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376B1 -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 Google Patents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376B1
KR100245376B1 KR1019940015119A KR19940015119A KR100245376B1 KR 100245376 B1 KR100245376 B1 KR 100245376B1 KR 1019940015119 A KR1019940015119 A KR 1019940015119A KR 19940015119 A KR19940015119 A KR 19940015119A KR 100245376 B1 KR100245376 B1 KR 10024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rting point
winding
stator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039A (ko
Inventor
유영준
Original Assignee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 발리베
Priority to KR101994001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376B1/ko
Publication of KR96000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8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into slotted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된 코일을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무리없이 이루어지고 코일 권선밀도가 균일하며 동일 크기의 스테이터로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제6코일(A)-(F)의 권선방법을 달리하여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되는 코일의 인서트부분이 서로 인접되거나 멀리 떨어지게 함으로써 삽입시의 간섭저항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코일의 단선 또는 피막의 찍힘등의 불량발생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제1 내지 제6 코일(A)-(F)을 순차적으로 균일한 형태로 권선하여 코일의 권선밀도가 균일하게 함으로써 갑자기 전류가 급증하는 서지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스테이터의 슬롯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게 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스테이터로 더 큰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방법
제1도는 종래의 교류 발전기용 스테인터의 코일 권선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제2a,b도는 종래의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의한 코일 권선시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의한 코일 권선시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테이터 11 : 슬롯
A-F : 제1 내지 제6코일
본 발명은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권선된 코일을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하는 작업이 무리없이 이루어지고 코일 권선밀도가 균일하며 동일 크기의 스테이터로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류 발전기의 구조는 코일이 권선된 스테이터와 이 스테이터의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하도록 되고 영구자석을 구비하는 로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로터가 회전되면, 로터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계영향으로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로 전류가 유기되어 전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교류 발전기의 출력은 스테이터에 권선된 코일의 권선수와 권선경에 영향을 받게되고, 양호한 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선밀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야 한다. 그런데 코일의 권선밀도는 코일이 권선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코일의 권선방법은 곧 교류 발전기의 출력과 전류특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기술인 것이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일예로 3상 교류 발전기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이터(1)는 링형태로서,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슬롯(2)이 10도(度) 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있고, 이 슬롯(2)으로 소정의 권선방법에 의해 코일 권선기로 순차적으로 권선되어진 제1 내지 제6코일(A)-(F)이 삽입된다. 즉, 종래의 권선방법은 먼저 코일권선기로 코일을 지그(도시안됨)에 순차적으로 권선한후 권선된 코일을 스테이터(1)의 슬롯(2)에 삽입시켜 된 것으로, 지그에 코일을 권선하는 순서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1코일(A)은 시작점(a)으로 하여 권선하되, 30도 동간격(a-a')(즉, 세번째 슬롯)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수회씩 권선한다. 그 다음 제2코일(B)은 제1코일(A)의 시작점(a)으로 부터 시계 방향으로 20도 이동한 위치(두번째 슬롯)를 시작점(b)으로하여 권선하되, 제1코일(A)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b-b')으로 스테이터(1)의 원주방향을 따라 수회씩 권선한다.
또한, 제3코일(c)은 제2코일(B)의 시작점(b)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20도 이동한 위치(두번째 슬롯)를 시작점(c)로 하여 제1 및 제2코일(A)(B)과 마찬가지로 30도 등간격(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D)은 상기 제3코일(C)의 시작점(c)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첫번째 슬롯)를 시작점(d)으로 하여 역시 이전이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d-d')으로 권선한다. 제5코일(E)은 상기 제4코일(D)의 시작점(d)으로 부터 시계 방향으로 2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F)은 제5코일(E)의 시작점(e)으로 부터 시계 방향으로 2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f-f')으로 권선한다.
권선후에 제1코일(A)과 제4코일(D)의 일단을 결선처리하고, 제2코일(B)과 제5코일(E)의 일단을 연결하며, 제3코일(C)과 제6코일(F)의 일단을 연결하여 3상이 되도록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그에 순차적으로 권선된 제1 내지 제6코일(A)-(F)은 제1도와 같이 스테이터(1)의 슬롯(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 권선방법으로 권선하게 되면, 예를들어 코일이 슬롯에 삽입되는 지점을 인서트(insert)라 하고, 슬롯위로 지나가는 선부분을 웨이브 (wave)라 할때 제1도에 "가"부분으로 표현된 바와같이 웨이브-인서트-웨이브-인서트 또는 인서트-웨이브-인서트-웨이브순으로 권선된 부분이 많다. 이러한 부분이 많게되면, 예를들어, 먼저 슬롯에 삽입된 제4코일(D)의 인서트부분(d')이 슬롯(2)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다음에 제1코일(A)의 인서트부위(a)이 슬롯(2)에 삽입될때 공간이 협소하여 심한 저항을 받게되고, 이로인해 전체적으로 코일을 스테이터(1)의 슬롯(2)에 삽입하는 적업에 무리가 따르고, 삽입작업시 단선 또는 코일의 피막찍힘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코일 권선방법은 상기와 같은 "가"부분과 같은 권선상태에 의해 스,테이터(1)에 삽입된 코일(2)의 전체적인 분포가 균일하지 못해 전류가 급증하는 서지(surge)현상이 발생하여 교류 발전기의 전류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a,b도는 "가"부분 슬롯(2)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슬롯(2)에 권선된 코일의 사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가)의 경우에는 슬롯(2)에 인서트- 웨이브 -인서트-웨이브 순서로 코일이 적층된 경우로서, 이 때에는 코일의 인서트시 이미 인접한 슬롯에 인서트된 다른 코일의 간섭으로 슬롯의 안쪽부위에 공간이 발생항 슬롯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게 되고, (나)의 경우에는 슬롯(2)에 웨이브-인서트-웨이브-인서트 순서로 코일이 적층된 경우로서, 이 때에는 코일의 인서트시 이미 인접한 슬롯에 인서트된 다른 코일의 간섭으로 슬롯의 일측 중간부분에 공간이 발생하여 슬롯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게 되었다. 상기 공간부분은 슬롯 전체에 대해 10-2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고출력의 교류 발전기를 개발할때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실제의 설계치 보다 손실된 만큼 스테이터의 전체크기를 증대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이터의 슬롯에 권선된 코일의 인서트부분을 삽입할때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코일 삽입시 저항을 제거함으로써 코일의 단선 또는 피막의 찍힘등의 권선 불량발생을 줄일 수 있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된 코일의 권선밀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서지현상을 제거하고, 스테이터의 슬롯내에 빈공간이 없도록 코일을 삽입시켜 출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코일권선기를 이용하여 지그에 제1 내지 제6코일을 원주방향으로하여 순차적으로 권선하되, 제1코일은 시작점(a)으로 부터 30도 간격(a-a')을 유지하면서 30도 등간격으로 권선하고,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의 권선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 하여 상기 제1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b-b')으로 권선하며, 제3코일은 상기 제2코일의 시작점(b)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5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은 상기 제3코일의 시작점(c)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 (d)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d-d')으로 권선하며, 제5코일은 상기 제4코일의 시작점(d)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은 상기 제5코일의 시작점(e)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f)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동일한 간격(f-f')으로 권선하여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코일권선기를 이용하여 지그에 제1 내지 제6코일을 원주방향으로하여 순차적으로 권선하되, 제1코일은 시작점(a)으로 부터 30도 간격(a-a')을 유지하면서 30도 등간격으로 권선하고,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의 권선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 하여 상기 제1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b-b')으로 권선하며, 제3코일은 상기 제2코일의 시작점(b)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은 상기 제3코일의 시작점(c)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3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d)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d-d')으로 권선하며, 제5코일은 상기 제4코일의 시작점(d)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5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은 상기 제5코일의 시작점(e)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f)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동일한 간격(f-f')으로 권선하여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3상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스테이터(10)는 링형태로서,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슬롯(11)이 10도(度)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11)으로 소정의 권선방법에 의해 코일 권선기로 지그에 순차적으로 권선되어진 제1 내지 제6코일(A)-(F)이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선방법은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은 순서로 먼저 지그(도시안됨)에 권선된후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되어 진다. 먼저 제1코일(A)은 시작점(a)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권선하되, 30도 등간격(a-a')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수회씩 권선한다. 그 다음 제2코일(B)은 제1코일(A)의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하여 권선하되, 제1코일(A)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b-b')으로 수회씩 권선한다.
또한, 제3코일(C)은 제2코일(B)의 시작점(b)으로 부터 시계 방향으로 5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제1 및 제2코일(A)(B)과 마찬가지로 30도 등간격 (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D)은 상기 제3코일(C)의 시작점(c)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 하여 역시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d-d')dmfh 권선한다. 제5코일(E)은 상기 제4코일(D)의 시작점(d)으로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F)은 제5코일(E)의 시작점(e)으로 부터 반시계 방햐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f-f')으로 권선한다.
권선후에 제1코일(A)과 제4코일(D)의 일단을 결선처리하고, 제3코일(C)과 제6코일(F)의 일단을 연결하며, 제2코일(B)과 제5코일(E)의 일단을 연결하여 3상이 되도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그에 순차적으로 권선된 제1 내지 제6코일(A)-(F)은 제3도와 같이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을 권선하여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시키게 되면, 제3도에 표현된 "가" 부분에서와같이 코일의 인서트부분 삽입상태가 인접해 있거나 안쪽과 가장자리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즉, 인서트부분이 인접한 경우의 권선상태를 보면, 웨이브-웨이브-인서트-인서트, 웨이브-인서트-인서트-웨이브, 인서트-인서트-웨이브-웨이브로 이루어지는 권선상태이고, 또는 인서트-웨이브-웨이브-인서트 와같은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권선상태에 의해서는 인서트-웨이브-웨이브-인서트와 같은 권선상태의 경우 예를들어, 하나의 슬롯(11)에 제6코일(F)의 인서트부분(f)이 먼저 안쪽에 삽입된후 제3코일(C)의 인서트부분(c')이 가장 외측에 다음으로 삽입되므로 슬롯(11)에 코일의 인서트 부분의 삽입시 저항을 받지 않게되어 단선 또는 피막 찍힘등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인서트부분이 인접한 권선상태의 경우 예를들어 제6코일(F)의 인서트부분 (f')과 제3코일(C)의 인서트부분(c)이 연속적으로 슬롯(11)에 삽입되므로 역시 삽입시 저항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으로 권선된 코일의 삽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코일(A) 내지 제6코일(F)은 반시계방향으로 10도씩 이동되어 순차적으로 권선된 결과가 되어 전체적으로 코일권선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각 코일의 인서트부위가 한곳으로 몰리지않아 코일의 권선밀도가 균일해짐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갑자기 급증하는 서지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실시예는 코일의 인서트부분 삽입이 간섭저항 없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롯내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게되는 것이고, 이로인하여는 교류 방전기의 제작시 설계치에 근접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스테이터로 보다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교류 발전기는 종래의 교류 발전기와 출력이 동일할 경우 그 크기를 더욱 작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권선방법은 제5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먼저 지그(도시안됨)에 순차적으로 권선된후 스테이터 (10)의 슬롯(11)에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제1코일(A)은 시작점(a)으로 하여 권선하되, 30도 등간격(a-a')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수회씩 권선한다. 그 다음 제2코일(B)은 제1코일(A)의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하여 권선하되, 제1코일(A)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b-b')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수회씩 권선한다.
또한, 제3코일(C)은 제2코일(B)의 시작점(b)으로 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제1 및 제2코일(A)(B)과 마찬가지로 30도 등간격 (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D)은 상기 제3코일(C)의 시작점(c)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3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d)으로 하여 역시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d-d')으로 권선한다. 제5코일(E)은 상기 제4코일(D)의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F)은 제5코일(E)의 시작점(e)으로 부터 시계 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이전의 코일과 동일하게 30도 등간격(f-f')으로 권선한다.
권선후에 제1코일(A)과 제6코일(F)의 일단을 결선처리하고, 제3코일(C)과 제4코일(D)의 일단을 연결하며, 제2코일(B)과 제5코일(E)의 일단을 연결하여 3상이 되도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그에 순차적으로 권선된 제1 내지 제6코일(A)-(F)은 제5도와 같이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을 권선하여 스테이터(10)의 슬롯(11)에 삽입시키게 되면, 제5도에 표현된 "가" 부분에서와같이 코일의 인서트 부분 삽입상태가 대부분 인접해 있거나 안쪽과 가장자리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즉, 웨이브-인서트-인서트-웨이브 또는 인서트-웨이브-웨이브-인서트 와같은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권선상태에 의해서는 인서트-웨이브-웨이브-인서트와 같은 권선상태의 경우 예를들어, 하나의 슬롯(11)에 제6코일(F)의 인서트부분(f')이 먼저 안쪽에 삽입된후 제1코일(A)의 인서트부분(a)이 가장 외측에 다음으로 삽입되므로 슬롯(11)에 코일의 서트 부분의 삽입시 저항을 받지 않게되어 단선 또는 피막 찍힘등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인서트부분이 인접한 인서트-인서트-웨이브-웨이브와 같은 권선상태의 경우 예를들어 제4코일(D)의 인서트부분(d')과 제3코일(C)의 인서트부분(c)이 연속적으로 슬롯(11)에 삽입되므로 역시 삽입시 저항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으로 권선된 코일의 삽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제1코일(A) 내지 제3코일(C)은 반시계방향으로 10도씩 이동되어 순차적으로 권선된 결과가 되고, 제4코일(D) 내지 제6코일(F)는 시계방향으로 10도씩 이동되어 순차적으로 권선된 결과가 되어 전체적으로 코일권선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각 코일의 인서트부위가 한곳으로 몰리지않아 코일의 권선밀도가 균일해짐으로써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갑자기 급증하는 서지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코일의 인서트부분 삽입이 간섭저항 없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롯내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게되는 것이고, 이로인하여는 교류 발전기의 제작시 설계치에 근접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스테이터로 보다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교류 발전기는 종래의 교류 발전기와 출력이 동일할 경우 그 크기를 더욱 작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에 의하면, 권선된 코일을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할때 나중에 삽입되는 인서트부분이 그 이전에 삽입된 인서트부분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코일의 단선 또는 피막의 찍힘등의 불량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6코일이 순차적으로 균일한 형태로 권선되어 코일의 권선밀도가 균일하여 갑자기 전류가 급증하는 서지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스테이터의 슬롯에 코일이 완전히 채워지게 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크기의 스테이터로 더 큰출력을 낼 수 있는 산업상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코일권선기를 이용하여 지그에 제1 내지 제6코일을 원주방향으로하여 순차적으로 권선하되, 제1코일은 시작점 (a)으로 부터 30도 간격(a-a')을 유지하면서 30도 등간격으로 권선하고,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의 권선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 하여 상기 제1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b-b')으로 권선하며, 제3코일은 상기 제2코일의 시작점(b)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5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은 상기 제3코일의 시작점(c)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차를 시작점(d)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d-d')으로 권선하며, 제5코일은 상기제4코일의 시작점(d)으로 부터 반시계방햐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은 상기 제5코일의 시작점(e)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f)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동일한 간격(f-f')으로 권선하여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
  2.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의 권선방법에 있어서, 코일권선기를 이용하여 지그에 제1 내지 제6코일을 원주방향으로하여 순차적으로 권선하되, 제1코일은 시작점 (a)으로 부터 30도 간격(a-a')을 유지하면서 30도 등간격으로 권선하고,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의 권선 시작점(a)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b)으로 하여 상기 제1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b-b')으로 권선하며, 제3코일은 상기 제2코일의 사작점(b)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c)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c-c')으로 권선하고, 제4코일은 상기 제3코일의 시작점(c)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3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d)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d-d')으로 권선하며, 제5코일은 상기 제4코일의 시작점(d)으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5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e)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간격(e-e')으로 권선하고, 제6코일은 상기 제5코일의 시작점(e)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70도 이동한 위치를 시작점(f)으로 하여 상기 코일과 동일한 간격(f-f')으로 권선하여 스테이터의 슬롯에 삽입시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 코일 권선방법.
KR1019940015119A 1994-06-29 1994-06-29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KR10024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119A KR100245376B1 (ko) 1994-06-29 1994-06-29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119A KR100245376B1 (ko) 1994-06-29 1994-06-29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39A KR960003039A (ko) 1996-01-26
KR100245376B1 true KR100245376B1 (ko) 2000-03-02

Family

ID=1938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119A KR100245376B1 (ko) 1994-06-29 1994-06-29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54B1 (ko) * 2008-11-05 2010-12-14 (주)윈텍 발전기용 스테이터코어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664B1 (ko) * 2002-02-28 2004-12-03 최해용 커브형 고휘도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54B1 (ko) * 2008-11-05 2010-12-14 (주)윈텍 발전기용 스테이터코어의 스테이터코일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039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251A (en) Method of making armature winding of double-layer concentric-wound or lap-winding type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20040017123A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KR100923463B1 (ko) 발전기기 고정자 및 그것에 예비권선 코일을 설치하는 방법
US6373164B1 (en)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6255756B1 (en) Winding arrangement for switched reluctance machine based internal starter generator
EP0170452B1 (en) Rotating electric motor
US6812610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linear motor and stator thereof
WO2021220940A1 (ja) 波巻のコイル構造を有する固定子、これを備える三相交流電動機及び固定子の製造方法
US4492890A (en) Stator winding providing magnetomotive force wave of reduced harmonic content
JP3791148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コイルの製造方法
US6590309B2 (en) Stator assembly for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KR100245376B1 (ko) 교류 발전기용 스테이터의 코일 권선 방법
US3468019A (en) Method of making slot closers for small motors
JPH10174331A (ja) 電動モータの巻線構造及び巻線形成方法
US11967870B2 (en) Toroidal polyphase electric machine
JPH07143697A (ja) 三相電機子巻線
JP3494729B2 (ja) 三相電機子巻線
JPH0823650A (ja) 三相電機子巻線
JPH0210780Y2 (ko)
KR100334221B1 (ko) 필름철심 및 필름코일을 이용한 전동기 또는 발전기
JPH07264789A (ja) 回転電機の固定子巻線の巻線方法及びその保持方法
WO2020199732A1 (zh) 定子分段组件及发电机
WO1989005538A1 (en) Toroidally wound generator/motor
JP325962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3609979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