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154B1 - 식각용액 - Google Patents

식각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154B1
KR100248154B1 KR1019970065128A KR19970065128A KR100248154B1 KR 100248154 B1 KR100248154 B1 KR 100248154B1 KR 1019970065128 A KR1019970065128 A KR 1019970065128A KR 19970065128 A KR19970065128 A KR 19970065128A KR 100248154 B1 KR100248154 B1 KR 100248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etching solution
dummy wafer
dielectric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948A (ko
Inventor
정상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6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1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패시터 형성 공정에서 유전체로 사용되는 고유전물질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에 증착장비 및 모니터링이 완료된 더미웨이퍼 등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하기에 적당한 식각용액에 관한 것으로,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식각용액인 HF 와 HNO3의 혼합액을 이용한 것이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본 발명의 식각용액으로 습식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각용액
본 발명은 식각용액(etcha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패시터 형성 공정에서 유전체로 사용되는 고유전물질 증착 공정이 완료된 후에 반도체 장비 및 모니터링이 완료된 더미웨이퍼 등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하기에 적당한 식각용액에 관한 것이다.
캐패시터의 유전체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는 산화탄탈늄(Ta2O5) 또는 PZT(Pb(Zr Ti)O3) 또는 BST((Ba Sr)TiO3) 등의 고유전성 물질을 사용된다.
이 캐패시터의 유전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 수개의 메인웨이퍼와 모니터용 더미웨이퍼가 함께 증착장비 내의 튜브로 이송되어져서 유전체 형성공정이 진행된다. 반도체 캐패시터의 하부전극과 상부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유전체로는 산화탄탈늄(Ta2O5)이 주로 사용된다. 이 캐패시터의 유전체 제조는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 또는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으로 진행되며, 튜브 내에 Ta(OC2H5)5와 O2가스가 소오스원으로 작용하여 산화탄탈늄(Ta2O5)이 형성된다.
이 후, 유전체인 산화탄탈늄이 형성된 다 수개의 메인웨이퍼는 증착장비에서 다음 공정이 진행될 장비로 이송되며, 더미웨이퍼의 유전체 두께 및 표면에 파티클이 잔류된 정도나 스크래치 등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공정의 불량여부를 체크한다.
이 때,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증착장비인 튜브 또는 웨이퍼보오트 등의 장비부품에 산화탄탈늄 형성 시 이용되는 MO소오스(Metal Organic Source)나 가스 또는 그 반응생성물 등이 다량 형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캐패시터의 유전체 증착공정이 진행된 튜브나 웨이퍼보오트 등의 증착장비 및 모니터가 완료된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별도로 제거할 수없어 공정이 진행된 후에는 폐기해야 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전체 형성 공정이 진행된 후에 증착에 사용되었던 장비나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각용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증착장비나 더미웨이퍼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식각용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캐패시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산화탄탈늄 형성 시에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에 잔류된 증착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식각용액으로는 HF 와 HNO3의 혼합액을 이용한 것이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각용액을 이용하여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각용액을 이용하여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를 세정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식각용액으로는
증착장비 내에서 더미웨이퍼 및 다 수개의 메인웨이퍼에 캐패시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산화탄탈늄(Ta2O5)을 형성하며, 이 산화탄탈늄 형성공정은 통상 PECVD방법 또는 LPCVD방법으로 형성한다. 이 후, 유전체인 산화탄탈늄이 형성된 다 수개의 메인웨이퍼는 증착장비에서 다음 공정이 진행될 장비 내로 이송되며, 더미웨이퍼의 유전체 두께 및 표면에 파티클이 잔류된 정도나 스크래치 등의 상태를 측정하여 모니터한다.
이 때, 증착공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튜브나 웨이퍼보오트 등의 증착장비 및 모니터가 완료된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이 다량 묻어져 있으며, 이 증착물질은 이 후의 파티클의 주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튜브나 웨이퍼보오트 등의 증착장비 및 모니터가 완료된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데, 이는 본 발명의 식각용액을 이용하여 도 1과 같이, 습식처리한다.
본 발명의 식각용액으로는 HF 와 HNO3의 혼합액으로, 그 혼합비율은 1:5 ∼ 1:50 으로 약 30 ∼ 110℃ 의 온도범위를 유지시킨다.
용액 온도 식각비(Å/min)
HF 25℃ 0.20
HF 25℃ 9.24
HF/HNO 3 30℃ 84.22
SC-2 70℃ 0.25
SC-2 80℃ 0.19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HF / HNO3의 혼합액을 이용할 경우에 다른 식각용액에 비해 탁월한 식각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SC-1(Standard Cleaning -1)은 암모이나수와 과산화수소수와 순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그리고 SC-2(Standard Cleaning -2)는 염산과 과산화수소수와 순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지칭한다.
그리고 HF / HNO3의 혼합액을 이용한 식각비 84.22(Å/min)는 30℃ 의 온도에서 HF / HNO3(1:19)의 혼합비를 이용한 수치지만, 식각용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그 식각비는 커진다. 보통, 혼합액의 온도범위는 30 ∼ 110℃ 이고, 혼합비율은 HF : HNO3이 1:5 ∼ 1:50 혼합비율을 갖을 경우 식각효과가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각용액인 HF / HNO3을 이용하여 장비 세척 및 더미웨이퍼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캐패시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산화탄탈늄층 형성공정 시, 공정 진행 중 더미웨이퍼나 튜브 등의 장치부품에 형성된 증착물질을 HF / HNO3의 혼합액으로 습식처리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반도체 캐패시터의 유전체로 사용되는 산화탄탈늄 형성 시에 증착장비 및 더미웨이퍼에 잔류된 증착물질을 제거하는 데 있어서,
    상기 증착물질 제거는 HF 와 HNO3의 혼합액을 이용한 것이 특징인 식각용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의 온도범위는 30 ∼ 110℃ 인 것이 특징인 식각용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HF : HNO3이 1:5 ∼ 1:50 혼합비율을 갖는 것이 특징인 식각용액.
KR1019970065128A 1997-12-02 1997-12-02 식각용액 KR10024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28A KR100248154B1 (ko) 1997-12-02 1997-12-02 식각용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28A KR100248154B1 (ko) 1997-12-02 1997-12-02 식각용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48A KR19990046948A (ko) 1999-07-05
KR100248154B1 true KR100248154B1 (ko) 2000-03-15

Family

ID=1952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28A KR100248154B1 (ko) 1997-12-02 1997-12-02 식각용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65B1 (ko) * 2001-12-27 2004-08-11 동부전자 주식회사 Cif3을 이용한 더미 웨이퍼의 스트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06B1 (ko) * 2001-01-06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설비의 백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65B1 (ko) * 2001-12-27 2004-08-11 동부전자 주식회사 Cif3을 이용한 더미 웨이퍼의 스트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4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3429B1 (en) Dry etching of metal film
US5817578A (en) Method of cleaning vacuum processing apparatus
US6796314B1 (en) Using hydrogen gas in a post-etch radio frequency-plasma contact cleaning process
KR100347648B1 (ko) 포토레지스트및에칭잔류물제거방법
US6436723B1 (en) Etching method and etch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1376897B1 (ko) 액체 메니스커스를 이용한 포스트 에칭 웨이퍼 표면 세정
US20010053585A1 (en) Cleaning process for substrate surface
KR20020007604A (ko) 반도체 기판 또는 lcd 기판의 세정방법
CN101421829A (zh) 包括对低介电常数材料进行非原位背侧聚合物去除的等离子体电介质蚀刻处理
JP2007538397A (ja) 基板表面洗浄方法
JPH09102483A (ja) 半導体基板上にシリコン材料の上部構造体を形成する製造方法
TW200532790A (en) Chamber cleaning method
KR10057392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세정 장치 및 방법
KR100248154B1 (ko) 식각용액
KR19980026265A (ko) 반도체 웨이퍼 재생을 위한 식각액 조성물
US20060108324A1 (en) Process for removing a residue from a metal structure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7501072B2 (en) Etching solution comprising hydrofluoric acid
KR20080106751A (ko) 폴리 실리콘의 제거방법
US6423646B1 (en) Method for removing etch-induced polymer film and damaged silicon layer from a silicon surface
US20010055884A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S63150922A (ja) アツシング方法
JP2002289589A (ja) エッチング方法
JPS584930A (ja) ホトレジスト剥離方法
JP2004111731A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0168208B1 (ko) 다중합체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