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018B1 -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018B1
KR100247018B1 KR1019970005670A KR19970005670A KR100247018B1 KR 100247018 B1 KR100247018 B1 KR 100247018B1 KR 1019970005670 A KR1019970005670 A KR 1019970005670A KR 19970005670 A KR19970005670 A KR 19970005670A KR 100247018 B1 KR100247018 B1 KR 10024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uxiliary storage
magnetic tape
billing
interfac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875A (ko
Inventor
강성용
최윤수
윤진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8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etering arrangements or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10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 H04M15/26Metering calls from calling party, i.e. A-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with a meter or performing charging or billing at the exchange controlled by an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8Magne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교환기에 있어서, 집중자동과금방식을 구현한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종래의 지역자동과금방식 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테이프에 과금자료를 저장하면서 동시에 중앙전산소로 상기 과금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집중자동과금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정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보조기억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 일측에 형성시킨 플랫컨넥터단자와, 상기 플랫컨넥터단자에는 인터페이스 보드를 장착시켜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보조기억장치에 과금자료를 저장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Description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DEVICE FOR INTERFACING BETWWEEN EXCHANGE SYSTEM AND BILL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전전자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켜 편리하게 과금정보를 전송시킬 수 있는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과금방식(Billing system)이라 함은 공중전기통신망에 가입한 각 가입자(계약자)에 대해서 통신시설 사용요금을 부과하기 위하여 각 가입자의 과금정보(이용자 서비스 종류, 통신거리, 통신시간, 통신속도, 정보량 등)를 판단하고 기록 저장하는 일련의 방식을 말한다.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과금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과금방식(Billing System)에는 지역자동과금방식(LAMA : Local Automatic Message Accounting)과 집중자동과금방식(CAMA : Centralize Automatic Message Accounting)이 있다.
상기 지역자동과금방식(LAMA)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지역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정보가 교환기(50)에 의해서 수집되며 이를 과금자료라 한다. 그후 상기 수집된 과금자료는 보조기억장치(MTU : Magnetic Tape Unit)(56)로 전송되는데, 상기 과금자료는 데이터라인(52)과 제어라인(54)으로 구분되어 보조기억장치(MTU)(56)내에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보드(MTUC : Magnetic Tape Controller)(58)로 전송된다.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보드(MTUC)(58)에 의해서 수집된 과금자료는 마그네틱테이프(60)에 저장된다. 그후 상기 과금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마그네틱테이프(60)는 한달에 한번씩 중앙전산소(62)로 운반되어서 전화요금을 부과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집중자동과금방식(CAMA : Centralize Automatic Message Accounting)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지역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과금자료가 교환기(50)에 의해서 수집되어 보조기억장치(MTU : Magnetic Tape Unit)(56)로 전송되는데, 상기 과금자료는 데이터라인(52)과 제어라인(54)으로 구분되어 보조기억장치(MTU)(56)내에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보드(MTUC : Magnetic Tape Controller)(58)로 전송된다.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보드(MTUC)(58)에 의해서 수집된 과금자료는 마그네틱테이프(6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보드(MTUC : Magnetic Tape Controller)(58)에 전송되는 데이터자료(52)와 제어자료(54)는 일종의 하드웨어적인 추출장치(ED : Extraction Device)(64)에 의해서 수집된다. 그후 중앙전산소에 연결되어 있는 온라인 전용회선을 통해 직접 상기 과금자료가 전송되어 과금테이프(마그네틱테이프)상에 기록되며 전화요금을 부과하는데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역자동과금방식(LAMA)은 마그네틱테이프를 관리하고 중앙전산소로 운반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될뿐만 아니라, 운반도중 과금자료를 저장한 마그네틱테이프가 손상되므로써 과금자료가 손실될 위험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지역자동과금방식 교환기에 있어서, 마그네틱테이프에 과금자료를 저장하면서 동시에 중앙전산소로 상기 과금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집중자동과금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정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환기 스위칭 모듈과,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를 구비한 보조기억장치로 구성된 지역자동 과금방식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의 데이터라인과 제어라인상에 각각 설치되는 플랫컨넥터 단자와, 상기 플랫컨넥터 단자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플랫컨넥터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보조기억장치와 인터페이스 보드에 동시에 수용되는 데이터자료과 제어자료를 추출하여 중앙전산소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추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자동과금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집중자동과금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의 실장위치를 나타낸 보조기억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컨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터페이스 보드 12: 데이터 플랫컨넥터
14: 제어 플랫컨넥터 16: 플랫컨넥터 데이터단자
18: 플랫컨넥터 제어단자 20: 케이블컨넥터
50: 교환기 52: 데이터라인
54: 제어라인 56: 보조기억장치
58: 마그네틱 테이프 콘트롤러 60: 마그네틱 테이프
62: 중앙전산소 64: 추출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과 과금자료의 전송경로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바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자동과금방식 전전자교환기 장치에 집중자동과금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지역자동과금방식 전전자교환기의 보조기억장치(56)에 장착되어 있는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 일측에는 플랫컨넥터단자(16, 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랫컨넥터단자(16, 18)는 데이터자료와 제어자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플랫컨넥터단자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보드(10)가 장착된다. 그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에서 과금자료가 중앙전산소로 전송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인 추출장치(64)가 상기 보조기억장치(56)에 장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플랫컨넥터단자(16, 18)에 상응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플랫컨넥터(12, 14)로 형성된다. 그후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의 데이터자료를 수용하는 플랫컨넥터측(12)에는 보조기억장치(56) 및 추출장치(64)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컨넥터(20)를 장착할 수 있는 데이터단자(12a, 12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의 제어자료를 수용하는 플랫컨넥터(14)측에는 보조기억장치(56) 및 추출장치(64)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케이블컨넥터(20)를 장착할 수 있는 제어단자(14a, 14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기억장치(56)와 추출장치(64)의 일측에는 상기 데이터단자(12a, 12b)와 제어단자(14a, 14b)에 상응하는 단자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0)의 데이터단자(12a, 12b)와 제어단자(14a, 14b) 및 이에 상응하는 추출장치(64)와 보조기억장치의(56) 단자에는 과금자료를 전송하기 위하여 케이블컨넥터(20)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금자료의 전송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교환기 스위칭 모듈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과금자료가 수집되면 상기 과금자료는 데이터라인과 제어라인을 통해 보조기억장치(56)의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로 전송되어 진다. 그후 상기 전송된 과금자료는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에 장착된 인터페이스 보드(10)에 형성된 각각의 플랫컨넥터(12, 14)로 전송된다. 상기 각각의 플랫컨넥터(12, 14)로 전송된 과금자료는 보조기억장치(56)와 추출장치(64)에 연결된 케이블컨넥터(20)에 의해서 상기 보조기억장치(56)에 저장됨과 동시에 추출장치(64)로 전송된다. 상기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추출장치(64)는 중앙전산소에 설치되어 있는 추출장치에 온라인 전용회선으로 연결되어서 과금자료를 전송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는 종래의 지역자동과금방식을 사용하는 교환기를 집중자동과금방식으로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기존의 MTU-RACK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으며, 마그네틱 테이프를 운반하는데 따른 시간과 경비를 줄였으며, 과금정보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환기 스위칭 모듈과,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를 구비한 보조기억장치로 구성된 지역자동 과금방식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 제어보드의 데이터라인과 제어라인상에 각각 설치되는 플랫컨넥터 단자와;
    상기 플랫컨넥터 단자에 각각 접속하기 위한 플랫컨넥터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보조기억장치와 인터페이스 보드에 동시에 수용되는 데이터자료과 제어자료를 추출하여 중앙전산소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추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데이터자료를 수용하는 플랫컨넥터측에는 보조기억장치 및 추출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추출장치 및 보조기억장치에 케이블컨넥터로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제어자료를 수용하는 플랫컨넥터측에는 보조기억장치 및 추출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추출장치 및 보조기억장치에 케이블 컨넥터로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KR1019970005670A 1997-02-25 1997-02-25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KR10024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670A KR100247018B1 (ko) 1997-02-25 1997-02-25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670A KR100247018B1 (ko) 1997-02-25 1997-02-25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875A KR19980068875A (ko) 1998-10-26
KR100247018B1 true KR100247018B1 (ko) 2000-04-01

Family

ID=1949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670A KR100247018B1 (ko) 1997-02-25 1997-02-25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915A (ko) * 1991-04-29 1992-11-21 이해욱 교환기 과금자료 수집전송장치
KR960016023A (ko) * 1994-10-31 1996-05-22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플랫 케이블용 컨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915A (ko) * 1991-04-29 1992-11-21 이해욱 교환기 과금자료 수집전송장치
KR960016023A (ko) * 1994-10-31 1996-05-22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플랫 케이블용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875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5416B2 (ja) 接続ネットワ−クの自動車加入者端末間の接続設定方法
EP0539016B1 (en) Data packet switch apparatus
US6781981B1 (en) Adding DSL services to a digital loop carrier system
FR2634038A1 (fr) Micro-ordinateur integrant une terminaison numerique d&#39;abonne de reseau numerique a integration de services
WO2002027592A1 (fr) Systeme de gestion d&#39;information faisant intervenir un agent
KR100247018B1 (ko) 교환기와 추출장치를 연결시키는 정합장치
CN210986118U (zh) 一种使用多sim卡通信的可移动路由系统
JPS57119537A (en) Facsimile communication system
CN215896911U (zh) 一种延长快充数据线
EP1510064B1 (en) An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211744491U (zh) 一种可扩展接口的带sim卡的双层路由器
KR100348765B1 (ko) 호 상세 기록을 생성, 관리하기 위한 교환기 운용 방법
KR100241884B1 (ko) 전자교환기와 집중자동과금방식을 채용한 추출장치간의정합장치
KR100270658B1 (ko) 교환시스템 집중구내전화 안내대 정합방법
JP2002305610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2162752Y (zh) 程控电话交换机计费管理装置
CN2407524Y (zh) 行动通信客户识别卡切换装置
JPH0851423A (ja) マルチメディア用多地点中継制御装置
JP2551772B2 (ja) 加入者用電話機による課金通信方式
JP2856261B2 (ja) アナログ端末接続用アダプタ装置
CN117750250A (zh) 一种网络设备
JPH06103916B2 (ja) 公衆電話機の付属装置
KR19990057998A (ko) 교환기와 과금수집센터간의 과금데이터 전송을 위한정합방법
JPH0522476A (ja) 衛星を用いたルーラル通信における課金方式
JP2001298483A (ja) 公衆電話機および公衆電話機のデータ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