 비교 예
도 2는 뇌성마비소아의 보조기 미착용 및 착용에 의한 하지형상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축 하지보조기의 착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 지지장치(2)의 분해 및 결합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과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연결부(고관절 조인트)(A)를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 내외전 보(3) 허벅지 지지장치(2)의 연결부(슬관절 조인트)(B)를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종래의 허벅지 지지장치 표면에 발생되는 항복영역 상세도
도 10은 종래의 허벅지 지지장치 표면의 파손발생원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허리 지지장치(1), 허벅지 지지장치(2), 신축성 내외전 보(3),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확장 보(10), 슬관절고정판(11), 통공(12,35,43), 슬라이더(13), 볼트통공(14,31,41), 길이조정 볼트(15), 슬관절 고정 볼트(16), 슬롯 보(20), 슬롯(21), 홈(22), 고관절 위치조정구멍(23), 고관절프레임(30), 컬러삽입홈(32), 관통공(33), 위치조정컬러(34), 위치조정 셋 스크류(36), 고관절조정볼트(37), 응력분산판(40), 슬라이딩저널(44), 고관절 조인트(A), 슬관절 조인트(B)

Claims (6)

  1. 본 발명은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 지지장치(1)와; 상기 허리 지지장치(1)의 엉덩이부 양측에 결합되며, 보행중 발생되는 양다리의 각도 변화를 조정할 수 있고 앉은 자세에서 안정적인 상체지지와 허리지지가 가능한 구조의 고관절다축조절장치 (4)와;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 각각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2개의 굴절각도를 갖는 신축성 내외전 보(3)와;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며, 허벅지에 착용하는 두 개의 허벅지 지지장치(2)로 구성되며,
    상기 허리 지지장치(1)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와,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에 각각의 작동특성에 부합하는 고관절 조인트(A)와 슬관절 조인트(B)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는 일측에 통공(12)이 형성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에 슬관절 고정 볼트(16)로 결합되는 슬관절고정판(11)과, 상기 슬관절고정판(11)의 일측면에 직육면체형으로 돌출되며, 두 개의 볼트통공(14)이 형성된 슬라이더(13)로 구성된 확장 보(10)와; 상기 확장 보(10)의 슬라이더(13)에 길이조정 볼트(15)로 체결되며, 길이방향의 조종이 용이하도록 슬롯(21)과, 상기 확장 보(10)의 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ㄷ"형 홈(22)이 형성된 슬롯 보(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다축조절장치(4)는 일측부에 형성된 볼트통공(31)과, 상기 볼트통공(31)에 이웃하는 측부에 형성된 컬러삽입홈(32)과, 상기 컬러삽입홈(32)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33)으로 구성된 고관절프레임(30)과;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볼트통공(31)에 삽입되어 상기 허리지지장치(1)에 형성된 볼트홈(미도시)에 결합되며, 각도조정 및 위치고정이 가능한 고관절조정볼트(37)와;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컬러삽입홈(32)에 삽입되는 외측면 일측에 통공(35)이 형성된 링형상의 위치조정 컬러(34)와; 상기 고관절프레임(30)에 형성된 관통공과 위치조정 컬러(34)에 삽입되는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일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관절위치조정 구멍(23)과 상기 위치조정 컬러(34)에 형성된 통공(35)을 맞추어 강제 삽입하여 고정하는 위치조정 셋 스크류(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는 내측면 일측에 삽입되며, 중앙부에 볼트통공(41)이 형성된 응력분산판(40)과; 상기 응력분산판(40)에 형성된 볼트통공(41)부의 외측에 같은 크기의 통공(43)을 형성하며 외측으로 돌출된 왼통형 구조의 슬라이딩저널(44)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저널(44)의 외륜은 높은표면조도를 가지며, 원활한 마찰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윤활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장치(1)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고관절 조인트)(A)는 일측부가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고관절 위치조정 구멍(23)이 형성된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슬롯 보(20)와 고관절다축조절장치(4)의 위치고정컬러(41)가 위치 조정 셋 스크류(36)에 의해 동시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와 신축성 내외전 보(3)의 연결부(슬관절 조인트)(B)는 신축성 내외전 보(3)의 확장 보(10)에 허벅지 지지장치(2)의 슬라이딩 저널(44)이 삽입되어, 상기 확장 보(10)와 슬라이딩 저널(44)의 외륜부가 접촉되며,
    상기 허벅지 지지장치(2)의 내측에 형성된 응력을 분산하는 응력분산판(40)과 상기 신축성 내외전 보(3)의 확장 보(10)가 슬관절 고정 볼트(16)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KR10-2002-0071538A 2002-11-18 2002-11-18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KR10048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38A KR100481642B1 (ko) 2002-11-18 2002-11-18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538A KR100481642B1 (ko) 2002-11-18 2002-11-18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07A KR20040043307A (ko) 2004-05-24
KR100481642B1 true KR100481642B1 (ko) 2005-04-11

Family

ID=3733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38A KR100481642B1 (ko) 2002-11-18 2002-11-18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5080B2 (en) 2015-11-26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87B1 (ko) * 2012-10-05 2013-12-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상태 분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보행 불균형 평가 장치
KR102250238B1 (ko) * 2014-08-18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423702B1 (ko) * 2015-09-04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865061B1 (ko) * 2017-12-22 2018-06-07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대퇴부 착용식 소아용 고관절 교정장치
KR102176050B1 (ko) * 2019-04-11 2020-11-06 한지훈 보행기를 이용한 어린이 보행훈련 제어 시스템
CN110251365A (zh) * 2019-06-12 2019-09-20 中北大学 一种球面外骨骼髋关节康复机构
WO2023063699A1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구성 가능한 운동 보조 장치
CN114028176A (zh) * 2021-12-16 2022-02-11 青岛科技大学 一种多自由度下肢康复外骨骼机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452A (en) * 1989-03-24 1990-11-13 Petrofsky Research, Inc. Orthosis for assistance in walking
WO1992016177A1 (en) * 1991-03-13 1992-10-01 Polycane Australia Pty. Ltd. Walking aid
JPH04352961A (ja) * 1991-05-31 1992-12-08 Kawasaki Heavy Ind Ltd 歩行補助装置
JPH06114089A (ja) * 1992-07-02 1994-04-26 Gijutsu Kenkyu Kumiai Iryo Fukushi Kiki Kenkyusho 両側長下肢装具
KR960003393U (ko) * 1994-06-30 1996-01-22 수직편향 집적회로의 과열시 브이-홀드 보정회로
US6039707A (en) * 1999-02-16 2000-03-21 Crawford; Michael K. Pelvic support and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0251653B1 (ko) * 1997-11-03 2000-06-01 최인호 분리식 외전 보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452A (en) * 1989-03-24 1990-11-13 Petrofsky Research, Inc. Orthosis for assistance in walking
WO1992016177A1 (en) * 1991-03-13 1992-10-01 Polycane Australia Pty. Ltd. Walking aid
JPH04352961A (ja) * 1991-05-31 1992-12-08 Kawasaki Heavy Ind Ltd 歩行補助装置
JPH06114089A (ja) * 1992-07-02 1994-04-26 Gijutsu Kenkyu Kumiai Iryo Fukushi Kiki Kenkyusho 両側長下肢装具
KR960003393U (ko) * 1994-06-30 1996-01-22 수직편향 집적회로의 과열시 브이-홀드 보정회로
KR100251653B1 (ko) * 1997-11-03 2000-06-01 최인호 분리식 외전 보조기
US6039707A (en) * 1999-02-16 2000-03-21 Crawford; Michael K. Pelvic support and walking assistanc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5080B2 (en) 2015-11-26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307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210B2 (en) Multi-fit orthotic and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KR970010541B1 (ko) 자세 및 운동 기능의 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장치
US8308671B2 (en) Knee orthosis
US8308669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
US9089403B2 (en) Knee orthosis with hinged shin and thigh cuffs
DE60207069D1 (de) Therapeutische und/oder übungsvorrichtung für die unteren gliedmassen einer person
US20200253774A1 (en) Ankle Brace or Ankle Exoskeleton
CN113143698B (zh) 一种具有腰部矫形的下肢外骨骼
KR100481642B1 (ko)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재활을 위한 다축 하지보조기
KR101642459B1 (ko) 고관절 탈구 방지 보호대
CN112603759A (zh) 一种用于下肢截瘫患者的外骨骼机器人
US11529280B2 (en) Exoskeleton and mounting arrangement
CN113476796B (zh) 髋关节矫形训练器
Konz et al. Effect of restricted spinal motion on gait
KR20220003524A (ko) 웨어러블 보조 장치
CN214596419U (zh) 一种下肢助残外骨骼机器人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KR102014538B1 (ko) 골반 및 고관절 회전 조절이 가능한 보조기
Zhang et al. Mechanical design of an exoskeleton with joint-aligning mechanis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R20190135812A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TWI706800B (zh) 膝關節輔具
CN214908762U (zh) 一种摇摆步态辅助矫正装置
CN115645233A (zh) 面向老年肌少症患者的柔性可控膝关节助力器
US20200085605A1 (en) Brace for aiding the handling of a limb of a patient
SU1509066A1 (ru) Крепление протеза бедра по Б.И.Шувалов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