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322B1 - 잉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잉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322B1
KR100248322B1 KR1019970070148A KR19977000148A KR100248322B1 KR 100248322 B1 KR100248322 B1 KR 100248322B1 KR 1019970070148 A KR1019970070148 A KR 1019970070148A KR 19977000148 A KR19977000148 A KR 19977000148A KR 100248322 B1 KR100248322 B1 KR 10024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porous body
chamber
housing
ink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챔버와 부압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부압챔버안에는 액체 잉크가 침지되어 있는 다공질체가 있으며, 이 다공질체는 그의 정부표면과 부압챔버의 내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정부표면에서 마운드를 갖고 있다. 균일한 통로를 통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벤트 및 잉크 배출포트가 동일 평면내에서 부압챔버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통의 시일 테이프로 시일링된다.

Description

잉크 카트리지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 구체적으로 말하면, 부압챔버(negative pressure chamber)를 갖는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고하면, 참조번호 “120”으로 표시된 제 1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출구 (128) 가 있는 하우징 (124), 벤트 (125) 가 있는 캡 (126), 상기 하우징 (124) 안에 들어있으며 액체 잉크가 침지되는 다공질체 (123) 및, 상기 잉크출구 (128) 와 다공질체 (123) 사이에 배치되어, 잉크출구 (128) 를 통해 공급되는 잉크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122)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일본 특개평 2(1990)-34351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잉크가 벤트 (125) 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한 공간부 (127) 가 다공질체 (123) 와 캡 (126) 사이에 마련되어있다. 이 잉크 카트리지 (120) 의 구성은, 결합된 리코딩 헤드가 움직임으로 해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액체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다공질체 (123) 에 스며들 수 있는 최대 액체잉크량이 100% 라고 가정하면, 일반적으로 액체 잉크는, 잉크가 리코딩 헤드의 움직임으로 인해 벤트 (125) 를 통해 다공질체 (123) 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약 80% 의 양으로 다공질체 (123) 에 스며들게 된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24) 이 누워있을 때는 잉크누출의 방지는 상기 구성으로 가능하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설치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경우가 있다. 한 경우는, 상기 다공질체 (123) 에 액체 잉크를 침지시킨 후 이 다공질체를 설치하는 것이고, 다른 경우는, 다공질체 (123) 를 하우징 (124) 안에 위치시킨 다음에 이 다공질체 (123) 에 액체 잉크를 침지시키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 접착 또는 초음파 결합의 어려움 때문에 이와 같은 접착 또는 초음파 결합기술 대신에, 일반적으로 상기 캡 (126) 은 시일링을 위해 O-링을 써서 하우징 (124) 에 스크류결합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캡 (126) 을 하우징에 장착하는데 있어 접착 또는 초음파 결합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캡과 하우징간의 시일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장착 후에 접착제를 발라야 한다. 다음에, 필터를 통하여 다공질체안으로 액체 잉크를 인젝터 니들로 주입시킨다.
상기 제 1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에서, 캡 (126) 이 장시간 아래로 향한채 잉크 카트리지가 위치하면, 하우징 (124) 에 그의 축선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면, 다공질체 (123) 에 침지된 액체 잉크의 양이 거의 100% 이면, 또는 100% 을 초과하는 양의 잉크가 하우징 (124) 에 주입이 되면, 액체 잉크는 캡 (126) 의 내측벽 표면을 지나면서 벤트 (125) 를 통해 누출하게 되며, 이 결과, 리코딩 장치의 내부 또는 리코딩 시이트상이 오염이 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0”으로 표시된 제 2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는 하우징 (101), 벤트 (106) 가 있는 캡 (108), 액체 잉크를 침지시키기 위해 예컨데 우레탄으로 만들어진 다공질체 (104), 폴리에틸렌 수지로 만들어지며 상기 다공질체 (104) 와 벤트 (106) 사이에 위치하여 이 벤트 (106) 와 접촉하게 되는 방수 다공질체 (103) 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 잉크는 상기 방수 다공질체 (103) 에는 침지되지 않으며 이로써 이 다공질체의 3차원 구조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잉크누출의 가능성은 극히 작아지게 된다. 또한, 방수 다공질체 (103) 가 잉크의 고착으로 막히게 되더라도, 공기의 순환은 이 방수 다공질체 (103) 의 다공성 구조로 보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즉, 전체 잉크챔버안에 다공질체가 있음으로 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용적이 커지게 되고, 액체 잉크는 카트리지 전체 용적의 기껏해야 수십 퍼센트의 양만 수용될 수 있다. 일본 특개평 8(1996)-174858 호에서 소개된 제 3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에서는 다공질체를 위한 공간이 더 작다. 도 3 을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3 종래기술의 잉크 카트리지 (200) 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챔버 (203) 를 한정하는 하우징 (201) 과, 내부 포트 (205) 를 통해 잉크챔버 (203) 와 통하며 액체 잉크로 침지된 다공질체 (204) 를 내장하는 부압챔버 (202) 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201) 은 잉크포트 (207) 및, 확장된 통로부 (211) 를 갖고 있는 통로 (206) 를 통해 부압챔버 (202) 와 통하고 있는 벤트 (212) 를 갖고 있다. 상기 확장된 통로부 (211) 는 벤트 (212) 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다공질체가 없는 잉크챔버 (203) 는 잉크 카트리지에 수용될 액체 잉크의 양을 증가시켜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하우징의 구성으로도 잉크가 벤트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제 1 종래기술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2 은 제 2 종래기술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 은 제 3 종래기술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다공질체에 대한 상세도.
도 6a 및 6b 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잉크 카트리지 11 : 하우징
12 : 잉크챔버 13 : 부압챔버
14 : 다공질체 15 ; 공간부
16 : 구멍 17 : 공기통로
18 : 벤트 19 : 잉크 배출포트
20 : 필터 21 : 시일 테이프
31 : 마운드(mound)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제 1 챔버 및 이 제 1 챔버와 연통하는 제 2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 2 챔버안에 내장되며 그의 정부표면과 제 2 챔버의 내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정부표면에서 마운드를 갖고 있는 다공질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이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벤트와 액체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배출포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다공질체의 마운드는 이 다공질체와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서 공간부를 형성 및 유지시킴으로써, 다공질체와 벤트용 통로의 접촉이 방지된다. 그 결과, 벤트를 통한 잉크 누출이 생기지 않는다.
위와 같은 사항 및 여타의 목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잘 알 수 있을 거이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10) 는 하우징 (11) 과 다공질체 (14)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안에는,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제 1 챔버인 잉크챔버 (12) 및 분리벽 (22) 에 의해 이 잉크챔버 (12) 로부터 분리된 제 2 챔버인 부압챔버 (negative pressure chamber: 1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은 잉크챔버 (12) 와 부압챔버 (13) 를 서로 연통시켜주는 연결포트 (23) 를 갖고 있다. 상기 다공질체는 액체 잉크를 침지하기 위해 부압챔버 (13) 안에 들어있다. 다공질체 (14) 는, 이 다공질체 (14) 의 정부표면과 하우징 (11) 의 내벽사이에 공간부 (15) 가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다공질체 (14) 의 각 다른 표면의 전체 부위는 하우징 (11) 의 내벽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하우징 (11) 은 부압챔버 (13) 의 바닥의 중앙부에서 잉크 배출포트 (19) 를 갖고 있다. 이 잉크 배출포트 (19) 는, 부압챔버 (13) 안에 있는 다공질체 (14) 에 침지되어 있는 액체 잉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필터 (20) 를 통해 다공질체 (14) 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11) 은 이 하우징 (11) 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벤트 (18) 를 갖고 있으며, 이 벤트는 공기통로 (17) 를 통해 부압챔버 (13) 내의 상기 공간부 (15) 와 연통해 있다. 상기 공기통로는 공간부 (15) 에서 구멍 (16) 을 갖고 있다. 상기 잉크 배출포트 (19) 와 벤트 (18) 는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내에서 하우징 (11) 의 바닥에 위치하며, 잉크 카트리지가 사용되기 전에 시일 테이프 (21) 로 시일링되어 있다. 공기통로 (17) 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작동에서, 액체 잉크가 잉크 배출포트 (19) 를 통해 배출된 후에, 부압챔버 (13) 내의 공간부 (15) 의 압력은 부압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로써 공기가 벤트 (18) 와 통로 (17) 를 지나 유입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에 부압이 발생함으로써, 다공질체 (14) 에 침지되어 있는 액체 잉크는 통로 (17) 와 벤트 (18) 를 통해 잉크 카트리지 밖으로 누출되지 못하게 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다공질체 (14) 는 그의 정부표면에 있는 마운드 (31) 를 제외하고는 육면체로 되어 있다. 다공질체는 제조 직후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최대 높이 (h1) 와 최소 높이 (h3) 를 가지며, 또한 다공질체 (14) 는 부압챔버 (13) 안에 놓인 후에는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최대 높이 (h2) 을 갖는다. 여기서, h3<h2<h1 이다. 높이 (h1) 와 높이 (h2) 사이의 부위 (32) 는 하우징 (11) 의 내벽에 의해 밑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다공질체 (14) 는 그의 정부(top)에서 절두원추형으로 되며, 이 결과 부압챔버 (13) 안에 상기 공간부 (15) 가 형성되게 된다.
다공질체 (14) 의 바닥에서 마운드 (31) 의 정부 (31a) 의 직하방에 있으면서잉크 배출포트 (19) 의 근처에 있는 부위는 챔버의 내벽에 의해 가장 강하게 힘을 받게 되는데, 이 결과 다공질체 (14) 의 모세관 작용이 상기 부위에서 강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는, 다공질체 (14) 에 침지된 액체 잉크가 잉크 배출포트 (19) 쪽으로 향하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도 4 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에 대한 변형예들을 보여주는 도 6a 및 6b 의 부분 단면도를 참조하면, 벤트 (41, 42) 는 부압챔버 (13) 밖에서 하우징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도 6a 및 6b 에서 도 4 에서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지정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단일의 시일 테이프가 잉크 배출포트와 벤트 모두에 대해 시일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이들 변형예는 도 4 의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주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들은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내지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질체의 마운드가 이 다공질체와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서 공간부를 형성 및 유지시킴으로써, 다공질체와 벤트용 통로간의 접촉이 방지되고, 그 결과, 벤트를 통한 잉크 누출이 생기지 않는다.

Claims (6)

  1. 액체 잉크를 수용하는 제 1 챔버 및 이 제 1 챔버와 연통하는 제 2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 2 챔버안에 내장되며 그의 정부표면과 제 2 챔버의 내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정부표면에서 마운드를 갖고 있는 다공질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이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벤트 및, 액체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배출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통로를 통해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포트는 상기 마운드의 정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와 상기 잉크 배출포트는 동일 평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와 상기 잉크 배출포트는 단일의 시일요소로 시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드는 상기 제 2 챔버의 내벽으로 부터 추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KR1019970070148A 1996-12-17 1997-12-17 잉크 카트리지 KR100248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7326 1996-12-17
JP8337326A JPH10166610A (ja) 1996-12-17 1996-12-17 インク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322B1 true KR100248322B1 (ko) 2000-04-01

Family

ID=183075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148A KR19980064278A (ko) 1996-12-17 1997-12-17 잉크 카트리지
KR1019970070148A KR100248322B1 (ko) 1996-12-17 1997-12-17 잉크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148A KR19980064278A (ko) 1996-12-17 1997-12-17 잉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49085A3 (ko)
JP (1) JPH10166610A (ko)
KR (2) KR19980064278A (ko)
CN (1) CN1072119C (ko)
AU (1) AU722862B2 (ko)
CA (1) CA2224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957B2 (ja) * 1998-03-30 2005-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6270207B1 (en) 1998-03-30 2001-08-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remaining ink volume detection method
US20030107626A1 (en) 2000-08-16 2003-06-12 Xiao Qingguo Ink cartridge having bellows valve, ink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used thereof
US6935730B2 (en) 2000-04-03 2005-08-30 Unicorn Image Products Co. Ltd. Of Zhuhai One-way valve, valve unit assembly, and ink cartridge using the same
US6250749B1 (en) * 2000-07-14 2001-06-26 Xerox Corporation Ink cartridge with overflow conduit
KR20040020147A (ko) * 2002-08-29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카트리지
JP4277276B2 (ja) 2004-01-30 2009-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CN2741774Y (zh) * 2004-08-10 2005-11-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恒压墨盒
US7380926B2 (en) * 2005-04-20 2008-06-03 Studer Anthony 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inkjet pens
CN2910571Y (zh) * 2006-03-24 2007-06-13 浙江天马电子科技有限公司 带墨盒架的墨盒
CN102015314B (zh) * 2008-05-13 2014-10-29 惠普开发有限公司 部分填充的墨液盒
CN103144437B (zh) * 2013-03-06 2015-04-29 佛山市三水盈捷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墨盒
ES2604681B2 (es) * 2015-09-08 2017-08-23 Aigoleo Limited Cartucho para impresoras
JP6843419B2 (ja) * 2016-07-20 2021-03-17 株式会社エヌテックス インクカートリッジ
WO2019013753A1 (en) * 2017-07-10 2019-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FLUID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205B2 (ja) * 1989-01-13 1997-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3232626B2 (ja) * 1992-03-06 2001-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ブロック
EP0685340B1 (en) * 1994-05-31 1999-08-1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cartridge and seal structure thereof
US6350027B1 (en) * 1995-07-24 2002-02-26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structure
US5821964A (en) * 1996-07-24 1998-10-13 Dataproducts Corporation Cartridge for supplying liquid to a print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379A (zh) 1998-06-24
CA2224961A1 (en) 1998-06-17
EP0849085A3 (en) 1999-02-17
EP0849085A2 (en) 1998-06-24
AU722862B2 (en) 2000-08-10
CN1072119C (zh) 2001-10-03
AU4840397A (en) 1998-06-18
JPH10166610A (ja) 1998-06-23
KR19980064278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322B1 (ko) 잉크 카트리지
EP1022144B1 (en) Ink tank and ink supply device for use in ink jet printer
JP351397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985062B2 (ja) 通気手段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のカートリッジ
US20030043241A1 (en) Ink absorbent, ink tank, ink jet cartridge,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absorb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tank
EP1466739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KR100438702B1 (ko) 잉크 카트리지
US20060012651A1 (en) Inkjet cartridge
JPH09109415A (ja)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50020495A (ko) 잉크카트리지
US20030067521A1 (en) Ink housing device effectively preventing ink leakage
US5667063A (en) Container for recording head
US639061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cartridges
JPH07314712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
US20210293647A1 (en) Housing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device
JP2007152856A (ja) 液体カートリッジ
JP200112171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315981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503080B1 (ko) 잉크 카트리지
KR960007794Y1 (ko) 리저버 캡(reservoir cap)
JPH0948137A (ja) 液体貯蔵容器
KR100277008B1 (ko)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 탱크의 오일누유 방지구조
KR200155753Y1 (ko) 오일탱크 밀봉장치
JPH10305772A (ja) 作動液リザーバ
KR20000015528A (ko)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의 누유방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