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852B1 -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 Google Patents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852B1
KR100245852B1 KR1019970082287A KR19970082287A KR100245852B1 KR 100245852 B1 KR100245852 B1 KR 100245852B1 KR 1019970082287 A KR1019970082287 A KR 1019970082287A KR 19970082287 A KR19970082287 A KR 19970082287A KR 100245852 B1 KR100245852 B1 KR 10024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eight
curtain member
damp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982A (ko
Inventor
박해성
Original Assignee
박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성 filed Critical 박해성
Priority to KR101997008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8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4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folded up when not in use or op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무대 등을 가려지게 하며, 상하로 주름지게 접혀지며 승강되는 커텐부재(1)와; 상기 커텐부재(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리부에 걸려지며, 그 선단은 커텐부재(1)의 양측하단부에 고정되어 커텐부재(1)를 승강시키게 하는 와이어(1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하강되도록 와이어(10)가 감겨지는 권취부(20)와; 상기 권취부(20)에 와이어(10)가 감겨지도록 권취부(20)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는 승강조작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텐부재(1)가 승.하강할 때 커텐부재(1)의 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추(4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강위치에 따라 와이어(10)에 다르게 작용되는 커텐부재(1)의 하중을 회전중심으로 부터 감쇠추(40)의 작용거리를 다르게 가변시켜 커텐부재(1)의 중량에 따라 가변된 회전력으로 중량을 감쇠시키는 권취롤러(50)가 구비되어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텐부재(1)의 하중을 감쇠시키는 감쇠장치(60)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커텐을 승.하강 시킬수 있어, 조작이 편하고 적은 용량의 모터로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커텐의 승.하강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력이 변화하여 커텐의 하중을 감쇠시킴으로 승강조작부(30)의 멈춤으로 별다른 제동장치 없이도 커텐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본 발명은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직경이 다른 권취롤러를 이용하여 커텐의 승.하강시 커텐의 중량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하강식 커텐은 천막과 같은 비교적 넓은 면적의 직물을 무대의 전면부가 가려지도록 무대 전면부 상측의 지지부에 일측측면을 고정시키고, 이러한 천막의 양측하단에는 각각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천막의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간격으로 고리부를 설치하여 와이어가 이에 걸려져 와이어가 권취부에 감겨지게 되면 커텐이 하단부터 승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어를 권췹부에 권취하기 위하여 권취부의 일측에는 승강조작부가 설치되는 데 커텐의 크기 및 그 하중에 따라 수동식 및 자동식으로 사용하는데, 주로 그 용량에 맞는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로 작동되는 커텐은 일측이 무대 전면상측에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텐이 최하단에 내려져 있을 때에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이 미미하지만 커텐이 상승하면서 와이어에 커텐이 누적되므로 와이어에 가해지는 커텐의 하중은 점점 커지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모터의 용량은 와이어가 커텐에 의하여 최대의 하중을 견뎌내기 위한 충분한 힘의 모터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모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 커텐이 최상단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 그 하중을 모터가 지탱하여야 함으로 모터에 부하가 걸려있게 됨으로 그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커텐이 최상단에 머무를때, 스톱퍼등을 이용하여 이를 지지하게 되면 그 조작이 복잡해져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텐의 무게를 감쇠할 수 있는 감쇠추를 달아 작은 용량의 모터로 커텐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한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텐의 무게를 감쇠시킴으로 수동조작 으로도 커텐의 승.하강이 용이하도록한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승.하강식 커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인 권취롤러와 커텐을 승하강 시키는 권취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요부확대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인 권취롤로와 권취부가 연결기어에 의하여 연결되어진 상태를 도시 한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권취롤러의 회전력이 변화한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인 권취롤러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텐부재 10 - 와이어
20 - 권취부 30 - 승강조작부
31 - 구동축기어 32 - 구동축
40 - 감쇠추 41 - 연결선
42 - 가이드로프 43- 완충부
50 - 권취롤러 51 - 가이드편
52 - 회전기어 53 - 연결기어
60 - 감쇠장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대 등을 가려지게 하며, 상하로 주름지게 접혀지며 승강되는 커텐부재(1)와;
상기 커텐부재(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리부에 걸려지며, 그 선단은 커텐부재(1)의 양측하단부에 고정되어 커텐부재(1)를 승강시키게 하는 와이어(1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하강되도록 와이어(10)가 감겨지는 권취부(20)와;
상기 권취부(20)에 와이어(10)가 감겨지도록 권취부(20)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는 승강조작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텐부재(1)가 승.하강할 때 커텐부재(1)의 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추(4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강위치에 따라 와이어(10)에 다르게 작용되는 커텐부재(1)의 하중을 회전중심으로 부터 감쇠추(40)의 작용거리를 다르게 가변시켜 커텐부재(1)의 중량에 따라 가변된 회전력으로 중량을 감쇠시키는 권취롤러(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커텐이 승.하강 될때 변화하는 커텐의 중량은 감쇠추(40)의 힘이 권취롤러(50)의 직경에 따라 회전력이 변화하면서 커텐의 중량을 감쇠함으로 작은 힘으로 커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승.하강식 커텐이 와이어에 의하여 권취부에 감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인 권취롤러와 커텐을 승하강 시키는 권취부의 연결되며, 권취롤러의 가이드편에 의하여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평단면도 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인 권취롤로와 권취부가 연결기어에 의하여 연결되어지고, 가이드로프에 감쇠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권취롤러의 직경에 의하여 회전력이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권취롤러의 형상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 6, 도 7, 도 8은 직경이 다른 권취롤러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대나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리는데 사용되는 커텐부재(1)이 승.하강 될때, 그 커텐의 중량을 감쇠추와 연결된 직경이 다른 권취롤러의 회전력(T=F*R)을 이용하여 감쇠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텐은 커텐의 상단이 무대 천정의 지지부에 고정설치되며, 양측단은 와이어(10)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커텐의 양측단에 일정간격으로 고리부를 구비하고 있어 와이어(10)가 그 고리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도록하며, 와이어(10)의 선단은 커텐부재(1)의 양측 하단부에 고정된다.
또, 커텐이 상승할때 미관상 이를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와이어(10)을 양측단 외어도 일정간격으로 중간부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커텐부재(1)은 승강조작부(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권취부(20)에 와이어(10)가 감겨지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커텐이 상승하면서 와이어(10)에 가해지는 하중은 점점 증가되는 것이다.
즉, 커텐이 최하단에 있을때에는 천정의 지지부에서 커텐의 무게를 모두 지지하고 있게되며, 와이어(10)가 권취부(20)에 감겨지면서 커텐이 하부부터 적층되어 상부로 상승하게 됨으로 와이어(10)에 가해지는 커텐의 무게는 상승할 수록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조작부(30)에 무리가 가해지게 됨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감쇠장치가 설치된다.
감쇠장치는 직경이 다른 권취롤러(50)와,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감쇠추(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롤러(5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쇠추(4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선(41)이 감겨질때 직경이 다른 권취롤러(50)에 이탈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감겨지도록 직경이 변화하는 그 사이에는 가이드편(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쇠추(40)는 소정의 무게로 승강조작부(3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며,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권취부(20)일측으로 부터 무대 바닥면 까지 연결되어진 가이드로프(42)에 연결되어 이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는 것이다.
또, 가이드로프(42)의 상측에는 감쇠추(40)가 흔들릴때, 가이드로프(42)에 전달되는 권취부(20)에 전달되는 충격을 환화하기 위하여 완충부(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의 작동은 커텐이 최하단에 내려와 있을 때에는 감쇠추(40)가 최상단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때는 도 4에서 되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러(50)의 직경이 제일 작은부분(X)에 연결선(41)이 감겨져 있으므로, 회전력이 최소가 되며, 이때 커텐부재(1) 또한 와이어(10)에는 거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커텐부재(1)이 상승하게 되면 커텐 하부로 부터 적층되어 커텐이 상승함으로 점점 와이어(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권취롤러(50)에 감겨져 있던 감쇠추(40)의 연결선(41)이 점점 풀어지면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부분(Y)까지 풀어지게 됨으로 회전력(T=F*R)에 의하여 커텐의 무게를 감쇠시키게 된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커텐과 감쇠추(40)가 상호 대응되게 승하강되는 것은 권취부(20)의 구동축(32)에 설치된 구동축기어(31)와 권취롤러(50)에 설치된 회전기어(52)를 연결기어(54)가 연결하고 있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커텐의 위치에 관계없이 감쇠장치(60)가 커텐의 무게를 감쇠시킴으로 하중에 의한 저항이 없게 됨으로 승강조작부(30) 에서는 일정한 힘을 발생시켜 커텐을 승하강 시킬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텐부재(1)의 하중을 감쇠시키는 감쇠장치(60)에 의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커텐을 승.하강 시킬수 있어, 조작이 편하고 적은 용량의 모터로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커텐의 승.하강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력이 변화하여 커텐의 하중을 감쇠시킴으로 승강조작부(30)의 멈춤으로 별다른 제동장치 없이도 커텐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무대 등을 가려지게 하며, 상하로 주름지게 접혀지며 승강되는 커텐부재(1)와;
    상기 커텐부재(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리부에 걸려지며, 그 선단은 커텐부재(1)의 양측하단부에 고정되어 커텐부재(1)를 승강시키게 하는 와이어(1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하강되도록 와이어(10)가 감겨지는 권취부(20)와;
    상기 권취부(20)에 와이어(10)가 감겨지도록 권취부(20)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는 승강조작부(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텐부재(1)가 승.하강할 때 커텐부재(1)의 하중을 감쇠하기 위한 감쇠추(40)와;
    상기 커텐부재(1)의 승강위치에 따라 와이어(10)에 다르게 작용되는 커텐부재(1)의 하중을 회전중심으로 부터 감쇠추(40)의 작용거리를 다르게 가변시켜 커텐부재(1)의 중량에 따라 가변된 회전력으로 중량을 감쇠시키는 권취롤러(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50)에는 감쇠추(40)와 연결되어진 연결선(41)이 권취롤러(50)에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가변직경에 권취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편(51)이 나선형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쇠추(40)가 승.하강 할때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감쇠추(40)를 관통하여 권취부(20)로 부터 무대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로프(42)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KR1019970082287A 1997-12-31 1997-12-31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KR10024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87A KR100245852B1 (ko) 1997-12-31 1997-12-31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287A KR100245852B1 (ko) 1997-12-31 1997-12-31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982A KR19990061982A (ko) 1999-07-26
KR100245852B1 true KR100245852B1 (ko) 2000-03-02

Family

ID=1953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287A KR100245852B1 (ko) 1997-12-31 1997-12-31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28B1 (ko) * 2011-10-18 2012-03-20 (주)나이테산기개발 용지의 무게별로 모터의 회전력이 가변되는 프린터용 리와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98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4385B1 (en) Pull down, push up, shade assembly
CN102971479B (zh) 用于建筑开口的遮阳帘
CA1054021A (en) Standing umbrella
US6823925B2 (en) Retractable window shade with height adjustment control
US6991020B1 (en) Pull down, push up, shade assembly
CN1291086A (zh) 具有倾斜和打开的侧支撑伞
ES2941919T3 (es) Cabina de ascensor con asistencia mecánica para plataforma de trabajo
JP6295140B2 (ja) ブラインド
KR100245852B1 (ko) 승.하강 커텐의 중량 감쇠장치
KR20100136188A (ko) 철도차량 윈드쉴드용 선블라인드 장치
JP3542739B2 (ja) 遮蔽材の昇降装置
JP2000130052A (ja) 日射遮蔽材の昇降装置
JP2713522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昇降装置
JP3795444B2 (ja) ブラインド用の昇降コード巻取装置
JP3695700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JP2002332785A (ja) 日射遮蔽装置
JPH0431999Y2 (ko)
JPH0432476Y2 (ko)
JPH052146Y2 (ko)
JPH0211598Y2 (ko)
JP2933558B2 (ja) 舞台用吊物昇降装置
JP2018071209A (ja) 横型ブラインド
NZ229526A (en) Elevating bed with tilt facility and safety features
KR200229767Y1 (ko) 전동 승강장치를 구비한 빨래 건조대
WO1997034069A1 (en) Window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