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342B1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342B1
KR100245342B1 KR1019970019777A KR19970019777A KR100245342B1 KR 100245342 B1 KR100245342 B1 KR 100245342B1 KR 1019970019777 A KR1019970019777 A KR 1019970019777A KR 19970019777 A KR19970019777 A KR 19970019777A KR 100245342 B1 KR100245342 B1 KR 10024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unit
unit reducer
cas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114A (ko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1997001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3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46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 F16H3/48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 F16H3/52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 F16H3/54Gearings having only two central gears, connected by orbital gears with single orbital gears or pairs of rigidly-connected orbital gears comprising orbital spur gears one of the central gears being internally toothed and the other externally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57/085Bearings for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과 출력축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단위감속기와; 상기 단위감속기와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시켜 선택적으로 출력축 또는 케이스를 축으로 활용 가능케 하는 고정수단을 마련하여, 감속기의 전체적인 용적을 작게 하는 동시에 큰 동력을 전달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고, 감속기의 변형없이 감속비를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속기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속기의 전체적인 용적을 적게 하는 동시에 큰 동력을 전달하면서 소음을 저감시키고, 감속기의 변형없이 감속비를 선택에 따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속기는 크게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을 통한 속도를 감속하는 기어를 외부에서 감싸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를 통해 감속된 속도를 구조물로 전달하는 출력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감속기는 기어박스 내에 배열된 기어들의 위치에 따라 출력축이 입력축과 편심된 상태이거나 서로 직교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감속기는 모터와 연결된 입력축에 의해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속도를 감속하면 감속된 속도는 출력축으로 가동되어 구조물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감속기는 기어박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출력축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감속기의 전체적인 용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심한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감속기의 감속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감속기를 변형시켜 감속비를 조절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감속기의 감속비를 감속기의 변형없이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감속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속기를 감싸는 케이스가 출력축으로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감속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110,110a : 스냅링
120,120a : 베어링200 : 입력축
210 : 출력축A : 단위감속기
300 : 제1단위감속기310,410,510 : 회전판
311,411,511 : 돌기312,412,512 : 큰 내접기어
320,420,520 : 중간판321,421,521 : 구동홈
322,422,522 : 회전홈330,430,530 : 구동판
331,431,531 : 작은 내접기어332,432,532 : 돌기홈
350,450,550 : 구동기어B : 고정수단
700,710 : 키홈720 : 막대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과 출력축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단위감속기와; 상기 단위감속기와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시켜 선택적으로 출력축 또는 케이스를 축으로 활용 가능케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감속기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입력축(200)과 출력축(210)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단위감속기(A)와, 상기 단위감속기(A)와 케이스(100)를 일체로 고정시켜 선택적으로 출력축(210) 또는 케이스(100)를 축으로 활용 가능케 하는 고정수단(B)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적층되는 단위감속기(A)의 적층정도에 따라 길이가 길거나 짧게 형성되고, 내부에 적층된 단위감속기(A)와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하며, 일단에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입력축(200)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에는 출력축(210)이 각각 삽입 고정된다.
단위감속기(A)는 케이스(100) 내부에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기의 감속비를 결정하여 케이스(100)를 회전시키는데, 이 단위감속기(A)는 크게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기(A)는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100)내에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만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속기의 감속비 결정에 따라 갯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케이스(100)내에서 적층되는 단위감속기(A)는 감속기의 감속비에 따라 제1단위감속기(300)만 적층될 수 있고, 제1단위감속기(300)와 제2단위감속기(400)만 적층될 수 있으며,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 제4단위감속기(도시하지 않음)......, 제10단위감속기가 적층될 수 있다.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는 작은 내접기어(331),(431),(531)를 가지는 구동판(330),(430),(530)과, 상기 구동판(330),(430),(530)의 작은 내접기어(331),(431),(531)에 치합된 구동기어(350),(450),(550)와 치합되는 다수의 회전기어(340),(430),(530)를 치합시키도록 큰 내접기어(312),(412),(412)를 갖는 회전판(310),(410),(510)과, 상기 회전판(310),(410),(510)과 구동판(330),(430),(530) 사이에 밀착되고 구동기어(350),(450),(550)와 회전기어(340),(440),(5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동홈(321),(421),(521)을 중심으로 주변에 회전홈(322),(422),(522)이 형성되는 중간판(320),(420),(520)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는 회전판(310),(410),(510) 상부에 형성된 돌기(311),(411),(511)와 구동판(330),(430),(530) 하부에 형성된 돌기홈(332),(432),(532)의 결합에 의해 입력축(200)에서 출력축(210)까지 구동력이 전달되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의 회전기어(340),(440),(540)의 구동기어(350),(450),(550)의 직경을 각기 다르게 형성하고 이를 조합하여 사용하면 회전속도 비율에 따른 각기 다른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단위감속기(300)의 회전기어는 구동기어 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고, 제2단위감속기의 회전기어는 구동기어와 같은 직경을 가지게 형성하며, 제3단위감속기의 회전기어는 구동기어 보다 직경을 작게 형성한 후, 상기 제1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3:1이고, 제2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4:1이며, 제3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5:1이라고 가정할 때 단위감속기(A)의 회전속도 비율에 따른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위감속기의 기어비는 3:1,4:1,5: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속기의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제1단위감속기 3:1, 제2단위감속기 3:1, 제3단위감속기 3:1과 같이 연속적으로 같은 기어비를 갖는 단위감속기를 적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의 감속비는 단위감속기의 적충정도와 기어비를 조절하면 임의대로 소망하는 감속기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고정수단(B)은 회전판(310),(410),(510)과 구동판(330),(430),(530)보다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 중간판(320),(320),(520)의 외주면에 다수의 키홈(700)을 형성하고, 케이스(100)의 내벽에 상기 키홈(700)과 대응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키홈(710)을 형성한 후, 상기 키홈(700),(710)이 일치하면 이 키홈(700),(710)에 막대키(720)를 삽입 고정하여 케이스(100)가 감속기(A)와 같이 회전되게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110,110a는 스냅링이고, 120,120a는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단위감속기(A)가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로 이루어지고, 이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는 다시 회전판(310),(410),(510), 중간판(320),(420),(520), 구동판(330),(440),(540)으로 각각 나뉘어져 있다.
따라서 이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판(310),(410),(510)과 구동판(330),(430),(530) 사이에 중간판(320),(420),(520)을 끼운 후, 구동기어(350),(450),(550)를 작은 내접기어(332),(432),(532)에 끼우면 이 구동기어(350),(450),(550)는 구동홈(321),(421),(521)을 관통하면서 회전판(310),(410),(510)의 큰 내접기어측(312),(412),(512)에 위치한다.
이때 회전기어(340),(440),(540)를 큰 내접기어(312),(412),(512) 측에 위치시키면서 중간판(320),(420),(520)의 회전홈(322),(422),(522)에 각각 끼우면 이 회전기어(340),(440),(540)는 큰 내접기어(312),(412),(512)와 구동기어(350),(450),(550) 사이에 치합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310),(410),(510), 중간판(320),(420),(520), 구동판(330),(430),(530)이 결합되면 돌기(311),(411),(511)는 회전판(310),(410),(5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돌기홈(332),(432),(532)은 구동판(330),(430),(5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를 돌기(311),(411),(511)와 돌기홈(332),(432),(532)을 이용하여 구동되게 서로 연결한다.
이후, 케이스(100)의 한쪽 단부에 베어링(1200을 안착시킨 후, 스냅링(110)을 끼우고 출력축(210),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 입력축(200), 베어링(120a), 스냅링(110a)을 차례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단위감속기(A)가 케이스(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감속기를 사용하면 케이스(100)와 단위감속기(A)은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입력축(200)을 통한 구동력은 제3단위감속기(500), 제2단위감속기(400), 제1단위감속기(300)를 차례로 통해 감속되어 출력축(210)이 가동된다.
상기와 는 반대로 케이스(100)를 축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의 한쪽 단부로부터 베어링(120), 스냅링(110), 출력축(210),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가 차례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단위감속기(300), 제2단위감속기(400), 제3단위감속기(500)의 중간판(320),(420),(520) 외주면에 형성된 키홈(700)을 케이스(100)의 내벽에 형성된 키홈(710)과 일치시킨다.
이후 케이스(100)의 키홈(710)과 단위감속기(A)의 키홈(700)이 일치되면, 이 키홈(700),(710)에 막대키(720)를 끼워 고정시킨다. 그러면 케이스(100)가 단위감속기(A)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00)는 단위감속기(A)와 같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감속기의 가동순서를 보면 최초 모터와 연결된 입력축(200)이 구동되면, 구동기어(350)를 중심으로 작은 내접기어(331)에 의해 구동판(330)이 치합되어 있고, 회전판(310)은 회전기어(340)에 의해 치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기어(340)는 회전홈(322)에 삽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단위감속기(500)가 가동되고, 제3단위감속기(500)가 가동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2단위감속기(400), 제1단위감속기(300)가 가동된다.
이때 케이스(100)가 단위감속기(A)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출력축(210)이 가동되고 케이스(100)가 막대키(720)에 의해 단위감속기(A)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면 케이스(100)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부에 적충된 단위감속기가 막대키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입력축이 구동되면 단위감속기와 같이 케이스가 회전하기 때문에 종래 감속기의 출력축과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가 바로 회전함으로서 그만큼 감속기가 차지하는 용적이 작으면서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내에 적층되는 단위감속기의 적층정도와 기어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감속기의 변형없이 간단하게 감속기의 감속비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가 그만큼 절감되는 동시에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일단과 타단에 입력축과 출력축이 각각 삽입 고정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 내부에 다수 적층되고, 적층된 갯수에 따라 감속비를 결정하는 단위감속기와; 상기 단위감속기와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시켜 선택적으로 출력축 또는 케이스를 축으로 활용 가능케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단위감속기는 제1단위감속기, 제2단위감속기, 제3단위감속기로 이루어지고, 이 제1단위감속기, 제2단위감속기, 제3단위감속기는 다시 작은 내접기어를 가지는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의 작은 내접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다수의 회전기어를 치합시키도록 큰 내접기어를 갖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과 구동판 사이에 밀착되고 구동기어와 회전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구동홈을 중심으로 주변에 회전홈이 형성되는 중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감속기, 제2단위감속기, 제3단위감속기는 회전판 상부에 형성된 돌기와 구동판 하부에 형성된 돌기홈의 결합에 의해 연속적인 배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회전판과 중간판 보다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 중간판의 외주면에 다수의 키홈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내벽에 상기 키홈과 대응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키홈을 형성한 후, 상기 키홈이 일치하면 키홈에 막대키를 삽입 고정하여 케이스가 단위감속기와 같이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1019970019777A 1997-05-21 1997-05-21 감속기 KR10024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777A KR100245342B1 (ko) 1997-05-21 1997-05-21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777A KR100245342B1 (ko) 1997-05-21 1997-05-21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114A KR19980084114A (ko) 1998-12-05
KR100245342B1 true KR100245342B1 (ko) 2000-03-02

Family

ID=1950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777A KR100245342B1 (ko) 1997-05-21 1997-05-21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45B1 (ko) * 2015-04-27 2021-11-15 주식회사 만도 유성기어 조립체 및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11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779B2 (en) Turning portion structure of industrial robot
JP2739071B2 (ja) 内接噛合型遊星歯車増減速機
KR19990086790A (ko) 내접 유성치차를 이용한 감속장치
KR100725623B1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JP2000120810A (ja) モータ組み込み減速機
KR100245342B1 (ko) 감속기
JP2000110895A (ja) 減速機シリーズ
KR100505017B1 (ko) 큰 감속비를 가지는 감속장치
KR20010051246A (ko) 2피스 출력 기어 조립체를 가진 파워 테이크-오프 장치
CN107709830B (zh) 传动装置
KR19990033596U (ko) 베어링을이용한감속기.
KR100294461B1 (ko) 유성기어와차동기어세트로구성된감속장치
JPH10299840A (ja) 直交軸歯車減速機
JP3946923B2 (ja) 回転駆動装置及び該回転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217271688U (zh) 一种齿轮排列结构、齿轮箱及电机和电动垃圾桶
KR200334021Y1 (ko) 큰 감속비를 가지는 감속장치
JP2808306B2 (ja) 遊星歯車増減速機
KR200268487Y1 (ko) 역추력 방지용 감속장치
KR200364399Y1 (ko) 허브의 감속 구동구조
JPS6121451A (ja) ギヤ変速装置
JP3847170B2 (ja) 遊星歯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変速装置
KR100613696B1 (ko) 허브의 감속 구동구조
KR200390106Y1 (ko) 가이드 바 급속 감속기
KR19990016160A (ko) 스프링을 이용한 전동장치
JP4384114B2 (ja) 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