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085B1 -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085B1
KR100250085B1 KR1019960080295A KR19960080295A KR100250085B1 KR 100250085 B1 KR100250085 B1 KR 100250085B1 KR 1019960080295 A KR1019960080295 A KR 1019960080295A KR 19960080295 A KR19960080295 A KR 19960080295A KR 100250085 B1 KR100250085 B1 KR 10025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view
view mirror
outside rear
transparent glas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927A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0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14); 상기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14)에 근접하여 배설되는 투명유리(16); 상기 투명 유리(16)의 내부에 내장되는 다수의 금속 러스터(18);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유리 (16)의 내측에는 램프(20)가 제공되어 턴시그날 램프와 함께 점등된다.

Description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사각지대의 범위를 최소화하므로써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을 개선하며 차선변경시 측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운전자가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불측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outside Rear View Mirr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 후방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리어뷰를 미러가 사용되고, 리어뷰 미러는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와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로 나누어 지게 된다.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는 차실 내부에 제공되어 차체 직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에는 하나의 평렌즈가 설치된다. 평렌즈의 각도는 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절되거나 차실내에 제공되는 조절용 손잡이를 통하여 조절되거나 또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있어서는, 평렌즈가 사용되기 때문에, 미러를 통하여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어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측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불측의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지대의 범위를 최소화하므로써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을 개선하며 차선변경시 측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운전자가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불측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의 세부구조를 나타낸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12 : 하우징
14 :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16 : 투명유리
18 : 금속 러스터 20 : 램프
22 : 광학렌즈
본 발명은 일면에 따라,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구 일측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상기 하우징의 개방구 타측에서 상기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와 인접하도록 배설되는 투명유리; 상기 투명유리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금속 러스터; 및, 상기 투명유리의 내측에 배열되어 턴시그날 램프와 함께 점등되는 램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의 측방에 다수의 금속 러스터가 내장된 투명유리가 설치되므로써 사각지대의 범위가 최소화되어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이 개선되며; 투명유리의 내측에 램프가 설치되어 턴시그날 램프와 함께 점등되므로써, 측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차선변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불측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고, 도면 전제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여;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10)는 하우징(12)을 포함 하고, 차체측에 근접한 상기 하우징(12)의 부분에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14)가 조절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자체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14)의 측방에서 상기 하우징(12)에는 투명유리(16)가 설치되며, 투명유리(16)의 내부에는 다수의 금속 러스터(18)가 내장된다. 상기 금속 러스트(18)들은 금속 광택제로 구성된 다수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금속 러스트(18)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투명유리(16) 내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금속 러스터(18)는 사각지대 부분의 시야를 운전자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각지대의 범위가 최소화되어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명유리(16)의 내면에는 광학렌즈(22)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학렌즈(22)는 상기 금속 러스터(18)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투명유리(16)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12)에는 램프(20)가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램프(20)는 차량의 턴시그날 램프와 함게 점등된다. 따라서, 차선변경시 측방에서 주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아웃사이드 러어뷰 미러의 일측 내부에 설치된 램프가 턴시그날 램프와 연동하여 점등됨으로써, 측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변경신호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의 금속 러스터를 통하여 운전자의 시인성 및 시계성이 향상됨으로써, 측방차량의 운행상태를 운전자가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갑작스련 차선변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불측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RP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구 일측에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상기 하우징의 개방구 타측에서 상기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와 인접하도록 배설되는 투명유리; 상기 투명유리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수의 금속 러스터; 및, 상기 투명유리의 내측에 배열되어 턴시그날 램프와 함께 점등되는 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KR1019960080295A 1996-12-31 1996-12-31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KR10025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295A KR100250085B1 (ko) 1996-12-31 1996-12-31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295A KR100250085B1 (ko) 1996-12-31 1996-12-31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27A KR19980060927A (ko) 1998-10-07
KR100250085B1 true KR100250085B1 (ko) 2000-04-01

Family

ID=1949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295A KR100250085B1 (ko) 1996-12-31 1996-12-31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08B1 (ko) * 1998-09-02 2006-07-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20040025238A (ko) * 2002-09-19 2004-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 아웃사이드 미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27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28B1 (en) Safety light
JPH09175268A (ja) サイド点滅ランプやサイドマーカーランプとして使用可能なサイドランプ
KR100250085B1 (ko)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
KR20024849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0134007B1 (ko) 자동차용 안전밀러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235272Y1 (ko) 사각지대 해소용 사이드 미러
KR910000885Y1 (ko) 자동차용 백밀러
KR19980044687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JPH1134743A (ja) バックミラーライト
KR19980028818U (ko) 자동차의 룸미러
KR960005393Y1 (ko) 자동차용 백밀러 부착형 방향 지시등
KR19990001513U (ko) 사각제거 사이드 밀러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200262824Y1 (ko) 차량용 다기능 룸미러
KR950011222A (ko) 자동차용 백밀러
KR19990010462U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KR19980078779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어셈블리
KR19980042644U (ko) 차량용 리어미러
KR19980031069U (ko) 반사경이 설치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52204A (ko) 자동차용 프론트 필러 트림 구조
KR19980012235U (ko) 차량용 볼록형 인사이드미러
KR19980017142U (ko) 자동차의 사이드밀러구조
KR20000006640U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